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219B1 -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219B1
KR101342219B1 KR1020130090026A KR20130090026A KR101342219B1 KR 101342219 B1 KR101342219 B1 KR 101342219B1 KR 1020130090026 A KR1020130090026 A KR 1020130090026A KR 20130090026 A KR20130090026 A KR 20130090026A KR 101342219 B1 KR101342219 B1 KR 10134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id card
coupon
mobile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은
Original Assignee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Abstract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모바일 단말에 저장되는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기 위해 서버와 통신하여 제1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결제의 결제 대금에 대응되는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대한 활용 방안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목적으로 활용되도록 선택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의 가치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제1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식별정보가 판독 단말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충전용 쿠폰에 의한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보다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별도의 식별정보로 변환되도록 함으로 인해 사용편의성, 양도성이 증가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변환된 식별정보를 활용할 시, 모바일 단말 내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결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 또는 IC칩을 소지해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PAYMENT METHOD FOR USING PREPAID CARD RECHARGE COUPUN}
본 발명은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패스 카드 등의 선불카드를 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쿠폰 형태의 전자화폐를 활용하여,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결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카드 형식의 선불카드는 마그네틱 선 또는 이에 IC칩이 추가된 형태로써 발급된다. 이러한 실물 형태의 선불카드는 교통카드, 하이패스 카드, 기프트 카드 등의 용도로 발급되어 사용되게 된다.
선불카드는 계좌의 잔고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고 선불카드 충전기가 마련된 곳에서만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근래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선불카드를 충전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어 이러한 불편함이 일부 해소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 예로, 하이패스 카드를 충전시킬 수 있는 가치를 지닌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모바일 단말에 저장시켜 놓은 후 이러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하이패스 카드를 충전시키는 방법들도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하이패스 카드를 충전시킬 수 있는 가치가 쿠폰 형태의 전자화폐로 모바일 단말 내에 내재되는 것이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 내에 내재된 쿠폰 형태의 전자화폐의 경우, 그 활용성이 극히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다. 즉, 하이패스 카드를 충전시키기 위한 목적의 쿠폰의 경우, 다른 사용자를 위해 쿠폰을 선물하는 용도로는 사용될 수 있으나 하이패스 카드 충전 이외의 전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게 되며, 선물받은 사용자 역시 이를 하이패스 카드 충전을 위해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선불카드는, 일부 문제들이 해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충전이 번거롭다는 단점과 함께 사용 역시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선불카드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보안성, 익명성을 충족시키면서 모바일 단말 내에 전자화폐 형태로 내재된 가치가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USIM 카드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범용성, 편의성, 양도성이 배제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높이고, 모바일 단말에 마련된 USIM 카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쿠폰을 이용한 결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 및 편의성을 증가시키며, 내재된 가치가 다른 모바일 단말로 손쉽게 이전될 수 있도록 하여 양도성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저장되는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기 위해 서버와 통신하여 제1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결제의 결제 대금에 대응되는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대한 활용 방안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목적으로 활용되도록 선택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의 가치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제1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식별정보가 판독 단말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충전용 쿠폰에 의한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제는,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이고, 상기 제2 결제는, 상기 구매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이용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 이외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결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제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마련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목적이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인 경우, 상기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판독 단말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대가 정보가 저장된 제2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 단말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판독 단말이,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 단말이, 판독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판독 단말이, 상기 대가 정보 및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가치 정보에 상응하는 금액에서 상기 대가 정보에 상응하는 금액이 차감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차감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차감된 금액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의 가치를 차감하거나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목록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식별정보는, 각각, QR 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OCR 정보, 영상인식 정보 및 음성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판독 단말은, QR 코드 판독기, 바-코드 판독기, OCR 판독기, 영상판독기, 음성판독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인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출력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인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판독 단말이 상기 인쇄된 제1 식별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가치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판독 단말이, 상기 인쇄된 제1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상기 인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인쇄 단말 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외부 모바일 단말 간의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충전용 쿠폰에 의한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목적이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인 경우, 상기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판독 단말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대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판독 단말에 태깅되는 단계; 상기 판독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판독 단말이, 판독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판독 단말이, 상기 대가 정보 및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가치 정보에 상응하는 금액에서 상기 대가 정보에 상응하는 금액이 차감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차감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차감된 금액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의 가치를 차감하거나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목록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식별정보는, NFC 태그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로 동작하고 상기 판독 단말은 NFC 리더 또는 RFID 리더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보다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별도의 식별정보로 변환되도록 함으로 인해 사용편의성, 양도성이 증가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변환된 식별정보를 활용할 시, 모바일 단말 내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결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 또는 IC칩을 소지해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이 수행되는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선불카드 충전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선불카드 충전용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식별정보로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이 수행되는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의하면, 쿠폰 형태의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선불카드 충전을 위한 결제가 가능하며,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목적으로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의하면, 쿠폰 형태의 전자화폐를 소정의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식별정보에 쿠폰에 내재된 가치가 이전되도록 하고 변환된 식별정보를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식별정보는 판독기에 의해 손쉽게 판독될 수 있고 식별정보가 간편하게 이전될 수 있도록 하며 USIM 카드와 같은 별도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변환된 식별정보만으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100), 서버(200), 선불카드(300), 판독 단말(400), 외부 모바일 단말(500) 및 인쇄 단말(600)로 구축된다.
모바일 단말(100)은 서버(200)와 통신하여 쿠폰 형태의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쿠폰을 활용하여 본연의 목적에 따라 선불카드(300)를 충전하거나 본연의 목적 이외의 목적에 따라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100)은 저장된 쿠폰이 판독 단말(400)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제시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 모바일 단말(500)로 저장된 쿠폰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인쇄 단말(600)에 의해 저장된 쿠폰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이나 외부 모바일 단말(500) 등의 결제를 위해 사용되는 단말과 통신하여, 각 단말별 전자화폐 정보나, 각 단말 소유자별 전자화폐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 수정,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입력되면,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과 연계되거나 모바일 단말(100) 소유자 명의의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 서버(미도시)를 조회하여 잔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잔고가 있는 경우 금융 서버(미도시)에서 모바일 단말(100) 소유자 명의의 계좌의 금액이 차감되도록 한다.
또한, 서버(200)는 차감된 금액에 대응되는 가치가 쿠폰에 내재되도록 하여 쿠폰을 발행하며, 발행된 쿠폰이 모바일 단말(100)에서 사용가능하도록 모바일 단말(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00)에서 쿠폰이 사용되면, 서버(200)는 사용된 쿠폰에 대응되도록 기저장된 전자화폐 정보를 수정하거나 갱신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화폐 정보는, 모바일 단말(100)이나 외부 모바일 단말(500)이 가지는 쿠폰의 개수 정보, 각 쿠폰의 가치 정보, 사용된 쿠폰의 이력 정보, 사용가능한 쿠폰의 이력 정보, 쿠폰이 이전된 이력 정보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한편, 서버(200)는 판독 단말(400)과 통신하여 판독 단말(400)로부터 판독된 쿠폰의 가치 정보나 구매요청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대가 정보 등을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저장되어 있는 전자화폐 정보를 수정하거나 갱신하는 역할을 한다.
선불카드(300)는 대금 지불, 하이패스 구간 통과 등에서의 전자 결제를 위한 금액이 충전되어 저장된다. 즉, 선불카드(3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지정된 금액을 NFC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충전받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충전은, 전술한 쿠폰을 활용한 충전뿐만 아니라, 쿠폰을 활용하지 않은 충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물론, 쿠폰을 활용한 충전일 경우, 모바일 단말(100)에 저장된 쿠폰은 그 본연의 목적에 따라 선불카드(300)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판독 단말(400)은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쿠폰이 변환된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식별정보는, QR 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OCR 정보, 영상인식 정보 또는 음성인식 정보일 수 있는데, 이 경우, 판독 단말(400)은, QR 코드 판독기, 바-코드 판독기, OCR 판독기, 영상판독기 또는 음성판독기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식별정보는, NFC 태그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일 수 있는데, 이 경우, 판독 단말(400)은 NFC 리더 또는 RFID 리더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100)은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로 동작하게 될 것이다.
인쇄 단말(600)은, 식별정보가, QR 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OCR 정보 또는 영상인식 정보일 때, 이러한 식별정보를 인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식별정보가 바-코드인 것으로 상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은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바-코드 생성부(130), 선불카드 충전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제어부(160) 및 저장부(170)로 구축된다.
제1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망이나 WI-FI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0)이 서버(200)와 통신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모바일 단말(100)은 이러한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200)로 쿠폰 구매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여 쿠폰을 구매한 후 저장하고, 쿠폰의 사용 이력 등을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2 통신부(120)는 NFC 통신을 위한 NFC 통신 모듈로 구축된다. 제2 통신부(120)는 모바일 단말(100)이 선불카드(300)와 통신하여 선불카드(300)에 잔액을 충전시키거나, 모바일 단말(100)이 외부 모바일 단말(500)과 통신하여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선물할 수 있도록 하거나, 모바일 단말(100)이 인쇄 단말(600)과 통신하여 식별정보가 인쇄 단말(600)에 의해 인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모바일 단말(100)을 선불카드(300)에 태깅하면, 제2 통신부(120)에 의해 모바일 단말(100)에 내재된 가치가 선불카드(300)로 이전되게 되고, 모바일 단말(100)을 외부 모바일 단말(500)에 태깅하면, 제2 통신부(120)에 의해 모바일 단말(100)에 쿠폰 형태로 내재된 가치가 외부 모바일 단말(500)로 이전되게 되며, 모바일 단말(100)을 인쇄 단말(600)에 태깅하면, 제2 통신부(120)에 의해 모바일 단말(100)에 식별정보 형태로 내재된 가치가 인쇄 단말(600)로 이전되게 된다.
바-코드 생성부(130)는 구매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내재된 가치가 이전된 바-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바-코드는 전술한 식별정보의 일 예로서, 이러한 식별정보는, QR 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OCR 정보, 영상인식 정보, 음성인식 정보, NFC 태그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별정보의 일 예로서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130)가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기로 한다.
한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내재된 가치가 바-코드에 이전되어 생성되도록 함으로 인해, 판독 단말(400)은 생성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내재된 가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바-코드에는 가치 정보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나 연관된 쿠폰 정보 등도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선불카드 충전부(140)는, 모바일 단말(100)의 본연의 목적에 따라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하여 선불카드(300)가 충전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변환된 식별정보가 화면이나 음성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바-코드로 변환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화면에 바-코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판독 단말(400)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전술한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바-코드 생성부(130), 선불카드 충전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후술할 저장부(170)를 총체적으로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100)이 서버(200)로부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여 저장하거나, 모바일 단말(100)이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사용하여 가치가 차감되도록 하거나, 모바일 단말(100)이 판독 단말(400), 외부 모바일 단말(500) 및 인쇄 단말(600)과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7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저장하거나,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변환된 식별정보를 저장하거나,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200)는 각종 전자화폐 정보들을 저장한다(S350). 이러한 전자화폐 정보는, 어떠한 단말 또는 어떠한 단말 소유자가 어떠한 전자화폐를 가지고 있는지, 어떠한 결제 방법으로 결제한 것인지, 디폴트로 설정된 계좌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결제 방법이 무엇인지, 언제 구매한 것인지, 쿠폰 형태로 발행이 되었는지, 쿠폰이 언제 어디서 사용되었는지 여부 등을 총체적으로 연계한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0)이 제1 결제를 요청하면(S310), 서버(200)는 제1 결제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정보 또는 소유자 정보를 포함한 전자화폐 정보를 확인하고(S315), 전자화폐 정보를 기초로 제1 결제의 승인 처리를 진행하게 된다(S320).
한편, 제1 결제란, 모바일 단말(100)이 서버(200)로부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라는 점에서 후술할 제2 결제와 구별된다.
제1 결제의 승인이 처리되면(S320), 서버(200)는 결제된 금액만큼의 가치가 내재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고(S325), 모바일 단말(100)은 추후 사용가능하도록 수신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저장하게 된다(S335).
또한, 서버(200)는 결제된 금액에 대응되도록 전자화폐 정보를 수정하여 저장하게 된다(S330). 즉,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과 연동된 계좌에서 결제된 금액만큼의 가치가 차감되어 결제되었다는 점, 결제된 금액만큼의 가치가 내재된 쿠폰이 모바일 단말(100)로 제공되었다는 점, 쿠폰의 전달로 인해 모바일 단말(100)이 소지한 쿠폰이 총 몇 장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 쿠폰의 총액이 얼마인지 여부 등을 저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선불카드 충전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저장된 쿠폰에 대한 사용 명령이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100)은 이러한 사용 명령이 충전 목적의 쿠폰 사용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충전 목적의 쿠폰 사용이 확인되고(S405) 선불카드(300)와 NFC 태깅되면(S410), 선불카드(3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의 가치에 대응되는 가치를 이전받고(S415) 충전을 완료한다(S420). 물론, 이러한 가치 이전은,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100)에서 선불카드(300)로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서버(200)를 통해 가치가 이전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대한 사용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100)은 서버(200)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25).
서버(200)는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전자화폐 정보를 수정하고(S430), 수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S435).
모바일 단말(100)은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저장되어 있던 쿠폰의 가치를 차감시키거나 저장되어 있던 쿠폰을 삭제한다(S440).
한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은 이러한 본연의 목적 이외에 별도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별도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선불카드 충전용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식별정보로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저장된 쿠폰에 대한 사용 명령이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100)은 이러한 사용 명령이 충전 이외 목적의 쿠폰 사용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충전 이외 목적의 쿠폰 사용이 확인되면(S505), 모바일 단말(100)은 이러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제1 바코드로 변환하며(S510), 변환된 제1 바코드를 저장한다(S515).
이와 같이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제1 바코드로 변환함으로 인해, 판독 단말(400)에 의한 판독이 용이해져 판독 단말(400)이 구비된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제1 바코드에 내재된 가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판독 단말(400)에 의해 제1 바코드가 사용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바일 단말(100)이 판독 단말(400)로 제2 결제를 요청하거나 모바일 단말(100)의 소유자가 판독 단말(400)의 관리자에게 제2 결제를 요청하면(S605), 모바일 단말(100)은 제1 바코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판독 단말(400)은 우선적으로 제2 바코드를 스캐닝한다(S615).
제2 결제는, 제1 결제에 의해 구매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결제라는 점에서 전술한 제1 결제와 구별된다.
제1 바코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내재된 가치가 이전되도록 하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변환된 식별코드이다. 제2 바코드는, 예를 들어, 마트에 구비된 음료수 등의 상품에 부착된 제2 바코드를 의미한다.
즉, 일반적으로 마트에서 카드를 사용해 물건을 구매하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듯이, 판독 단말(400)은 제2 바코드를 스캐닝하게 된다(S615).
이를 통해 판독 단말(400)은 제2 바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물건의 대가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S620).
이후, 판독 단말(400)은 제1 바코드를 스캐닝하게 된다(S625).
즉, 일반적으로 마트에서 카드를 사용해 물건을 구매하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한 후, 결제하고자 하는 카드 등에 마련된 마그네틱 또는 IC의 정보를 추출하듯이, 판독 단말(400)은 제1 바코드를 스캐닝하게 된다(S625).
이를 통해 판독 단말(400)은 제1 바코드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S630).
판독 단말(400) 또는 판독 단말(400)과 연결된 별도의 단말 또는 서버는, 추출된 대가 정보 및 가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S635), 서버(200)는 수신된 대가 정보 및 가치 정보를 기초로 전자화폐 정보를 수정하게 된다(S640).
즉, 서버(200)는 판독 단말(400)과 연동된 계좌로 결제된 금액만큼의 가치가 증가되었다는 점, 결제된 금액만큼의 가치가 모바일 단말(100)에서 판독 단말(400)로 이전되었다는 점, 제2 결제로 인해 모바일 단말(100)이 소지한 쿠폰이 증감된 내역 등을 저장하게 된다.
이후, 서버(200)는 판독 단말(400)로 승인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645), 모바일 단말(100)로 전자화폐 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650).
모바일 단말(100)은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저장되어 있던 쿠폰 또는 제1 바코드의 가치를 차감시키거나 저장되어 있던 쿠폰 또는 제1 바코드를 삭제한다(S655).
또한, 판독 단말(400)은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제2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S660).
이와 같이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바-코드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 바-코드 스캐너가 마련된 곳이라면 어느 곳에서든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선불카드 충전용 이외의 목적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코드 스캐너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쿠폰에 내재된 가치가 QR 코드 정보, OCR 정보, 영상인식 정보, 음성인식 정보, NFC 태그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로 이전되도록 하여, QR 코드 판독기, OCR 판독기, 영상판독기, 음성판독기, NFC 리더 또는 RFID 리더에 의해 식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7은 모바일 단말(100)이 외부 모바일 단말(500)로 쿠폰을 선물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100)이 제1 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한 후(S705) 외부 모바일 단말(500)과 NFC 태깅되면, 외부 모바일 단말(500)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쿠폰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715).
물론, NFC 태깅을 통해 쿠폰을 이전받는 것이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100)은 제1 바코드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제1 바코드로 변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쿠폰에 대한 이전이 가능할 것이다.
외부 모바일 단말(500)로 쿠폰 정보가 전달되어 외부 모바일 단말(500)이 쿠폰 정보를 수신하면(S715), 모바일 단말(100)은 서버(200)로 쿠폰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720), 외부 모바일 단말(500)은 서버(200)로 쿠폰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725).
물론, 이러한 쿠폰 정보에는 얼마만큼의 가치가 내지된 쿠폰이 전송되는 것인지, 쿠폰의 고유번호가 무엇인지, 어떠한 단말에서 어떠한 단말로 이전되는 것인지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게 된다.
쿠폰 정보가 포함된 쿠폰 전송 메시지와 쿠폰 정보가 포함된 쿠폰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서버(200)는 이를 기초로 전자화폐 정보를 수정한다(S730). 수정되는 전자화폐 정보는,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와 외부 모바일 단말(500)의 정보가 모두 포함될 것이다.
한편, 전자화폐 정보가 모두 수정되면, 서버(200)는 외부 모바일 단말(500)로 이전된 쿠폰이 전송되도록 하고(S735), 외부 모바일 단말(500)은 이를 저장한다(S740).
또한,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로 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745), 모바일 단말(100)은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저장되어 있던 쿠폰 또는 제1 바코드의 가치를 차감시키거나 저장되어 있던 쿠폰 또는 제1 바코드를 삭제한다(S750).
이후, 외부 모바일 단말(50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된 쿠폰을 선불카드 충전용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모바일 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내재된 가치가 제1 바코드에 이전되도록 한 후 이를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이 인쇄 단말(600)로 제1 바코드에 대한 인쇄를 요청하면(S805), 인쇄 단말(600)은 이러한 요청을 기초로 제1 바코드를 인쇄하여 종이형태의 용지로 생성하게 된다. 제1 바코드에 대한 인쇄 요청은, 모바일 단말(100)과 인쇄 단말(600) 간의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 단말(600) 또는 인쇄 단말(600)의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100)의 소유자에게 제1 바코드가 인쇄된 용지가 전달되면(S815), 모바일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100)의 소유자는 판독 단말(400)로 전술한 제2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820).
이후, 판독 단말(400)이 제2 바코드를 스캐닝하고(S825), 대가 정보를 추출하며(S830), 인쇄된 용지 상의 제1 바코드를 스캐닝하고(S835), 가치 정보를 추출하면(S840), 판독 단말(400)은 대가 정보 및 가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845).
서버(200)는 수신된 대가 정보 및 가치 정보를 기초로 전자화폐 정보를 수정하고(S850), 판독 단말(400)에 승인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0)에 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각각 전송한다(S855, S860).
모바일 단말(100)은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저장되어 있던 쿠폰 또는 제1 바코드의 가치를 차감시키거나 저장되어 있던 쿠폰 또는 제1 바코드를 삭제한다(S865).
또한, 판독 단말(400)은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제2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S870).
이상에서는, 모바일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바-코드가 판독 단말(400)에 의해 스캐닝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식별정보를 바-코드 정보로 상정하여 설명하였기 때문이고, 만약 식별정보가 NFC 태그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인 경우, 모바일 단말(100)이 판독 단말(400)에 태깅되면, 모바일 단말(100)의 태그 정보에 내재된 가치가 판독 단말(400)에 의해 판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할 경우, 이와 같이 식별정보가 판독기에 의해 손쉽게 판독될 수 있고 식별정보 내에 가치 정보 등의 각종 전자화폐 정보가 내재됨으로 인해 USIM 카드와 같은 별도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변환된 식별정보만으로 결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모바일 단말(100)이 쿠폰 또는 변환된 바-코드를 저장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러한 저장은 실질적으로 모바일 단말(100) 상에 저장되는 협의의 개념뿐만 아니라, 서버(200)에 저장된 쿠폰을 화면을 통해 언제든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태를 가지는 광의의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쿠폰이나 바-코드 자체를 직접적으로 저장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서버(200)에 저장된 쿠폰이나 바-코드를 불러올 수 있는 링크 역할을 하는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모바일 단말(100), 판독 단말(400) 및 외부 모바일 단말(500)이 쿠폰의 사용 이력이나 바-코드의 사용 이력을 서버(200)로 전송한다고 기술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전술한 광의의 의미에서와 같이 서버(200)에 실질적으로 쿠폰 또는 바-코드 등의 가치 정보가 저장된 경우라면 사용 이력은 모바일 단말(100), 판독 단말(400) 및 외부 모바일 단말(500)에서 별도로 서버(200)로 전송될 필요없이, 서버(200) 측에서 자체적으로 파악 및 처리되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상에서는 서버(200)가 전자화폐 정보를 저장, 확인 및 수정하고 결제를 승인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서버(200)는 각각의 역할 별로 전자화폐 정보를 저장, 확인 및 수정하는 전자화폐 서버,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서버, 판독 단말과 연동된 서버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분할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전술한 서버(200)의 역할은 분할된 개별 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선불카드 충전용이 아닌 기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쿠폰을 활용하여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 목적의 쿠폰을 활용하여 이를 다른 식별 정보로 변환한 후 해당 식별 정보를 활용해 동일 목적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에도, 식별 정보를 변환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모바일 단말 110 : 제1 통신부
120 : 제2 통신부 130 : 바-코드 생성부
140 : 선불카드 충전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제어부 170 : 저장부
200 : 서버 300 : 선불카드
400 : 판독단말 500 : 외부 모바일 단말
600 : 인쇄 단말

Claims (12)

  1. 모바일 단말에 저장되는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기 위해 서버와 통신하여 제1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결제의 결제 대금에 대응되는 전자화폐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화폐정보가 내재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생성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발급된 이력 및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내재된 상기 전자화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대한 활용 용도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택된 활용 용도에 따라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충전용 쿠폰에 의한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대한 활용 용도를 선택받는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활용 용도로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활용 용도에 따라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의한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활용 용도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생성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발급된 이력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이력을 기초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유효하게 발급된 쿠폰인지 여부 및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발급된 것이 맞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유효하고 상기 유효한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발급된 것이 맞다고 판단되면,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QR 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OCR 정보, 영상인식 정보 및 음성인식 정보 중 하나인 제1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 내재된 전자화폐정보가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에서 제거되고, 상기 제1 식별정보에 상기 전자화폐정보가 내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화폐정보가 내재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식별정보가 판독 단말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해 상기 제2 결제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제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을 위한 활용 용도로 선택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마련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의 결제가 진행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상기 선불카드 충전 이외의 활용 용도로 선택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마련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이 변환된 상기 제1 식별정보에 의한 결제가 진행되도록 하는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제는,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이고,
    상기 제2 결제는, 상기 구매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이용한 상기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 이외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090026A 2013-07-30 2013-07-30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KR10134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026A KR101342219B1 (ko) 2013-07-30 2013-07-30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026A KR101342219B1 (ko) 2013-07-30 2013-07-30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219B1 true KR101342219B1 (ko) 2014-01-03

Family

ID=5014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026A KR101342219B1 (ko) 2013-07-30 2013-07-30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2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6380A (zh) * 2018-12-05 2019-04-16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费用处理方法和装置
KR20200129305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숙성명작 Qr코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630A (ko) * 2001-09-11 2003-03-17 권혁진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카드대용 바코드생성 및 관리방법
KR20090010260A (ko) * 2007-07-20 2009-0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바코드를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630A (ko) * 2001-09-11 2003-03-17 권혁진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카드대용 바코드생성 및 관리방법
KR20090010260A (ko) * 2007-07-20 2009-0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바코드를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6380A (zh) * 2018-12-05 2019-04-16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费用处理方法和装置
KR20200129305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숙성명작 Qr코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292695B1 (ko) * 2019-05-08 2021-08-23 주식회사 숙성명작 Qr코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737B2 (en) Method for recharging a subscription card using wireless equipment
KR20100014889A (ko) 전자 머니 발행 시스템
US20090084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at a point-of-sale terminal
US20090032584A1 (en) Display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the display device
CN109416793A (zh) 移动支付方法和系统
WO2019026196A2 (ja) 生体認証決済システム、決済システムおよびレジシステム
US20210097526A1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JP2019117512A (ja) 決済端末、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
KR101293423B1 (ko) 모바일 선불카드를 이용한 예약 구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342219B1 (ko) 선불카드 충전용 쿠폰을 활용한 결제 방법
CN102799995A (zh) 线上购物系统及其购物方法
EP2677486A1 (en)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KR101247965B1 (ko) 차량용 엔에프씨를 이용한 비용 결제 방법 및 시스템
US11721156B2 (en)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and charging a fixed donation amount
KR101192303B1 (ko) 이동단말기의 카드 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0793421B1 (ko) Rfid 기술을 이용한 영수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37835A (ko) 생체인식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시스템 및 방법
JP2011013704A (ja) 製品購入履歴情報の自動作成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200079993A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주문 결제 시스템
KR20060086723A (ko) 무선인식기술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573A (ko) 휴대용 결제 단말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100934043B1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요금 결제장치 및 그 방법
KR101388193B1 (ko) 쿠폰 인증을 이용하는 지불 결제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지불 결제 시스템
US10268851B2 (en)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mobile device, and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TW201812665A (zh) 退稅系統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