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922B1 -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922B1
KR101341922B1 KR1020120039741A KR20120039741A KR101341922B1 KR 101341922 B1 KR101341922 B1 KR 101341922B1 KR 1020120039741 A KR1020120039741 A KR 1020120039741A KR 20120039741 A KR20120039741 A KR 20120039741A KR 101341922 B1 KR101341922 B1 KR 101341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undry
rod
holes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060A (ko
Inventor
김양현
김치옥
Original Assignee
김치옥
김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옥, 김양현 filed Critical 김치옥
Priority to KR102012003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9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이대를 통해 바람이 고르게 배출될 수 있는 저소음 송풍 메커니즘을 가져 빨래의 건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는, 적어도 일부가 평행하게 형성된 관형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평행한 부분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관형 걸이봉으로서, 각각의 걸이봉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프레임과 유체 소통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걸이봉;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을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유지시키기 위한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 측에 설치되며, 흡입구는 대기에 노출되고 토출구는 연결 파이프를 통해 상기 프레임에 기밀하게 연결된 플런저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펌프의 동작 시 바람이 상기 걸이봉의 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Description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빨래 건조대{CLOTHES HORSE WITH THE FUNCTION OF SHORTENING THE DRYING TIME OF WASHING}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조될 빨래가 걸리는 빨래 건조대의 걸이봉로부터 바람이 나와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빨래 건조대는 작은 설치면적을 차지하면서도 빨래를 많이 널 수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사용 시 펼칠 수 있고 보관 시 접을 수 있는 이동식 (또는 접이식) 빨래 건조대와, 주택의 베란다의 천장에 설치되는 고정식 빨래 건조대로 구분된다.
어느 경우든 빨래 건조대는 보통 공기의 유동이 적은 실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빨래 건조대 주변의 공기를 인위적으로 유동시켜 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빨래 주변의 습도가 낮아져서 빨래를 보다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88370호는 천장 부착형 빨래 건조대에서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본체 케이스 속에 송풍 팬을 내장하여 그 아래의 빨래 걸이대로 송풍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것은 고정식 빨래 건조대에서나 사용이 가능하고, 보다 널리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동식 빨래 건조대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0023호는 접이식 빨래 건조대의 걸이대 위로 거치대와 탑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탑재 플레이트에 히터와 송풍 팬이 내장된 송풍 유닛을 올리고, 빨래 건조대 전체를 스커트로 둘러 감싸는 것을 개시한다. 이것은 통상의 접이식 빨래 건조대에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가 빨래를 빨래 건조대에 넌 후에 송풍 유닛과 스커트를 설치하고 빨래가 건조된 후에 이것들을 다시 해체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82416호는 통상의 빨래 건조대의 측면기둥 아래 측에 송풍 팬과 음이온 발생장치를 설치하고 측면기둥에 배출구멍을 형성시켜 배출구멍을 통해 바람을 배출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 구조에 의할 경우, 측면기둥 근처에 있는 빨래의 건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을지라도, 빨래 건조대의 나머지 공간에 위치한 빨래는 측면기둥 근처에 있는 빨래에 의해 바람이 가로막혀 건조 속도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3203호는 이동식 빨래 건조대의 걸이봉에 다수의 송풍구멍을 뚫고 걸이봉과 송풍기를 연결하여 송풍기의 바람이 걸이봉의 송풍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개시한다. 이 실용신안에 의할 경우 빨래 건조대에서 빨래가 걸리는 모든 걸이봉을 통해 바람이 나올 것이므로 건조되어야 할 모든 빨래에 고루 바람을 공급할 수 있어, 일부 빨래에만 바람을 공급할 수 있는 전술한 공개특허보다 진일보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이 실용신안의 내용대로 제품을 제조하여 시험해 본 결과, 송풍기로부터 나온 바람이 걸이봉의 송풍구멍을 통해 거의 빠져나가지 않고 다시 송풍기 쪽으로 역류한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인식되었다. 그 이유는 이동식 빨래 건조대의 걸이봉의 직경이 보통 6φ 정도에 불과하여 임펠러에 의해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기의 송풍압에 의해서는 바람이 걸이봉을 통과하기가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송풍압이 큰 송풍기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겠지만, 빨래 건조대에 사용하기에는 규모나 전력 소모 면에서 부담이 되고, 더욱이 빨래 건조대가 실내에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고압 송풍기의 임펠러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특히 야간에 견디기 어려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빨래 건조대의 걸이대를 통해 바람이 배출되어 빨래의 건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빨래 건조대의 각각의 걸이대를 통해 바람이 고르게 배출되고 소음 발생이 적은 송풍 메커니즘을 가진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빨래 건조대 특히 유리하게는, 접고 펼 수 있는 이동식 빨래 건조대에 적용된다. 상기 빨래 건조대는, 적어도 일부가 평행하게 형성된 관형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평행한 부분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관형 걸이봉으로서, 각각의 걸이봉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프레임과 유체 소통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구멍이 형성됨;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을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유지시키기 위한 다리부; 및 흡입구는 대기에 노출되고 토출구는 연결 파이프를 통해 상기 프레임에 기밀하게 연결된 플런저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 펌프의 동작 시 플런저 펌프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은 상기 연결 파이프와 상기 프레임을 통해 각각의 걸이봉으로 유동하고, 최종적으로 걸이봉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빨래 건조대 외부로 배출된다. 각각의 걸이봉에는 건조되어야 하는 빨래가 걸려있기 때문에 걸이봉의 구멍으로 나온 바람은 빨래에 직접 작용하여 빨래의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이 플런저 펌프에 의해 발생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플런저 펌프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고압을 발생시켜 액체를 송출 또는 분사하는 펌프이다. 본 발명자는 최근 소형 저전력 플런저 펌프가 개발 보급되고 있고 플런저 펌프는 고압 적용이 가능하다는 인식에서 시작하여, 플런저 펌프가 일반적으로 액체 송출을 위해 사용한다는 편견에서 벗어나서 바람 공급을 위해 사용할 경우, 생성된 바람이 모두 빨래 건조대의 직경이 작은 걸이봉을 통과하여 걸이봉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게 되었다. 이것은 플런저 펌프가 송풍기에 비해 훨씬 고압의 바람을 제공할 수 있고, 바람이 역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빨래의 건조 시 걸이봉에 걸린 빨래의 상부에 존재하는 수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발하기도 하지만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므로, 자연 상태에서 빨래의 상부가 하부보다 빠르게 건조된다. 따라서 걸이봉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바람이 유동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의 상기 다수의 구멍은 하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걸이봉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30-60°의 각을 이룬 2열로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각이 약 4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플런저 펌프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의 효율적인 배분을 위해, 상기 걸이봉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과 유체 소통하고 타단은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봉 내에서 유속 저항을 고려하여, 상기 걸이봉의 구멍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유체 소통하는 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걸이봉을 형성할 경우, 걸이봉의 각 구멍에서 나오는 바람의 세기를 가능하게는 균일하게 하여, 걸이봉에 걸린 빨래의 비교적 균일한 건조 속도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펌프의 토출구를 상기 프레임에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상기 연결 파이프에는 바람직하게는 둘레의 일부에 가열 코일 형태의 히터가 설치되어, 플러저 펌프에 의해 발생하여 연결 파이프를 지나가는 바람을 가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걸이봉의 구멍을 통해 빨래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히터는 상기 프레임의 직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빨래 건조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하방으로 상기 다리부에, 자외선 히터가 설치된 신발 건조부를 신발을 걸칠 수 있는 형태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빨래 건조대는 상기 프레임의 하방으로 설치된 빨래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히터 및/또는 자외선 살균램프의 스위치는 상기 플런저 펌프의 스위치와 별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는 빨래가 걸리는 모든 걸이대를 통해 바람을 빨래 쪽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빨래 건조대에 널린 모든 빨래가 고르게 보다 빠르게 건조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는 송풍기를 사용하지 않고 플런저 펌프에 의해 바람을 제공하므로 소음 발생이 매우 적고, 송풍기에 비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의 걸이대를 분리한 것으로서 걸이대에 형성된 구멍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태, 특징 및 이점은 대표적인 실시예의 하기 설명을 포함하고, 그 설명은 수반하는 도면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은 기본적으로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Y형 이동식 빨래 건조대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송풍 메커니즘이 적용된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다. 통상의 빨래 건조대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상부의 중심축(X)과 연결되고 중심축(X)을 중심으로 좌우에서 회동하여 펴지고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한 쌍의 “ㄷ”자형 관형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다수의 관형 걸이봉(20)이 바람직하게는 등 간격으로 평행하게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10) 아래 쪽에는 중심축(X)과 연결되고 중심축(X)을 중심으로 펴지고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한 쌍의 다리부(30)가 위치하여, 프레임(10)을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고, 지지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프레임(10)이 접히거나 내려가지 않게 지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이봉(2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과 도 2를 교차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걸이봉(20)은 양단이 상기 프레임(10)의 평행한 부분 사이에 고정되는데, 일단(20a)은 열린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10)과 유체 소통할 수 있으면서 기밀하게 연결되고, 타단(20b)은 공기가 통할 수 없게 막힌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은 걸이봉(20)의 열린 구조를 가진 일단(20a)과 연결되어 유체 소통하는 측에서, 중심축(X)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걸이봉과 연결되는 부분의 부근에서 그 내부가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봉(20)은 프레임(10)을 펼 때 바닥을 향하는 부분(도 1에서 점원으로 확대된 부분은 바닥 측에서 올려 봤을 때의 모습임)에 걸이봉(20)의 내부와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21, 22)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구멍(21, 22)은 서로 평행하게 2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열에서 구멍들(21, 22)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구멍(21)과 구멍(22)과의 끼인각(θ)은 약 45°이다. 도 2에서 동일한 크기로 도시되었을 지라도, 각각의 열에 있는 구멍들은 열린 구조를 가진 일단(20a)에서 닫힌 구조를 가진 타단(20b)으로 갈수록 점점 구멍의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빨래 건조대의 바닥 쪽에는 소형 플런저 펌프(40)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플런저 펌프는 다리부(30) 측에 설치될 수 잇다. 상기 플런저 펌프(40)는 흡입구가 대기에 노출되어 공기를 빨아들이고 토출구는 연결 파이프(41)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파이프는 다리부(30)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거나 다리부(30) 자체가 연결 파이프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펌프(40)는 프레임(10)과 연결 파이프(41)에 의해 연결되므로, 플런저 펌프(40)의 가동 시 생성되는 바람은 연결 파이프를 타고 프레임(10)으로 유동하게 된다. 프레임(10)과 유체 소통하게 연결된 걸이봉(20)은 보통 직경이 6φ 내외로 작으므로 프레임(10)까지 온 바람이 처음에는 걸이봉(20) 내로 유동하기가 쉽지 않지만, 플런저 펌프(40)가 계속 작동하면 프레임(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결국 바람이 걸이봉(20) 내로 들어가게 되고, 걸이봉(20)의 구멍들(21, 22)을 통해 배출된다. 플런저 펌프(30)는 플런저가 왕복함에 따라 공기의 압축을 반복하므로, 구멍들(21, 22)을 통해 배출되는 바람은 그 세기가 일정하지 않고, 플런저가 왕복하는 주기에 상응하게 반복하는 펄스파와 유사한 파형의 세기를 갖게 된다.
연결 파이프의 일 부분에는 그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최종적으로 걸이봉(20)의 구멍들(21, 22)을 통한 온풍을 제공하기 위해, 열선이 연결 파이프(41)를 감싸거나 연결 파이프(41) 내부에 열선이 위치하는 형태의 히터(50)가 설치된다. 히터(50)의 가동에는 추가적인 전력이 소모되므로, 히터(50)에는 플런저 펌프(40)와 별개로 작동 스위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30)의 비교적 하부에는 신발을 건조하기 위해 신발을 걸기에 적합한 형태를 가진 신발 걸이대(60)가 위치한다. 신발 걸이대(60)에는 신발의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함과 아울러 살균을 위해 자외선 히터(70)가 설치된다. 걸이봉(20)에 걸린 빨래를 살균하기 위해, 다리부(30)의 중간쯤에는 다리부 양측으로 돌출하게 고정될 수 있는 보조 걸이봉에 자외선 램프(80)가 설치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모든 범위에서 보호받을 권리가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20: 걸이봉 21, 22: 걸이봉의 구멍 30: 다리부 40: 플런저 펌프 41: 연결 파이프 50: 히터 60: 신발 걸이대 70: 자외선 히터 80: 자외선 램프

Claims (6)

  1. 적어도 일부가 평행하게 형성된 관형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평행한 부분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관형 걸이봉으로서, 각각의 걸이봉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프레임과 유체 소통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구멍이 형성됨;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을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유지시키기 위한 다리부; 및
    흡입구는 대기에 노출되고 토출구는 연결 파이프를 통해 상기 프레임에 기밀하게 연결된 플런저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펌프의 동작 시 바람이 상기 걸이봉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걸이봉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과 유체 소통하고 타단은 막혀 있으며, 상기 걸이봉의 구멍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유체 소통하는 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의 상기 다수의 구멍은 하향하여 나란히 2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멍은 상기 2열이 상기 걸이봉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30-60°의 각을 이루도록 간격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에 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빨래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히터가 설치된 신발 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KR1020120039741A 2012-04-17 2012-04-17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빨래 건조대 KR101341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41A KR101341922B1 (ko) 2012-04-17 2012-04-17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41A KR101341922B1 (ko) 2012-04-17 2012-04-17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060A KR20130117060A (ko) 2013-10-25
KR101341922B1 true KR101341922B1 (ko) 2013-12-17

Family

ID=4963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741A KR101341922B1 (ko) 2012-04-17 2012-04-17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97A (ko) 2015-01-21 2016-07-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빨래건조장치
WO2017217784A1 (ko) * 2016-06-16 2017-12-21 김양현 송풍성이 개선된 빨래 건조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4580B3 (de) * 2016-03-11 2017-03-30 Leifheit Ag Wäschetrockner
KR102426983B1 (ko) 2020-07-21 2022-07-29 (주)코러싱 열풍 건조가 가능한 빨래 건조대
KR102619372B1 (ko) * 2021-11-17 2023-12-29 주식회사 제로나인 메트리얼 살균, 건조 및 주름 펴짐 기능을 포함하는 빨래 건조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807Y1 (ko) * 2005-11-28 2006-03-03 안상현 접철식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807Y1 (ko) * 2005-11-28 2006-03-03 안상현 접철식 빨래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97A (ko) 2015-01-21 2016-07-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빨래건조장치
WO2017217784A1 (ko) * 2016-06-16 2017-12-21 김양현 송풍성이 개선된 빨래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060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922B1 (ko) 빨래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빨래 건조대
JP4967021B2 (ja) 棚型衣類乾燥機
CN208562906U (zh) 烘干晾衣组件和烘干下置式晾衣机
KR101410982B1 (ko) 다기능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368656B1 (ko)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CN206768463U (zh) 一种便携式烘干衣架
TW200716816A (en) A clothes drying machine (1)
US9140497B2 (en) Clothes drying rack
KR100886771B1 (ko)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절첩식 건조기
KR20140137776A (ko) 빨래건조대에 장착하는 온풍공급시스템
CN203440684U (zh) 壁挂式干衣机
KR20060118923A (ko) 스탠드식 옷걸이 겸용 빨래 건조대
KR20070024999A (ko) 의류 건조기
CN205683052U (zh) 一种电风干鞋架
CN109763310A (zh) 一种智能烘干熨烫衣架及其控制方法
KR20090107576A (ko) 다기능 빨래건조대
CN108330660A (zh) 独立式烘干模块和烘干下置式晾衣机
CN104452230B (zh) 一种晾衣柜
CN210368380U (zh) 一种封闭式热循环家用烘衣机
CN207666558U (zh) 鞋用杀菌烘干器
WO2019128272A1 (zh) 一种多用途暖风机装置
CN106510528A (zh) 毛巾干燥机
CN108131904A (zh) 一种家用烘干杀菌消毒砧板柜
CN204626092U (zh) 多用便携小衣物吹干杀菌机
KR200438977Y1 (ko) 접이식 세탁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