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001B1 -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 Google Patents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001B1
KR101343001B1 KR1020120003881A KR20120003881A KR101343001B1 KR 101343001 B1 KR101343001 B1 KR 101343001B1 KR 1020120003881 A KR1020120003881 A KR 1020120003881A KR 20120003881 A KR20120003881 A KR 20120003881A KR 101343001 B1 KR101343001 B1 KR 10134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astic pad
bridge
upper plat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7181A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대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대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0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001B1/en
Publication of KR2012012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1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0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09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fluid containers, e.g. bottles, cups, gas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교량용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 가능한 상부플레이트(210)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가능한 하부플레이트(220)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패드(230)와, 탄성 패드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볼(240), 및 상부플레이트의 거동시에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탄성 패드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볼을 구비하여 탄성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 패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중 분산으로 인한 탄성 패드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ridg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210 that can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lower plate 220 that can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elastic pad 230, the support ball 240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pad to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ball pivots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when the upper plate is moved.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pad to press the elastic pad is composed of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so as not to be separat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ball that can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elastic pa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fe of the elastic pa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elastic pad due to the load distribution There is an advantage.

Description

교량용 교좌장치{The pot bearing for a bridge}Bridge device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플레이트에서 하부플레이트로 전달되는 하중 및/또는 진동 등을 분산시켜 탄성 패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교량용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device for bridges, in particula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lower plat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And / or relates to a bridge bridge device that can extend the life of the elastic pad by dispersing vibration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구조물과 교각으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의 사이에는 교좌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서, 교좌장치는 상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또한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부 구조물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완충기능을 한다. In general, a bridge consists of an upper structure consisting of a top plate and a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a pier. On the other hand, the bridge device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Here, the teaching device absorbs vibrations or shocks generated in the upper structure, and also expands or contracts in response to temperature changes, thereby buffering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교좌장치(100)는 크게 상부 구조물(111)의 하부에 앵커볼트(112)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13)와, 하부 구조물(114)의 상부에 앵커볼트(112)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115), 및 상부플레이트(113)와 하부플레이트(115)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패드(116)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기술의 교좌장치(100)는 상부 구조물(111)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 패드(11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부플레이트(113)와 하부플레이트(115)의 양측에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패스너(117)를 매개로 고정되는 금속 고정편(118)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ea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n upper plate 113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111 via an anchor bolt 112 and a lower structure 114. It consists of a lower plate 115 fixed to the upper through the anchor bolt 112, and an elastic pad 116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113 and the lower plate 115. On the other hand, the teaching apparatus 100 of the prior art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113 and the lower plate 115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elastic pad 116 that expands or contract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upper structure 111.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have the metal fixing piece 118 fixed via the fastener 117, such as a bolt or a screw.

그런데, 종래기술의 교좌장치(100)는 탄성 패드(116)가 고정편(118)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111)의 변위가 탄성 패드(116)의 신축 허용범위를 넘어서면 탄성 패드(116)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since the elastic pad 116 is fixed by the fixing piece 118 in the prior art chair apparatus 100, when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111 exceeds the expansion tolerance of the elastic pad 116,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occur in the elastic pad 116.

또한, 종래기술의 교좌장치(100)는 상부 구조물(111)의 하중을 탄성 패드(116)가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로서, 상부 구조물(111)의 변위가 탄성 패드(116)의 신축 허용범위 내에 있더라도 장기간 사용할 경우 탄성 패드(116)가 상부플레이트(113) 및/또는 하부 구조물(115)에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탄성 패드(116)가 상부플레이트(113) 및/또는 하부 구조물(115)에 고착됨에 따라, 고착된 탄성 패드(116)가 복원력을 상실하여 더 이상의 교좌장치(10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탄성 패드(116)의 경질화 현상은 교좌장치(100)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되는 문제점으로 직결된다.
In addition, the teaching apparatus 100 of the prior ar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pad 116 supports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111 as a whole, even if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111 is within the stretching allowance of the elastic pad 116. In the long term use, the elastic pad 116 may be stuck to the upper plate 113 and / or the lower structure 115. That is, as the elastic pad 116 is fixed to the upper plate 113 and / or the lower structure 115, the fixed elastic pad 116 loses the restoring force and no longer serves as the device 100. There is a problem. As a result, the hardening phenomenon of the elastic pad 116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teaching device 100 is significantly shorten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볼을 구비하여 탄성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 패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중 분산으로 인한 탄성 패드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량용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having a support ball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elastic pa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fe of the elastic pad, load distribu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dge bridge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elastic pad due to.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은 금속 고정편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지지 볼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의 개선을 통해 탄성 패드를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금속 고정편 등으로 의한 탄성 패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x the elastic pa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support ball only without using the metal fixing piece as in the prior ar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elastic pad by the metal fixing piece of the prior ar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bridge bridge devices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지지 볼을 이용함에 따라 그 부피에 해당하는 고가의 탄성 패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교량용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bridge device for the bridge that can reduce the use cost of the expensive elastic pad corresponding to the volume by using the support ball.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용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 가능한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가능한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패드와, 탄성 패드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볼, 및 상부플레이트의 거동시에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탄성 패드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bridge brid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which can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lower plate that can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 elastic pad provided in the support pad, a support ball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pad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ball pivots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to press the elastic pad when the upper plate is in motion. In addition to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elastic pad does not escap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본 발명의 지지수단은 지지 볼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분씩을 감싸는 한 쌍의 볼 하우징을 포함하며, 한 쌍의 볼 하우징은 그 내부에서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 볼을 감싸되, 지지 볼의 상하 중심부근에서 한 쌍의 볼 하우징이 서로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형태로 감싸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볼 하우징 중 어느 한 쪽은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은 하부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ball housings surrounding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alls, and the pair of ball housings allow the support balls to be freely pivotable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therein. The support ball is wrapped, wherein the pair of ball housings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support ball, one of the pair of ball housings is fixed to the upper plate, One side can be fixed to the lower plate.

본 발명의 한 쌍의 볼 하우징은 그 외측이 사각 형태를 갖되, 일측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외측이 일측의 개방부 쪽을 향해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진 면을 가지며, 탄성 패드는 한 쌍의 볼 하우징의 테이퍼진 면에 밀착하도록 상부 및 하부에서 중앙부근까지 그 횡방향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태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pair of ball hous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shape on the outside thereof, has a closed structure on all sides except for one side, and also has a tapered surface whose siz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pen side of the one side. The elastic pad may have a spac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elastic pa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and the bottom to the center portion so as to closely contact the tapered surfaces of the pair of ball housings.

본 발명의 지지수단은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 볼의 양 단부가 구면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하는 둥근 형태의 지지 홈일 수 있다.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the support grooves of the round shape to support each of the support ball to be free to rotate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in the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support ball in spherical contact Can be.

본 발명의 지지 볼과 탄성 패드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 볼은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타원구 형상일 수 있다.
The support ball and the elastic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lded integrally.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longated ellipsoida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볼을 구비하여 탄성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 패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중 분산으로 인한 탄성 패드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rid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ball that can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by distributing the load applied to the elastic pa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fe of the elastic pad,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the resilience.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은 금속 고정편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지지 볼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의 개선을 통해 탄성 패드를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금속 고정편 등으로 의한 탄성 패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x the elastic pa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support ball only without using the metal fixing piece as in the prior ar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elastic pad by the metal fixing piece of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지지 볼을 이용함에 따라 그 부피에 해당하는 고가의 탄성 패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use cost of the expensive elastic pad corresponding to the volume by using the support ball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와, 외관 전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각각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와, 외관 전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각각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rid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cut out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device shown in FIG. 2, and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whole appearance.
4 is a front view of each of the bridge device shown i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rid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cut portion of the bridge device shown in FIG. 5, and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whole appearance.
7 is a front view of each of the bridge device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However, in some cases, there is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this cas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와, 외관 전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각각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2 is a conceptual view of a bridge brid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cut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bridge device shown in Figure 2,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appearance,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each of the bridge device shown in Fig. 3.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상부플레이트(210), 하부플레이트(220), 탄성 패드(230) 및 지지 볼(2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bridge devic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plate 210, a lower plate 220, an elastic pad 230 and a support ball 240. .

상부플레이트(210)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정 방식에 있어서 크게 제한받지는 않는다. 한편, 이 실시예의 상부플레이트(210)는 앵커볼트(260)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upper plate 21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t is not significantly limited in the fixed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upper plate 210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using the anchor bolt 260.

하부플레이트(220)는 교량의 하부 구조물,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교각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정 방식에 있어서 크게 제한받지는 않는다. 한편, 이 실시예의 하부플레이트(220)는 상부플레이트(210)와 동일하게 앵커볼트(260)를 이용하여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lower plate 220 is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it is not significantly limited in the fixed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late 220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using the anchor bolt 260 in the same way as the upper plate 210.

탄성 패드(230)는 상기와 같은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향으로 상부 구조물에 가해지는 다양한 충격, 진동 등을 흡수 또는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탄성 패드(230)는 고무로 이루어진 바디의 내부에 복수개의 보강용 금속판을 수평방향으로 삽입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elastic pad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210 and the lower plate 220 as described above, and may absorb or cushion various shocks and vibrations applied to the upper structure in various directions. It can b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pad 230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sert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tal pl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body made of rubber.

이 실시예의 탄성 패드(230)에 사용되는 고무로는 부틸고무, NBR 등이 있고 이외에도 NR, SBR, BR, 폴리노르보오넨(Polynorbornene), 실리콘 고무, 불소고무, 클로로부틸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우레탄 일래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나 상술한 예에서 예시된 물질에 보강체, 충전제, 수지류, 유연제 등을 배합하여 얻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 실시예의 보강용 금속판 또한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Rubbers used in the elastic pad 230 of this embodiment include butyl rubber, NBR and the like, in addition to NR, SBR, BR, polynorbornene, silicone rubber, fluorine rubber, chlorobutyl rubber, chloroprene rubber, urethane Elastomers, mixtures thereof, or materials obtained by blending reinforcements, fillers, resins, softeners, and the like with the materials exemplified in the above examples can be us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tal plate of this embodiment can also be configured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한편, 탄성 패드(230)의 중앙에는 상부플레이트(210)에 가해지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볼(240)이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 볼(240)은 금속, 스테인리스 또는 합금 등을 비롯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의 다양한 재료로 구성하면 된다. 한편, 지지 볼(240)은 상부플레이트(210)에 가해지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한 상부 구조물의 움직임(거동)이 있을 때에, 거동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예의 지지 볼(240)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수직 방향의 직경이 수평 방향의 직경보다 일정 길이만큼 더 연장되는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타원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 볼(240)은 상부 구조물의 거동시에, 지지 볼(24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하여 탄성 패드(230)를 가압한다. On the other hand, a support ball 240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applied to the upper plate 21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pad 230. Here, the support ball 24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rigid materials that can support the load, including metal, stainless steel or alloy.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all 240 supports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applied to the upper plate 210, and also behaves when there is movement (behavior) of the upper structure due to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in the upper structure. It is desirable to have a form that can. That is, the support ball 240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elongated ellipsoida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further by a certain length than the diame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support ball 240 is rotated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support ball 240 during the behavior of the upper structure to press the elastic pad 230.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볼(240)을 구비하여 탄성 패드(23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 패드(23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Bridge bridge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upport ball 240 that can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elastic pad 230, of the elastic pad 230 Can increase the life.

한편,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종래기술과 달리 탄성 패드(23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즉,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종래기술과 같은 금속 고정편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지지 볼(240)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 볼(24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구조개선을 통해 탄성 패드(23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bridge bridge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does not have a separat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lastic pad 230, unlike the prior art. That is, the bridge scaffold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does not use a metal fixing piece as in the prior art, but merely supports the support ball 240 so that the support ball 240 can pivot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its center point. It is configured to fix the elastic pad 230 through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아래에서는 지지 볼(24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구조개선을 통해 탄성 패드(230)를 고정하는 구성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fixing the elastic pad 230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support ball 240 will be describ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지지 볼(240)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을 더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은 지지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 볼(240)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분씩을 감싸되, 지지 볼(240)이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내부에서 지지 볼(24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도록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이 지지 볼(240)을 감쌀 경우 지지 볼(240)의 상하 중심부근에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이 서로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형태로 감싸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bridge scaffold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is a pair of pairs for stably positioning the support ball 240 between the upper plate 210 and the lower plate 220. It is configured to further have a ball housing 250. Here,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serves as a supporting mean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all 240, the support ball 240 is the inside of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Is configured to wrap so as to be able to swing freely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support ball 240. That is, when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surrounds the support ball 240,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are wrapped in a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near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support ball 240. do.

한편,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외측은 사각 형태를 갖되, 일측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외측은 일측의 개방부 쪽을 향해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진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은 그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상부플레이트(210) 또는 하부플레이트(220)의 표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210)에 고정되는 한 쪽의 볼 하우징(250)은 상부플레이트(210)와 일체로 거동하고, 하부플레이트(220)에 고정되는 다른 한 쪽의 볼 하우징(250)은 하부플레이트(220)에 일체로 거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ball housing 250 has a rectangular shape, all but one side has a closed structure. At this time,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preferably has a tapered surface whose siz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pen side of one side. Here, the pair of ball housing 250 has a form in which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210 or the lower plate 220 by welding or the like. Therefore, one ball housing 250 fixed to the upper plate 210 behaves integrally with the upper plate 210, and the other ball housing 250 fixed to the lower plate 220 is the lower plate. It behaves integrally with 220.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은 탄성 패드(230)의 중앙을 따라 밀착된 형태로 삽입 배치된다. 즉, 탄성 패드(230)의 중앙에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이 밀착된 형태로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탄성 패드(230)의 공간은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외측에 대응하는 형태, 예를 들어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테이퍼진 면에 밀착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서 중앙부근까지 그 횡방향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along the center of the elastic pad 230. That is,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pad 230 so that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may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pace of the elastic pad 230 is in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pair of ball housing 250, for example, from the upper or lower to the central portion to closely contact the tapered surface of the pair of ball housing 250 The lateral cross-sectional size becomes smaller.

따라서, 탄성 패드(230)는 그 내측면이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가지며, 그로 인해 지지 볼(240)의 거동에 따라 거동하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에 의해 압축하였다가 원위치하는 반복적인 거동을 수행한다. 즉, 탄성 패드(230)는 그 중앙에 삽입 배치되며 상부플레이트(210) 또는 하부플레이드(2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과,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볼(24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 패드(23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과 지지 볼(240) 간의 지지구조를 통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 상태로 고정된다.Thus, the elastic pad 230 has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and thus the pair of ball housings 250 behaving in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of the support ball 240 Compresses by) and repeats the original behavior. That is, the elastic pad 23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pair of ball housing 250 and the fixed to the upper plate 210 or the lower plate 220 and the inside of the pair of ball housing 250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ll 240 is disposed. Therefore, the elastic pad 230 is a support structure between the pair of ball housing 250 and the support ball 24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out the additional fixing means of the upper plate 210 and the lower plate 220 It is fixed in a fixed position without deviating between them.

따라서,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종래기술과 달리 탄성 패드(23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금속 고정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그에 따라 종래기술의 금속 고정편 등으로 의한 탄성 패드(230)의 손상(크랙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탄성 패드(23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과 지지 볼(240)을 이용함에 따라 그 부피에 해당하는 고가의 탄성 패드(23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bridge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such as a separate metal fixing piece for fixing the elastic pad 230, unlike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metal fixing piece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crack, etc.) of the elastic pad 230 due to this in advance,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elastic pad 230. In addition, the bridge bridge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can be used to reduce the amount of expensive elastic pads 230 corresponding to the volume by using a pair of ball housing 250 and the support ball 240 is manufactured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costs.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200A)는 탄성 패드(230)가 항상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지지 볼(240, 지지체)의 지지구조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 및 동일한 장점 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bridge scaffolding apparatus 200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upport ball 240 for supporting the elastic pads 230 to be always positioned in place. .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and the same advantages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와, 외관 전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각각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5 is a conceptual view of a bridge brid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cut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bridge device shown in Figure 5, Fig.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appearance, and Fig. 7 is a front view of each of the bridge chair shown in Fig. 6.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200A)는 지지 볼(240A)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함에 있어서 지지 홈을 이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A)는 상부플레이트(210A) 및 하부플레이트(220A)에 지지 볼(240A)의 양 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둥근 형태의 지지 홈(211, 221)을 각각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지지 볼(240A)은 지지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양 단부가 탄성 패드(23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지지 볼(240A)은 양 단부가 구면 처리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지지 볼(240A)의 양 단부는 둥근 형태의 지지 홈(211, 221)에 각각 구면 접촉하면서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둥근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지지 볼(240A)은 그 양 단부가 지지 홈(211, 221)에 구면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 볼(240A)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5 to 7, the bridge pedestal apparatus 200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uses the support groove in supporting the support ball 240A so that it can pivot freely in all directions about its center point. It is made up. That is, the bridge bridge device 200A of this embodiment has round support grooves 211 and 221 that respectively support both ends of the support ball 240A on the upper plate 210A and the lower plate 220A so as to be pivotable. It is configured to have each.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all 240A serves as a support means and has a length at which both ends protrude outward of the elastic pad 230A. Here, the support ball 240A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spherical. That is, both ends of the support ball 240A have a rounded shape so as to be able to smoothly turn while spherical contacting each of the rounded support grooves 211 and 221. Therefore, the support ball 240A can be freely rotated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support ball 240A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in spherical contact with the support grooves 211 and 221.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 볼(240A)은 탄성 패드(230A)와 일체로 성형된다. 즉, 지지 볼(240A)을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둘레에 탄성 패드(230A)가 위치하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탄성 패드(230A)는 그 내측면이 지지 볼(240A)의 외측면에 일체화된 상태를 가지며, 그로 인해 지지 볼(240A)의 거동에 따라 압축하였다가 원위치하는 반복적인 거동을 수행한다. 즉, 탄성 패드(230A)는 그 중앙에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그 양 단부가 상부플레이트(210A) 및 하부플레이트(220A)의 지지 홈(211, 221)에 각각 구면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 볼(240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 패드(230A)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플레이트(210A), 하부플레이트(220A) 및 지지 볼(240A) 간의 지지구조를 통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상부플레이트(210A)와 하부플레이트(220A)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 상태로 고정된다.The support ball 240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lded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d 230A. That is, it is integrally molded so that the elastic pad 230A is positioned around the support ball 240A in the center. Therefore, the elastic pad 230A has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integrat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ll 240A, and thus compresses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support ball 240A and performs repetitive behavior in which it is in situ. That is, the support pads 230A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in spherical contact with the support grooves 211 and 221 of the upper plate 210A and the lower plate 220A, respectively. 240A). Therefore, the elastic pad 230A has a support structure between the upper plate 210A, the lower plate 220A, and the support ball 240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pper plate 210A and the lower plat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are provided. It is fixed in a fixed position without deviating between 220A).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200 : 교량용 교좌장치 210 : 상부플레이트
220 : 하부플레이트 230 : 탄성 패드
240 : 지지 볼 250 :볼 하우징
260 : 앵커볼트
200: bridge device for bridge 210: upper plate
220: lower plate 230: elastic pad
240: support ball 250: ball housing
260: anchor bolt

Claims (3)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 가능한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가능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패드와, 상기 탄성 패드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거동시에 상기 지지체가 상기 탄성 패드를 가압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탄성 패드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교량용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구면 접촉상태로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양 단부가 구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가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하는 둥근 형태의 지지 홈이고,
상기 지지체는 양 단부가 구면 처리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 구조물의 거동시에 상기 지지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탄성 패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교좌장치.
An upper plate that can be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ridge's upper structure, a lower plate that can b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s lower structure, an elastic pad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pa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to press the elastic pad when the upper plate is behaving, and to prevent the elastic pad from being separat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the bridge device comprising a support means for,
The suppo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in spherical contact with the support means,
The support means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the support grooves of the round shape to support the support can be freely rotated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in the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support are spherical contact ego,
The support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f the spherical treat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otate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support dur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structure to press the elastic pad for the brid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 패드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교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upport and the elastic pad are integrally molded.
삭제delete
KR1020120003881A 2012-01-12 2012-01-12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KR1013430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81A KR101343001B1 (en) 2012-01-12 2012-01-12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81A KR101343001B1 (en) 2012-01-12 2012-01-12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751 Division 2011-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81A KR20120127181A (en) 2012-11-21
KR101343001B1 true KR101343001B1 (en) 2013-12-18

Family

ID=4751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881A KR101343001B1 (en) 2012-01-12 2012-01-12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00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577B1 (en) * 2002-01-29 2005-05-16 (주)청룡건설 Level adjusting bearing for brid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577B1 (en) * 2002-01-29 2005-05-16 (주)청룡건설 Level adjusting bearing for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81A (en)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848B1 (en) A Structural Bearing with a Double Shock Absorbing Device
KR101103983B1 (en) Shock Absorbing Device and Structural Bearing having the same
KR200473182Y1 (en) Friction pendulum bearing
JP2006200734A (en) Vibration absorber
JP4459101B2 (en) Caste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KR200398506Y1 (en) A pot bearing for bridge of spherical type
KR100687452B1 (en) Shock absorbing bearing for bridge
KR101343002B1 (en)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KR101343001B1 (en) The pot bearing for a bridge
KR101483071B1 (en) Earthquake isolation system against vertical negative reaction
KR101365093B1 (en) Earthquake isol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structure
KR101291809B1 (en)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JP2006300160A (en) Base isolation device
JP2016199866A (en) Quake absorbing structure of bridge girder
KR100816890B1 (en) Disk bearing having a sleeve structure for distributing impact load
KR200474621Y1 (en) Earthquake isolation apparatus
JP4850875B2 (en) palette
KR101402681B1 (en) Easily repairable and replaceable low-height earthquake isolation supporter
KR200266327Y1 (en) Bearing for bridge
JP4377077B2 (en) Bearing device with dust-proof cylindrical body
KR101420075B1 (en) An auto recovering frictional pot bearing using shape memory alloy for omni-directional vibration
KR100948681B1 (en) Elastomeric bearing allowable for the complex movement
JP6306910B2 (en) Anti-sway structure using anti-sway tool of suspension support device
JP3134802U (en) palette
JP2016199344A (en) Support structure of belt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