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220B1 - Seawater lifting System - Google Patents

Seawater lif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220B1
KR101336220B1 KR1020110133487A KR20110133487A KR101336220B1 KR 101336220 B1 KR101336220 B1 KR 101336220B1 KR 1020110133487 A KR1020110133487 A KR 1020110133487A KR 20110133487 A KR20110133487 A KR 20110133487A KR 101336220 B1 KR101336220 B1 KR 10133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guide
suction unit
opening
lif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6809A (en
Inventor
한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220B1/en
Publication of KR2013006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해수 리프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은 해양구조물의 덱크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해수에 설치된 해수 흡입부, 상기 덱크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해수 흡입부와 연결된 해수 리프팅 유닛 및 상기 해수 흡입부를 수용하여 가이드하며, 부력에 의해 해수에 뜨는 해수 흡입부 가이드를 포함한다.A seawater lifting system is disclosed. Seawater l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 formed in the deck of the marine structure, the seawater suction unit installed in the seawater through the opening, the seawater lifting unit installed on the deck and connected to the seawater suction unit and the seawater It accommodates and guides the suction unit, and includes a seawater suction unit guide floating in the sea water by buoyancy.

Description

해수 리프팅 시스템{Seawater lifting System}Seawater Lifting System

본 출원은 해수 리프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해수를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와 이에 연결된 호스가 하강되는 경우 펌프가 해양구조물 자체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수 리프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seawater lif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water lifting system that prevents the pump from impacting the offshore structure itself when the pump for raising seawater and the hose connected thereto is lowered.

최근 현대 사회에서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기기 등의 사용이 갈수록 커짐에 따라 화학에너지원이 아닌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었다.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electric devices using electricity in the modern society becomes more and more,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rather than a chemical energy source has emerged as an urgent problem.

이러한 대안으로 태양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풍력 에너지, 수소 에너지, 해양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해양 에너지는 파력, 수력, 풍력, 조력 및 조류 발전에 의해 생산된 에너지가 있다. 해양 에너지 중 풍력 발전은 해저지반고정 방식 또는 부유 방식의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해상에서의 안정된 풍량을 확보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As an alternative,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generate electricity using solar energy, bioenergy, wind energy, hydrogen energy, and marine energy. Here, the marine energy is the energy produced by wave power, hydro, wind, tidal and tidal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of marine energy means generating wind power by securing a stable wind volume at sea by installing a submarine ground-fixed or floating wind generator.

해상풍력발전이 육상풍력발전에 비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육상에서의 풍력발전 설치가능 지역의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유사한 조건에서 육상풍력발전에 비해 약 1.5배의 발전량 확보가 가능하며, 강한 풍속 및 적은 풍속의 변화를 나타내며, 초대형 풍력발전기 설치가 가능하고, 소음 등의 문제로 인한 민원발생의 소지가 적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offshore wind power is drawing more attention than onshore wind power is that it has reached the saturation of wind power installation area on land,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bout 1.5 times the power generation compared to onshore wind power under similar conditions. This is because it shows a small change in wind speed,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uper-large wind power generator, and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complaints due to noise.

최근에 이러한 풍력발전을 위해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이 건조되고 있다.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작업 특성상 네가지 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네가지 모드는 (1) 일반 항해 모드, (2) 자동 제어 모드(DP Mode, Dynamic Positioning Mode), (3)잭킹업 모드(Jacking-up Mode), (4)잭키드업 모드(Jacked-up Mode)이다.Recently,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s (WTIV) have been built for such wind power generation. Wind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s can be operated in four modes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The four modes are (1) normal navigation mode, (2) automatic control mode (DP mode, dynamic positioning mode), (3) jacking-up mode, and (4) jacked-up mode. )to be.

이러한 모드 중,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3), (4) 모드를 거쳐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구조물이 수면 위로 들어 올려져야 한다. 해양구조물이 해저에 지지되며 해수면 위로 들여 올려지게 되면, 해양구조물 밑면과 해수면 사이의 공간(Air Draft)이 형성된다.In such a mode, in order to install the wind generator, the marine structure must be lifted above the water surface as shown in FIG. 1 through (3) and (4) modes. When an offshore structure is supported on the sea floor and lifted above the sea level, an air draft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offshore structure and the sea level.

해양구조물이 부유되고 있는 상태인 (1), (2) 모드에서는 물에 잠기는 부분에서 해수를 끌어올려 엔진을 비롯한 각종 장비에 사용된다. 하지만, 해양구조물이 해수면 위로 들어 올려진 상태인 (3), (4) 모드에서는 해수를 끌어올리는 해수 펌프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In the (1) and (2) modes, where the marine structure is floating, the seawater is pulled from the submerged part and used for various equipment including the engine. However, in modes (3) and (4) where offshore structures are lifted above sea level, a seawater pump system is needed to pull seawater up.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61876 호에 공개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트렁크가 마련된 선체, 트렁크의 상부에 설치된 펌프, 트렁크와 연통된 케이슨, 케이슨에 연통되고 해수를 흡입하기 위한 해수 흡입기를 포함한다. 본 선행문헌은 펌프가 선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잠형 펌프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의 간섭을 받지 않고 선체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는 해수를 흡입하는 장치 내지 시스템이 요청되고 있다.Floating offshore structure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61876 of the prior art is a hull provided with a trunk, a pump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unk, caissons in communication with the trunk, a seawater inhaler for inhaling seawater connected to the caisson It includes. This prior docu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mp is provided in the hull.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or system for sucking seawater that does not change the design of the hull and does not change the design of the hull using a latent pump.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해수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eawater supply apparatus of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잭키드업 모드 상태인 해상구조물(1)은 선체의 덱크(Deck)상에 각종 플랜트 설비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잠수 가능한 펌프(10)를 호스(20)에 연결시켜 해수면 아래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펌프(10)를 가동하였다. 그리고, 상기 호스(20)에 연결된 잠형 펌프(10)를 이용하여 해수를 끌어올릴 때 잭킹업 레그(Jacking-up Leg)(2)의 설치를 위한 선체의 관통부를 통하여 윈치(30)를 이용하여 상기 호스(20)를 하강시키거나 승강시키게 된다. 그러나, 바람과 해수에 상기 호스(20)가 흔들릴 수 있고, 이럴 경우 상기 호스(20)에 연결된 펌프(10)가 상기 잭킹업 레그(2)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잭킹업 레그(2)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Referring to FIG. 1, the marine structure 1 in the jacked up mode is installed with various plant facilities on a deck of a hull, and a conventional submersible pump 10 is connected to a hose 20. And lowered below the sea level to operate the pump (10). Then, when the seawater is drawn up by using the latent pump 10 connected to the hose 20, the winch 30 is used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hull for the installation of the jacking-up leg 2. The hose 20 is lowered or raised. However, the hose 20 may be shaken by wind and sea water, and in this case, the pump 10 connected to the hose 20 may impact the jacking up leg 2 and damage the jacking up leg 2.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cause it.

본 출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수를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와 이에 연결된 호스가 하강되는 경우 해양구조물 자체에 손상을 방지하며, 바람과 파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해수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mp and the hose connected thereto to raise the seawater is lowered to prevent damage to the marine structure itself, lifting seawater that is not affected by wind and waves We want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수 리프팅 시스템은 해양구조물의 덱크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해수에 설치된 해수 흡입부, 상기 덱크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해수 흡입부와 연결된 해수 리프팅 유닛 및 상기 해수 흡입부를 수용하여 가이드하며, 부력에 의해 해수에 뜨는 해수 흡입부 가이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water lifting system includes an opening formed in a deck of an offshore structure, a seawater suction unit installed in the seawater through the opening, a seawater lifting unit installed on the deck and connected to the seawater suction unit, and the seawater It accommodates and guides the suction unit, and includes a seawater suction unit guide floating in the sea water by buoyancy.

또한, 상기 해수 흡입부는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에 윈치 연결된 유입수단과 상기 유입수단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 water inlet may include an inlet means winch-connected to the seawater lifting unit and a pump connected to the inlet means.

또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해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레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수 흡입부와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는 상기 개구부의 끝단과 상기 레그부 끝단 사이에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eg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opening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ea bottom, wherein the seawater suction portion and the seawater suction portion guide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n end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leg portion.

또한,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리프팅 유닛에 윈치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수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may include a wire winch connected to the guide lifting unit and a receiving guid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wire.

또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해수 흡입부를 수용하고, 해수의 부력에 의해 해수면으로 상승하는 제 1 수용 가이드와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해수의 부력에 의해 일정 부위가 상기 해수면으로 상승하는 제 2 수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guide and the first receiving guide which is connected to the wire and accommodates the seawater suction unit and rises to the sea surface by buoyancy of seawater, and a predetermined portion rises to the sea surface by buoyancy of the seawater. It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on guide.

또한,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는 내부가 관통된 제 1 구조체와 상기 제 1 구조체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구조체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는 상기 제 1 구조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을 가지는 제 2 구조체와 상기 제 2 구조체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체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may include a first structure through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penetrates, and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urface of the first structure at an end of the first structure. It may include a second structure having a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flang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structure at the end of the second structure.

또한,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의 재질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may include 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또한,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의 횡단면은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호스에 연결된 펌프를 통해 해수를 해양구조물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해수 흡입부 가이드를 이용함으로써, 해수 흡입부 가이드는 호스가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호스에 연결된 펌프를 상, 하 이동시킬 수 있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seawater inlet guide in the process of supplying seawater to the offshore structure through a pump connected to the hose, the seawater inlet guide prevents the hose from shaking by the wind or waves more stable to the hose The connected pump can be moved up and down.

또한, 기존에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된 레그부를 위한 선체에 관통된 개구부를 이용하여,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 상부에 해수를 끌어 올릴 수 있어, 해수 유입을 위한 별도의 개구부를 만들 필요가 없어 해양구조물 자체의 손상이 없고 선체 구조 변경이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opening through the hull for the leg portion installed in the existing floating marin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ull up the seawater on the floating marine structure, there is no need to make a separate opening for the inflow of marine structure There is no damage to itself an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hull structure.

또한, 해수 흡입부 가이드는 부력이 작용되기 용이한 재질을 가짐으로써,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는 별도의 리프팅 장치가 없이 해수에 의한 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상구조물의 개구부를 통해 승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has a material that is easy to act buoyancy,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can be automatically lif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marine structure by buoyancy by the sea water without a separate lifting device.

또한, 해수 흡입부 가이드는 호스가 바람이나 파도에 흔들림이 방지되어 호스에 연결된 펌프가 레그부에 충격 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hose from being shaken by wind or waves to prevent the pump connected to the hose from impacting the leg.

또한, 제 2 수용 가이드가 제 1 수용 가이드에 수용되고 제 2 수용 가이드가 해양구조물 내부로 인양될 수 있는 해수 흡입부 가이드의 구조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항해 시 해수 흡입부 가이드가 항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seawater intake guide in which the second accommodation guid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guid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guide can be lifted into the offshore structure prevents the seawater intake guide from interfering with the navigation when th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s sailing. Can be prevented.

또한, 해수 흡입부 가이드의 횡단면은 반원 형상을 가지게 됨으로써, 해수 흡입부 가이드의 상, 하 이동 시 개구부의 개구면을 가이드로 이용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해수 흡입부 가이드를 상하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has a semicircular shape, the opening surface of the opening is used as a guide when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moves up and down, and thus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can be moved up and down more sta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해수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해수 리프팅 시스템에서 수용 가이드의 구조 및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해수 흡입부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이 부력을 받아 선체에 인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seawater supply apparatus of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water l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accommodation guide in the seawater lifting system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of FIG. 2.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eawater l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water lifting system is lifted to the hull under buoya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해수 리프팅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it is revealed in advance that they are not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conventional seawater lifting system.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수 리프팅 시스템(1000)은 개구부(100), 해수 흡입부(200), 해수 리프팅 유닛(400) 및 해수 흡입부 가이드(300)를 포함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water l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seawater lifting system 1000 includes an opening 100, a seawater suction unit 200, a seawater lifting unit 400, and a seawater suction unit guide 300.

개구부(100)는 해양구조물(1)의 덱크에 형성되며,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200)가 상기 개구부(100)를 통해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100)는 상기 해양구조물을 지지하는 레그부(2)가 해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opening 100 is formed in the deck of the marine structure 1,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200 can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opening 100. In addition, the opening 10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leg portion 2 supporting the offshore structure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ea floor.

해수 흡입부(200)는 해수를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220)와 상기 펌프(220)에 연결되어 해수가 상기 해양구조물(1)의 상부 덱크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수단(240)을 포함한다.The seawater suction unit 200 includes a pump 220 for raising seawater and an inflow unit 240 connected to the pump 220 to allow seawater to flow into the upper deck of the marine structure 1.

상기 펌프(220)는 해수에 잠기게 되어 이른바 잠형 펌프로서 당업자는 그 구체적인 구성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ump 220 is submerged in seawater, s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s a so-called submersible pump can clearly underst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thereof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유입수단(240)은 플라스틱(Plastic) 혹은 고무 재질의 호스나 스틸(Steel) 재질의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수단(240)이 호스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400)이 윈치로 구성되어 될 수 있다.The inflow means 240 may be a plastic or rubber hose or steel pipe. At this time, when the inlet means 240 is made of a hose, the seawater lift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as a winch.

또한, 상기 유입수단(240)이 호스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펌프(220)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펌프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let means 240 is made of a hose, since the pump 220 has a considerable weight, it is possible to use a plastic material tha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weight of the pump.

해수 리프팅 유닛(400)은 상기 펌프(240)에 연결된 상기 호스(220)를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양구조물(1)의 덱크 상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해수 리프팅 유닛(400)은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윈치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eawater lifting unit 400 is for lifting or lowering the hose 220 connected to the pump 240, is installed on the deck of the offshore structure (1). In this embodiment, the seawater lifting unit 400 is a general winch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해수 흡입부 가이드(300)는 와이어(320)와 상기 와이어(32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수용 가이드(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320)와 상기 수용 가이드(310)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용접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와이어(320)와 상기 수용 가이드(310)를 연결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The seawater suction guide 300 includes a wire 320 and a receiving guide 310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wire 320. Here, the method of mechanically connecting the wire 320 and the accommodation guide 310 may be made by a welding method, but any method may be used as long as the wire 320 and the accommodation guide 3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와이어(320)는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400)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20)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개구부(100)의 상단면에서 하단면에 이르는 높이보다 작다.The wire 320 is connected to the seawater lifting unit 400, and the entire length of the wire 320 is smaller than the height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100.

상기 수용 가이드(310)는 상기 유입수단(240)를 수용한다. 상기 수용 가이드(3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면 설명에서 함께 하기로 한다.The accommodation guide 310 accommodates the inflow means 24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ccommodation guide 3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1000)은 기존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된 레그부(2)를 위한 덱크에 관통된 개구부를 이용하여, 해수 흡입부를 통해 상기 해상구조물(1) 상부에 해수를 끌어 올릴 수 있어, 해수 유입을 위한 별도의 개구부를 만들 필요가 없게 되어 선체 구조 변경이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water lift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opening penetrated through the deck for the leg portion 2 installed in the existing floating marine structure, and the seawater on the marine structure 1 through the seawater suction unit. Since it can be pulled up, there is no need to make a separate opening for the inflow of sea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need to change the hull structure.

도 3은 도 2의 해수 리프팅 시스템에서 수용 가이드의 구조 및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accommodation guide in the seawater lifting system of FIG.

수용 가이드(310)는 상기 유입수단(240)을 수용하는 제 2 수용 가이드(340)와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가이드(360)로 구성된다.The accommodating guide 310 has a wider width than the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accommodating the inflow means 24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and a first accommodating accommodating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Guide 360.

상기 유입수단(240)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해수를 이동시키는 연결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펌프(2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The inflow means 24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to serve as a connection passage for moving the sea water, and to more stably support the pump 220.

상기 수용 가이드(310)는 상기 개구부(100)의 끝단과 상기 레그부(2)의 끝단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이때, 상기 수용 가이드(310)의 횡단면은 반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 가이드(310)는 상기 개구부(100)의 개구면과 면 접촉되어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승, 하강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guide 31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end of the opening 100 and the end of the leg portion 2,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of the accommodation guide 310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ccordingly, the receiving guide 310 is in contact with the opening surface of the opening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tably without shaking.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 가이드(310)의 횡단면 형상이 반원 형태로 나타내었지만, 예를 들어, 횡단면이 사각형상을 갖는 수용 가이드와 같이, 상기 개구부(100)의 개구면과 접촉 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상, 하 이동할 수 있는 구조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ccommodation guide 310 is shown in a semi-circular shape, but, for example, as in the accommodation guide having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 quadrangle, the contact area of the opening guide 100 is enlarged to stably increase the contact area. It is possible to use any structure that can move down.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선 수용 가이드의 배치에 대해서만 도시되었지만, 상기 수용 가이드(310)를 포함하고, 해수 흡입부를 수용하는 해수 흡입부 가이드 역시 상기 개구부(100)의 끝단과 상기 레그부(2) 끝단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해수를 끌어올릴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3, only the arrangement of the accommodating guide is illustrated, but the seawater intake guide including the accommodating guide 310 and accommodating the seawater intake is also provided at the end of the opening 100 and the leg portion 2. ) It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ends and can raise seawater stably.

도 4는 도 2의 해수 흡입부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of FIG. 2.

도 4를 참조하면, 해수 흡입부 가이드(300)는 와이어(320)와 상기 와이어(320)에 연결된 수용 가이드(31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 가이드(310)는 상기 해수 흡입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가이드(360)와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를 수용하는 제 2 수용 가이드(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300 includes a wire 320 and an accommodation guide 310 connected to the wire 320. The accommodation guide 310 includes a first accommodation guide 360 for receiving the seawater suction unit and a second accommodation guide 340 for receiving the first accommodation guide 360.

상기 수용 가이드(310)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터(GRP, Glass Reinforced Polyes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터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또한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터는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해수에 의한 부력을 받기에 유리한 재료이다. 이에 따라,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상기 수용 가이드(310)는 부력을 받아 해수면 위로 부양되게 된다.The accommodation guide 310 may be made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GRP, Glass Reinforced Polyester). 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and 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is a kind of plastic, which is advantageous for being buoyant by seawater. Accordingly, the receiving guide 310 made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is buoyant to be floated above the sea level.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는 상기 유입수단(240)을 수용하여 상기 유입수단(240)이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 안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accommodates the inflow means 240 such that the inflow means 240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는 내부가 관통된 제 2 구조체(341)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구조체(341)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체(341)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플랜지부(3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 2 플랜지부(342)는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의 상단이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의 내측면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econd receiving guide 340 has a second structure 341 penetrated therein,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urface of the second structure 341 at an end of the second structure 341. A second flange portion 342. In other words. The second flange portion 342 is formed such th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on guide 340 is bent in an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on guide 360.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는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구조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을 갖는 제 1 구조체(361)를 포함한다.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360 includes a first structure 361 having a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structure to accommodate the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또한, 상기 제 1 구조체(361)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구조체(361)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플랜지부(36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플랜지부(362)는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의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t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362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rst structure 361 at the end of the first structure (361). In other words. The first flange portion 362 has a form in which a low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360 is bent inwardly.

상기 제 1 플랜지부(362)는 상기 제 2 플랜지부(342)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플랜지부(362)는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 2 플랜지부(342)에 걸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는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를 하방향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flange portion 362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lange portion 342, the first flange portion 362 is the second by the load of the second receiving guide 340 It is caught by the flange portion 342 and as a result the first receiving guide 360 is able to support the second receiving guide 340 in the downward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eawater l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5, it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operating the seawater l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에서 전술한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400)인 윈치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220)가 연결된 상기 유입수단(240)을 해수면을 향하여 하강시킨다. 이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는 상기 펌프(220) 상부에 안착된 상태이며 동시에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는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펌프(220)에 안착된 상태로 해수면을 향하여 하강된다.First, the inflow means 240 connected to the pump 220 is lowered toward the sea surface by using the winch, which is the seawater lifting unit 400 described above in FIG. 2. 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5,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360 is seated on the pump 22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is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 It is lowered toward the sea level in a state seated in the pump 220 in a state accommodated in 360.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400)을 이용하여 상기 유입수단(240)는 계속 내려감에 따라,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는 상기 와이어(320)의 길이만큼 내려가고, 이때,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상기 개구부(100)의 개구면에 면 접촉하게 된다.As the inflow means 240 continues to descend using the seawater lifting unit 400, the first accommodation guide 360 descends by the length of the wire 320, and at this time, the first accommodation guide ( 360 is no longer lowered an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pening surface of the opening 100.

이에 따라,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는 상기 개구부(100)의 개구면을 따라 내려감으로써,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는 파도 내지 바람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360 descends along the opening surface of the opening 100,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360 is not shaken by waves or wind.

그리고,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400)에 의해 상기 유입수단(240)은 계속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는 상기 펌프(220)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하강한다.In addition, as the inflow means 240 continues to descend by the seawater lifting unit 400, the second accommodation guide 340 descends while being seated on the pump 220.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00)에서 해수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와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의 총 길이보다 길 경우, 상기 제 1 플랜지부(362)가 상기 제 2 플랜지부(342)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고 정지된다.As shown in FIG. 5B, when the distance from the opening 100 to the sea level is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accommodation guide 360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guide 340, the first The flange portion 362 is caught by the second flange portion 342 so that the second receiving guide 340 is no longer lowered and stops.

이와 달리,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는 해수면에 맞닿게 되는 경우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는 부력을 받아 해수 위에 뜨게 된다. 이는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의 재질이 해수면에서 부력을 잘 받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터를 포함하기 때문이다.In contrast, when the second receiving guide 340 is in contact with the sea surface, the second receiving guide 340 is buoyant to float on the sea water. This is because the material of the second receiving guide 340 includes 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which is well buoyant at sea level.

마지막으로, 상기 펌프(220)가 해수면 아래로 일정 거리만큼 더 내려간 경우, 상기 펌프(220)에 연결된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400)의 작동이 중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220)는 하강되지 않고 정지된다.Finally, when the pump 220 is further lowered below the sea lev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peration of the seawater lifting unit 400 connected to the pump 220 is stopped. Accordingly, the pump 220 is stopped without lowering.

이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1000)은 상기 유입수단(240)에 연결된 상기 펌프(220)를 통해 해수를 해양구조물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30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300)는 상기 유입수단(240)이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유입수단(240)에 연결된 상기 펌프(220)가 승, 하강될 수 있다. Thus, the seawater lift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seawater to the marine structure through the pump 220 connected to the inlet means 240,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300 By using,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300 is to prevent the inlet 240 is shaken by the wind or waves. Accordingly, the pump 220 connected to the inflow means 240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tably.

또한,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300)는 상기 유입수단(240)이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300)는 상기 유입수단(240)에 연결된 상기 펌프(220)가 상기 레그부(2)에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300 prevents the inflow unit 240 from being shaken by wind or waves, so that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300 is connected to the inflow unit 240. It can serve to prevent the impact on the leg portion (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리프팅 시스템이 부력을 받아 선체에 인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water lifting system is lifted to the hull under buoya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를 참조하면, 해상구조물이 다른 해상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레그부(2)에 지탱하는 해상구조물(1)은 해수면을 향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는 해수에 의해 부력을 받아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에 수용된다.Referring to FIG. 6 (a), when the marine structure moves to another sea, the marine structure 1 supporting the leg portion 2 descends toward the sea level. Accordingly, the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360 by being buoyant by seawater.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가 제 1 수용 가이드(360)에 의해 완전히 수용되면,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도 마찬가지로 해수에 의해 부력을 받아 상기 개구부(100)의 개구면을 따라 승강되게 된다.When the second accommodating guide 340 is completely received by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360,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360 is similarly buoyant by seawater along the opening surface of the opening 100. You will be elevated.

상기 해양구조물(1)이 해수면에 부양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340)를 수용한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360)가 상기 개구부(100) 안으로 수용된다.When the marine structure 1 is floated on the sea surface, as shown in FIG. 6 (b), the first accommodation guide 360 which accommodates the second accommodation guide 340 is the opening 100. Is accommodated in.

마지막으로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400)는 상기 유입수단(240)을 승강시킨다.Finally, the seawater lifting unit 400 elevates the inflow means 240.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100)에 상기 수용 가이드(310)와 상기 펌프(220)가 완전히 수용되어, 해상구조물은 상기 수용 가이드(310)와 상기 펌프(220)에 의한 방해 없이 항해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ccommodating guide 310 and the pump 220 ar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opening 100, so that the marine structure can be sailed without interference by the accommodating guide 310 and the pump 220. .

또한, 상기 수용 가이드(310)는 부력을 받아 자동적으로 해수면 위로 부양됨으로써, 상기 수용 가이드(310)를 승강시키기 위한 윈치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ccommodation guide 310 is buoyant and automatically floated on the sea lev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winch for lifting the accommodation guide 310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provided.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1: 해양구조물 2: 레그부
10: 펌프 20: 호스
30: 윈치 220: 펌프
240: 호스 300: 해수 흡입부 가이드
310: 수용 가이드 340: 제 2 수용 가이드
341: 제 2 구조체 342: 제 2 플랜지부
360: 제 1 수용 가이드 361: 제 1 구조체
362: 제 1 플랜지부 400: 해수 리프팅 유닛
1000: 해수 리프팅 시스템
1: Offshore Structure 2: Leg Section
10: pump 20: hose
30: winch 220: pump
240: hose 300: seawater intake guide
310: accommodation guide 340: second accommodation guide
341: Second Structure 342: Second Flange
360: first accommodation guide 361: first structure
362: first flange portion 400: seawater lifting unit
1000: Seawater Lifting System

Claims (7)

해양구조물의 덱크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해수에 설치된 해수 흡입부;
상기 덱크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해수 흡입부와 연결된 해수 리프팅 유닛;
상기 해수 흡입부를 수용하여 가이드하며, 부력에 의해 해수에 뜨는 해수 흡입부 가이드; 및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해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 흡입부와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는 상기 개구부의 끝단과 상기 레그부 끝단 사이에 공간에 배치되는 해수 리프팅 시스템.
Openings formed in the deck of the offshore structure;
A seawater suction unit installed in the seawater through the opening;
A seawater lifting unit installed on the deck and connected to the seawater suction unit;
A seawater suction unit guide for receiving and guiding the seawater suction unit and floating on the seawater by buoyancy; And
It includes a leg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opening through the opening,
And the seawater suction unit and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ar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end of the opening and the end of the le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흡입부는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에 윈치 연결된 유입수단과
상기 유입수단과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는 해수 리프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 water suction unit
Inlet means connected to the winch to the sea water lifting unit and
Pump connected to the inlet means
Including seawater lifting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는
상기 해수 리프팅 유닛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수용 가이드를
포함하는 해수 리프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water suction unit guide
A wire connected to the seawater lifting unit
The receiving guide connected to the wire
Including seawater lifting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가이드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해수 흡입부를 수용하고, 해수의 부력에 의해 해수면으로 상승하는 제 1 수용 가이드와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해수의 부력에 의해 일정 부위가 상기 해수면으로 상승하는 제 2 수용 가이드를
포함하는 해수 리프팅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ccommodation guide is
A first accommodation guide connected to the wire to receive the seawater suction unit and rise to the sea surface by buoyancy of seawater;
A second accommodating guid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guide and having a predetermined portion ascending to the sea surface by buoyancy of the sea water;
Including seawater lifting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 가이드는 내부가 관통된 제 1구조체,
상기 제 1 구조체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구조체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용 가이드는 상기 제 1 구조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을 가지는 제 2 구조체와 상기 제 2 구조체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체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해수 리프팅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receiving guide is a first structure through which the inside,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urface of the first structure at an end of the first structure,
The second receiving guide includes a second structure having a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flang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structure at an end of the second structure. Lift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흡입부 가이드의 횡단면은 반원 형상을 갖는 해수 리프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Cross-section of the seawater inlet guide has a semicircular shape seawater lifting system.
KR1020110133487A 2011-12-13 2011-12-13 Seawater lifting System KR101336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487A KR101336220B1 (en) 2011-12-13 2011-12-13 Seawater lif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487A KR101336220B1 (en) 2011-12-13 2011-12-13 Seawater lif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809A KR20130066809A (en) 2013-06-21
KR101336220B1 true KR101336220B1 (en) 2013-12-05

Family

ID=4886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487A KR101336220B1 (en) 2011-12-13 2011-12-13 Seawater lif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2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36B1 (en) * 2013-08-21 2015-04-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ea water pump apparatus using cassion
KR101531407B1 (en) * 2013-09-13 2015-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ump delivery apparatus of ri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7984A (en) * 1978-01-18 1979-08-02 Kawasaki Heavy Ind Ltd Plant barge
KR20110061876A (en) * 2009-12-02 2011-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ocean construct
KR20110064398A (en) * 2009-12-08 2011-06-15 김기철 Apparatus for protecting a cable of water pump
KR20110072525A (en) * 2009-12-23 2011-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ooling system of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7984A (en) * 1978-01-18 1979-08-02 Kawasaki Heavy Ind Ltd Plant barge
KR20110061876A (en) * 2009-12-02 2011-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ocean construct
KR20110064398A (en) * 2009-12-08 2011-06-15 김기철 Apparatus for protecting a cable of water pump
KR20110072525A (en) * 2009-12-23 2011-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ooling system of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809A (en)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47582B (en) Wave power generation equipment
JP2015534923A (en) Floating transport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wind turbine, floating wind turbin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the same
JP5629496B2 (en) Ocean curr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GB2587113A (en) System and method
AU2008294758B2 (en) A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EP3953248B1 (en) A single-column semi-submersible platform
JP5690116B2 (en)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KR101336220B1 (en) Seawater lifting System
KR102521885B1 (en) Offshore wind farm structure installed by jacking metho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336216B1 (en) Seawater lifting System
KR101763691B1 (en) Offshore structure installation vessel
KR101378990B1 (en) Floating structure
KR101411517B1 (en) Leg protection apparatus of floating structure
KR20100043445A (en) Tidal current power plant having an air floating type support for supporting a turbine
KR102034347B1 (en) Tidal Current Power Generator Construction System Using Guide Wire
KR101826679B1 (en) Water Supplying Equipment For Jack-Up Platform
JP5022321B2 (en) Seawater circulation device
KR102359503B1 (en) Fair leader for fixing marine wind generator
US11993351B2 (en) Single-column semi-submersible platform
KR102020108B1 (en) Tidal Current Power Generator Construction System With Easy Submarine Cable Installation
KR2016005070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jack-up platform
KR20140021770A (en) Floating structure
KR101422235B1 (en) Leg protection housing apparatus of floating structure
KR101241005B1 (en) Support member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KR20140008579A (en) Leg protection apparatus of floa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