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916B1 - 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thereby - Google Patents

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916B1
KR101337916B1 KR1020120007897A KR20120007897A KR101337916B1 KR 101337916 B1 KR101337916 B1 KR 101337916B1 KR 1020120007897 A KR1020120007897 A KR 1020120007897A KR 20120007897 A KR20120007897 A KR 20120007897A KR 101337916 B1 KR101337916 B1 KR 10133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force
data transmission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6856A (en
Inventor
김정
한효녕
구광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0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916B1/en
Publication of KR2013008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8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힘 센서 및 힘 센싱 방법과, 이를 이용한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힘 센서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되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변형블록; 변형블록에 축방향에서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각각 동일한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고,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전단력이 가해진 경우에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광센서들; 및 광센서들로부터 송출되는 동일한 벡터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압 신호를 관리 단말에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임베디드 시스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sensor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force sensing method, and a robot using the same. Th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formation block having a deformation portion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deformation block, a voltage signal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is output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ortion, and when a shear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voltage signals in different vector directions are applied. A pair of optical sensors arranged to transmit; And an embedded system that receives voltage signals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or different vector directions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sensors and transmits the received voltage signals to th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힘 센싱 방법과 로봇{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thereby}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힘 센싱 방법과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용량 소형화 설계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물체에 가해진 2축 방향의 힘의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사용 공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 구조가 개선된 힘 센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 force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a robot, and more particularly, a large-capacity miniaturized design, which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the magnitude of the force in the biaxial direction applied to an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sensor with an improved data communication structure to precisely measure the temperature and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use space.

일반적으로, 물체에 가해진 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는 스트레인게이지 타입의 센서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In general, a strain gauge type sensor has been mainly used as a sensor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force applied to an object.

그러나, 이러한 스트레인지 타입의 센서의 경우 크기에 따라 용량이 커지도록 설계됨에 따라 소형이면서 대용량 센서의 제작이 불가능하고, 증폭기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으며,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그 스트레인 게이지의 반복적인 변형으로 내구성 약화 등의 문제를 초래하는 단점과, 1축이 아니라 다축 방향의 힘을 측정하는 경우 각 축방향의 힘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복잡한 형상의 구조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is type of strain type sensor is designed to increase its capacity according to its size, so it is impossible to manufacture a small and large-capacity sensor, and the cost increases due to the use of an amplifier, and a force directly acts on the strain gauge. Therefore, the deformation of the strain gauge causes a problem such as weakening of durability, and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force in the multi-axis direction instead of the single axis,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lex shap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orces in the axial dire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al design has to be made.

또한 힘 센서의 경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 케이블과, 데이터 전송 케이블이 항상 센서에 연결되어 있어야 했기 때문에, 센서의 응용 과정에서 케이블의 유효 공간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가 있어, 실제 응용에 있어서 많은 한계점을 노출해 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rce sensor, in order to acquire data, the power supply cable and the data transmission cable had to be connected to the sensor at all times. Many of the limitations have been exp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제품의 설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물체에 가해진 적어도 2축 방향의 힘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응용시의 공간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힘 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and reduce the design cost of the product, while at the same time accurately measuring the force in the at least two-axis direction applied to the object, It is to provide a force sensor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space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되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변형블록;상기 변형블록에 축방향에서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각각 동일한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전단력이 가해진 경우에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광센서들; 및 상기 광센서들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동일한 벡터 방향 또는 상기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압 신호를 관리 단말에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임베디드 시스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may include a deformation block including a deformation portion tha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 pair of optical sensors arranged to transmit voltage signals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and to transmit voltage signals in different vector directions when a shear for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And an embedded system configured to receive voltage signals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or different vector directions transmitted from the photosensors, and to transmit the received voltage signals to a management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do.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은,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 모듈; 및 상기 전압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bedded system includes a data acquisi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voltage sig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voltage signal to the management terminal.

상기 데이터 획득 모듈은, 상기 광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acquisition module preferably includes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voltage signal received from the photosensors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시리얼 통신방식으로,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 순서대로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관리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eferably transmits the voltage signal to the management termi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reception order in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상기 변형부는, 상기 광센서들의 각 광슬릿부 내에 배치되는 인터럽트를 구비하고, 상기 각 광센서는, 상기 인터럽트의 광슬릿부 내에 위치변화에 따른 전압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ormable part may include an interrupt disposed in each optical slit part of the optical sensors, and each optical senso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voltage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position in the optical slit part of the interrupt.

상기 변형부는, 상기 인터럽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제1관통공과, 상기 인터럽트의 하측에 상기 한 쌍의 제1관통공과 소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센서의 몸체부가 배치되는 제2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ormabl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pair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sides with the interrup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air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terrupt with the body portion of the optical sensor disposed therein.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cond through hole.

상기 각 제1관통공은, 외력에 의한 변형부의 원활하고 균일한 변형을 위하여, 상기 인터럽트를 기준으로 한 중심선에서 그 제1관통공을 한정하는 내면 사이의 폭이, 상기 제2관통공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first through holes has a width between the inner surfaces defining the first through holes at the center line based on the interruption for smooth and uniform deformation of the deformed portion by external force. It is desirable to form larger than.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한정하는 내면의 모서리 부분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n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를 이용한 로봇은, 어느 한 항의 힘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상기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가해진 외력의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상기 연산부의 연산결과에 기초하여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obot using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having a force sensor of any one; Receives a signal sensed from the sensing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ceived signal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based on th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bo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를 이용한 힘 센싱 방법은, 한 쌍의 광센서가, 외력에 의해 변형이 되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변형블록에 축방향에서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각각 동일한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광센서가, 상기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전단력이 가해진 경우에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임베디드 시스템이 상기 광센서들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동일한 벡터 방향 또는 상기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압 신호를 관리 단말에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rce sensing method using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cludes a cas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n an axial direction is applied to a deformation block including a deformation portion tha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ing voltage signals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unit; Transmitting, by the optical sensor, voltage signals in different vector directions when a shear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And receiving, by an embedded system, voltage signals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or different vector directions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sensors,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oltage signals to a management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t features.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데이터 획득 모듈이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무선통신 모듈이 상기 전압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tting may include: receiving, by a data acquisition module, the voltage signal; And transmitting,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voltage signal to the management terminal.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광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ceiving of the voltage signal,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he analog voltage signals received from the photosensors into digital signals.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 순서대로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관리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ransmitting to the management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voltage signal to the management termi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order of reception using serial commun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힘 센서는, 인터럽트를 구비하는 변형블록과 광슬릿부를 구비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센서를 제작할 수 있고 불필요한 부품에 의해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응용 공간에 대한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하나의 광센서에 기초한 측정치보다 더욱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축방향 외력 및 전단력을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force by using a deformation block having an interrupt and an optical sensor having an optical slit portion, so that the sensor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cos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reased by unnecessary components, and the degree of freedom for application space can be secured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ore accurate measurement is possible than the measurement based on one optical sensor. It has the advantage of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axial external force and shear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센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를 이용한 힘 센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변형블록 내에 광센서들이 배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7은 도 1의 Ⅳ-Ⅳ 단면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mbedd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force sensing method using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hotosensors are arranged in the deformation block employ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힘 센싱 방법과 로봇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 force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를 이용한 힘 센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mbedd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lowchart of a force sensing method using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는, 변형블록(1)과 광센서들(3) 및 임베디드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using the deformation block 1, the light sensors 3 and the embedded system 100. .

변형블록(1)은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변형블록(1)에는 2개의 방향에 의한 변형부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데, 변형블록(1)에 축방향에서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와,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전단력이 가해진 경우에 각각 변형부의 변형이 이루지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deformation block 1 has a deformation portion (not shown) which is deformed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The deformation block 1 is deformed in two directions. The deformation block 1 is deformed in the case where an external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deformation block 1 and a shear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respectively. It is judged that deformation is made.

광센서들(3)은 변형부에서 연장된 인터럽트(미도시)에 의해 광센서들(3)에 구비된 광슬릿을 통하는 광량이, 인터럽트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되고, 변화된 광량에 따라서 광센서들(3)의 출력 신호가 달라지게 된다. 광센서들(3)은 변형부에 가해지는 전단력 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배치되는 한 쌍의 광센서들로 이루어진다. 광센서들(3)의 출력 신호는 전압 신호로서,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The photosensors 3 have a light amount through the optical slit provided in the photosensors 3 by an interrupt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deformable portion, and ch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interrupt, and the photosensor according to the changed light quantity. The output signal of the field 3 will be different. The photosensors 3 consist of a pair of photosensors which are arranged in sequence along the direction of shear force applied to the deformable portion. The output signal of the photosensors 3 is a voltage signal, which may be an analog signal.

이때 임베디드 시스템(100)은 광센서들(3)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200)에 전송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embedded system 100 receives output signals of the optical sensors 3 and transmits them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임베디드 시스템(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광센서들(3)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 신호는 예를 들어 0 내지 5V 수준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충분히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임베디드 시스템(100)에서는 낮은 전압 신호를 가공하여 무선 통신, 예를 들어 시리얼 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200)에 전송한다.The embedded system 100 includes a microprocesso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oltage signal output through the optical sensors 3 is output at a level of 0 to 5 V, for example, the embedded system 100 may be sufficiently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 Therefore, the embedded system 100 processes the low voltage signal and transmits the low voltage signal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serial communication.

이때, 임베디드 시스템(100)에는 광센서들(3)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신호(101)가 전송될 수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데이터 획득 모듈(110)은, 전압 신호를 가공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 모듈(110)은 AD 컨버터여서, 아날로그 전압 신호(101)를 디지털 신호(102)로 변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alog voltage signal 101 may be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sensors 3 to the embedded system 100. The data acquisition module 110 included in the microprocessor of the embedded system 100 processes the voltage signal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signal capable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data acquisition module 110 is an AD converter, and may convert the analog voltage signal 101 into a digital signal 102.

변환된 디지털 신호(102)는 무선 통신 모듈(12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데, 이때 무선 통신 모듈(120)은 관리 단말(200)과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적외선 통신, 광통신 등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102 may be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through short rang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Bluetooth, or the like. Can send and receive data. In addition, any communication method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and optical communication.

무선 통신 모듈(120)은 시리얼 통신(예를 들어 CAN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관리 단말(20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시리얼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신호(102)을 획득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200)에 전송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200 by using serial communication (for example, a CAN communication method). By using serial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acquire data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digital signal 102 is obtained. Data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시리얼 통신을 통해 데이터가 송출될 때, 무선 통신 모듈(120)은 기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0.005초)으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When data is transmitted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data at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0.005 seconds).

임베디드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힘 센서마다 하나씩 존재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 모듈(110)로의 입력 단자가 복수개 존재하는 임베디드 시스템(100)에서는, 기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7개)의 힘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언급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관리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One embedded system 100 may exist for each of a plurality of force sensors. In the embedded system 100 having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to the data acquisition module 110, data is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seven) of force sensors and managed using the aforementioned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상기 언급한 장치에 따라서 힘을 센싱하는 방법은 도 3과 같다.The method of sensing the for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device is shown in FIG. 3.

먼저, 광센서들(3)은 인터럽트에 따라서 광슬릿에 교환되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변형블록(1)에 대한 축방향에서의 외력을 감지하거나(S10),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전단력을 감지하게 된다(S30). S10 또는 S30 단계는 따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First, the optical sensors 3 detect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exchanged in the optical slit in response to an interruption, in which an external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eformation block 1 is detected (S10) or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The shear force in the direction is sensed (S30). Step S10 or S30 may be performed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S10 단계 및 S30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면, S10 단계의 경우, 변형 블록(1)의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서, 동일한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가 광센서들(3)로부터 송출되고(S20), S30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광센서들(3)로부터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가 송출된다(S40).When at least one of steps S10 and S30 is performed, in the case of step S10,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unit of the deformation block 1, voltage signals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photosensors 3 (S20), and S30. When the step is performed, voltage signals in different vector directions are transmitted from the photosensors 3 (S40).

이때 임베디드 시스템(100)에서는, S20 또는 S40 단계의 수행에 의해 송출된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50)를 수행한 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 전압 신호를 포맷을 변환한 뒤 관리 단말(200)에 전송하는 단계(S60)를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embedded system 100, after performing the step (S50) of receiving the voltage signal transmitted by performing the step S20 or S40, after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received voltage signal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anagement terminal ( The step S60 is performed.

S50 단계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모듈(110)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S50 단계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tep S50 may be performed by the data acquisition module 110, and step S50 may be a step of converting an analog voltag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S60 단계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통해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서 수신 순서대로 전압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0.005초)마다 관리 단말(200)로 송출될 수 있다.The step S60 may be performed in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ccordingly, the voltag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0.005 seconds) in the reception order.

이하에서는, 상기 힘 센서의 구조적인 구성을 설명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힘 센서의 이해를 돕도록 한다.Hereinafter, by explaining the structural configuration of the force sensor, to help the above-mentioned force sensor to understand.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변형블록 내에 광센서들이 배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7는 도 1의 Ⅳ-Ⅳ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optical sensor in a deformation block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1.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힘 센서는 변형블록(1)과 광센서들(3)과 커버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deformation block 1, light sensors 3 and a cover unit.

상기 변형블록(1)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력이 작용하는 가압부(11)와 그 가압부(11)와 일체로 형성된 변형부(1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11)는 상기 변형부(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deformation block 1 is preferably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includes a pressing portion 11 to which an external force acts and a deformation portion 12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essing portion 11. 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portion 11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deformation portion 12.

상기 변형부(12)는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관통공(122)들과 제2관통공(12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변형부(12)는, 제1관통공(122)들과 제2관통공(123)을 구비하여서, 상기 변형블록(1)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The deformation part 1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ut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first through holes 122 and a second through hole 123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deformable portion 12 includes the first through holes 122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123 to enable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block 1.

상기 변형부(12)는, 상기 제1관통공(122)들을 2분할하는 위치에 형성된 인터럽트(121)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럽트(121)는, 상기 광센서들(3)의 광슬릿부(31) 내에 위치됨으로써, 도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변화(D)에 따른 광센서들(3)의 출력 신호를 달라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들(3)의 출력 신호는 전압 신호이다. The deformation part 12 includes an interrupt 121 formed at a position for dividing the first through holes 122 into two. The interrupt 121 is located in the optical slit part 31 of the optical sensors 3, so that the output of the optical sensors 3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change D as shown in FIG. Make the signal different. Here, the output signal of the photosensors 3 is a voltage signal.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럽트(121)은, 상기 변형부(1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변형부(12)와 별개로 성형된 후 본딩 등에 의해 그 변형부(1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rupt 1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formable portion 1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deformable portion 12, for example, by bonding or the like.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deformation portion (12).

이러한 광센서들(3)의 출력 전압은 상기 변형블록(1)에 가해지는 외력과 비례하는 수학식이 성립하고, 이러한 수학식에 기초하여 그 변형블록(1)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광센서들(3)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 output voltages of the optical sensors 3 are equal to the equations that are proportional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formation block 1, and based on the equations,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formation block 1 is determined by the optical sensor. It can be measured using the (3).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광센서들이 구비됨으로써, 도 6과 같이 상기 변형블록에 축방향에서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각각 동일한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ir of optical sensors are provided, when the external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deformation block as shown in FIG. 6, the voltage signal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art.

즉, 한 쌍의 광센서들의 각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그 전압 신호들에 기초한 전압의 크기를 합산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게 되면, 하나의 광센서에 기초한 전압 측정치보다 더욱 정밀한 전압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한 쌍의 광센서들에 의해 정밀한 전압측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전압값에 비례하는 상기 축방향 외력의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f the average value is calculated after summing the magnitudes of the voltages based on the voltage signals based on each voltage signal of the pair of optical sensors, more accurate voltage measurement is possible than the voltage measurement based on one optical sensor. .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cisely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axial external force proportional to the voltage value as the voltage measurement is possible by the pair of optical sensors.

한편, 상기 제1관통공(122)들은, 상기 인터럽트(12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관통공(123)은, 상기 인터럽트(121)의 하측에 상기 한 쌍의 제1관통공(122)들과 소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센서들(3)의 몸체부(12)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hrough holes 122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interrupt 12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23 has a pair of first and second ends below the interrupt 121. I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holes 122, the body portion 12 of the light sensor (3) is dispos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관통공(122)들은, 상기 인터럽트(121)를 기준으로 한 중심선에서 그 제1관통공(122)을 한정하는 내면 사이의 폭이, 상기 제2관통공(123)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부(11)에 가해지는 외력이 변형부(12)에 골고루 분산 작용하게 하여 상기 변형부(12)의 원활하고 균일한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hrough holes 122 have a width between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first through hole 122 at the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interrupt 1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23. By forming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11 evenly distributed to the deformation portion 12 to enable a smooth and uniform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ortion 12.

그리고, 상기 제1관통공(122)들과 제2관통공(123)을 한정하는 내면의 모서리 부분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변형부(12)의 반복적인 변형에 의한 피로에 대한 강인성이 그 모서리 부분이 직각인 경우의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하다. In addition, the corn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s defining the first through holes 122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123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thereby being tough against fatigue due to repeated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art 12. It is excellent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when this edge part is a right angle.

이와 같이 변형블록(1)과 광센서들(3)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블록(1)의 가압부(11)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변형부(12)에 마련된 인터럽트(121)가 그 변형부(12)와 함께 광센서들(3)의 광슬릿부(31) 내에서 변형됨에 따라 광슬릿부(31)에 대한 인터럽트(121)의 위치변화(도 6;D, 도 7;D1,D2)를 초래하고, 그 위치변화에 따라 광센서들(3)의 출력 신호가 달라지게 됨으로써 그 출력 신호에 따른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Thus,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deformation block 1 and the light sensors 3, as shown in Figure 6 and 7,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pressing portion 11 of the deformation block (1). In this case, the interrupt 121 provided in the deformable part 12 is deformed in the optical slit part 31 of the optical sensors 3 together with the deformable part 12. It cause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interrupt 121 (Fig. 6; D, Fig. 7; D1, D2),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optical sensors (3)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the magnitude of the forc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Enable to measure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힘 센서는, 인터럽트(121)를 구비하는 변형블록(1)과 광슬릿부(31)를 구비하는 광센서들(3)을 이용하여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센서를 제작할 수 있고 불필요한 부품에 의해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외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스트레인지 게이지 타입의 센서와 같이 센서부에 피로가 집중되는 것과는 달리 피로 집중도가 현저히 제거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As a result, th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force using the deformation block 1 having the interrupt 121 and the optical sensors 3 having the optical slit 31. In addition, the sensor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cos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reased by unnecessary parts. Significant removal eliminates the benefits of improving product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광센서들이 구비됨으로써, 도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블록에 상기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전단력이 가해진 경우, 각 광센서의 광슬릿부 내에서 상기 인터럽트가 서로 다른 위치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각 광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전압 신호는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을 가지게 됨에 따라, 각 벡터값을 서로 차감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게 되면, 상기 인터럽트의 정밀한 위치변화량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 전단력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a pair of optical sensors, as shown in Figure 7, when the shearing forc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deformation block, each optical sensor The interrupts in the optical slit portion of cause different position changes. In this case, since the voltag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ptical sensor has a different vector direction, by subtracting each vector value and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position change of the interrupt. Precise measurement of shear force is possible.

한편, 상기 커버 유니트는, 상기 변형블록(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광센서들(3)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unit, by being coupled to the deformation block 1 serves to close the optical sensors (3).

상기 커버 유니트는, 일체로 성형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의 용이함 및 조립성 향상을 위해 한 쌍의 커버부재(41)(42)로 이루어져 있다.The cover unit may be integrally molded,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unit includes a pair of cover members 41 and 42 for ease of molding and improved assembly.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41)(42)들은, 상기 변형블록(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각 커버부재(41)(42)를 관통하는 볼트(B)와 같은 체결수단이 상기 변형블록(1)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변형블록(1)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The pair of cover members 41 and 42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deformation block 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B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cover members 41 and 42. By screwing into the deformation block (1), it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eformation block (1).

도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커버부재(41)(42)에는 통과구멍(411)(421)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는 상기 통과구멍(411)(42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7, each of the cover members 41 and 42 has passage holes 411 and 421 formed therein, 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passage holes 411 and 421. The member 5 is provided.

즉, 상기 통과구멍(411)(421)은, 상기 광센서(3)의 전극(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W)가 외부 전력원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상기 고정부재(5)는 상기 와이어(W)가 내측에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통과구멍(411)(421)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와이어(W)를 변형블록(1)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through holes 411 and 421 serve as a passage for allowing the wire W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32 of the optical sensor 3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fixing member 5 is coupled to the through-holes 411 and 421 in a state where the wire W is fixed to the inside, thereby firmly fixing the wire W to the deformation block 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로봇이나 광응용기기 또는 반도체 장비 등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technical fields, such as robots, optical applications or semiconductor equipment.

예컨대, 로봇의 경우 상기 실시예들에 의한 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싱부와, 그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외력의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그 연산부의 연산결과에 기초하여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로봇에 가해진 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의 간소화, 비용 절감 및 내구성 향상 등의 장점을 도출할 수 있는 로봇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obot, a sensing unit including a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an arithmetic unit that calculates the magnitude of an external force based on a signal sens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 robot based on a calculation result of the arithmetic unit Since it is implement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design a robot that can derive the advantages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robot, cost reduction and durability.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can be mad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self-explanatory.

1:변형블록 11:가압부
12:변형부 121:인터럽트
122:제1관통공 123:제2관통공
3:광센서 31:광슬릿부
32:전극 41,42:커버부재
411,421:통과구멍 431:위치고정구멍
5:고정부재 6:위치고정부재 :
B:볼트 W:와이어
1: Deformation block 11: Pressure unit
12: deformation part 121: interrupt
122: first through hole 123: second through hole
3: optical sensor 31: optical slit part
32: electrode 41, 42: cover member
411,421: Through hole 431: Position fixing hole
5: Fixed member 6: Position fixing member:
B: Bolt W: Wire

Claims (13)

외력에 의해 변형이 되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변형블록;
상기 변형블록에 축방향에서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각각 동일한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전단력이 가해진 경우에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송출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광센서들; 및
상기 광센서들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동일한 벡터 방향 또는 상기 서로 다른 벡터 방향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압 신호를 관리 단말에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광센서들은 상기 전단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배치되며,
상기 변형부는 상기 광센서들의 각 광슬릿부 내에 배치되는 인터럽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Deformation block having a deformation tha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deformation block, voltage signals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art, and when shear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A pair of optical sensors arranged to transmit a voltage signal; And
And an embedded system configured to receive voltage signals in the same vector direction or different vector directions transmitted from the photosensors, and transmit the received voltage signals to a management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pair of optical sensors are arranged in sequen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ear force is applied,
And the deformation part includes an interrupt disposed in each optical slit part of the optical sens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은,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 모듈; 및
상기 전압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embedded system,
A data acquisi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voltage signal;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the voltage signal to the management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 모듈은,
상기 광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ata acquisition module,
And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voltage signals received from the photosensors into digital signa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시리얼 통신방식으로,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 순서대로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관리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erial sensor system, the power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voltage signal to the management termi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order of recep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인터럽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제1관통공과, 상기 인터럽트의 하측에 상기 한 쌍의 제1관통공과 소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센서의 몸체부가 배치되는 제2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ormabl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pair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sides with the interrup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air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terrupt with the body portion of the optical sensor disposed therein.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관통공은, 외력에 의한 변형부의 원활하고 균일한 변형을 위하여, 상기 인터럽트를 기준으로 한 중심선에서 그 제1관통공을 한정하는 내면 사이의 폭이, 상기 제2관통공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Each of the first through holes has a width between the inner surfaces defining the first through holes at the center line based on the interruption for smooth and uniform deformation of the deformed portion by external force.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arger tha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한정하는 내면의 모서리 부분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dg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a force sensor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urved shape.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힘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가해진 외력의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의 연산결과에 기초하여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Claim 1 to 4 and the sensing unit having a force sensor capable of transmitting the wireless data of any one of claims 6 to 8;
A calculato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lculate a magnitude of an external force appli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opera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07897A 2012-01-26 2012-01-26 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thereby KR101337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897A KR101337916B1 (en) 2012-01-26 2012-01-26 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897A KR101337916B1 (en) 2012-01-26 2012-01-26 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856A KR20130086856A (en) 2013-08-05
KR101337916B1 true KR101337916B1 (en) 2013-12-05

Family

ID=4921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897A KR101337916B1 (en) 2012-01-26 2012-01-26 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91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655A (en) * 2007-11-01 2009-05-07 유재호 Sensor for measuring angular displacement using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185710A (en) 2009-02-10 2010-08-26 Kenek Co Ltd Optical displacement me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655A (en) * 2007-11-01 2009-05-07 유재호 Sensor for measuring angular displacement using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185710A (en) 2009-02-10 2010-08-26 Kenek Co Ltd Optical displacement 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856A (en)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073B2 (en) Solar battery wireless integrated load cell and inclinometer
US9453773B2 (en) Capacitive type 6-axial force/torque sensor
EP2067687A1 (en) Device for detecting steering operation force
JP3190160U (en) Tension measuring fastener
KR101135426B1 (en) 1-axis torque sensor with trapezoidal type spoke
JP2015145878A5 (en)
KR101337916B1 (en) Force sensor enab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and robot thereby
JP6106850B2 (en) Inertial forc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2635486B1 (en) Body for instrumented pedal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10724912B2 (en) Sensor device
JP5021510B2 (en) Measuring equipment
KR1024544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ontinuous Distribution External Force using Discrete Distributed Fiber Bragg Grating
US9751475B2 (en) Linear sensor apparatus for vehicle
CN205593543U (en) Sensor system of target detection component position
KR101262554B1 (en) Force sensor and Robot utilizing the force sensor
JP2023514911A (en) Instrumented load sensitive washers
KR102019418B1 (en) Smart winch system for robust control of cable-driven parallel robot
US11099088B2 (en) Strain torque measurement system
KR101250634B1 (en) Force sensor and Robot utilizing the force sensor
Gupta et al. Review of sensors and sensor integration for the control of a humanoid robot
KR101479709B1 (en) Sensor and method for measuring tactile information
WO2010037687A3 (en) Measuring transducer
US9664519B2 (e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n object at home
KR20190110387A (en) Modeling system of cable for accurate cable robot control
KR20120119171A (en) Finger tip sensor and robot han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