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003B1 -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 Google Patents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003B1
KR101343003B1 KR1020120020195A KR20120020195A KR101343003B1 KR 101343003 B1 KR101343003 B1 KR 101343003B1 KR 1020120020195 A KR1020120020195 A KR 1020120020195A KR 20120020195 A KR20120020195 A KR 20120020195A KR 101343003 B1 KR101343003 B1 KR 10134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induction lamp
switch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580A (ko
Inventor
문희봉
정부헌
Original Assignee
오성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0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2Automatic approach or landing aids, i.e. systems in which flight data of incoming planes are processed to provide land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항 내의 활주로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이, 착륙 안내를 유도하는 유도등의 전원을 CCR회로의 절체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전원절체장치에 있어서, 주전원이 공급되는 메인 CCR회로와 휴지상태인 보조 CCR회로와 연결된 단자로 이루어진 전원단자부재; 상기 전원단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CCR회로의 단자와 보조 CCR회로의 단자를 기계적으로 절체시키기 위한 전원절체부재; 상기 전원절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절체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항공기의 이, 착륙을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등의 차단된 전원이 신속한 제어로 대처됨으로써, 항공기의 이, 착륙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속한 대처로 인해 항공기의 사고가 방지됨으로 탑승한 승객들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POWER TRANSFER APPARATUS OF INDUCTION LAMP}
본 발명은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항 내의 활주로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이, 착륙 안내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등의 차단된 전원이 신속한 제어로 대처됨으로써, 항공기의 이, 착륙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신속한 대처로 인해 항공기의 사고가 방지됨으로 탑승한 승객들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항공기는 대륙 간의 장거리를 단시간에 이동시키는데 필수적인 교통수단으로써, 이러한 항공기는 기술의 발달로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이용되고 있는 경우에 시야가 잘 확보되지 않는바, 이를 보조해주는 많은 장비들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비들 중에는 야간에 이, 착륙하는 항공기를 보조하는 장비로 항공등화장치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15907호의 공항 교통 영역을 지시, 식별 또는 표시하기 위한 조명 장치”,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71173호의 이동식 비상 착륙 유도등등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공항의 활주로에 비치되어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예상치 못한 차단을 신속하게 해결하는 장치입니다.
그러나, 종래의 유도등은 차단된 상용전원을 비상용전원으로 대체하는데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항공기의 이, 착륙이 지연되어 탑승한 승객들의 불편함이 발생됨은 물론, 항공기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항 내의 활주로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이, 착륙 안내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등의 차단된 전원이 신속한 제어로 대처됨으로써, 항공기의 이, 착륙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신속한 대처로 인해 항공기의 사고가 방지됨으로 탑승한 승객들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공항 내의 활주로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이, 착륙 안내를 유도하는 유도등의 전원을 CCR회로의 절체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전원절체장치에 있어서, 주전원이 공급되는 메인 CCR회로와 휴지상태인 보조 CCR회로와 연결된 단자로 이루어진 전원단자부재; 상기 전원단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CCR회로의 단자와 보조 CCR회로의 단자를 기계적으로 절체시키기 위한 전원절체부재; 상기 전원절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절체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절체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구동부재에 고정되어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레버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절체부재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되는 절체부; 가 더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재는, 다수의 코일이 외부 둘레에 감겨 인가되는 전류로 인해 내부에 자기장이 발생되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부; 상기 한 쌍의 솔레노이드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자기장으로 인해 좌,우 왕복운동을 하는 한 쌍의 이송부;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하는 연결부; 가 더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단자부재는 상용전원단자부, 비상용전원단자부 및 등전원단자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상용전원단자부와 비상용전원단자부는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되거나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항 내의 활주로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이, 착륙을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등의 차단된 전원이 신속한 제어로 대처됨으로써, 항공기의 이, 착륙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속한 대처로 인해 항공기의 사고가 방지됨으로 탑승한 승객들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전원단자부(비상용전원단자부)에 전원절체부재의 삽입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의 회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절체부재의 삽입으로 탄성변형되는 상용전원단자부(비상용전원단자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가 하나의 유니트(Unit)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가 구성된 하나의 유니트(Unit)가 다수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공항 내의 활주로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이, 착륙 안내를 유도하는 유도등(L)의 전원을 CCR회로의 절체를 통해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부재(200), 전원절체부재(300) 및 구동부재(400)를 포함한다.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덮개부(110)와 덮개부(110)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는 받침부(120)로 구성되는 것으로, 구성요소인 받침부(120)는 덮개부(110)의 개방된 하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덮개부(11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덮개부(1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11)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레버부재(500)의 일단부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전원단자부재(200)는 받침부(120)에 고정되되, 길이가 짧은 일단부는 외부로 돌출되고, 길이가 긴 다른 일단부는 덮개부(110)에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돌출된다.
전원단자부재(200)는 주전원이 공급되는 메인 CCR회로(C1)와 휴지상태인 보조 CCR회로(C2)와 연결된 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메인 CCR회로(C1)와 보조 CCR회로(C2)의 CCR(Constant Current Regulator)은 일정 전류 레귤레이터라고 불린다.
메인 CCR회로(C1)는 전원단자부재(200)의 구성요소인 상용전원단자부(210)에 연결되고, 보조 CCR회로(C2)는 비상용전원단자부(220)에 연결된다.
전원단자부재(200)는 상용전원단자부(210), 비상용전원단자부(220) 및 등전원단자부(230)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 쌍의 상용전원단자부(210)와 다른 한 쌍의 비상용전원단자부(220)는 내부에 스프링(S)이 장착되거나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용전원단자부(210)와 비상용전원단자부(2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재로 상부 일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며, 다시 하부로 절곡되고, 또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용공간에 스프링(S)의 양단부가 수평방향으로 밀착되어 삽입되는 전원절체부재(300)로 인해 스프링(S)의 압축 및 이완이 반복된다.
한 쌍의 상용전원단자부(210) 또는 다른 한 쌍의 비상용전원단자부(220)는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스프링(S)이 장착된 상부에 전원절체부재(300)의 삽입으로 인해 스프링(S)이 각각 압축됨과 동시에 삽입되는 전원절체부재(300)에 접촉되는 일단면도 내측으로 탄성변형된다.
반대로, 상용전원단자부(210)와 비상용전원단자부(220)는 삽입된 전원절체부재(300)의 이탈로 인해 압축된 스프링(S)이 이완됨과 동시에 전원절체부재(300)에 접촉되는 일단면도 원상복귀된다.
또는, 상용전원단자부(210)와 비상용전원단자부(220)는 탄력성 재질로, 주로 초탄성 합금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져 위에서 설명한 장착된 스프링(S)과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전원단자부재(200)의 구성요소인 등전원단자부(230)는 상용전원단자부(210)와 비상용전원단자부(220)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상용전원단자부(210)와 비상용전원단자부(220)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내부에 스프링(S)은 장착되지 않는다.
등전원단자부(230)는 하부에 다수의 유도등(L)이 연결되는 것으로,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에는 다수의 유도등(L)이 연결된 전선의 일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너트의 회전으로 고정된다.
다수의 유도등(L)은 메인 CCR회로(C1)와 연결된 상용전원단자부(210)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보조 CCR회로(C2)와 연결된 비상용전원단자부(220)에서 공급되는 비상용전원을 통해 점등된다.
전원절체부재(300)는 전원단자부재(200)에 결합되어 메인 CCR회로(C1)의 단자와 보조 CCR회로(C2)의 단자를 기계적으로 절체시키는 것으로, 전원절체부재(300)는 덮개부(11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한 쌍의 등전원단자부(230)의 사이에 전원절체부재(300)의 절곡된 일단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너트를 통해 등전원단자부(23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전원절체부재(300)는 회동부(310) 및 절체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동부(310)의 절곡된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체부(320)가 고정된다.
절체부(320)는 절연체와 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에 구비된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양 일단부에 도체가 고정되는 것은 상용전원단자부(210)나 비상용전원단자부(220)와의 접촉되는 과정에서 절연체에 고정된 회동부(310)에 통전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절체부(320)는 중앙에 구비된 절연체의 일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한 쌍의 상용전원단자부(210) 또는 다른 한 쌍의 비상용전원단부(220)의 밀착된 사이를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절체부(320)는 회동부(310)에 고정되는 일단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절체부(320)는 제1절체편(321)과 제2절체편(322)으로 이루어지며, 제1절체편(321)의 일단부는 상용전원단자부(210)에 삽입되어 접속으로 인해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제2절체편(322)의 일단부는 비상용전원단자부(220)에 삽입되어 접속으로 인해 비상용전원이 공급된다.
평상시 다수의 유도등(L)은 상용전원단자부(210)에 접속되는 제1절체편(321)으로 인해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되지만, 예기치 않게 상용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는 신속하게 원격 제어를 통해 회동부(310)가 등전원단자부(23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2절체편(322)이 비상용전원단자부(220)에 접속되는 제2절체편(322)으로 인해 비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유도등(L)이 점등된다.
제1절체편(321)은 제2절체편(322)이 비상용전원단자부(220)에 접속되면 상용전원단자부(210)로부터 이탈되고, 반대로 제2절체편(322)은 제1절체편(321)이 상용전원단자부(210)에 접속되면 비상용전원단자부(220)로부터 이탈된다.
상용전원단자부(210)는 연결된 메인 CCR회로(C1)에서 문제가 발생될 경우에 신속하게 원격 제어를 통해 보조 CCR회로(C2)로 절체시켜 항공기의 이, 착륙을 안내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고, 문제가 발생된 메인 CCR회로(C1)는 정밀검사단계를 거쳐 수리 및 교체를 하게 된다.
이후부터 보조 CCR회로(C2)는 메인 CCR회로(C1)로서의 임무수행을 하는 것이며, 수리 및 교체되는 새로운 CCR회로는 보조 CCR회로(C2)가 되는 것이다.
회동부(310)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회동부(310)의 경사진 양 일단부의 각도가 동일하여 메인 CCR회로(C1)가 연결된 상용전원단자부(210)의 상용전원이 차단시 원격 제어로 제1절체편(321)이 상용전원단자부(210)와의 접속이 완전히 이탈됨과 동시에 제2절체편(322)이 비상용전원단자부(220)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접속이 이루어져 발생되는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동부재(400)는 전원절체부재(300)에 연결되어 전원절체부재(3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고, 구동부재는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스위치를 포함한다.
구동부재(400)는 솔레노이드부(410), 이송부(420) 및 연결부(4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솔레노이드부(410)는 한 쌍으로 다수의 코일이 외부 둘레에 감겨 인가되는 전류로 인해 내부에 자기장이 발생된다.
솔레노이드부(410)의 외부 둘레에 감긴 다수의 코일은 전선을 연결한 후, 천으로 감싸게 되는데, 이는 발생되는 자기장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과 전기결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 쌍의 솔레노이드부(410)는 덮개부(110)의 상부 내측에 일단부가 밀착되면서 다수의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 쌍의 솔레노이드부(4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부(420)는 자기장으로 인해 좌, 우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부(4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왕복운동된다.
연결부(430)는 한 쌍의 이송부(4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송부(420)를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부(430)는 이송부(4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 쌍의 이송부(420) 사이에 개재된 연결부(430)는 중앙에 레버부재(500)의 일단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로 인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레버부재(500)는 전원절체부재(30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는 구동부재(400)에 고정되어 회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레버부재(500)는 전원절체부재(300)의 구성요소인 회동부(310)의 상부 중앙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레버부재(500)의 다른 일단부는 구동부재(400)의 구성요소인 연결부(430)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레버부재(500)는 덮개부(110)의 관통구멍(111)을 지나 충분히 외부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져 상용전원이 차단될 경우에 원격 제어가 아닌 수동제어인 손으로 인해 레버부재(500)가 회동된다.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CCR회로(C1)가 연결된 상용전원단자부(210)와 보조 CCR회로(C2)가 연결된 비상용전원단자부(2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유도등(L)이 연결된 등전원단자부(230)가 하나의 유니트(Unit)로 구성된다.
하나의 유니트(Unit)로 구성된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메인 CCR회로(C1)가 연결된 상용전원단자부(210)로 인해 점등되거나 보조 CCR회로(C2)가 연결된 비상용전원단자부(220)로 인해 점등된다.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CCR회로(C1)가 연결된 상용전원단자부(210), 보조 CCR회로(C2)가 연결된 비상용전원단자부(220) 및 다수의 유도등(L)이 연결된 등전원단자부(230)로 구성된 하나의 유니트(Unit)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다수로 이루어진다.
이는 하나의 유니트(Unit)인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가 예기치 않게 임무수행을 하지 못할 경우에 다른 하나의 유니트(Unit)가 대신 임무수행을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의 작동상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의 이, 착륙 안내를 유도시키는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평상시에 메인 CCR회로(C1)와 연결된 상용전원단자부(210)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다수의 유도등(L)을 점등시키지만, 예기치 않게 상용전원이 차단될 경우에 이를 탐지하여 구동부재(400)에 리모트 스위치로 원격 제어를 통해 레버부재(500)를 회동시킨다.
이렇게 회동된 레버부재(500)에 고정된 전원절체부재(300)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용전원단자부(210)에 접속된 제1절체편(321)이 이탈됨과 동시에 제2절체편(322)이 비상용전원단자부(220)에 접속되어 비상용전원의 공급으로 유도등(L)이 점등된다.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유도등(L)이 연결된 등전원단자부(230)가 메인 CCR회로(C1)와 연결된 상용전원단자부(210)와 보조 CCR회로(C2)와 연결된 비상용전원단자부(220)의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 이를 하나의 유니트(Unit)로 구성된 것이다.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10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CCR회로(C1)와 연결된 상용전원단자부(210), 보조 CCR회로(C2)와 연결된 비상용전원단자부(220) 및 다수의 유도등(L)이 연결된 등전원단자부(230)로 이루어진 하나의 유니트(Unit)가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예기치 않은 차단으로 인해 유도등(L)의 소등을 점등으로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의 이, 착륙을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등의 차단된 전원이 신속한 제어로 대처됨으로써, 항공기의 이, 착륙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속한 대처로 인해 항공기의 사고가 방지됨으로 탑승한 승객들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110 : 덮개부
111 : 관통구멍 120 : 받침부
200 : 전원단자부재 210 : 상용전원단자부
220 : 비상용전원단자부 230 : 등전원단자부
300 : 전원절체부재 310 : 회동부
320 : 절체부 321 : 제1절체편
322 : 제2절체편 400 : 구동부재
410 : 솔레노이드부 420 : 이송부
430 : 연결부 500 : 레버부재
L : 유도등 S : 스프링

Claims (5)

  1. 공항 내의 활주로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이, 착륙 안내를 유도하는 유도등의 전원을 CCR회로의 절체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전원절체장치에 있어서,
    주전원이 공급되는 메인 CCR회로와 휴지상태인 보조 CCR회로와 연결된 단자로 이루어진 전원단자부재;
    상기 전원단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CCR회로의 단자와 보조 CCR회로의 단자를 기계적으로 절체시키기 위한 전원절체부재;
    다수의 코일이 외부 둘레에 감겨 인가되는 전류로 인해 내부에 자기장이 발생되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부, 상기 한 쌍의 솔레노이드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자기장으로 인해 좌,우 왕복운동을 하는 한 쌍의 이송부,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절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절체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절체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구동부재에 고정되어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레버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절체부재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되는 절체부; 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부재는 상용전원단자부, 비상용전원단자부 및 등전원단자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상용전원단자부와 비상용전원단자부는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되거나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KR1020120020195A 2012-02-28 2012-02-28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KR10134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195A KR101343003B1 (ko) 2012-02-28 2012-02-28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195A KR101343003B1 (ko) 2012-02-28 2012-02-28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580A KR20130098580A (ko) 2013-09-05
KR101343003B1 true KR101343003B1 (ko) 2013-12-18

Family

ID=4945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195A KR101343003B1 (ko) 2012-02-28 2012-02-28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7059A (zh) * 2015-05-07 2015-07-22 成都英格瑞德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led显示的ccr-f恒流调光机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580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86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ed assembly of an LED lamp
US2117132A (en) Releasable permanent magnet holding device
KR101343003B1 (ko) 유도등의 전원절체장치
US9919722B2 (en) Railroad vehicle
US20180143251A1 (en) Portable Troubleshooting Relay Electric Testing Device
US7854621B2 (en) Touch-safe socket
JP6245640B2 (ja) 信号制御機および手動操作ユニット
US7547997B1 (en) Aircraft electrical servicing adapter
JP6458937B2 (ja) 標識灯
US2337614A (en) Airport runway clearance indicating system and light unit
US1918798A (en) Electric switch
KR101299595B1 (ko) 전원절체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US1753101A (en) Emergency electric-lighting system
KR20170047029A (ko) 무인 비행체 충전장치
CN206369143U (zh) 一种磁吸式间接导电的照明灯具
US6911777B1 (en) Clamp-on low power isolation transformer for airfield lighting
US7864023B2 (en) Fuse
US20090279287A1 (en) Elevated light with a safety power cut-off switch
KR101227905B1 (ko) 절연변압기 및 그를 포함하는 항공등화시스템
US9061774B2 (en) Adapter circuit
KR101492368B1 (ko) 다이오드, 전자코일 리드선, 커넥터 연결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에어컨 컴프레셔용 전자클러치 필드코일 어셈블리
JP2017103183A (ja) 標識灯および標識灯システム
US2203469A (en) Test lamp
US20230258324A1 (en) De-icing light systems, assemblies, and methods for aircrafts
JP2017059381A (ja) 標識灯および標識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