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629B1 - 리니어 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니어 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629B1
KR101341629B1 KR1020120062571A KR20120062571A KR101341629B1 KR 101341629 B1 KR101341629 B1 KR 101341629B1 KR 1020120062571 A KR1020120062571 A KR 1020120062571A KR 20120062571 A KR20120062571 A KR 20120062571A KR 101341629 B1 KR101341629 B1 KR 10134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track
spring
mover
movem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준
이춘세
유요한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고 경제적이면서도 마그넷 트랙을 효율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전자석을 포함하는 이동자와,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자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이동자를 직선으로 이동시키되 이동자의 이동시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이동자의 이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마그넷 트랙과, 일단부는 마그넷 트랙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고정단에 지지되며, 마그넷 트랙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마그넷 트랙의 직선 이동시,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과 스프링의 변형량이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스프링은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리니어 모터 시스템{Linear motor system}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반발력을 보상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원형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형한 것으로, 이와 같은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반도체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공개특허 10-2011-0023329호 등이 공개된바 있다.
이와 같은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을 포함하는 이동자(1)와,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자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이동자를 직선이동시키는 마그넷 트랙(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자(1)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때 반발력(즉, 반작용의 힘)에 의해 마그넷 트랙(2)은 이동자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마그넷 트랙(2)을 원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그넷 트랙에는 마그넷 트랙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프링(3)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마그넷 트랙(2)은 한정된 공간(예를 들어, 모션 스테이지 내부)에서만 이동가능하므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마그넷 트랙에 연결된 스프링(3)이 일정 크기 이상의 강성(탄성계수)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마그넷 트랙(2)의 이동변위를 감소시키기 위해 스프링(3)의 강성이 커질수록 반발력의 보상률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4는 마그넷 트랙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넷 트랙을 한정된 구간 안에서만 이동시키면서도 높은 반발력 보상률을 가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리니어 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전자석을 포함하는 이동자와,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자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자를 직선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이동자의 이동시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이동자의 이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마그넷 트랙과, 일단부는 상기 마그넷 트랙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고정단에 지지되며, 상기 마그넷 트랙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마그넷 트랙의 직선 이동시, 상기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과 상기 스프링의 변형량이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스프링은 상기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의 변위량이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에 대하여 비선형적으로 변화되므로, 마그넷 트랙을 한정된 구간 안에서만 이동시키면서도 높은 반발력 보상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과 스프링의 변형량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 와전류 감쇠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과 스프링의 변형량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100) 이동자(10)와, 마그넷 트랙(20)과, 스프링(30)을 포함한다.
이동자(10)는 코어와 이 코어 둘레에 감겨진 코일을 포함하며, 전자석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자(10)는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이때 이동자의 이동을 위해 가이드 레일(도면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넷 트랙(20)은 복수의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일렬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이동자의 하측(또는, 상측)에 배치된다.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 트랙(20)은 가이드 레일(4)에 결합되어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마그넷 트랙(20)과 이동자(1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프링(30)은 마그넷 트랙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마그넷 트랙에 복원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프링은 4개 구비되며, 마그넷 트랙의 양측 단부의 측면에 하나씩 배치된다. 그리고, 각 스프링의 일단부는 마그넷 트랙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고정단(5)에 고정된다. 이때, 스프링의 길이 방향(변형되는 방향)과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스프링의 길이 방향과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자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동자와 마그넷 트랙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이동자(10)가 직선이동된다. 그리고, 이동자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마그넷 트랙(20)은 이동자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데, 마그넷 트랙(20)에 결합된 스프링(30)이 마그넷 트랙에 복원력을 인가하므로, 마그넷 트랙은 진동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0)과 마그넷 트랙(20)의 이동 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면, 스프링의 변형량과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이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지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부터 마그넷 트랙이 dS 만큼 이동하였을 때 스프링의 변형량 △d1과, 마그넷 트랙이 2dS 만큼 이동하였을 때 스프링의 변형량 △d2를 비교하면,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이 2배가 되었을 때 스프링의 변형량은 2배 보다 훨씬 더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즉, △d2 > 2△d1).
다시 말해서, 마그넷 트랙의 이동 초기시(즉, 이동량이 적은 상태로 도 3의 θ가 작은 경우)에는 스프링의 길이 변화율은 낮은 반면, 마그넷 트랙이 이동량이 커지면(θ가 큰 경우) 이에 따라 스프링이 길이가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의 길이 변화율 자체가 증가하므로 스프링이 변형량은 비선형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한편, 마그넷 트랙으로 전달되는 복원력은 스프링의 변형량에 비례하므로,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이 적은 상태에서는 마그넷 트랙으로 전달되는 복원력이 크지 않고, 따라서 높은 수준의 반발력 보상률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이 커지면 스프링의 변형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마그넷 트랙으로 전달되는 복원력 역시 급격히 증가하므로, 마그넷 트랙이 제한된 구간 내에서만 진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그넷 트랙의 진폭이 작은 상태에서는 높은 수준의 반발력 보상률을 유지하면서 마그넷 트랙의 진동을 감쇠할 수 있고, 마그넷 트랙의 진폭이 커지면 마그넷 트랙에 인가되는 복원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마그넷 트랙이 제한된 구간 내에서 진동하게 되므로, 마그넷 트랙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탄성계수 자체가 비선형성을 가지는 고가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스프링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작단가 및 제작의 용이성 측면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100A)은 마그넷 트랙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스프링(30) 뿐 아니라, 마그넷 트랙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스프링(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스프링을 함께 구성하면, 마그넷 트랙에 인가되는 강성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마그넷 트랙의 진동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30)은 2개 구비되며, 마그넷 트랙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그리고, 각 스프링의 일단부는 마그넷 트랙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고정단(5)에 고정된다. 이때, 스프링의 길이 방향(변형되는 방향)과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스프링의 길이 방향과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이 서로 직교하지 않고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과 스프링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면,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과 스프링의 변형량 사이의 비선형성이 변하게 된다.
즉, 앞서 도 3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도 3의 θ가 큰 상태일수록 스프링의 길이 변화율 자체가 증가한다. 따라서,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과 스프링이 이루는 초기각도(증, 평형상태에서의 각도)를 변화시키면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과 스프링의 변형량 사이의 비선형성이 변하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을 이용하여 마그넷 트랙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초기 변형량 즉 평형상태에서 스프링이 변형된 길이를 변경하면, 마그넷 트랙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변화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마그넷 트랙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프링(30)만을 설치하더라도 마그넷 트랙의 진동을 감쇠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 트랙과 동일 평면 상이 아니라, 마그넷 트랙이 배치된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도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다.
100...리니어 모터 시스템 10...이동자
20...마그넷 트랙 30,40...스프링
4...가이드 레일 5...고정단

Claims (4)

  1. 전자석을 포함하는 이동자와,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자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자를 직선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이동자의 이동시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이동자의 이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마그넷 트랙과,
    일단부는 상기 마그넷 트랙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고정단에 지지되며, 상기 마그넷 트랙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마그넷 트랙의 직선 이동시, 상기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과 상기 스프링의 변형량이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스프링은 상기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 트랙의 이동방향과 상기 스프링이 배치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 또는 상기 스프링의 초기 변형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마그넷 트랙의 이동량과 상기 스프링의 변형량 사이의 비선형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트랙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마그넷 트랙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
KR1020120062571A 2012-06-12 2012-06-12 리니어 모터 시스템 KR10134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71A KR101341629B1 (ko) 2012-06-12 2012-06-12 리니어 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71A KR101341629B1 (ko) 2012-06-12 2012-06-12 리니어 모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629B1 true KR101341629B1 (ko) 2013-12-13

Family

ID=4998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571A KR101341629B1 (ko) 2012-06-12 2012-06-12 리니어 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596A (ko) * 2016-10-28 2018-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연가이드기구가 적용된 반력보상모듈을 갖는 생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진동 제어방법
KR101864846B1 (ko) * 2017-01-03 2018-06-0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수동 반발력 보상 기능을 갖는 선형 모터 모션 스테이지
CN108988597A (zh) * 2018-08-10 2018-12-11 深圳大学 嵌入式直线开关磁阻电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693A (ko) * 2000-12-27 2002-07-05 이마이 기요스케 공전운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
KR20110023329A (ko) * 2009-08-31 2011-03-08 주식회사 져스텍 선형 모터 시스템 및 그 반발력 보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693A (ko) * 2000-12-27 2002-07-05 이마이 기요스케 공전운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
KR20110023329A (ko) * 2009-08-31 2011-03-08 주식회사 져스텍 선형 모터 시스템 및 그 반발력 보상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596A (ko) * 2016-10-28 2018-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연가이드기구가 적용된 반력보상모듈을 갖는 생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진동 제어방법
KR101864846B1 (ko) * 2017-01-03 2018-06-0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수동 반발력 보상 기능을 갖는 선형 모터 모션 스테이지
US10232734B2 (en) 2017-01-03 2019-03-19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Linear motor motion stage with passive reaction force compensation function
CN108988597A (zh) * 2018-08-10 2018-12-11 深圳大学 嵌入式直线开关磁阻电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a novel arrayed magnetic spring with high negative stiffness for low-frequency vibration isolation
CN105402297B (zh) 磁负刚度阻尼器
Dong et al. Enhanced isolation performance of a high-static–low-dynamic stiffness isolator with geometric nonlinear damping
US20150137627A1 (en) Vibration actuator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20180241293A1 (en) Vibration motor
KR100469104B1 (ko) 자기스프링구조 및 이 자기스프링구조를 사용한진동완화기구
KR101341629B1 (ko) 리니어 모터 시스템
US20210094799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elevator apparatus
CN112696449B (zh) 一种适用于低频减隔振的负刚度电磁执行机构
Sodano et al. Non-contact vibration control system employing an active eddy current damper
Hwang et al. Solitary waves in bistable lattices with stiffness grading: augmenting propagation control
US10257614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CN105471318A (zh) 浅势阱五稳态可切换型非线性宽频振动能量采集器及其应用
US11056959B2 (en) Linear actuator
JP2014218879A (ja) コイルバネと転動溝による免震装置
JP4727151B2 (ja) 除振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254249B1 (ko) 회로 개폐 스위치가 구비된 코일 와전류 감쇠기 및 이를 구비한 모션 스테이지
JP2002081498A (ja) 除振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063350B1 (ko) 댐퍼를 구비한 평판형 스피커
US10232734B2 (en) Linear motor motion stage with passive reaction force compensation function
KR101644175B1 (ko) 선형 모터 스테이지
JP4044977B2 (ja) 板ばね振動型磁気式ダンパ
JP5890721B2 (ja) 発電素子
KR101501159B1 (ko) 반발력 보상장치를 구비한 선형 모터 스테이지
JP2016077037A (ja) 発電装置および発電装置の設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