KR101344296B1 -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296B1
KR101344296B1 KR1020110049547A KR20110049547A KR101344296B1 KR 101344296 B1 KR101344296 B1 KR 101344296B1 KR 1020110049547 A KR1020110049547 A KR 1020110049547A KR 20110049547 A KR20110049547 A KR 20110049547A KR 101344296 B1 KR101344296 B1 KR 10134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list
running
displaying
applic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402A (ko
Inventor
원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4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29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시함과 동시에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시함과 동시에 서로 구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불필요하게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종료시킴으로써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한다.
멀티태스킹이란 두가지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말하며, 이와 같은 멀티태스킹으로 인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는 한번에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멀티태스킹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현재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고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느 단계를 거쳐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종래 스마트폰에 구비된 홈키를 길게 누르면 사용자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아이콘 형식으로 표시하나, 이는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과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구별하지 않고 함께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이 종료되었고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 알 수 없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관리자를 통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알 수 있으나, 작업관리자를 통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알기 위하여는 ① UI화면의 메뉴상에서 작업관리자 아이콘을 검색하는 단계, ② 검색한 작업관리자 아이콘을 실행하는 단계, ③ 실행한 작업관리자의 메뉴상에서 실행목록을 선택하는 단계, ④ 실행목록상에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매우 번거러워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관리자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아이콘 형식이 아니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으로 표시하므로, 아이콘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의 인식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관리자에 표시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느 단계를 거쳐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관리자에 표시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지 않으므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이 자유롭지 못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시함과 동시에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통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단계를 직접 파악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UI(User Interface)화면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시점에서 전환되기 이전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Screenshot)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크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시함과 동시에 서로 구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불필요하게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종료시킴으로써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에 직접 표시하지 않고서도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통해 어느 단계를 실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자 UI화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이 적용되는 기기는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블릿 PC, 개인용 PC, PDA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포함하고,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 및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100),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200) 및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S100단계는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은 최근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을 위주로 리스트를 생성하고,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중인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S100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기반으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단순히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이름을 병기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화면(10)의 상측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10)가 표시되며, 이때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10)상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이름이 병기되어 표시된다.
상기 S200단계는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단계(S210), 검출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UI(User Interface)화면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S220), 검출한 시점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Screenshot)을 검출하는 단계(S230) 및 검출한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10단계는 S100단계에서 생성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단계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는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뿐만 아니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 중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S220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을 스크린샷하기 위한 시점을 검출하는 것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UI화면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UI화면으로 전환을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화면상에서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UI화면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마켓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마켓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검출한다.
상기 S230단계는 S220단계에서 검출한 시점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의 스크린샷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UI화면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의 스크린샷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마켓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하는 경우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의 스크린샷을 검출한다.
상기 S240단계는 S230단계에서 검출한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이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과 마켓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에 대한 스크린샷과 마켓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에 대한 스크린샷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에 직접 표시하지 않고서도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통해 어느 단계를 실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S300단계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S100단계에서 생성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S200단계에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관한 아이콘을 클릭하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하거나 스마트폰의 특정 키를 눌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특정키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마트폰의 특정키로 홈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홈키를 길게 누르는 경우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시함과 동시에 서로 구별되게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불필요하게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종료시킴으로써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S300단계는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한다. 썸네일이란 페이지 전체의 레이아웃을 검토할 수 있도록 페이지 전체를 작게 줄여 화면에 띄운 것을 말하는 것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에 대한 스크린샷을 작게 줄여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중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다양한 형식(바둑판 형식, 가로배열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화면(10)의 하측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가 표시되며, 이때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상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이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도 2에 의하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주소록 어플리케이션, 설정 어플리케이션,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상에서 가운데 위치한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크게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가 표시되는 화면을 좌우로 스크롤하면, 그에 따라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실행된다. 또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사용이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실행된다.
또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즉시 실행된다. 즉, 도 2에 의하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상에서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즉시 실행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므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종료 요청을 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종료되며, 도 2에 의하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상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어플리케이션의 우측상단에 X박스가 표시되어 있으며,사용자가 X박스를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종료된다.
이와 같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종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 화면
20 :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30 :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으로서,
    실행이 완료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및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또는 표시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UI(User Interface)화면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점에서 전환되기 이전의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Screenshot)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썸네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표시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또는 표시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크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표시 방법.
  7. 삭제
KR1020110049547A 2011-05-25 2011-05-25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 KR10134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547A KR101344296B1 (ko) 2011-05-25 2011-05-25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547A KR101344296B1 (ko) 2011-05-25 2011-05-25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02A KR20120131402A (ko) 2012-12-05
KR101344296B1 true KR101344296B1 (ko) 2013-12-23

Family

ID=4751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547A KR101344296B1 (ko) 2011-05-25 2011-05-25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6503A (zh) * 2014-08-08 2014-11-26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列表中列表项的处理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363A (ko) * 2021-06-01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6503A (zh) * 2014-08-08 2014-11-26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列表中列表项的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02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99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icon to interface of android system, and mobile terminal
JP6328947B2 (ja) マルチタスキング運用のための画面表示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端末機
US11327649B1 (en) Facilitating selection of keys related to a selected key
US9003283B2 (en) Copying text using parameters displayed on a clipboard
AU2011306546B2 (en) Terminal device for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JP5910511B2 (ja) 電子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546818B (zh) 智能电视的列表显示界面的焦点控制方法和装置
US20170083219A1 (en) Touchscreen Apparatus User Interface Processing Method and Touchscreen Apparatus
WO2017032005A1 (zh) 一种操作菜单显示方法及终端
CN106527888B (zh) 滑屏查找页面的方法及装置
US20100146451A1 (en) Handheld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menu selection using dragging on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192108A1 (en) Gesture-based menu controls
CN106528160B (zh) 一种应用程序图标的添加方法及终端
EP2811388A2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method in portable terminal
EP2715502A1 (en) Web browser with quick site access user interface
KR20080104680A (ko) 휴대 단말기의 메뉴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50069504A (ko)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WO2014040469A1 (zh) 基于触摸屏式移动终端的文本选择方法及装置
JP2014527673A (ja) ウィジェット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移動端末
US20200192537A1 (en) Page browsing
CN103513861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CN106775213B (zh) 一种切换桌面的方法及终端
US201600044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in the electronic device
CN105468612A (zh) 辅助浏览系统及方法
KR101344296B1 (ko)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