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801B1 -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801B1
KR101334801B1 KR1020110121390A KR20110121390A KR101334801B1 KR 101334801 B1 KR101334801 B1 KR 101334801B1 KR 1020110121390 A KR1020110121390 A KR 1020110121390A KR 20110121390 A KR20110121390 A KR 20110121390A KR 101334801 B1 KR101334801 B1 KR 10133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water pipe
power line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781A (ko
Inventor
조희만
Original Assignee
다음스틸앤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음스틸앤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음스틸앤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8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관을 전원선으로부터 병렬로 배치하여 전열선의 일부분 단선에도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전열선이 삽입되고 열매체가 충전된 복수의 개별적인 온수관이 간격을 유지하면서 스트립 형태로 나란히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각 온수관 내부에 삽입된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전원선이 주전원선으로부터 분기되어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Heating cable layout structure}
본 발명은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관을 전원선으로부터 병렬로 배치하여 전열선의 일부분 단선에도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에너지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기 위하여 습식 전열선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도1에서와 같이 난방용 온수관(100)의 내측에 열매체(물 또는 열전도율이 높은 액체)를 충전한 다음 온수관의 양측을 밀봉하고, 온수관의 내측으로 전열선(110)을 삽입하게 되며, 바닥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매설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열선(11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전열선(110)이 발열하여 열매체를 가열하고, 이로인해 온수관(100)이 가열되어 난방이 행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온수관(100)은 그 내부에 삽입된 전열선(110)이 과열이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전체 난방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바닥 전체를 파헤쳐 온수관(100)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선을 기준으로 복수의 개별적인 온수관을 병렬로 배치하여 어느 하나의 온수관에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온수관은 난방이 지속되도록 하고, 또한 단선된 온수관의 보수시에도 해당 부위의 바닥만을 국부적으로 파헤쳐 보수할 수 있도록 한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는,
스트립 형태로 한 쌍의 주전원선이 나란히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주전원선의 길이방향 측부로는 복수의 개별적인 온수관이 병렬형태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주전원선으로부터 분기된 분기전원선이 온수관 내부에 삽입된 전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의 온수관이 나란히 주전원선으로부터 병렬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온수관에 삽입된 전열선이 단선되더라도 이웃하는 다른 온수관에 의해 난방이 지속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단선된 온수관의 보수시에도 해당 부위만 바닥을 파헤쳐 온수관을 교체하면 되므로 보수비용과 시간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온수관 배치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관 배치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도입밀폐부재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전열선의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단부밀폐부재의 구조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2 내지 5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서와 같이 직선의 관 형태로 개별 온수관(30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열선(310)이 삽입된 다음 열매체가 충전되고, 이후 양단부가 도입밀폐부재(320)와 단부밀폐부재(330)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전열선(310)은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2가닥으로 구성되어 그 타측 끝단이 서로 연결되거나 아니면 처음부터 'U'자 형태로 삽입되며, 일측 끝단은 온수관(300)의 일측부위에서 주전원선(200)으로부터 병렬로 분기된 분기전원선(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주전원선(20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바닥에 배치되고, 그 측부는 상기 각각의 개별 온수관(300)이 스트립 형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히 배치되며, 개별 온수관(300)이 위치한 부위에서 분기전원선(210)이 주전원선(200)으로 분기되어 온수관(300)과 접속된다.
따라서, 복수의 개별 온수관(300)은 주전원선(200)에 대해 측부에서 병렬형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어느 하나의 온수관 내부의 전열선이 단선되었다 할지라도 이웃하는 온수관의 전열선에 공급되는 주전원선의 전원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난방이 지속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적용된 분기전원선(210)을 도입시키기 위한 온수관(300)의 도입밀폐부재(320)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관(300)의 단부 외측에는 크라운 너트(323)가 위치하며, 상기 크라운 너트(323)에는 마개(321)를 수용한 플럭(325)이 체결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플럭(325)의 내측에 수용된 마개(321)는 전열선(310)과 전원선(210)이 연결체(322)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압축사출에 의해 일체화 되는데, 상기 전열선(310)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열선(311)의 외측에 절연을 위한 테프론층(312)이 피복되며, 테프론층(312)의 외측에도 절연을 위한 실리콘층(313)이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전열선(310)의 끝단은 전원선(210)과 연결되는데, 그 연결부위에 금속재 링 형태의 연결체(322)가 씌워지고, 연결체(322)를 가압함으로써 전열선(310)과 전원선(210)이 상호간 고정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마개(321)는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으며, 몰딩성형시에 상기 전열선(310)과 전원선(210)의 연결부위를 내측에 수용하면서 일체로 압축사출되어 형성된다.
전열선(310)의 외측은 실리콘층(313)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또한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마개(321)와 접합성이 매우 뛰어나서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기밀성이 매우 증가된다.
또한, 금속재의 연결체(322)가 장착된 연결부위는 외측으로 튀어나온 돌기형태를 가짐으로써 이 또한 전열선(310)과 전원선(210)이 마개(3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마개(321)를 파손하지 않는 한 전열선(310)과 전원선(121)은 마개(32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크라운 너트(323)를 온수관(300)의 외측으로 끼운 다음, 내측에 나사부를 갖는 링 형태의 걸림부(324)를 온수관(300)의 단부 외측에 체결하여 크라운 너트(323)가 온수관(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전열선(310)과 전원선(210)이 내장되어 압축사출된 마개(321)를 플럭(325)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전원선(210)이 요입부(326)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전열선(310)을 온수관(30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다음 크라운 너트(323)의 내측으로 플럭(325)을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플럭(325)의 단부에 형성된 관접부(327)는 온수관(300)과 마개(321) 사이에 끼워져 마개(32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되며, 마개(321)의 외측에는 다단의 단턱들이 형성되어 플럭(3254) 내부의 턱부들에 각각 걸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단부밀폐부재(330)는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입밀폐부재(320)와 유사하게 크라운 너트(331)와 밀폐된 플럭(332)에 의해 마감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된다.
200 : 주전원선 210 : 분기전원선
300 : 온수관 310 : 전열선
320 : 도입밀폐부재 321 : 마개
322 : 연결체 323 : 크라운 너트
324 : 걸림부 325 : 플럭
330 : 단부밀폐부재

Claims (3)

  1. 내부에 전열선이 삽입되고 열매체가 충전된 복수의 개별적인 온수관이 간격을 유지하면서 스트립 형태로 나란히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각 온수관 내부에 삽입된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전원선이 주전원선으로부터 분기되어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관의 양측 끝단은 도입밀폐부재와 단부밀폐부재에 의해 각각 밀폐되고, 상기 도입밀폐부재는 상기 전열선의 외측으로 테프론층과 실리콘층이 순차적으로 피복되어 전원선과 연결체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되며, 실리콘 재질로 된 마개의 몰딩시에 상기 연결체에 의해 체결된 부위가 마개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전열선과 전원선이 마개를 관통하도록 일체로 압축사출에 의해 몰딩되고, 상기 마개의 일부측은 온수관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타측은 플럭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마개를 수용한 플럭이 온수관의 외측에 체결된 크라운 너트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선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바닥에 배치되고, 주전원선의 길이방향 측부로는 복수의 개별적인 온수관이 주전원선에 대해 병렬로 나란히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3. 삭제
KR1020110121390A 2011-11-21 2011-11-21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KR10133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90A KR101334801B1 (ko) 2011-11-21 2011-11-21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90A KR101334801B1 (ko) 2011-11-21 2011-11-21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781A KR20130055781A (ko) 2013-05-29
KR101334801B1 true KR101334801B1 (ko) 2013-11-29

Family

ID=4866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390A KR101334801B1 (ko) 2011-11-21 2011-11-21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0256A (zh) * 2019-01-02 2019-05-10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融合装备维修性的线缆布局设计优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62Y1 (ko) 1999-08-25 2000-02-15 김현태 무자계 열선
KR20030068744A (ko) * 2002-02-16 2003-08-25 김강현 전열 온수관 및 그 배관방법
JP2006045783A (ja) 2004-07-30 2006-02-16 Jiro Shimizu 電熱建材、電熱壁暖房装置及び電熱床暖房装置並びに施工方法
KR100815261B1 (ko) 2007-03-06 2008-03-19 오세천 전열선 삽입 온수관의 마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62Y1 (ko) 1999-08-25 2000-02-15 김현태 무자계 열선
KR20030068744A (ko) * 2002-02-16 2003-08-25 김강현 전열 온수관 및 그 배관방법
JP2006045783A (ja) 2004-07-30 2006-02-16 Jiro Shimizu 電熱建材、電熱壁暖房装置及び電熱床暖房装置並びに施工方法
KR100815261B1 (ko) 2007-03-06 2008-03-19 오세천 전열선 삽입 온수관의 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781A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8845B (zh) 用于可加热的介质管道的可至少部分加热的管道连接器和具有该管道连接器的组装介质管道
KR101508724B1 (ko) 수중히터 및 그 제조방법
CN106451316A (zh) 模注型柔性直流电缆软接头反应力锥结构设计方法
CN110504646A (zh) 一种线路修复装置
KR101334801B1 (ko) 난방용 온수관 배치구조
CN105611659A (zh) 一种碳纤维发热电缆冷热接线结构
WO2009035192A1 (en) Heating apparatus
KR101502748B1 (ko) 난방용 전열관
BR212015031156U2 (pt) conector impermeável
CN106537711B (zh) 用于组装超导电缆系统的方法及构造
KR101062939B1 (ko) 전기선 연결 커넥터
KR101582596B1 (ko) 밀봉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매설형 전열장치 시설체 및 이의 제작방법
JP2009259822A (ja) 基礎絶縁プラグ及び製造方法
CN202009502U (zh) 电热膜地暖专用快速插接式t型电缆
KR101724414B1 (ko) 난방용 온수관
KR101185486B1 (ko) 온수관 밀폐장치
CN102721097B (zh) 一种发热地板组件
CN105977721A (zh) 工作器具外部电源线固定装置
CN205542035U (zh) 一种软硬结合母线排
CN206225032U (zh) 一种包胶线卡
CN213547875U (zh) 一种安全型石墨烯发热电地暖的防漏电结构
CN208622961U (zh) 一种用于智控地暖系统的连接主线
CN213989376U (zh) 一种防水线材
CN203760988U (zh) 管型节能封闭低压分支母线槽系统
CN211125147U (zh) 一种耐高压密封结构的电力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