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375B1 -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 Google Patents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375B1
KR101342375B1 KR1020120036970A KR20120036970A KR101342375B1 KR 101342375 B1 KR101342375 B1 KR 101342375B1 KR 1020120036970 A KR1020120036970 A KR 1020120036970A KR 20120036970 A KR20120036970 A KR 20120036970A KR 101342375 B1 KR101342375 B1 KR 10134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urification unit
purification
connection channel
pl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530A (ko
Inventor
김이형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37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비점오염원 지역(10)에 연결된 배수로(11); 배수로(11)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1 정화부(100a); 제1 정화부(100a)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제1 정화부(100a)에 연결된 제1 연결수로(210); 제1 연결수로(21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2 정화부(1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서,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호우로 인한 피해의 방지를 위한 저수용량을 확보하기 쉽도록 한다.

Description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PURIFICATION STRUCTURE FOR RAINWATER}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우수 정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 습지, 토양과 같은 자연물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초기우수의 포집에 의해 호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면서도, 초기우수를 정화하여 서서히 지중에 침투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래의 비점오염원 저감용 정화구조물은 주로 콘크리트 박스 내부에 토양을 포설하고 식물을 식재한 구성을 취하였는데, 이러한 콘크리트 박스는 제작, 운반, 시공이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다양한 구조의 구현이 곤란하고,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호우로 인한 피해의 방지를 위한 저수용량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호우로 인한 피해의 방지를 위한 저수용량을 확보하기 쉬운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비점오염원 지역(10)에 연결된 배수로(11); 상기 배수로(11)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1 정화부(100a); 상기 제1 정화부(100a)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정화부(100a)에 연결된 제1 연결수로(210); 상기 제1 연결수로(21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2 정화부(1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제1 정화부(100a)는 식물이 식재되고,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1 식생부(110a); 우수가 일시 저류됨과 아울러, 서서히 지중으로 침투하도록, 상기 제1 식생부(110a)를 둘러 형성된 제1 침투부(120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침투부(120a)는 주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121); 우수의 저류를 위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홈(121)에 충전된 충전재(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11)는 주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121); 우수의 저류를 위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홈(121)에 충전된 충전재(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수로(210)는 주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121); 우수의 저류를 위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홈(121)에 충전된 충전재(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122)는 자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정화부(100b)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정화부(100b)에 연결된 제2 연결수로(220); 상기 제2 연결수로(22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3 정화부(100c);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정화부(200a) 또는 상기 제2 정화부(100b)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정화부(200a) 또는 상기 제2 정화부(100b)에 연결된 제3 연결수로(230); 상기 제3 연결수로(23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4 정화부(100d);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호우로 인한 피해의 방지를 위한 저수용량을 확보하기 쉬운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정화 구조물의 평면도.
도 2는 정화부의 평면도.
도 3은 배수로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비점오염원 지역(10)에 연결된 배수로(11); 배수로(11)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1 정화부(100a); 제1 정화부(100a)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제1 정화부(100a)에 연결된 제1 연결수로(210); 제1 연결수로(21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2 정화부(1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점오염원 지역(10)이란, 도로, 주차장과 같이 표면에 다량의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곳으로서, 우천 시 다량의 오염된 우수를 배출하는 지역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은 이러한 비점오염원 지역(10)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우수를 일시 저류 및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로(11),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정화부(200a,200b), 복수의 정화부(200a,200b)를 연결하는 제1 연결수로(210)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우천 시 비점오염원 지역(10)에서 배출된 오염수가 배수로(11)를 통해 제1 정화부(100a)에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수는 제1 정화부(100a)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일시 저류됨과 아울러 정화되며, 제1 정화부(100a)에서 넘친 우수는 제1 연결수로(210)를 통해 제2 정화부(100b)에 유입된다.
제2 정화부(100b) 또한 제1 정화부(100a)와 동일한 구성을 취하므로, 이에 유입된 오염수는 위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일시 저류 및 정화된다.
즉, 배수로(11)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제1 정화부(100a), 제2 정화부(100b)에 분산정화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한다.
첫째, 종래와 같은 콘크리트 박스 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복수의 수로(배수로(11), 제1 연결수로(210)) 및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정화부(200a,200b)만을 관리하면 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셋째, 연결수로 및 정화부의 수를 증대시키는 것만으로 저수용량을 간편하게 증대할 수 있으므로, 호우로 인한 피해의 방지를 위한 저수용량의 확보가 용이하다.
이러한 정화 구조물은 도로, 주차장 주변의 정원, 보도 등에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정원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주변의 식물과 어우러져 자연적인 경관을 형성하게 되므로, 비점오염원의 정화기능을 수행하면서도 환경 및 경관을 전혀 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제1 정화부(100a)는 구체적으로, 식물이 식재되고,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1 식생부(110a); 우수가 일시 저류됨과 아울러, 서서히 지중으로 침투하도록, 제1 식생부(110a)를 둘러 형성된 제1 침투부(12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이는 식물이 식재된 제1 식생부(110a)에 의해 정화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고, 제1 침투부(120a)에 의해 일시 저류 및 침투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효율적인 정화구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침투부(120a)는 구체적으로, 주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121); 우수의 저류를 위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홈(121)에 충전된 자갈 등의 충전재(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효율적인 침투도랑을 구성한다는 효과가 있다.
배수로(11), 제1 연결수로(210)는 우수를 이송하는 수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위 제1 침투부(120a)와 같이 홈(121) 및 충전재(12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그 수로 자체가 침투도랑 역할을 하므로, 정화 구조물 전체적으로 우수의 일시 저류 및 침투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이러한 용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제2 정화부(100b)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제2 정화부(100b)에 연결된 제2 연결수로(220); 제2 연결수로(22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3 정화부(100c);를 더 포함하는 구성과 같이, 연결수로 및 정화부를 추가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정화부에 2개의 연결수로가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정화부가 일렬로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현장 여건에 따라 하나의 정화부에 3개 이상의 연결수로가 연결되어 우수가 분산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제1 정화부(200a) 또는 제2 정화부(100b)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제1 정화부(200a) 또는 제2 정화부(100b)에 연결된 제3 연결수로(230); 제3 연결수로(23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4 정화부(100d);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 그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비점오염원 지역 11 : 배수로
100 : 정화부 110 : 식생부
120 : 침투부 121 : 홈
122 : 충전재 210,220,230 : 연결수로

Claims (8)

  1.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비점오염원 지역(10)에 연결된 배수로(11);
    상기 배수로(11)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1 정화부(100a);
    상기 제1 정화부(100a)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정화부(100a)에 연결된 제1 연결수로(210); 및
    상기 제1 연결수로(21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2 정화부(1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화부(100a)는,
    식물이 식재되고,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1 식생부(110a); 및
    우수가 일시 저류됨과 아울러, 서서히 지중으로 침투하도록, 상기 제1 식생부(110a)를 둘러 형성된 제1 침투부(120a);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화부(100b)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정화부(100b)에 연결된 제2 연결수로(220); 및
    상기 제2 연결수로(22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3 정화부(100c);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정화부(200a) 또는 상기 제2 정화부(100b)에서 넘친 우수가 배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정화부(200a) 또는 상기 제2 정화부(100b)에 연결된 제3 연결수로(230); 및
    상기 제3 연결수로(23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식재된 식물의 뿌리 및 토사에 의해 우수가 일시 저류되도록 형성된 제4 정화부(100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침투부(120a)는
    주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121); 및
    우수의 저류를 위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홈(121)에 충전된 충전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1)는
    주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121); 및
    우수의 저류를 위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홈(121)에 충전된 충전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수로(210)는
    주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121); 및
    우수의 저류를 위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홈(121)에 충전된 충전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122)는 자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36970A 2012-04-09 2012-04-09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KR10134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70A KR101342375B1 (ko) 2012-04-09 2012-04-09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70A KR101342375B1 (ko) 2012-04-09 2012-04-09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30A KR20130114530A (ko) 2013-10-18
KR101342375B1 true KR101342375B1 (ko) 2013-12-16

Family

ID=4963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70A KR101342375B1 (ko) 2012-04-09 2012-04-09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9042A (zh) * 2016-11-24 2017-03-15 西安工程大学 一种雨水收集回用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30A (ko) 201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59825B (zh) 一种海绵城市绿地蓄水系统的施工方法
US9938697B1 (en) Water generation system for improvement of water shortage enviroment
CN108193758B (zh) 海绵城市道路收蓄排水结构
KR20160022632A (ko)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US20230157219A1 (en) Vegetation Maintenance System
CN211036597U (zh) 市政路面渗水排水砖
CN106165568A (zh) 一种用于净化地表雨水径流的阶梯型下凹式绿地
KR20100063325A (ko) 개량형 레인가든
KR101342375B1 (ko) 우수의 분산정화 구조물
JP5944284B2 (ja) 舗装地、舗装方法
KR101440988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CN111535098A (zh) 一种城镇道路绿化带、人行道雨水排水系统及施工方法
CN104179242B (zh) 一种复合型雨水沟和雨水综合利用系统
KR20080099937A (ko) 계단식 화단 옹벽용 배수구조 및 계단식 화단 옹벽시공방법
KR101668420B1 (ko)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CN211353228U (zh) 一种屋顶雨水花园蓄排水及回用系统
CN210315599U (zh) 一种边坡绿化水土保护结构
KR100536411B1 (ko) 도로용 법면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1010538B1 (ko) 흙탕물 저감 및 비점오염 저감 공법
CN208533491U (zh) 一种李子种植园排水系统
KR101985599B1 (ko) 막힘 방지용 유공관 어댑터
EP3945780A1 (en) Soil form system supporting hardscape thereover
CN105401503B (zh) 一种具有自排水和自清洁功能的路面和地面结构及其施工方法
CN107460944B (zh) 路面雨水弃流和综合利用系统
CN110700373A (zh) 一种基于土壤入渗的植被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