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182B1 - Wiring duct connector - Google Patents

Wiring duct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182B1
KR101340182B1 KR1020120056216A KR20120056216A KR101340182B1 KR 101340182 B1 KR101340182 B1 KR 101340182B1 KR 1020120056216 A KR1020120056216 A KR 1020120056216A KR 20120056216 A KR20120056216 A KR 20120056216A KR 101340182 B1 KR101340182 B1 KR 10134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main body
connection
locking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4037A (en
Inventor
마사토 도키
유키히로 마츠노부
신이치로 야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접속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X)의 양쪽에 제 1 및 제 2 접속부(3A, 3B)를 가지고, 길이 방향(X)의 중앙 부분에, 센터 맞춤용의 스토퍼 구조(20)로서, 돌기형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를 가진다. 이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는 접속 장치 본체(1)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도록 배치된 것이다.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has the 1st and 2nd connection part 3A, 3B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and centers to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s the stopper structure 20 for a dragon, it has the 1st and 2nd locking parts 30A and 30B which have protrusion shape. These 1st and 2nd locking parts 30A and 30B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As shown in FIG.

Figure R1020120056216
Figure R1020120056216

Description

배선 덕트 접속 장치{WIRING DUCT CONNECTOR}Wiring Duct Connector {WIRING DUCT CONNECTOR}

본 발명은 배선 덕트끼리를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ring ducts.

분단된 배선 덕트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이용된다(특허문헌 1 등 참조).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이다. 즉,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도시와 같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형상의 접속 장치 본체(101)를 구비하고, 이 접속 장치 본체(101)의 길이 방향의 양쪽에, 측면으로부터 접촉자(102)를 돌출시킨 제 1 및 제 2 접속부(103A, 103B)를 가진다. 제 1 및 제 2 접속부(103A, 103B)는 각각 대응하는 배선 덕트(110)의 단부 개구에 삽입되고, 그 배선 덕트(110)내에 배치되는 도체(105)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접촉자(102)를 전기 접속시킨다.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disconnected wiring ducts,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is used (refer patent document 1 etc.). This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is a structure as shown to FIG. 13, FIG. In other words, the wiring duct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01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a plan view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contactors 102 are provided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01. It has the 1st and 2nd connection part 103A, 103B which protrude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03A and 103B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end openings of the corresponding wiring duct 110, and the contacts 102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onductor 105 disposed in the wiring duct 110 are respectively. ) Is electrically connected.

그런데, 이러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접속 장치 본체(101)의 길이 방향의 센터 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속 장치 본체(10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스토퍼 구조(120)가 마련된다. By the way, in such a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in order to facilitate centering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01, the stopper structure 120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01. As shown in FIG.

이 스토퍼 구조(120)는 접속 장치 본체(101)의 일면(101a)측에서 돌출하도록 편향력(biasing force)을 받는, 제 1 및 제 2 계지부(130A, 130B)로 이루어진다. 제 1 계지부(130A)는 접속 장치 본체(101)의 제 1 접속부(103A)가 한 쪽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케이스(111)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밀어 넣어서 수용된다. 제 2 계지부(130B)는 제 2 접속부(103B)가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에 삽입되었을 때에, 이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밀어 넣어서 수용된다. The stopper structure 120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130A and 130B which are subjected to a biasing force so as to protrude from the one surface 101a side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01.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A is push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1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3A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01 is inserted into the case 111 of one of the wiring ducts 110. Put into is accepted. Wh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03B is inserted into the wiring duct 110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0B is accommodated by being push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1 of the wiring duct 110.

이 스토퍼 구조(120)를 마련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103A)를 한 쪽 배선 덕트(110)내에 삽입하면, 제 1 계지부(130A)가 배선 덕트(110)내에 밀어 넣어지고, 제 2 계지부(130B)의 돌출 선단 부분이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 단면에 닿는다. 이에 따라,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삽입이 센터 위치에서 멈춰진다. According to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is stopper structure 120, as shown in FIG. 14, when the 1st connection part 103A is inserted in one wiring duct 110, the 1st locking part 130A will be a wiring duct. It pushes in the 110, and the protruding tip part of the 2nd locking part 130B contacts the end surface of the case 111 of the wiring duct 11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insertion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is stopped at the center position.

다음에, 제 2 접속부(103B)를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내에 삽입하면, 제 2 계지부(130B)가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거쳐서, 배선 덕트(110)끼리가 전기 접속된다. Next, wh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03B is inserted into the other wiring duct 110,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0B is accommodated in the other wiring duct 110, via the wiring duct connecting device. The wiring ducts 1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126830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26830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스토퍼 구조(120)를 구비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접속 완료 후의 접속 장치 본체(101)가, 배선 덕트(110)내에서 기울어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제 1 계지부(130A)와 제 2 계지부(130B)를, 접속 장치 본체(101)의 한 쪽에서 평면에서 볼 때 선대칭이 되는 배치로 마련하고 있으므로, 양 계지부(130A, 130B)가 그 편향력에 의해서 받는 반발력이, 접속 장치 본체(101)의 전체를 일방향(도 14 중의 화살표 r 참조)으로 기울게 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배선 덕트(110)내의 도체(105)에 대한 접촉자(102)의 전기 접속이, 불안정화되기 쉬운 것이었다. In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topper structure 120 shown in FIG. 13, FIG. 14, there exist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01 after completion of connection tends to incline in the wiring duct 110. FIG. That is, since the 1st locking part 130A and the 2nd locking part 130B are provided in the arrangement which becomes line symmetry in plan view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01, both locking parts 130A and 130B are This is because the repulsive force received by the deflection force inclines the entir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01 in one direction (see arrow r in FIG. 14).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tactor 102 to the conductor 105 in the wiring duct 110 tends to be unstabl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접속 후의 배선 덕트내에 있어서 접속 장치 본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배선 덕트에 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problem, and makes it a subject to restrain the inclination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in the wiring duct after connection, and to stabilize electric connection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ith respect to a wiring duct by thi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양쪽에 가지는 접속 장치 본체의 중앙 부분에, 일면측에서 돌출하도록 편향력을 받는 제 1 및 제 2 계지부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를,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한 것이다. A wiring duct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 structure including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that are bias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side in a central portion of a connecting device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on both sides.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re arranged in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또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의 쌍을 복수 쌍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rranged in point symmetry.

또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의 쌍을 2쌍 마련하고, 한 쌍의 제 1 계지부와, 다른 쌍의 제 2 계지부의 배치를, 상기 접속 장치 본체를 길이 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Moreover, two pairs of said 1st and 2nd engagement parts arrange | positioned by point symmetry are provided,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of a pair of 1st engagement part and another pair of 2nd engagement parts is carried out by the said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viding may be arranged so as to be linear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또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를,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시켜도 좋다.
Moreover, you may place the said 1st and 2nd locking part arrange | positioned by point symmetry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said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본 발명은 접속 후의 배선 덕트내에 있어서 접속 장치 본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배선 덕트에 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전기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inclination of the connecting apparatus main body in the wiring duct after the connection, whereby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wiring duct connecting apparatus to the wiring duct can be stabi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한 쪽 배선 덕트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한 쪽 배선 덕트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한 쪽 배선 덕트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한 쪽 배선 덕트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iring duct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one wiring duct.
It is a top view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was inserted in one wiring duct.
It is a top view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to one wiring duct.
It is a top view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ntional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is inserted into one wiring duct.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1-4,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s shown.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형상의 접속 장치 본체(1)를 구비하고, 이 접속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X)의 양쪽에, 제 1 및 제 2 접속부(3A, 3B)를 형성하고 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shown to FIG. 13, FIG. That is,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ar view, and is provided in bo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is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n 1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A and 3B.

제 1 및 제 2 접속부(3A, 3B)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제 1 접속부(3A)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The 1st and 2nd connection parts 3A and 3B have the same structure. Therefore, below, the structure of 3 A of 1st connection parts is demonstrated.

제 1 접속부(3A)의 폭 방향(Y)의 양 측면으로부터는 각각 접촉자(2)를 돌출시키고 있다. 이 접촉자(2)는 돌출 형상을 이루는 접촉 부분(4)을, 길이 방향(X)으로 거리를 둔, 예컨대, 2개소에 형성한 것이다. 제 1 접속부(3A)에는 각 접촉자(2)를 바깥 쪽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고, 양측의 접촉자(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편향된다. The contactor 2 is protrude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1st connection part 3A, respectively. The contact 2 is formed at two locations, for example, at a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with the contact portion 4 forming a protruding shape. A spring member (not shown) for biasing each contactor 2 outwar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A, and the contactors 2 on both sides are elastically deflect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배선 덕트(1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긴 통 형의 케이스(111)를 가지고, 케이스(111)의 내부 공간이 긴 홈 형의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11)의 양 측벽의 내면으로부터는 도체 유지부(112)가 돌출설치되고, 이 도체 유지부(112)의 선단부에 도체(115)가 고정되어 있다. 도체(115)는 배선 덕트(1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되고, 코어 내를 향하여 평탄한 접속면을 노출시킨다. The wiring duct 110 has an elongated cylindrical case 111 as shown in FIG. 2, and consists of a groove-shaped core having a long internal space of the case 111. The conductor holding part 112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 walls of the case 111, and the conductor 115 is fixed to the front-end | tip of this conductor holding part 112. As shown in FIG. The conductor 115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wiring duct 110 and exposes a flat connection surface toward the core.

접속 장치 본체(1)에 형성한 제 1 및 제 2 접속부(3A, 3B)는 대응하는 배선 덕트(110)의 단부 개구에 각각 삽입되고, 배선 덕트(110)내에 배치되는 도체(115)의 접속면에 대하여, 접촉자(2)를 전기 접속시킨다.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A, 3B formed in the connecting apparatus main body 1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end openings of the corresponding wiring duct 110, and the connection of the conductors 115 arranged in the wiring duct 110 is connected. The contactor 2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접속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접속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X)의 센터 맞춤을 행하기 위한 스토퍼 구조(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토퍼 구조(20)는 접속 장치 본체(1)의 일면(도 1의 예에서는 상면)(1a)에서 돌출하도록 편향력을 받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 로 이루어진다. The stopper structure 20 for center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connector main body 1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The stopper structure 20 of this embodiment has a pair of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0A, 30B subjected to a biasing force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example of FIG. 1) 1a of the connecting apparatus main body 1. )

여기서, 평면에서 볼 때, 접속 장치 본체(1)를 길이 방향(X)으로 이분하는 선을 접속 장치 본체(1)의 중심선(L1)으로 한다. 이 중심선(L1)의 폭 방향(Y)의 중심을 접속 장치 본체(1)의 중심점(P)으로 한다. 이 때,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는 접속 장치 본체(1)의 일면(1a)측을 볼 때(즉, 접속 장치 본체(1)를 평면에서 볼 때) 중심점(P)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이 되는 배치 및 치수형상을 갖고 있다. 이하,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 the line which divides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s the center line L1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n plan view.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is center line L1 is set to the center point P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etc., when the 1st and 2nd latching | locking parts 30A and 30B see the one surface 1a side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that is,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s planarly viewed). In view of the above, it has an arrangement and dimension shape that are point symmetrical about the center point P.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 1 계지부(30A)는 중심선(L1)을 사이에 두고 분단되는 접속 장치 본체(1)의 절반부 중, 제 1 접속부(3A)측이 되는 절반부의 중심선(L1) 근방에 배치되고, 돌기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1 계지부(30A)는 그 돌출 선단을 중심선(L1)측을 향하는 자세로 있고, 또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돌출 선단에 근접할수록 일면(1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자세로 있다. 30 A of 1st locking parts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center line L1 of the half part used as the 1st connection part 3A side among the half parts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divided by the center line L1, and a processus | protrusion It has a shape.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is in a posture with its protruding tip facing the center line L1 side and in an inclined posture so as to move away from one surface 1a closer to the protruding tip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 2 계지부(30B)도, 제 1 계지부(30A)와 마찬가지의 돌기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제 2 계지부(30B)는 중심선(L1)을 사이에 두고 분단되는 접속 장치 본체(1)의 절반부 중, 제 2 접속부(3B)측이 되는 절반부의 중심선(L1)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계지부(30B)는 그 돌출 선단을 중심선(L1)측을 향하는 자세로 있고, 또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돌출 선단에 근접할수록 일면(1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자세로 있다.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also has the same protrusion shape as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That is, the 2nd locking part 30B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line L1 of the half part used as the 2nd connection part 3B side among the half parts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divided by the center line L1 in between. have.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is in a posture with its protruding tip facing the center line L1 side, and in an inclined posture so as to move away from one surface 1a closer to the protruding tip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그리고, 제 1 계지부(30A)는 폭 방향(Y)의 양 단부 중 한 쪽 단부에 배치되고, 제 2 계지부(30B)는 폭 방향(Y)의 양 단부 중 다른 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is disposed at one end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Y,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Y. have.

이상의 구조에 의해, 제 1 계지부(30A)와 제 2 계지부(30B)는중심점(P)을 중심으로 해서, 점대칭이 되는 위치(즉, 평면에서 볼 때, 중심점(P)을 중심으로 해서 180도 회전시켰을 때에 회전 전과 동일하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마찬가지로중심점(P)을 중심으로 해서 점대칭이 되는 치수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By the above structure, the 1st locking part 30A and the 2nd locking part 30B are centered on the center point P, and become the point symmetry position (namely, centering on the center point P in plan view). It is arranged in the same position as before the rotation when rotated 180 degrees), and similarly provided in a dimensional shape that is point symmetrical around the center point P.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제 1 접속부(3A)가 한 쪽 배선 덕트(110)내에 삽입되면, 돌기형상인 제 1 계지부(30A)가,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 내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그 기울기를 서서히 작게 하도록 휘어진다. 그리고, 제 1 계지부(30A)의 돌출 선단이 케이스(111)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이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된다. According to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when 3 A of 1st connection parts are inserted in the one wiring duct 110, the 1st locking part 30A of a projection shape will be the case (of the wiring duct 110). 111) Whil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the inclination is bent to gradually decrease. The protruding tip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is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110 in a state where the protruding tip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is push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1.

그리고, 접속 장치 본체(1)의 절반부가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된 시점에서, 돌기형상인 제 2 계지부(30B)의 돌출 선단이,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 단면에 닿는다. 이에 따라, 접속 장치 본체(1)의 삽입이 센터 위치에서 멈춰진다. 여기서, 배선 덕트(110)에는 제 2 계지부(30B)의 돌출 선단이 닿는 케이스(111) 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And when the half part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s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110, the protruding tip of the 2nd locking part 30B of a protrusion shape touches the end surface of the case 111 of the wiring duct 11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insertion of the connecting apparatus main body 1 is stopped at the center position. Here, the protrud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wiring duct 110 downward from the end face of the case 111 which the protruding tip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touches.

다음에, 접속 장치 본체(1)의 제 2 접속부(3B)측을,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거쳐서, 한 쪽 배선 덕트(110)와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가 전기 접속된다. Next, the 2nd connection part 3B side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s inserted in the other wiring duct 110. As shown in FIG. Thereby, one wiring duct 110 and the other wiring duct 1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이때,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에도 제 1 계지부(30A)의 돌출 선단이 닿는 케이스(111) 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 장치 본체(1)의 절반부가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된 시점에서, 접속 장치 본체(1)의 다른 절반부가 다른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되면, 제 2 계지부(30A)가 다른 배선 덕트(110)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린다. 하지만,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의 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돌출부에 제 2 계지부(30B)의 돌출 선단이 닿는다. 마찬가지로, 다른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에도 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돌출부에 제 1 계지부(30A)의 돌출 선단이 닿아서 접속 장치 본체(1)가 움직이는 일이 없이 고정된다.At this time, a protrud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other wiring duct 110 downward from the end face of the case 111 where the protruding tip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touches. That is, when the other half part of the connection device main body 1 is accommodated in the other wiring duct 110 at the time when the half part of the connection device main body 1 is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110, the 2nd locking part 30A will differ. It is pressed downward by the wiring duct 110. However, since the protrusion is formed downward from the end face of the case 111 of the wiring duct 110, the protruding tip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touches the protrusion. Similarly, since the projection 111 is formed downward from the end face in the case 111 of the other wiring duct 110, the protruding tip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touches the projection so that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moves. Is fixed without.

또한, 배선 덕트(110)내에서 휜 상태에 있는 제 1 계지부(30A)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편향력이 작용한다. 제 1 계지부(30A)는 이 편향력의 반발력을 배선 덕트(110)로부터 받고, 이 반발력이 접속 장치 본체(1) 전체에 가해진다. Moreover, the biasing force which tries to return to the state which external force does not apply to the 1st locking part 30A which is in the state which is in the state in the wiring duct 110 acts.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receives the repulsive force of this deflection force from the wiring duct 110, and this repulsive force is applied to the entir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마찬가지로, 배선 덕트(110)내에 있는 제 2 계지부(30B)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편향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편향력의 반발력이, 제 2 계지부(30B)를 통해 접속 장치 본체(1) 전체에 가해진다. Similarly, the biasing force which tries to return to the state which external force does not apply to the 2nd locking part 30B in the wiring duct 110 acts.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is defle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whol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via the 2nd locking part 30B.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30A)와 제 2 계지부(30B)를, 평면에서 볼 때, 중심점(P)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도록 마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계지부(30A)가 받는 반발력과, 제 2 계지부(30B)가 받는 반발력이 상쇄되어, 접속 장치 본체(1)에는 경사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are provided to be poin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P in a plan view. Therefore, the repulsion force received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and the repulsion force received by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are canceled, and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s less likely to be inclined.

도 5 ~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5-8,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s shown.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mentioned above. Therefore, below, the structure different from Embodiment 1 is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X)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스토퍼 구조(20)로서, 돌기형상인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의 쌍을 2쌍 형성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의 각 쌍은 각각이 중심점(P)에 대하여 점대칭인 배치 및 치수형상이다. 그리고, 한 쪽 쌍의 제 1 계지부(30A)와, 다른 쪽의 쌍의 제 2 계지부(30B)는 접속 장치 본체(1)를 길이 방향(X)으로 이분하는 중심선(L1)을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인 배치 및 치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한 쪽 쌍의 제 1 계지부(30A)와, 다른 쪽의 쌍의 제 2 계지부(30B)는 중심선(L1)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돌출 선단을 대향시킨 돌기형상을 가진다. In this embodiment, as a stopper structure 20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two pairs of pair of protrusion-shaped 1st and 2nd locking parts 30A, 30B are formed. Doing. Each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0A, 30B is an arrangement and dimension shape, each of which is poin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P. FIG. Then, one pair of first locking portions 30A and the other pair of second locking portions 30B are centered on a center line L1 that divides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s shown in FIG. Thus, the arrangement and dimension shape are linearly symmetrical. That is, one pair of first locking portions 30A and the other pair of second locking portions 30B have a projection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ends thereof face each other with the center line L1 interposed therebetween.

여기서, 평면에서 볼 때, 접속 장치 본체(1)를 폭 방향(짧은 방향) Y로 이분하는 선을, 접속 장치 본체(1)의 중심선(L2)으로 했을 때, 한 쪽 쌍의 제 1 계지부(30A)와, 다른 쪽의 쌍의 제 1 계지부(30A)는 중심선(L2)을 중심으로 해서 선대칭인 배치 및 치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한 쪽 쌍의 제 2 계지부(30B)와 다른 쪽의 쌍의 제 2 계지부(30B)는중심선(L2)을 중심으로 해서 선대칭인 배치 및 치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Here, when viewed from a plane, when a line dividing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nto the width direction (short direction) Y is set to the center line L2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a pair of 1st locking parts 30A and the other pair of first locking portions 30A are arranged in a line-symmetrical arrangement and dimension shape around the center line L2. Similarly, one pair of second locking portions 30B and the other pair of second locking portions 30B have a line-symmetrical arrangement and dimension shape around the center line L2.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제 1 접속부(3A)가 한 쪽 배선 덕트(110)내에 삽입되어 가면, 각 쌍의 제 1 계지부(30A)가 휘면서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되어 가고, 접속 장치 본체(1)의 절반부가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된 시점에서, 각 쌍의 제 2 계지부(30B)의 돌출 선단이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 단면에 닿는다. 이에 따라, 접속 장치 본체(1)의 삽입이 센터 위치에서 멈춰진다. 다음에, 접속 장치 본체(1)의 제 2 접속부(3B)측을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에 삽입시킴으로써, 한 쪽 배선 덕트(110)와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가 전기 접속된다. According to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when 3 A of 1st connection parts are inserted in one wiring duct 110, each pair of 1st locking part 30A will bend and it will be in the wiring duct 110. FIG. When it is accommodated and the half part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s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110, the protruding tip of each pair of 2nd locking part 30B touches the end surface of the case 111 of the wiring duct 110. . As a result, the insertion of the connecting apparatus main body 1 is stopped at the center position. Next, one wiring duct 110 and the other wiring duct 1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insert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B side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nto the other wiring duct 110.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 쌍에 있어서, 제 1 계지부(30A)가 받는 반발력과 제 2 계지부(30B)가 받는 반발력이 상쇄된다. 따라서, 접속 장치 본체(1)는 경사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repulsion force which the 1st locking part 30A receives and the repulsion force which the 2nd locking part 30B receives in each pair cancel. Therefore, the connection device main body 1 is inclined hardly to generate | occur | produce.

도 9 ~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9-12,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s shown.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mentioned above. Therefore, below, the structure different from Embodiment 1 is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X)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스토퍼 구조(20)로서, 돌기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를, 평면에서 볼 때, 접속 장치 본체(1)의 폭 방향(Y)의 중앙 부분에 1쌍 형성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는 중심점(P)에 대해 점대칭인 배치 및 치수형상이다. 즉, 폭 방향(Y)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는 중심선(L1)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돌출 선단을 대향시킨 돌기형상을 갖는다. In this embodiment, as a stopper structure 20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the 1st and 2nd latching | locking parts 30A and 30B which have a protrusion shape are viewed in plan view. At this time, a pair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As shown in FI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0A, 30B are point and symmetrical arrangements and dimens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P. FIG.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0A, 30B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Y center have protrusion shapes in which the protruding ends thereof face each other with the center line L1 interposed therebetween.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도, 제 1 접속부(3A)가 한 쪽 배선 덕트(110)내에 삽입됨에 수반해서, 제 1 계지부(30A)가 휘면서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되어 간다. 접속 장치 본체(1)의 절반부가 배선 덕트(110)내에 수용된 시점에서, 제 2 계지부(30B)의 돌출 선단이 배선 덕트(110)의 케이스(111) 단면에 닿고, 센터 위치에서 멈춰진다. 다음에, 접속 장치 본체(1)의 제 2 접속부(3B)측을,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에 삽입시킴으로써, 한 쪽 배선 덕트(110)와 다른 쪽의 배선 덕트(110)가 전기 접속된다. Also in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A is inserted into one wiring duct 110,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is bent and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110. Goes. When the half part of the connection device main body 1 is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110, the protruding tip of the 2nd locking part 30B touches the end surface of the case 111 of the wiring duct 110, and stops at the center position. Next, one wiring duct 110 and the other wiring duct 1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insert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B side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nto the other wiring duct 110. do.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계지부(30A)에 작용하는 반발력과 제 2 계지부(30B)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상쇄된다. 따라서, 접속 장치 본체(1)는 경사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repulsive force acting on 30 A of 1st locking parts, and the repulsive force acting on 2nd locking part 30B cancel. Therefore, the connection device main body 1 is inclined hardly to generate | occur | produ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3A, 3B)를 양쪽에 가지는 접속 장치 본체(1)의 중앙 부분에, 일면(1a)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편향력을 받는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를, 접속 장치 본체(1)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ing duct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urface 1a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hav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A and 3B on both sides. The stopper structure which consists of 1st and 2nd latching | locking parts 30A and 30B which receive a biasing force so that it may protrude from the side) is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0A and 30B are arranged in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따라서, 접속 장치 본체(1)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계지부(30A)가 배선 덕트(110)로부터 받는 반발력과, 제 2 계지부(30B)가 배선 덕트(110)로부터 받는 반발력이 상쇄되게 되고, 접속 장치 본체(1) 전체의 경사가 억제된다. 이에 따라, 배선 덕트(110)내의 도체(115)에 대한 접촉자(2)의 전기 접속이 안정화된다.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ion device main body 1 is mounted, the repulsive force received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from the wiring duct 110 and the repulsive force received by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from the wiring duct 110 are The offset is suppressed, and the inclination of the entir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s suppressed. As a result,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tactor 2 to the conductor 115 in the wiring duct 110 is stabil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의 쌍을 복수 쌍 마련하고 있다. In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airs of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0A and 30B arranged in point symmetry are provided.

이에 따라, 복수 마련된 제 1 계지부(30A)나, 마찬가지로 복수 마련된 제 2 계지부(30B)에 의해서, 접속 장치 본체(1)를 접속할 때의 센터 맞춤이 더욱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접속 후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의 각 쌍의 반발력이 상쇄되어, 접속 장치 본체(1)의 경사가 억제된다. Thereby, centering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s performed more reliably by the 30 A of 1st latching | locking part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2nd locking part 30B provided in the same manner. Moreover, after connection, the repulsion force of each pair of 1st and 2nd locking parts 30A, 30B cancels, and the inclination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s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의 쌍을 2쌍 마련하고, 한 쪽 쌍의 제 1 계지부(30A)와, 다른 쪽의 쌍의 제 2 계지부(30B)의 배치를, 접속 장치 본체(1)를 길이 방향(X)으로 이분하는 중심선(L1)에 대해 선대칭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In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0A and 30B arranged in point symmetry are provided, and one pair of first locking portions 30A is provid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other second locking portions 30B of the other pair are arranged so as to be line-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which divides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n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FIG.

이에 따라, 한 쪽 쌍의 제 1 계지부(30A)와, 다른 쪽의 쌍의 제 2 계지부(30B)가, 접속 장치 본체(1)를 길이 방향(X)으로 이분하는 중심선(L1)에 대해 선대칭이 되고, 또한, 양 쌍의 제 1 계지부(30A)끼리와, 양 쌍의 제 2 계지부(30B)끼리가 접속 장치 본체(1)를 폭 방향(Y)으로 이분하는 중심선(L2)에 대해 선대칭이 된다. 이 배치에 의하면, 센터 맞춤을 위한 스토퍼 기능이 좋은 밸런스로 작동하고, 또한 접속 후의 접속 장치 본체(1)의 자세도 좋은 밸런스를 유지한다. Thereby, one pair of 1st latching | locking parts 30A and the other pair of 2nd latching | locking parts 30B are divided into the center line L1 which splits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FIG. The center line L2 which become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pair of first locking portions 30A and the pair of second locking portions 30B bisect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n the width direction Y. Is linearly symmetric about.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stopper function for centering is operated in a good balance, and the posture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after connection also maintains a good bal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계지부(30A, 30B)를, 접속 장치 본체(1)의 폭 방향(Y) 중앙에 위치시키고 있다. Moreover, in the wiring duct conn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the 1st and 2nd latching | locking parts 30A and 30B arrange | positioned by point symmetry ar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Y center of the connection device main body 1. As shown in FIG. .

이에 따라, 제 1 계지부(30A)와 제 2 계지부(30B)가 점대칭인 동시에, 접속 장치 본체(1)를 길이 방향(X)으로 이분하는 중심선(L1)에 대해 선대칭으로도 된다. 그리고, 양 계지부(30A, 30B)를 통해 받는 반발력도, 접속 장치 본체(1)의 폭 방향(Y)의 중앙 부분에 작용한다. 이 배치에 의하면, 센터 맞춤을 위한 스토퍼 기능이 좋은 밸런스로 작동하고, 또한, 접속 후의 접속 장치 본체(1)의 자세도 좋은 밸런스를 유지한다. As a result, the first locking portion 30A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30B may be point symmetrical, and may be 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dividing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FIG. And the repulsion force received through both locking parts 30A and 30B also acts o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1.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stopper function for centering is operated in a good balance, and the posture of the connecting device main body 1 after connection also maintains a good balanc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 A various change and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a Claim and its equivalent, and such a change and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re also this invention. Belongs to the category of.

1: 접속 장치 본체
1a: 일면
2: 접촉자
3A: 제1 접속부
3B: 제2 접속부
20: 스토퍼 구조
30A: 제1 계지부
30B: 제2 계지부
110: 배선 덕트
115: 도체
P: 중심점
L1: 중심선
X: 길이 방향
1: connecting device body
1a: one side
2: contactor
3A: first connection portion
3B: second connection part
20: stopper structure
30A: First Door
30B: Second Catechism
110: wiring duct
115: conductor
P: center point
L1: centerline
X: longitudinal direction

Claims (4)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양쪽에 가지는 접속 장치 본체의 중앙 부분에, 일면측에서 돌출하도록 편향력을 받는 제 1 및 제 2 계지부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를,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에 의해서 상기 접속 장치 본체가 배선 덕트 상호의 센터 위치에서 위치가 결정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In the center part of the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which has a 1st and a 2nd connection part in both sides, it is provided with the stopper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e 1st and 2nd locking parts which receive a biasing force so that it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side,
Wiring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said 1st and 2nd latching | locking part in the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aid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and the said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is located in the center position of wiring duct mutually by the said 1st and 2nd locking part. Duct Conn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의 쌍을 복수 쌍 마련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rranged in point symmetry.
제 2 항에 있어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의 쌍을 2쌍 마련하고,
한 쌍의 제 1 계지부와, 다른 쌍의 제 2 계지부의 배치를, 상기 접속 장치 본체를 길이 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배치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wo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rranged in point symmetry are provided,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arrange | positioned a pair of 1st locking part and another pair of 2nd locking part so that it may become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which divides the said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계지부를,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시킨 배선 덕트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which has located the said 1st and 2nd locking part arrange | positioned by point symmetry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said connection apparatus main body.
KR1020120056216A 2011-05-31 2012-05-25 Wiring duct connector KR1013401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2576A JP5699283B2 (en) 2011-05-31 2011-05-31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JPJP-P-2011-122576 2011-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037A KR20120134037A (en) 2012-12-11
KR101340182B1 true KR101340182B1 (en) 2013-12-10

Family

ID=4723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16A KR101340182B1 (en) 2011-05-31 2012-05-25 Wiring duct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99283B2 (en)
KR (1) KR101340182B1 (en)
CN (1) CN102810803B (en)
TW (1) TWI48722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0947A (en) * 2020-11-30 2023-08-29 松下控股株式会社 DC pipe system, DC pipe, power supply member and power suppl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070A (en) * 1984-02-27 1985-09-1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Manufacture of cylindrical nickel cadmium battery
JP2006311695A (en) 2005-04-28 2006-11-0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Wiring device and wiring duct system
JP2008130317A (en) 2006-11-20 2008-06-05 Namio Nakazawa Wiring duct and power distribution duct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34Y2 (en) * 1973-06-11 1979-01-18
JPS5478Y2 (en) * 1973-06-12 1979-01-05
JPS5415196Y2 (en) * 1973-09-04 1979-06-20
JPS585512B2 (en) * 1974-12-17 1983-01-31 日立電線株式会社 Lighting duct connection device
JPS5545670U (en) * 1978-09-19 1980-03-25
JPS5749915Y2 (en) * 1978-09-20 1982-11-01
JPS60138281U (en) * 1984-02-24 1985-09-12 松下電工株式会社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DE4406686C2 (en) * 1994-03-01 1996-04-18 Halloform Gmbh & Co Kg Connection device for busbars
JP3079925B2 (en) * 1994-11-21 2000-08-21 住友電装株式会社 Joint connector
JP2001126830A (en) * 1999-10-22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ing device of wiring du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070A (en) * 1984-02-27 1985-09-1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Manufacture of cylindrical nickel cadmium battery
JP2006311695A (en) 2005-04-28 2006-11-0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Wiring device and wiring duct system
JP2008130317A (en) 2006-11-20 2008-06-05 Namio Nakazawa Wiring duct and power distribution duc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87229B (en) 2015-06-01
KR20120134037A (en) 2012-12-11
JP2012252803A (en) 2012-12-20
TW201315070A (en) 2013-04-01
CN102810803B (en) 2015-06-17
CN102810803A (en) 2012-12-05
JP5699283B2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1599B2 (en) connector
US9705229B2 (en) Connector assembly
US9742123B2 (en) Connector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US8465328B2 (en) Connector assembly and male-side connector
KR102274494B1 (en) Electric connector
CN108604748A (en) Float connector device
US10965054B2 (en) Cable connector having cable holders
US20150207244A1 (en) Wire-to-board connector
KR101652383B1 (en) Connector
JP5530278B2 (en) Connector assembly
US20150050820A1 (en) Wire-to-board connector
KR101680180B1 (en) Connector
JP6205273B2 (en) connector
JP6016661B2 (en) connector
JP2019067765A (en) Signal transmission component, floating connector, and welded article
JP200907056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101340182B1 (en) Wiring duct connector
JP2003257529A (en) Connector
KR101359236B1 (en) Wiring duct connector
JP6327287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06516B1 (en)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JP2022174189A (en) connector
US9640897B2 (en) Wire-side connector and device-side connector with mating guides
JP5833486B2 (en) Bo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