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442B1 -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442B1
KR101337442B1 KR1020130005434A KR20130005434A KR101337442B1 KR 101337442 B1 KR101337442 B1 KR 101337442B1 KR 1020130005434 A KR1020130005434 A KR 1020130005434A KR 20130005434 A KR20130005434 A KR 20130005434A KR 101337442 B1 KR101337442 B1 KR 101337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retaining wall
wall body
plant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중길
Original Assignee
화림조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림조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림조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옹벽의 시공시 옹벽본체의 내측에 식생수단을 설치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식생유도관의 직경보다 큰 식생유지관리부와 보습저류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식물의 뿌리가 활착하고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식물의 초기 생장시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본체와, 상기 옹벽본체에 설치되어 옹벽본체의 외측으로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옹벽에 있어서, 상기 식생수단은, 상기 옹벽본체의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일부분에 유공관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유도관; 상기 식생유도관의 선단에 식생유도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뿌리가 자라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생유지관리부; 상기 식생유지관리부에서 옹벽본체의 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식물이 재배된 상태의 식재포트가 삽입되는 포트설치관; 상기 식생유도관의 유공관부상에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습저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생수단을 포함하는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Plant growing concre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a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옹벽의 내부에 설치되는 녹화장치를 통해 옹벽의 전면으로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식물 생장이 어려운 장소에 식물의 활착률 및 자생력이 높아지도록 하고 미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지형, 지반의 상태, 절토 및 성토의 높이, 용지 및 시공조건, 구조물의 중요도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중력식 옹벽, 반중력식 옹벽, 캔틸레버식 옹벽 및 부축식 옹벽 등이 시공되고 있다.
토목공사 중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회갈색의 벽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주변 환경이나 도시 미관을 크게 해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옹벽의 녹화기술이 개발되어야 하지만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옹벽 등 녹화시공 방법은 시공면에 일정 간격으로 화분형 식생대를 부착하거나 별도의 부조 고정앵글을 결착 시공하여 초목본이나 화초를 식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사후관리에 어려움이 많고, 녹화용 식물들이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토양 성분이 결여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식물이 생육하거나 녹화가 되면서 정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9833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의 시공시 옹벽본체의 내측에 식생수단을 설치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식생유도관의 직경보다 큰 식생유지관리부와 보습저류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식물의 뿌리가 활착하고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식물의 초기 생장시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본체와, 상기 옹벽본체에 설치되어 옹벽본체의 외측으로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옹벽에 있어서, 상기 식생수단은, 상기 옹벽본체의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일부분에 유공관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유도관; 상기 식생유도관의 선단에 식생유도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뿌리가 자라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생유지관리부; 상기 식생유지관리부에서 옹벽본체의 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식물이 재배된 상태의 식재포트가 삽입되는 포트설치관; 상기 식생유도관의 유공관부상에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습저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습저류부는, 상기 유공관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습저류통; 상기 보습저류통의 내부에 유공관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수분의 저장 및 유공관부를 통해 식생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을 제공하는 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는,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흡수 폴리머패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비료패드; 수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폰지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유지관리부에서 옹벽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식생유지관리부의 배수 및 토사 및 영양분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유지관리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트설치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포트설치관 주변으로 옹벽본체의 외면 덮어줌으로써 식물의 초기 생장시 식물이 옹벽본체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방열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캡은,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옹벽본체의 외부면에 밀착되어 식물의 초기 생장시 식물이 옹벽본체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커버; 상기 방열커버의 관통홀 주변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포트설치관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캡홀더; 상기 방열커버와 캡홀더의 외측에서 관통홀까지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커버는, 넝쿨성 식물의 생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망눈이 형성된 메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사면의 전방 바닥면에 기초를 형성하는 기초형성단계; 이후 기초의 상부에 옹벽본체 형성을 위한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단계; 이후 상기 철근들에 연결되고 옹벽본체의 전,후를 관통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식생수단을 설치하여 식물 뿌리가 자나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식물 생장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수단 설치단계; 이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옹벽본체 형성단계; 이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식생수단의 일측단에 식재포트를 삽입 설치하는 식재포트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수단 설치단계는, 상기 옹벽본체의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일부분에 유공관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유도관과, 상기 식생유도관의 선단에 식생유도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뿌리가 자라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생유지관리부와, 상기 식생유지관리부에서 옹벽본체의 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식물이 재배된 상태의 식재포트가 삽입되는 포트설치관과, 상기 식생유도관의 유공관부상에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습저류부로 이루어진 식생수단을 이음철선을 이용하여 철근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포트 설치단계 이후, 포트설치관에 방열캡을 더 설치하여 포트설치관 주변의 옹벽본체를 커버해줌으로써 식물이 초기 생장하는 과정에서 옹벽본체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유도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식생유지관리부와 보습저류부를 통해 식물의 뿌리 활착 및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녹화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수단을 옹벽본체의 철근에 연결할 경우 이음철선이 식생유지관리부와 보습저류부에 걸려지도록 설치하여 식생수단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과정이나 식생수단의 설치 과정에서 식생수단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유지관리관을 통해 수분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는 현상을 방지하며, 방열캡을 설치하여 식물의 초기 생장시 열에 의해 식물이 고사되는 현상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에 식생유지관리관을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에 방열캡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에 방열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열캡의 방열커버를 메시 형태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을 옹벽본체의 철근 배근시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절토지나 성토지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본체(100)와, 상기 옹벽본체(100)에 설치되어 옹벽본체(100)의 외측으로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생수단(200)은 옹벽본체(100)의 시공시 옹벽본체(100)를 구성하는 철근에 연결되도록 미리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시 매립되는 것이다.
이러한 식생수단(200)은, 옹벽본체(100)의 내부에 매설되고 일측단이 옹벽본체(100)의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식생공간을 형성하며, 일부분에 유공관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유도관(210)과, 상기 식생유도관(210)의 선단에 식생유도관(2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뿌리가 원활하게 자라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생유지관리부(220)와, 상기 식생유지관리부(220)에서 옹벽본체(100)의 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빠른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식재포트(231)가 삽입 설치되는 포트설치관(230)과, 상기 식생유도관(210)의 유공관부(211) 외측으로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습저류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생유도관(210)은 내부가 빈 형태의 관으로써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유공관부(211)는 다수의 관통홀(212)이 형성되어 보습저류부(240)에서 식생유도관(210)을 통해 식생유지관리부(220)로 수분이나 영양분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식생유지관리부(220)는 식생유도관(21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식재포트(231)를 통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보다 용이하게 자라나 활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식생유지관리부(220)의 내부에는 토사 이외에 거름이나 기타 비료 등을 더 포함하도록 투입하여 식물의 원활한 식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포트설치관(230)은, 일측단은 식생유지관리부(220)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옹벽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식재포트(231)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습저류부(240)는, 식생유도관(210)의 유공관부(211)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습저류통(241)과, 상기 보습저류통(241)의 내부에 유공관부(211)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수분과 영양분의 저장 및 유공관부(211)를 통해 식생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을 식물에 제공하는 패드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드부(242)는,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흡수 폴리머패드(243)와, 상기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비료패드(244)와,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스폰지패드(2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패드들은 부직포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공관부(2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패드부(242)는 식생유도관(210)의 유공관부(211) 상에 설치됨으로써 수분의 이동이나 비료가 수분에 녹아 이동할 수 있어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고, 또한 식물의 뿌리가 유공관부(211)까지 자라날 경우에는 식물의 뿌리에 수분과 영양분을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습저류부(240)는 식생유도관(210)을 통해 옹벽 후방의 경사면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고흡수 폴리머패드(244)와 스폰지패드(245)로 저장하여 건기시에 식물이 자라나는데 수분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에 식생유지관리관을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식생유지관리부(220)에서 옹벽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식생유지관리관(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생유지관리관(250)은 식생유지관리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식생유지관리부(220) 내부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생유지관리부(220)의 토사가 유실될 경우 토사를 채워 넣거나 비료나 거름 등의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투입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식생유지관리관(250)은 밀폐캡(251)으로 막아 놓았다가 배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밀폐캡(251)을 분리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토사의 보충 및 비료나 거름 등의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에 방열캡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수단에 방열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상기 포트설치관(23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포트설치관(230)에 설치되는 식재포트(231)의 식물이 초기 생장하는 동안 옹벽본체(100)에 가해지는 열을 방산하고 식물이 옹벽본체(100)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캡(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열캡(260)은 휨이 용이한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절개부(263)가 형성되어 포트설치관(230)에 식재포트(231)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절개부(263)를 통해 식재포트(231)에서 자라나는 식물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포트설치관(230)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열캡(260)은,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265)이 형성되고 옹벽본체(100)의 외부면에 밀착되어 식물의 초기 생장시 식물이 옹벽본체(100)에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커버(261)와, 상기 방열커버(261)의 관통홀(265) 주변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포트설치관(230)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캡홀더(262)와, 상기 방열커버(261)와 캡홀더(262)가 폐합되지 않도록 방열커버(261)와 캡홀더(262)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부(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열커버(261)는 옹벽본체(100)의 외부면에서 식생유도관(210) 주변을 덮어줌으로써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옹벽본체(100)에 가해지는 뜨거운 햇빛을 차단하거나 열을 방산하며, 식물의 초기 생장시 식물이 옹벽본체(100)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이 햇빛에 의해 고사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식물의 초기 생장 단계에는 옹벽본체(100)의 외부면에 햇빛이 직접적으로 비춰지게 되고 이로 인해 옹벽본체(100) 외면의 온도가 매우 높게 형성된다. 이렇게 옹벽본체(100)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 식재포트(231)에 의해 식생된 식물이 초기 생장 단계에서 자라나지 못하고 열에 의해 고사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옹벽본체(100)에 가해지는 열을 방산하고 식물이 직접적으로 옹벽본체(100)의 외면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생장하는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열커버(261)는 도 7 에서와 같이 다수의 망눈(264)이 형성되어 있는 메시 형태로 구성하여 담쟁이와 같은 넝쿨성 식물이 방열커버(261)를 타고 보다 용이하게 자나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열캡(260)은, 상기와 같이 연질재질로 이루어지고 절개부(263)를 형성함으로써, 절개부(263)를 통해 방열캡(260)을 벌린 상태에서 식물이 관통홀(265)에 삽입되도록 한 후 캡홀더(262)를 포트설치관(230)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식물에 간섭받지 않고 포트설치관(23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생수단(200)은 식생유도관(210) 보다 식생유지관리부(220)와 보습저류부(240)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옹벽본체(100)의 철근 배근시 최대한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자라나 활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습저류부(240)도 옹벽본체(100)의 철근 배근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이 어려운 장소에 식재된 식물의 활착율 및 자생력을 높여 녹화의 실효성을 증진시키고 녹화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의 전방을 다지고 기초를 형성하는 기초형성단계와, 이후 기초의 상부에 옹벽본체(100) 형성을 위한 철근(110)을 배근하는 철근배근단계와, 이후 상기 철근(110)들에 연결되도록 상기 식생수단(200)을 설치하는 식생수단 설치단계와, 이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옹벽본체 형성단계와, 이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식생수단(200)의 일측단에 식재포트(231)를 삽입 설치하는 식재포트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생수단 설치단계는, 도 8 에서와 같이 이음철선(270)을 이용하여 철근배근단계에서 배근된 철근(110)들에 연결되도록 식생수단(2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옹벽본체(100)의 전, 후를 관통하도록 다수의 식생수단(20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음철선(270)은 식생유도관(210)과 포트설치관(230)에 엮여지도록 설치하여 식생수단(200)을 고정하는 것으로, 식생유도관(210)과 포트설치관(2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식생유지관리부(220)와 보습저류부(240)에 이음철선(270)이 걸려지게 되어 식생수단(200)이 철근(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식생수단(200)이 철근(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과정이나 식생수단(200)의 설치과정에서 식생수단(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생수단 설치단계에서, 거푸집 설치시 식생유도관(210)과 포트설치관(230)의 입구를 밀폐하여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식생수단(20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식재포트 설치단계 이후에 포트설치관(230)에 방열캡(260)을 더 설치하여 식재포트(231)를 통해 식생되는 식물이 초기 식생단계에서 옹벽본체(100)의 외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즉 방열캡(260)의 방열커버(261)가 옹벽본체(100)의 외면에서 포트설치관(230) 주변을 덮어줌으로써 식물이 초기 생장하는 과정에서 옹벽본체(100)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됨으로써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옹벽본체 (110) : 철근
(200) : 식생수단 (210) : 식생유도관
(211) : 유공관부 (212) : 관통홀
(220) : 식생유지관리부 (230) : 포트설치관
(231) : 식재포트 (240) : 보습저류부
(241) : 보습저류통 (242) : 패드부
(243) : 고흡수 폴리머패드 (244) : 비료패드
(245) : 스폰지패드 (250) : 식생유지관리관
(251) : 밀폐캡 (260) : 방열캡
(261) : 방열커버 (262) : 캡홀더
(263) : 절개부 (264) : 망눈
(265) : 관통홀 (270) : 이음철선

Claims (10)

  1.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본체와, 상기 옹벽본체에 설치되어 옹벽본체의 외측으로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옹벽에 있어서,
    상기 식생수단은,
    상기 옹벽본체의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일부분에 유공관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유도관;
    상기 식생유도관의 선단에 식생유도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뿌리가 자라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생유지관리부;
    상기 식생유지관리부에서 옹벽본체의 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식물이 재배된 상태의 식재포트가 삽입되는 포트설치관;
    상기 식생유도관의 유공관부상에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습저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습저류부는, 상기 유공관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습저류통과, 상기 보습저류통의 내부에 유공관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수분의 저장 및 유공관부를 통해 식생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을 제공하는 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드부는,수분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흡수 폴리머패드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비료패드와, 수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폰지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유지관리부에서 옹벽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식생유지관리부의 배수 및 토사 및 영양분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유지관리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설치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포트설치관 주변으로 옹벽본체의 외면 덮어줌으로써 식물의 초기 생장시 식물이 옹벽본체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방열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캡은,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옹벽본체의 외부면에 밀착되어 식물의 초기 생장시 식물이 옹벽본체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커버;
    상기 방열커버의 관통홀 주변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포트설치관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캡홀더;
    상기 방열커버와 캡홀더의 외측에서 관통홀까지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커버는, 넝쿨성 식물의 생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망눈이 형성된 메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8.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사면의 전방 바닥면에 기초를 형성하는 기초형성단계;
    이후 기초의 상부에 옹벽본체 형성을 위한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단계;
    이후 상기 철근들에 연결되고 옹벽본체의 전,후를 관통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식생수단을 설치하여 식물 뿌리가 자나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식물 생장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수단 설치단계;
    이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옹벽본체 형성단계;
    이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식생수단의 일측단에 식재포트를 삽입 설치하는 식재포트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식생수단 설치단계는, 상기 옹벽본체의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일부분에 유공관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유도관과, 상기 식생유도관의 선단에 식생유도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식물의 뿌리가 자라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생유지관리부와, 상기 식생유지관리부에서 옹벽본체의 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식물이 재배된 상태의 식재포트가 삽입되는 포트설치관과, 상기 식생유도관의 유공관부상에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습저류부로 이루어진 식생수단을 이음철선을 이용하여 철근에 연결함으로써 설치되고,
    상기 보습저류부는, 상기 유공관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습저류통과, 상기 보습저류통의 내부에 유공관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수분의 저장 및 유공관부를 통해 식생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흡수 폴리머패드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비료패드와, 수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폰지패드로 이루어진 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포트 설치단계 이후, 포트설치관에 방열캡을 더 설치하여 포트설치관 주변의 옹벽본체를 커버해줌으로써 식물이 초기 생장하는 과정에서 옹벽본체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방법.
KR1020130005434A 2013-01-17 2013-01-17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37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34A KR101337442B1 (ko) 2013-01-17 2013-01-17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34A KR101337442B1 (ko) 2013-01-17 2013-01-17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442B1 true KR101337442B1 (ko) 2013-12-06

Family

ID=4998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434A KR101337442B1 (ko) 2013-01-17 2013-01-17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66A (ko) * 2018-02-28 2019-09-05 정병현 폐갱수 차단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913A (ja) * 1996-12-12 1998-06-23 Takatoku:Kk 擁壁面の緑化工法
JP2000129703A (ja) * 1998-10-29 2000-05-09 Hisaya Nakagawa 植栽用護岸ブロック装置
KR20090098339A (ko) * 2008-03-14 2009-09-17 유해준 식재공관
KR20100095970A (ko) * 2009-02-23 2010-09-01 강명석 배후토사의 저수조를 구비한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913A (ja) * 1996-12-12 1998-06-23 Takatoku:Kk 擁壁面の緑化工法
JP2000129703A (ja) * 1998-10-29 2000-05-09 Hisaya Nakagawa 植栽用護岸ブロック装置
KR20090098339A (ko) * 2008-03-14 2009-09-17 유해준 식재공관
KR20100095970A (ko) * 2009-02-23 2010-09-01 강명석 배후토사의 저수조를 구비한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66A (ko) * 2018-02-28 2019-09-05 정병현 폐갱수 차단 시공방법
KR102036986B1 (ko) * 2018-02-28 2019-11-26 정병현 폐갱수 차단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6137B (zh) 一种近海滩涂盐碱地高羊茅草的栽培绿化方法
KR101337425B1 (ko)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3556642B (zh) 一种高陡岩质边坡覆绿地境的再造方法
CN205284362U (zh) 一种盐碱地育苗系统
CN104429782B (zh) 干旱地区竹柳育苗的方法
JP2014117189A (ja) 樹木栽培方法
CN211509937U (zh) 一种预埋花盆
CN102823416A (zh) 一种榉树种植管理方法
KR20110128576A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1334266B1 (ko) 지질특성을 이용한 배수로형 지하수 인공함양방법
KR101116242B1 (ko) 벽면 속성 녹화 공법
CN207075334U (zh) 一种苗木控根器
KR101337442B1 (ko)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07836245A (zh) 灌溉方便的植物种植箱
CN205284498U (zh) 植物灌溉及施肥用容器
CN103975821B (zh) 葡萄二次结果方法
KR101313866B1 (ko) 시스템 식재 포트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CN205124492U (zh) 陡岩边坡烟斗形绿化装置
CN1985571A (zh) 一种提高苗木栽植成活率的育苗方法
KR20090113984A (ko) 다양한 야생화 식생식재를 통한 옹벽의 녹화 방법
CN207410899U (zh) 壕沟式积雨节水栽培结构
CN210226321U (zh) 一种便于储水的苗木种植树坑
CN103918539A (zh) 一种蜂巢容器及其植物预培方法
CN209983168U (zh) 一种花木种植板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