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59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593B1
KR101342593B1 KR1020120002018A KR20120002018A KR101342593B1 KR 101342593 B1 KR101342593 B1 KR 101342593B1 KR 1020120002018 A KR1020120002018 A KR 1020120002018A KR 20120002018 A KR20120002018 A KR 20120002018A KR 101342593 B1 KR101342593 B1 KR 10134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mobile terminal
building
outdoor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1054A (en
Inventor
두주영
권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0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593B1/en
Publication of KR2013008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거나 현재 제공 중인 지도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for a mobile terminal. In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Determines whether to enter the indo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termination to provide 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or to automatically provide a map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provided.

Description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for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termining whether a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a build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오늘날 전자 지도에 기반한 지리정보시스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도 기반의 지역정보 서비스, 차량 네비게이션 등에 널리 활용 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위치기반의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기존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 측위 기술을 기반으로 실외 위주로 제공되었으나, 점차 사용자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건물 내부까지 서비스 확장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무선랜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을 위한 무선랜 중계기인 AP(Access Points)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랜 AP 신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WiFi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이용한 실내 측위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역과 실내에서 AP는 상당히 높은 밀도로 분포되어 있어 GPS와 대조적으로 건물 안팎에서 쉽게 사용 가능하며 Cell 방식에 비하여 정확한 수준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Toda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based on electronic maps are widely used for map-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and vehicle navigation. Recently,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are appearing as smart phones are activated. Existing location-based services have been provided mainly based on GPS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satellites, but gradually, services are required to be extended to the interior of buildings where users spend most of their time. Recently, as the number of smartphones supporting WLAN and the number of APs (Access Points), which are wireless LAN repeaters for wireless Internet, increase in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Positioning System (WiFi Positioning System) Indoor positioning method is emerging. In particular, the AP is distributed in a very high density in urban areas and indoors, so it can be easily us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as opposed to GPS, and the user's location can be calculated at an accurate level compared to the cellular method.

이처럼, 건물의 실외와 실내는 서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 서로 다르며, 또한 지도의 형태나 특성 등이 서로 다르며, 사용자의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서, 종래에는 실내 지도와 실외 지도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내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어 왔다.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and indoor buildings have different methods of measuring their location, and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location is indoor or outdoor. Maps have been provided through separate applications or services.

최근 이동 단말에 대한 지도 정보나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수요가 급격함에 따라, 실내 지도와 실외 지도를 서로 연계하여, 사용자가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것을 인식하여 실내 지도에서 실외 지도로, 또는 실외 지도에서 실내 지도로 지도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map information or navigation service for mobile terminals is rapidly increasing, indoor maps and outdoor map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user enters from indoors to outdoors or enters from indoors to indoors.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changing and providing map information from an outdoor map to an indoor map.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terior or outdoors of the building, whether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enter the outdoor, or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enter the indoor, such determ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및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건물정보획득부;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실내외판단부;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판단부; 실내외판단부 및 진입진출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하는 지도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 build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door area of a building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door /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 indoor and exterior judging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An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nters from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the outdoors or enters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 outdoor entry / exit area; It includes a map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indoor and outdoor judging unit and 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는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GPS 정보 및 이동 단말의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된 근거리 측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GP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hort-range position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는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건물의 실내 영역에서의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는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에서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obtains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configuration points of the first polygon forming the boundary of the indoor area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and GPS information and short-range positioning information in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osition coordinates measured in advance through the pre-simul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entry and exit area of the building coordinates the location of the configuration points of the second polygon forming the boundary of the entry and exit area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And location coordinates measured in advance through pre-simulation for acquiring GPS information and short-range positioning information in an indoor / outdoor entry / exit area of a building.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내외판단부는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by using a point in polygon (PIP) calculation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tained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polygon that forms the boundary of the indoor area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보다 바람직하게는, 진입진출판단부는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ntranc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by using a point in polygon (PIP) operation with the second polygon that forms the boundary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and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보다 바람직하게는, 진입진출판단부는 실내외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고,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ha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ance and exit area. When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s within the indoor and outdoor entrance and exit area,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advances from the indoor of the building to the outdoor.

보다 바람직하게는, 진입진출판단부는 실내외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고,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ha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ance and exit area. When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s within the indoor and outdoor entrance and exit area,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advances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도정보제공부는 실내외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실내외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진입진출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에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변경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whe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s determined by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the map information provider provides a map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When the building is located outdoors, an out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ap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ntry / exit decision unit.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도정보제공부는 진입진출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실내외 변경 여부를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as a result of the map information providing unit determined by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advances from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the outdoors or enters the interior from the outdoor of the building, the map information providing unit indoors and outdoors of the map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inquired whether or not the change is mad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실내외판단단계;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이동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된 위치 정보와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판단단계; 및 진입진출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 정보를 변경하는 지도변경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and locates the mobi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indoor or outdoor indoors or outdoo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 map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outside of the building, an out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Providing to the mobile terminal;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d to be indoors or outdoors, the mobile terminal advances from the indoor of the building to the outdoors based on the monitor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 outdoor entry area of the building near the mobile terminal. Or, the entranc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indoor from the outdoor of the building; And a map change step of changing map information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진입하는 실내나 진출하는 실외의 지도를 요청하는 별도의 과정이 없이도 자동적으로 지도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enters the indoor or outdoor from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even i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enter the interior or enter the outdoor without entering a separate process of requesting a map of the automatically provided to change the map to provide 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can be efficiently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과정 중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process of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detaile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in a building during an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any way to the specifically lis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s well as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In addition, these equivalent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not only equivalents now known, but also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is,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Thus, 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figures or similar concepts, may be provided by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Also, the use of terms such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sive reference to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but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 단말 내에 탑재되거나 연결되는 구성요소이거나 이동 단말에 지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탑재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DSP(digital signal process)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기타 전자 장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요소 및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및 기능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server mounted or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or providing a map information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It may be a component to be mounted. 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digital signal process (DSP) processor, a controlle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programmable logic device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consisting of an electronic devic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the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and such software may be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each component and function of the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위치정보획득부(101), 건물정보획득부(102), 실내외판단부(103), 진입진출판단부(104) 및 지도정보제공부(1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1, a build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2, an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103, and an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104. And a map information provider 105.

위치정보획득부(101)는 이동 단말의 GPS 모듈 및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 등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1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GPS module and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은 휴대폰, PDA, PSP,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스마트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 중에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실외 측위의 용도로 사용되는 GPS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과 도심 지역 및 실내에서의 측위의 용도로 사용되는 근거리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while moving, such as a mobile phone, PDA, PSP, smart phone, tablet PC, and smart pad, and includes all terminal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providing GPS information used for a purpose, and a near-field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for providing short-range positioning information used for positioning in an urban area and indoors.

GPS 모듈은 GPS 기술을 기반으로, 약 24개(실제로는 보충위성 3개 포함한 27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성신호를 해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점의 3차원적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모듈로서, 주로 실외 측위를 위해 사용된다.The GPS module is a module that acquires three-dimensional position coordinates of a location where a user terminal is located by analyzing satellite signals using about 24 satellites (27, including three supplementary satellites) based on GPS technology. It is mainly used for outdoor positioning.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은 무선 랜(WLAN)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Zigbee, RFID 및 UWB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위치 측정을 위한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이러한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RSS) 등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듈로서, 이처럼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에서 획득된 파라미터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 beacon signal for position measurement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Zigbee, RFID, and UWB of WLAN, and thus receives the beacon signal (RSS) As a module capable of acquiring a parameter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can be obtained through the parameter acquired in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건물정보획득부(102)는 위치정보획득부(101)에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및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The build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2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nea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1. .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로는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건물의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도 4b의 411 참조)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건물의 실내 지도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construction points of the first polygon (see 411 of FIG. 4B) forming the boundary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may be utilized. Can be obtained from the server to provide.

또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로는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도 4b의 412-1~3 참조)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역시, 건물의 실내 지도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f the building may includ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onfiguration points of the second polygons (see 412-1 to 3 in FIG. 4B) that form the boundary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entry / exit entry area of the building. It can also be obtained from a server that provides an indoor map of the building.

실내외판단부(103)는 위치정보획득부(101)에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정보획득부(102)에 획득된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한다.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103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door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acquired by the build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2. Or determine whether it is outdoors.

예컨대, 실내외판단부(103)는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PIP 연산(공간 연산)의 로드를 줄이기 위해,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를 소정의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을 통과한 위치 좌표에 대하여 PIP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103 uses a point in polygon (PIP) operation with a first polygon that forms a boundary of the indoor area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and the acquired loca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to establish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indoor or outdoor. Alternatively,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f such a PIP operation (spatial opera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filter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by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perform the PIP operation on the position coordinates that have passed the filtering.

진입진출판단부(104)는 위치정보획득부(101)에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정보획득부(102)에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한다. 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104 is a mobile terminal indoor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btained by the build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2. Determines whether to enter outdoors or to enter the buil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예컨대, 진입진출판단부(104)는 위치정보획득부(101)에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PIP 연산(공간 연산)의 로드를 줄이기 위해,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를 소정의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을 통과한 위치 좌표에 대하여 PIP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entry / exit decision unit 104 may include a point in polygon between a location coordinate of the mobile terminal obta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1 and a second polygon that forms a boundary between an indoor and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n an indoor map of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nters from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the outdoors or enters the interior from the outdoors of the building by using a) operation. Alternatively,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f such a PIP operation (spatial opera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filter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by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perform the PIP operation on the position coordinates that have passed the filtering.

진입진출판단부(104)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실내외판단부(103)에서의 판단 결과를 활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때, 실내외판단부(103)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고,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외판단부(103)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고,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he entry / exit decision unit 104 may be implemented to utilize not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but als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ndoor / external decision unit 103. In this case, the indoor / external decision unit 10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whe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door / outdoor entry / exit area.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mpany moves from indoors to outdoo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indoor / outer judging unit 103,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within the indoor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If so,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advances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of the building.

실내외판단부(103) 및 진입진출판단부(104)에서 건물의 실내 영역 및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와 비교 내지 연산 대상이 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인 GPS 정보나 근거리 측위 정보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기본적인 오차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의 오차에 따라 판단의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GPS information or the short-range positioning information, which i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compared or compared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and the indoor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f the building in the indoor / external judging unit 103 and the entry / exit entry unit 104. There is a possibility of basic error in nature, and an error in determination may occur according to the erro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러한 실내외판단부(103) 및 진입진출판단부(104)에서의 판단의 오류를 개선하기 위해, 실험용 이동 단말을 건물의 실내 영역 또는 실내외진입진출영역에 위치시킨 후 이러한 실험용 이동 단말의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들을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또는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로서 활용할 수도 있으며, 건물정보획득부(102)에서 이러한 정보를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또는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로 획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error of the judgment in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103 and 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104, the GPS information of the experimental mobile terminal after placing the experimental mobile terminal in the indoor area or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of the building and The location coordinates measured in advance through the pre-simulation of obtaining the short-range positioning information may be us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and the build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2 uses the inform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t may be implemented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rea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지도정보제공부(105)는 실내외판단부(103) 및 진입진출판단부(104)에서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한다. The map information providing unit 105 provides 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ndoor / outdoor judging unit 103 and the entry / exit judging unit 104.

예컨대, 실내외판단부(103)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경우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위치한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하고,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103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 map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When outdoors, the mobile terminal may provide an out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진입진출판단부(104)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entry / exit decision unit 104 that the mobile terminal enters the building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or enters the buil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map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is automatically displayed. Can be implemented to change.

또는, 이러한 자동적인 변경 대신,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변경 여부를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변경에 동의한 경우에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stead of such automatic chang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inquired whether or not the currently provided map is changed, and the current map can be changed only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grees to the change.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진입하는 실내나 진출하는 실외의 지도를 요청하는 별도의 과정이 없이도 자동적으로 지도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quest a map of an indoor or an outdoor outdoor entrance even when the user enters the indoor or outdoor indoors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an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that can automatically change and provide a map without the process of.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the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Therefore, the same matters as in the description of the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are referred to this.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의 GPS 모듈 및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 등의 측위 모듈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1).Referring to FIG. 2, first,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s obtained from a positioning module such as a GPS module and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S201).

그리고, S 201 단계에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2).The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btained in step S 201,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is obtained (S202).

S201 단계에서 획득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S202 단계에서 획득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한다(S203).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btained in step S201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acquired in step S202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S203).

S2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면(S204), 이동 단말이 위치한 건물의 실내 지도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고(S205),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외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지도를 제공한다(S206).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doors (S204), and provides an indoor map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to the mobile terminal (S205),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outdoors, An out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S206).

S204 단계에서 실내 또는 실외로 판단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획득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207). 그리고,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8).In step S204,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d to be indoors or outdoors is continuously acquired to monit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207). In operation S208,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door /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f a building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is obtained.

S207 단계에서 모니터링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S208 단계에서 획득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이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한다(S209).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onitored in step S207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of the building obtained in step S208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nters the indoor or outdoor (S209).

S20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210)에는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자동으로 실내 지도에서 실외 지도로 혹은 실외 지도에서 실내 지도로 변경할 수 있다(S211).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9,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enters the outdoor from the indoor of the building or enters the indoor from the outdoor of the building (S210), the map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indoor map. The map may be changed into an indoor map or an outdoor map (S211).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실내외 변경 여부를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변경에 동의한 경우에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지도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는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nquires about whether to change the indoor and outdoor maps that are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in response to the inquiry, the mobile terminal is present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 agrees to the change.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o change the map information is provided, which is just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method of providing the map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GPS 모듈과 WPS(Wifi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탑재된 이동 단말에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process of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GPS module and a Wifi Positioning System (WPS)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의 GPS 모듈로부터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S301), GPS 위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의 WPS 모듈로부터 WPS 위치 좌표를 수신한다(S302).Referring to FIG. 3, GPS position coordinates are received from the GPS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S301). If GPS position coordinates are not received, the WPS position coordinates are received from the WPS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S302).

이동 단말의 GPS 위치 좌표 또는 W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영역 내부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03).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inside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GPS location coordinates or the WPS loca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S303).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영역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03)에는 실내 지도 서비스 모드로 전환된다(S304 내지 S308).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inside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S303), the mobile terminal switches to the indoor map service mode (S304 to S308).

실내 지도 서비스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에 해당 건물의 실내 지도를 제공하고(S304), 이동 단말의 실내 위치 좌표 즉, WPS 위치 좌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S305),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 진입진출영역인지를 체크하여(S306), 이동 단말이 실내외진입진출 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S307)에는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지도를 해당 건물의 실내 지도에서 실외 지도로 변경한다(S308).In the indoor map service mode, an indoor map of a corresponding building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S304), and the indoor loca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WPS location coordinates are continuously monitored (S305), so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an indoor / outdoor entry / exit area. I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door / outdoor entry / exit area (S307), the map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indoor map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to the outdoor map (S308).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영역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03)에는 실외 지도 서비스 모드로 전환된다(S309 내지 S313).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outside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S303),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outdoor map service mode (S309 to S313).

실외 지도 서비스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지도를 제공하고(S309), 이동 단말의 실외 위치 좌표 즉, GPS 위치 좌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S310), 이동 단말의 위치가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외 진입진출영역인지를 체크하여(S311), 이동 단말이 실내외진입진출 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S312)에는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지도를 실외 지도에서 해당 건물의 실내 지도로 변경한다(S313).In the outdoor map service mode, an out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S309), and the outdoor loca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GPS location coordinates are continuously monitored (S310),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door / outdoor entry / exit area (S312), the map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outdoor map to the indoor map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S313). ).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과정 중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예시하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판단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보 중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4A illustrates a specific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of a building in an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use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hown in FIG. 4A. FIG. Is a diagram illust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door area of a building.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인 (x, y)를 수신한다(S401). 그리고, 전자 지도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지도 상의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을 포함하는 영역의 정보를 획득한다(S402).Referring to FIG. 4A, first, (x, y), which is a position coordinate of a mobile terminal, is received (S401). In operation S402, information on an area including an outer polygon and an entrance polygon on an indoor map of a building proximate to the mobile terminal is obtained from an electronic map database.

본 실시예에서의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은 도 4b에 예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의 실내 영역은 외곽 폴리곤(411)으로 그 경계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은 진입 폴리곤(412-1~3)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polygon and the entering polygon in this embodiment are illustrated in FIG. 4B, and the interior area on the interior map of the building in this embodiment may be bordered by the outer polygon 411, and the interior map of the building The indoor / outdoor entry / exit area on the top may be formed as an area including the entry polygons 412-1 to 3.

S402 단계에서 획득된 실내 지도 상의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 영역의 정보로부터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을 포함한 영역의 경계좌표 즉, 가로(X축) 방향의 최소값(min_x), 세로(Y축) 방향(min_y), 가로(X축) 방향의 최대값(max_x), 세로(Y축) 방향의 최대값(max_y)를 계산하여(S403), 이를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값이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을 포함한 영역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사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404).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불필요한 공간 연산(Point in polygon)을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공간 연산은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포인트가 소정의 폴리곤의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연산이다.The boundary coordinates of the area including the outer polygon and the entering polygon, that is, the minimum value (min_x) in the horizontal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Y-axis) direction (min_y) from the information of the outer polygon and the entry polygon area on the indoor map obtained in step S402. ), The maximum value (max_x) in the horizontal (X-axis) direction and the maximum value (max_y) in the vertical (Y-axis) direction are calculated (S403), and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is an area including an outer polygon and an entrance polyg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is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404). This process reduces unnecessary point in polygons. Here, the spatial operation is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is inside or outside the predetermined polygon.

S404 단계에서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을 포함한 영역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공간 연산을 통해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외곽 폴리곤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포함관계를 판단하여(S405), 건물의 외곽 폴리곤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406),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건물의 실외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407).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4 that it is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area including the outer polygon and the entering polygon, the inclusion relationship as to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outer polygon of the building through spatial calculation In operation S405,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outer polygon of the building,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S406), and when it is not included in the outdoor area of the building (S407). .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이동 단말에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전자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와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건물정보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된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실내외판단부;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판단부;
상기 실내외판단부 및 상기 진입진출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게 제공하는 지도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In 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build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door area of a building close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door /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f the building in the electronic map database based on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An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nters from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the outdoors or enters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part;
And an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ndoor / outdoor determination unit and the entry / exit decis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GPS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된 근거리 측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GP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hort range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Provi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에서의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에서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is a pre-simulation of obtaining location coordinates of the configuration points of the first polygons forming the boundary of the indoor area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GPS information and short-range positioning information in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At least one of the pre-measured position coordinates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s of the building may include location coordinates of components of the second polygon that forms a boundary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s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and GPS information and short-rang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s of the buil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pre-measured position coordinates through a pre-simulation to obtain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판단부는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oor exterior determination unit provides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which is determined by using a point in polygon (PIP) operation between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first polygon that forms a boundary of an indoor area on an indoor map of a buil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진출판단부는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is determined by using a point in polygon (PIP) operation with the second polygon that forms a boundary between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on the indoor map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진출판단부는
상기 실내외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 있고,
상기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ntrance decision uni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t the indoor exterior judging uni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within the indoor and outdoor entrance and exit area, the mobile terminal advances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of the buil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judged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진출판단부는
상기 실내외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외에 있고,
상기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ntrance decision uni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t the indoor exterior judging uni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outside of the build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within the indoor and outdoor entrance and exit area, the mobile terminal advances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the interior.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judged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제공부는
상기 실내외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실내외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진입진출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에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p information provider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s determined by the indoor exterior judging unit provides a map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the mobile terminal;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s determined by the indoor exterior panel unit, and provides the mobile terminal with an out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door /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ntry / exit decision unit, changing a map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제공부는
상기 진입진출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실내외 변경 여부를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p information provid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advances from the indoor of the building to the outdoor or enters the indoor from the outdoor of the build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door / outdoor change of the map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nquires of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에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전자 지도 데이터베이스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실내외판단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판단단계; 및
상기 진입진출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 정보를 변경하는 지도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In the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on the electronic map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Judging indoor and outdoor judg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 map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outside of the buil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ing an out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Continuously moni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d to be indoors or outdoors, the mobile terminal is based on the monitored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 of the building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An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or enter the indoor from the outdoor of the building; And
And a map changing step of changing map information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step.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GPS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된 근거리 측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GP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hort range positioning signal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How to Prov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에서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에서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is measured in advance by pre-simula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omponents of the first polygon forming the boundary of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and GPS information and short-range positioning information in th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At least one of the estimated location coordin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s of the building may be obtained by obtaining the GPS coordinates and the short-ran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coordinates of components of the second polygon that forms the boundary of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s of the building and the indoor and outdoor entry and exit areas of the building. Indoor or outdoor m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e-measured position coordinates through a pre-simul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판단단계는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door / outer judging step includes a point in polygon (PIP) operation between the obtain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first polygon that forms a boundary of an indoor area on an indoor map of the building. The method of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indoor or outdo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진출판단단계는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entry determination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using a point in polygon (PIP) operation between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polygon that forms a boundary between an indoor and outdoor entry / exit entry area on an indoor map of the building. The method of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map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indoors of the building enters the outdoors or the indoors of the build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변경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실내외 변경 여부를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변경에 동의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p change step
Inquiring of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whether to change indoors or outdoors of a map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d in response to the inquiry,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grees to the change, changing the map information current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KR1020120002018A 2012-01-06 2012-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KR101342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018A KR101342593B1 (en) 2012-01-06 2012-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018A KR101342593B1 (en) 2012-01-06 2012-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54A KR20130081054A (en) 2013-07-16
KR101342593B1 true KR101342593B1 (en) 2013-12-17

Family

ID=4899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018A KR101342593B1 (en) 2012-01-06 2012-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5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382A (en) 2015-06-12 2016-12-21 ㈜리커시브소프트 A specifying method and system for settling 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42B1 (en) * 2013-07-24 2014-12-11 최형준 Stick for the blind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it
KR101663654B1 (en) * 2015-04-28 2016-10-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variation of in-out door position in a mobile-terminal
KR102083071B1 (en) * 2018-01-22 2020-02-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door position information
CN110542420A (en) * 2019-09-25 2019-12-06 国电龙源电气有限公司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positioning system
KR102342983B1 (en) * 2021-05-26 2021-12-24 주식회사 엠트리 Issue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s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382A (en) 2015-06-12 2016-12-21 ㈜리커시브소프트 A specifying method and system for settling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54A (en)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5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EP3186653B1 (en) Selective crowdsourcing of location-related data
CN107250830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ositioning
US9873590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levator allocation using a magnetic field map in an elevator system
EP2959267B1 (en) Mobile device positioning
JP6087693B2 (en)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specific position based on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for each channel
CN106796110B (en) Location determination of network elements and user equipment in an indoor environment
EP3286575B1 (en) Supporting the use of radio maps
US20150163625A1 (en) Scan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150060840A (en) Techniques for faster time-to-first-fix
CN111741431B (en) Indoor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6611117B2 (en) Electronic device, position specifying program and position specifying method
US20150212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sitioning based on positioning compatibility classification
KR2017013704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nhanced location-based trilateration
CN111295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patial partitioning of an environment
JP6034843B2 (en) Program,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JP2016133431A (en) Indoor/outdoor determination device, indoor/outdoor determin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02725B1 (en) Method and appararus for identifying location in local area network
KR1014179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of Terminal
EP3293483B1 (en) Improved floor detection based on determined floor detection parameters
WO2015188847A1 (en) Supporting indoor positioning
CN116367256A (en) Network switch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60113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lking navigation
US201501728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osition determination on a mobile device
EP3755077A1 (en) Context information from crowd-sourced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