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045B1 - 음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045B1
KR101340045B1 KR1020120115180A KR20120115180A KR101340045B1 KR 101340045 B1 KR101340045 B1 KR 101340045B1 KR 1020120115180 A KR1020120115180 A KR 1020120115180A KR 20120115180 A KR20120115180 A KR 20120115180A KR 101340045 B1 KR101340045 B1 KR 10134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directions
fixe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기
이구치 미키오
치에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주) 루스케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루스케이프 filed Critical (주) 루스케이프
Priority to KR1020120115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하방으로 진행하며 사방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특히 공원이나 조경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설치물에 내장되어 사방으로 균일한 출력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기둥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출력되는 음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 고정되는 스피커(2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 설치되어 사방으로 음향출력공간(G)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간격지지대(11)와, 상기 간격지지대(11)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출력되는 음향을 차단하는 차단베이스(30)와, 상기 차단베이스(3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사방으로 퍼지도록 반구형태로 구성되는 음향분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 장치{Sound device}
본 발명은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하방으로 진행하며 사방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특히 공원이나 조경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설치물에 내장되어 사방으로 균일한 출력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음향장치의 음원은 대개 스피커(Speaker)를 말한다.
또한 음향장치는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향을 스피커의 전면으로 발산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사방으로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스피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경우,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이 발생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스피커의 음향출력 방향에 대하여 연구하던 끝에, 단일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방으로 균일한 출력을 낼 수 있는 음향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하방으로 진행하며 사방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특히 공원이나 조경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설치물에 내장되어 사방으로 균일한 볼륨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기둥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력되는 음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 고정되는 스피커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 설치되어 사방으로 음향출력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간격지지대와, 상기 간격지지대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출력되는 음향을 차단하는 차단베이스와, 상기 차단베이스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사방으로 퍼지도록 반구형태로 구성되는 음향분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스피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여과망을 통해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차단판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적어도 2면 이상의 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피커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고정부를 더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변고정부는 긴 띠 형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스피커가 안착되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하방으로 진행하며 사방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특히 공원이나 조경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설치물에 내장되어 사방으로 균일한 볼륨의 음향을 발생시켜,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고정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장착된 조경용 가로등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음향장치는,
사각기둥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출력되는 음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 고정되는 스피커(2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 설치되어 사방으로 음향출력공간(G)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간격지지대(11)와, 상기 간격지지대(11)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출력되는 음향을 차단하는 차단베이스(30)와, 상기 차단베이스(3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사방으로 퍼지도록 반구형태로 구성되는 음향분산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스피커(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12)이 형성되며, 이 고정턱(12)에 상기 스피커(20)는 이미 알려진 여러 방법 중 하나의 방식으로 체결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단에는 여과망(53)을 통해 다수개의 통공(51)이 형성된 차단판(5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여과망(53)은 통공(5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물질을 차단하며, 상기 통공(51)은 외부 공기를 유통시켜 스피커(20)의 냉각작용을 도와주고, 동시에 스피커(20) 후방으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50)에는 전선연결단자(5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전선연결단자(52)에는 외부로부터 전선이 연결되어 음원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는 상기 단자(52)와 스피커(2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반드시 사각기둥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원통형이나 다각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음향장치는,
상기 스피커(2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몸체(10) 내부를 통해 지면으로 발산되고, 이 음향은 몸체(10) 저면의 차단베이스(30)에 의해 1차 차단되면서 그 상부에 형성된 음향분산구(40)를 통해 간격지지대(11)에 의해 형성된 음향출력공간(G)을 거치면서 사방으로 퍼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음향분산구(40)가 반구형태로 상기 몸체(1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사방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출력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상기 음향장치가 설치된 사방 어디에서도 균일한 출력의 음향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고정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자면, 상기 몸체(10)의 내측에는 적어도 2면 이상의 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피커(20)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고정부(120)를 더 형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 가변고정부(120)는 긴 띠 형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스피커(20)가 안착되는 절곡부(121)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 절곡부(121)는 절개부(122)를 형성하며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단을 절곡하여 구성하며, 이 절곡부(121)는 절개부(122)에 의해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20)의 장착시, 스피커(20)를 몸체(10)의 하방에서 위로 올리면 절곡부(121)가 절개부(122) 측으로 눌리면서 상방으로 진행하나, 하방으로는 절곡부(121)가 원위치 되면서 진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20)의 위치를 해당 절곡부(121) 상에 가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총거리(ℓ1)에서 스피커(20) 장착 위치(ℓ2)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스피커(2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변화를 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피커(20)의 장착 위치(ℓ2)가 길면 음향의 저음효과를 낼 수 있고, 상기 스피커(20)의 장착 위치(ℓ2)가 짧으면 음향의 고음효과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음향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일례로 조경용 가로등(10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가로등(100) 기둥부(110)의 사면에는 음향출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110)의 내면에는 본 발명 음향장치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음향장치의 음향출력공간(G)이 상기 음향출구(111)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음향장치가 동작되면, 상기 음향출구(111)를 통해 사방에서 균일한 출력의 음향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부(110)의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음향장치의 차단판(5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51)으로 음향이 전달되면서, 저음 또는 고음의 음향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10: 몸체 11: 간격지지대
12: 고정턱 20: 스피커
30: 차단베이스 40: 음향분산구
50: 차단판 51: 통공
52: 전선연결구 53: 여과망
120: 가변고정부 121: 절곡부
122: 절개부

Claims (6)

  1. 사각기둥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출력되는 음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 고정되는 스피커(2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 설치되어 사방으로 음향출력공간(G)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간격지지대(11)와, 상기 간격지지대(11)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출력되는 음향을 차단하는 차단베이스(30)와, 상기 차단베이스(3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사방으로 퍼지도록 반구형태로 구성되는 음향분산구(4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에는 여과망(53)을 통해 다수개의 통공(51)이 형성된 차단판(5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에는 적어도 2면 이상의 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피커(20)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고정부(120)를 더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고정부(120)는 긴 띠 형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스피커(20)가 안착되는 절곡부(121)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KR1020120115180A 2012-10-17 2012-10-17 음향 장치 KR10134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80A KR101340045B1 (ko) 2012-10-17 2012-10-17 음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80A KR101340045B1 (ko) 2012-10-17 2012-10-17 음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045B1 true KR101340045B1 (ko) 2013-12-10

Family

ID=4998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180A KR101340045B1 (ko) 2012-10-17 2012-10-17 음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0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469B1 (ko) * 1986-09-13 1991-08-26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오디오시스템
JPH0727754Y2 (ja) * 1987-03-12 1995-06-21 株式会社東芝 無指向性スピ−カ装置
JPH0731675Y2 (ja) * 1985-08-10 1995-07-19 ティアツク株式会社 スピ−カ装置
KR200444208Y1 (ko) 2007-06-29 2009-04-17 이세훈 무지향성 옥외 스피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75Y2 (ja) * 1985-08-10 1995-07-19 ティアツク株式会社 スピ−カ装置
KR910006469B1 (ko) * 1986-09-13 1991-08-26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오디오시스템
JPH0727754Y2 (ja) * 1987-03-12 1995-06-21 株式会社東芝 無指向性スピ−カ装置
KR200444208Y1 (ko) 2007-06-29 2009-04-17 이세훈 무지향성 옥외 스피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4596B2 (ja) 表面からの反射により引き起こされるオーディオカラーレーションを低減したラウドスピーカ
CN107113494B (zh) 旋转对称的扬声器阵列
CN1933675B (zh) 座位电声转换
JP6543957B2 (ja) スピーカアレイ装置
US8311261B2 (en) Acoustic transducer array
KR102042257B1 (ko) 오디오 장치
JP2012019347A (ja) スピーカ装置
US8917881B2 (en) Enclosure-less loudspeaker system
KR101340045B1 (ko) 음향 장치
EP2044803A2 (en) A loudspeaker system having at least two loudspeaker arrays
CN109314815B (zh) 用于线性阵列扬声器的挡板
KR101354147B1 (ko) 음향 출력장치
US10341761B2 (en) Acoustic waveguide for audio speaker
RU2612535C2 (ru)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KR20080098390A (ko) 사운드 재생
CN105764000B (zh) 一种音效播放装置
ATE484158T1 (de) Verzögerungsnetzwerkmikrofone mit harmonischer vernestung
US10281135B1 (en) Cloud speaker lamp device for producing light and sound
EP3611934A1 (en) Portable audio system with acoustic waveguide
CN215871812U (zh) 阵列音箱
RU2654323C2 (ru) Динамически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с внутренним резонатором
Kruse et al. A new omni-directional source based on a ring radiator
KR20180073025A (ko) 일체형 3-way 평판형 슬림 스피커
RU60292U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JP6451100B2 (ja) スピー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