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728B1 - A fire hose carrier - Google Patents

A fire hose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728B1
KR101334728B1 KR1020120041227A KR20120041227A KR101334728B1 KR 101334728 B1 KR101334728 B1 KR 101334728B1 KR 1020120041227 A KR1020120041227 A KR 1020120041227A KR 20120041227 A KR20120041227 A KR 20120041227A KR 101334728 B1 KR101334728 B1 KR 101334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se
guide roll
hose ree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8416A (en
Inventor
김동현
금시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41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728B1/en
Publication of KR2013011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악과 같은 험지에서 소화호스를 운반하고,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및 탈착되는 호스릴;및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호스릴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호스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가이드롤;을 포함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를 제공하여, 험난한 산악지형에서 사용자가 직접 소화호스를 운반하기에 용이한 구성을 제공하며, 소화호스의 인출 작업 및 인입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여 산불 화재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hose carrier device for carrying, drawing or withdrawing a fire hose in a rough terrain such as a mountain; A hose reel rotatably mounted and detached to the frame part; and a guide rol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art to form a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to rotatably support the hose reel; Providing a fire hose carrier device comprising a,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carry the fire hose directly in a difficult mountain terrain,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fire hose withdrawal work and inlet work fire extinguishing work at the fire scene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Description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A fire hose carrier}Fire hose carrier device {A fire hose carrier}

본 발명은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악과 같은 험지에서 소화호스를 운반하고,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hose carri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hose carrier device for carrying, drawing or withdrawing a fire hose in a rough terrain such as a mountain.

일정 길이를 가지는 소화호스의 경우, 호스릴에 감아 보관하고 이동시키는 것이 유용하다. 소화호스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호스릴의 크기 및 중량이 커진다.In the case of fire hose having a certain length, it is useful to wind it around the hose reel and store it. When the length of the fire hose is longer, correspondingly the size and weight of the hose reel is increased.

때문에, 소화호스를 감은 호스릴은 별도의 이동장비를 구비한 소화호스 장비를 통해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transport the hose reel wrapped in the fire hose through the fire hose equipment having a separate moving equipment.

그러나, 산불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산악지형과 같은 험지를 통해 소화호스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산불이 발생하는 산악지형의 경우. 임도(forest road)와 같은 도로가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폭이 좁고 상하 좌우 굴곡이 심한 지역이 많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무거운 소화호스 장비를 운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extinguish a forest fir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moving a fire hose through a rough terrain such as a mountainous terrain. That is, in the case of mountainous terrain where wildfire occurs. In general, there is no road, such as a forest road, and because there are many narrow, severely curved up, down, left, and right area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arry a bulky and heavy fire hose equipme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불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 산악지형과 같은 험지에서 소화호스를 용이하게 운반하고 호스의 인출 및 보관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extinguish a forest fire, a fire hose carrier device that can easily transport the fire hose in rough terrain such as mountainous terrain, and to take out and store the hose more convenient To provide that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및 탈착되는 호스릴 및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호스릴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호스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가이드롤을 포함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ame portion; And a guide rol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contac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to form a contact reg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hose reel. It provides a fire hose carrier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는, 상호 이격되게 대향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 결합하여 등받이 영역을 형성하는 배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rame part may include a side frame formed to face each oth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ear frame coupled to a rear region of the side frame to form a back reg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방 영역은 하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ront region of the side fram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릴은, 적어도 둘의 엠보싱 표면 처리영역이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방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se reel may be formed radially so that at least two embossed surface treatment reg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호스릴과 각각 상기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둘의 가이드롤 단위체가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guide roll may be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two guide roll units each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parts to form the contact area with the hose reel.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는, 상호 이격되게 대향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rame unit, the side frame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mounting space of the hose reel, and comprises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side frame, the guide roll unit is the horizontal It may be formed to be rotatably fitted to the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의 양 단에는,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플렌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both ends of the guide roll un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uide roll unit, a guide flang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hose reel.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방 가이드롤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방 가이드롤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전방 가이드롤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uide roll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ear guide roll that is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rear region of the side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lower region of the side frame. It may include a lower guide roll to be fitted, and a front guide roll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front region of the side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상기 호스릴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릴을 회전시키는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hose reel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to rotate the hose reel.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릴의 중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부가 형성된 회전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locking boss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se reel, and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handle.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형성되되, 상기 호스릴에 감긴 호스의 인입 또는 인출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소화호스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xed to the frame portion, it is disposed on the inlet or outlet path of the hose wound on the hose reel, may further comprise a crimping portion for crimping the fire ho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하는 토글부와, 상기 토글부와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토글부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롤에 상기 소화호스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rimping portion, the toggle portion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the toggle portion coupled to the linkage, in conjunction with the toggle portion, selectively pressuriz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on the guide hose to the guide roll It may include a pressure roller to.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등받이가 장착 가능하게 후방에 등받이 영역을 형성하고,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호스릴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호스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호스릴의 외주면과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가이드롤과,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릴을 회전시키는 전동부를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ckrest is formed to form a backrest region in the rear so as to be mounted, the front frame is formed in an open shape, and the hose reel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portion A guide rol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art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rotatably support the hose reel, and to form a contact area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and to rotate the hose reel connected to the frame part. To provide an electric fire extinguishing carrier carrier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호스릴과 각각 상기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둘의 가이드롤 단위체가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guide roll may be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two guide roll units each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parts to form the contact area with the hose reel.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는, 상호 이격되게 대향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rame unit, the side frame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mounting space of the hose reel, and comprises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side frame, the guide roll unit is the horizontal It may be formed to be rotatably fitted to the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의 양 단에는,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플렌지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both ends of the guide roll un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uide roll unit, a guide flang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hose reel.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방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방 가이드롤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방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방 가이드롤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방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전방 가이드롤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uide roll, the rear guide roll is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rear frame of the side frame, and rotatably in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lower frame of the side frame It may include a lower guide roll to be fitted and a front guide roll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front frame of the side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형성되되, 상기 호스릴에 감긴 호스의 인입 또는 인출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xed to the frame portion, it is disposed on the inlet or outlet path of the hose wound on the hose reel, may further include a crimping portion for crimping the ho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하는 토글부와, 상기 토글부와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토글부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롤에 상기 호스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rimping portion, the toggle portion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the toggle portion coupled to the linkage, in conjunction with the toggle portion, to selectively pressurize or release the hose to the guide roll It may include a pressure roller.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는, 등받이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호스릴을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하고, 다수의 호스릴을 프레임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호스릴에 접하는 접촉영역을 구비한 가이드롤을 구비함으로써, 험난한 산악지형에서 사용자가 직접 소화호스를 운반하기에 용이한 구성을 제공하며, 소화호스의 인출 작업 및 인입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여 산불 화재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fire hose carri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on which a backrest is formed, and a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the hose reel such that the hose reel is detachably formed and the plurality of hose reels can be loaded on the frame portion. By providing a guide roll, it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carry the fire hose directly in a difficult mountainous terrain, and facilitates the extinguishing work at the fire scene of a fire 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pulling out and pulling out the fire hose. Provide an advantageous effect of enabling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는, 소화호스의 인입 경로상에 압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소화호스의 인입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소화호스에 남은 물을 제거하여, 소화호스의 보관성을 높인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e hose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rimping portion on the inlet path of the fire hose, by remov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fire hose naturally during the intake process of the fire hose, has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the storage of the fire hos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는, 다수의 호스릴을 적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험난한 산악지형에 진화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길이의 소화호스를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re hose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loading a plurality of hose reel, in the extinguishing work on a difficult mountain terrain,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providing a fire hose of a sufficient leng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호스릴과 가이드롤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가이드롤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압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압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호스릴과 핸들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동부가 설치된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를 통해, 소화호스를 감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1에서 도시한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를 통해, 소화호스가 감긴 호스릴을 보관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ire hose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se reel and the guide roll shown i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ll shown in Figure 1,
4 is a plan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rimping portion shown i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rimping unit shown in FIG.
Figure 6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se reel and the handle portion shown in Figure 1,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fire hose carrier device in which an electric motor is install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e hose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e hose is wound through the fire hose carrier device shown in FIG. 1;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se reel in which a fire hose is wound is stored through the fire hose carrier device shown in FIG.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ire hose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ire hose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1 shows only those parts which are characterized in order to conceptually clearly understand the constructional relationship for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be greatly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There is no.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등받이 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부(100)와, 프레임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호스릴(200)과, 호스릴(20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호스릴(200)를 접촉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가이드롤(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ure 1,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re hose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100 to form a backrest region, the hose reel 200 is formed detachably to the frame portion 100 and And a guide roll 300 which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200 to form a contact area for supporting the hose reel 200 in a contactable manner.

먼저, 프레임부(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frame unit 100 will be described.

프레임부(100)는 사용자가 일실시예를 등에 짊어 질수 있도록, 등받이 영역을 형성하며, 후술될 호스릴(200)의 장착 공간 및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외형을 이룬다.The frame unit 100 forms a backrest region so that a user can carry one embodiment on his back, and forms an appearance of forming a mounting space and a loading space of the hose reel 200 to be described later.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관형 부재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부재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frame part 100 is formed of a tubular memb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types of members.

프레임부(100) 소재는 가벼운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rame material 100 is preferably made of light aluminum or aluminum alloy material.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크게, 상호 이격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과, 등받이 영역을 형성하는 배면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As shown in FIG. 1, the frame part 100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110 larg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ear frame 120 forming a backrest region.

각 측면 프레임(110)은, 상하전후 영역으로 형성되며, 전방 영역은 하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프레임부(100)의 전방 역역을 통해, 호스릴(200)을 장착하거나 탈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Each side frame 110 is formed of a vertical region before and after, the front reg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his is to facilitate mounting or detachment of the hose reel 200 through the front reverse region of the frame part 100.

측면 프레임(110)의 후방 영역을 연결하는 배면 프레임(120)은 등받이 영역을 형성한다. 배면 프레임(120)은 관형 부재 이외에 사용자의 등에 밀착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 추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frame 120 connecting the rear region of the side frame 110 forms a backrest region. In addition to the tubular member, the rear frame 120 may be formed as a plate-shaped memb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이러한 배면 프레임(120)에는 어깨 걸이를 포함하는 별도의 등받이(B)가 결합될 수 있으며, 등받이(B)의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실시되어도 무방하다.Such a back frame 120 may be coupled to a separate backrest B including a shoulder hook, and the shape of the backrest B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

한편, 측면 프레임(110)의 후방 영역, 전방 영역 및 하방 영역에는 양 측면 프레임(110)을 걸쳐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130)들이 형성된다. 이 가로 프레임(130)에는 후술되는 가이드롤(300)이 끼워진다.Meanwhile, horizontal frames 130 formed on both side frames 110 are formed in the rear region, the front region, and the lower region of the side frame 110. The horizontal roll 130 is fitted with a guide roll 30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양 측면 프레임(110)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10)에는 측면 프레임(110)의 상방 영역과 하방 영역을 걸쳐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140)이 형성된다. 이 세로 프레임(140)에는 후술되는 핸들부(400) 또는 전동부(600)가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side frame 110 of either side frame 110 is formed with a vertical frame 140 formed over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of the side frame 110. The handle part 400 or the transmission par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40.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일실시예의 프레임부(100)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프레임부(10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등받이 영역을 형성하고, 호스릴(200)의 적재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The frame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frame unit 100 described above, and forms a backrest region, and a loading space of the hose reel 200. I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o form a.

다음으로, 호스릴(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hose reel 200 will be described.

호스릴(200)를 일정 길이를 가지는 소화호스를 권치하여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상술한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을 통해 권취된 소화호스를 인입 및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hose reel 200 serves to wind and hold a fire hos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unit 100 described above, and serves to draw and withdraw a fire hose wound through rotation. .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호스릴과 가이드롤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ose reel and the guide roll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릴(200)은 한 쌍의 원판 플레이트가 마주보고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소화호스의 권취 공간을 형성한다. 호스릴(200)은 상술한, 프레임부(100)의 세로 프레임(140)에 결합되는 핸들부(400) 또는 전동부(6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 또는 전기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가진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hose reel 200 is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disc plates facing each other to form a winding space of the fire hose. The hose reel 200 is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400 or the transmission part 600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40 of the frame part 100 and has a configuration that rotates by a user's rotation operation or electric driving force. .

핸들부(400) 또는 전동부(600)와 연결을 위해, 호스릴(200)의 중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부(211)가 형성된 회전보스부(210)가 마련된다. 이 회전보스부(210)의 걸림홈부(211)에는 후술되는 핸들부(400)의 걸림돌기부(410)가 결합되거나, 전동부(600)의 동력 전달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In order to connect with the handle part 400 or the transmission part 600, a rotating boss part 210 having at least one catching groove part 2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se reel 200. The locking groove 211 of the rotary boss 210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protrusion 410 of the handle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or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of the transmission unit 600 may be coupled.

한편, 호스릴(200)의 각 원판 플레이트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엠보싱 표면처리 영역(220)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two embossing surface treatment regions 22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radially formed on each disc plate of the hose reel 200.

이와 같이 호스릴(200)에 엠보싱 표면 처리 영역(220)을 마련하는 것은 호스릴(200)의 휨 현상이나 굽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e provision of the embossed surface treatment area 220 on the hose reel 200 is to minimize the bending or bending of the hose reel 200.

도 2를 참조하여, 프레임부(100)에 장착되는 호스릴(200)의 회전 구성을 살펴 보면, 호스릴(200)의 외주면은 후술되는 3개의 가이드롤(310,320,3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3개의 가이드롤(310,320,330)은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프레임부(100)에 장착된 호스릴(200)의 전방, 하방, 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Referring to Figure 2, looking at the rotation configuration of the hose reel 200 is mounted to the frame portion 10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20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ree guide rolls 310, 320, 33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three guide rolls 310, 320 and 330 are rotatably formed in the frame part 100 to rotatably support the front, the bottom and the rear of the hose reel 200 mounted to the frame part 100. .

이에, 3개의 가이드롤(310,320,330)은, 호스릴(200)이 회전하여 소화호스(H)가 용이하게 감길수 있도록 유도하며, 일실시예를 짊어지고 이동하는 중, 호스릴(200)에 감긴 소화호스(H)가 이동 경로를 따라 자연스럽게 풀어질 수 있게 한다,Thus, the three guide rolls 310, 320, 330, the hose reel 200 is rotated to guide the fire hose (H) can be easily wound, while carrying the embodiment carried around, wound on the hose reel 200 Allow the fire hose (H) to be released naturally along the path of travel.

호스릴(200)과 가이드롤(300)과의 접촉 구성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act configuration of the hose reel 200 and the guide roll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가이드롤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ll shown in FIG.

다음으로, 가이드롤(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guide roll 300 will be described.

가이드롤(300)은 상술한 프레임부(100)에 장착되거나, 적재된 호스릴(200)과 접촉영역을 형성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가이드롤(300)은 복수 개의 호스릴(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guide roll 300 is mounted on the above-described frame part 100 or forms a contact area with the loaded hose reel 200 to serve to rotatably support the roll. In particular, the guide rol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to form so as to rotatably support the plurality of hose reel (200).

이를 위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300)은 복수 개의 호스릴(200)이 조합되어 형성된다.for teeth. As shown in FIG. 3, the guide roll 30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hose reels 200.

각 가이드롤 단위체(a,b,c,d)는 상술한 소정의 가로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마련된다. 이를 위해. 각 가이드롤 단위체(a,b,c,d)는 원통형의 중공체로 형성되며, 호스릴(200)과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가이드롤 단위체(a,b,c,d)의 외주면은 장착되거나 적재되는 호스릴(200)의 외주면과 접촉영역을 형성한다.Each guide roll unit (a, b, c, d) is rotatably fitted to the predetermined horizontal frame 130 described above. for teeth. Each guide roll unit (a, b, c, d) is formed of a cylindrical hollow body,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with the hose reel (20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guide roll unit (a, b, c, d) forms a contact area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200 to be mounted or stacked.

도 3에서, 모두 4개의 가이드롤 단위체를 도시하였으며, 4개의 호스릴(200)이 각각의 가이드롤 단위체(a,b,c,d)에 적재된다. In FIG. 3, all four guide roll units are illustrated, and four hose reels 200 are mounted on the respective guide roll units a, b, c, and d.

위와 같이, 일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가로 프레임(130)에 4개의 가이드롤 단위체(a,b,c,d)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체 소화호스의 길이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the four guide roll unit (a, b, c, d) is rotatably fitted to one horizontal frame 1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ntire fire hose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이렇게, 가이드롤 단위체(a,b,c,d)로 조합되어 구성되는 가이드롤(3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10)의 후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방 가이드롤(310)과, 측면 프레임(110)의 하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방 가이드롤(320)과, 측면 프레임(110)의 전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전방 가이드롤(330)이 마련된다.As such, the guide roll 300 configured by combining the guide roll units (a, b, c, and d), as shown in FIG. 2, has a horizontal frame (130) formed over the rear region of the side frame (110). The rear guide roll 310 rotatably fitted to the rear guide roll 310, the rear guide roll 320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 formed over the lower region of the side frame 110, and the side frame 110 The front guide roll 330 is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 formed over the front region of the back side.

후방 가이드롤(310), 하방 가이드롤(320) 및 전방 가이드롤(330)은 프레임부(100)에 장착되거나 적재되는 호스릴(200)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rear guide roll 310, the lower guide roll 320, and the front guide roll 330 serve to rotatably support the hose reels 200 mounted or mounted on the frame part 100.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 단위체(a,b,c,d)의 양 단에는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플렌지(e)가 돌출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 가이드 플렌지(e)는, 호스릴(200)의 회전중, 해당 가이드롤 단위체(a,b,c,d)에 접촉하는 호스릴(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guide flange (e)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guide roll unit (a, b, c, d) is formed extending. The guide flange e serve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hose reel 200 in contact with the guide roll units a, b, c, and d during rotation of the hose reel 200.

다음으로, 압착부(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rimping unit 500 will be described.

압착부(500)는, 상술한 프레임부(100)에 호스릴(200)를 장착하고, 호스릴(200)에 소화호스를 감는 과정 중에 소화호스를 압착하여, 소화호스에 남은 물을 소화호스 밖으로 제거하여, 소화호스의 보관성을 높이고, 잔존 물로 인한 소화호스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rimping unit 500 is equipped with the hose reel 200 to the above-described frame unit 100, and crimping the fire hose during the process of winding the fire hose to the hose reel 200, the water remaining in the fire hose to the fire hose By removing it, it increases the shelf life of the fire hose and prevents the weight of the fire hose from being increased.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압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압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rimp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rimp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도 1, 도 4 및 도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500)는 프레임부(100)의 전방에 고정 형성됨으로써, 호스릴(200)에 감기는 소화호스의 인입 경로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압착부(500)는 프레임부(100)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토글부(510)와, 토글부(510)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소화호스를 압착하는 가압롤러(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 4 and 5, the pressing portion 500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frame portion 100, it is disposed on the inlet path of the fire hose wound on the hose reel (200). The pressing part 500 includes a toggle part 510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part 100, and a pressure roller 520 that selectively compresses a fire hose in conjunction with the toggle part 510.

토글부(510)는 가압롤러(520)가 프레임부(100)에 장착된 호스릴(2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측면 프레임(110)의 전방에 고정된다. 토글부(510)는 사용자의 당김 또는 미는 조작을 수용하는 레버와 링크 조립체로 구성되며, 토글부(510)의 단부에 가압롤러(520)가 연동되게 마련된다.The toggle unit 510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side frame 110 so that the pressure roller 5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hose reel 200 mounted to the frame unit 100. Toggle portion 510 is composed of a lever and a link assembly for receiving a user's pull or push operation, the pressure roller 52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oggle portion 510 is interlocked.

가압롤러(520)는, 전방 가이드롤(330)에 구성되는 가이드롤 단위체(a,b,c,d) 중 최외각 가이드롤 단위체(도 3에서 a)를 가압하게 구성된다.The pressure roller 520 is configured to press the outermost guide roll unit (a in FIG. 3) of the guide roll units (a, b, c, d) configured in the front guide roll 330.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토글부(510)의 레버를 밀면, 가압롤러(520)가 하향하여, 전방 가이드롤(330)와 가압롤러(520)를 사이를 지나는 소화호스(H)를 압착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pushes the lever of the toggle unit 510, the pressure roller 520 moves downward, and the fire hose H passes between the front guide roll 330 and the pressure roller 520. Will be pressed.

다음으로, 핸들부(400) 및 전동부(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handle unit 400 and the transmission unit 600 will be described.

핸들부(400) 또는, 전동부(600)를 통해, 상술한, 프레임부(100)에 장착된 호스릴(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Through the handle part 400 or the transmission part 600, the hose reel 200 mounted to the frame part 100 described above may be rotated.

핸들부(400)의 경우, 도 1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걸림돌기부(410)가 형성된 단부가 세로 프레임(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형성된다. 핸들부(400)에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레버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handle part 400, as shown in Figures 1 and 6, the e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410 is formed by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40. The handle part 400 may be formed with a lev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the user's convenience of operation.

한편, 복수 개의 걸림돌기부(410)는 상술한 호스릴(200)의 회전보스부(210)에 형성된 걸림홈부(211)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회전력을 호스릴(200)에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 410 is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211 formed in the rotating boss portion 210 of the hose reel 200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the hose reel 200. .

도면에서는, 십자 형태의 4개의 걸림홈부(211)와 걸림돌기부(410)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four locking grooves 211 and the locking protrusion 410 of the cross shape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릴(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transmission unit 600 for rotating the hose reel 200 may be provided.

전동부(600)는 세로 프레임(140)에 고정 형성되나. 세로 프레임(140)에 탈부착 가능하게 변경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동부(600)의 동력 전달 모듈은 호스릴(200)의 회전보스부(210)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한다.Transmission unit 600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140 is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detachable to the vertical frame 140.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of the transmission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rotary boss portion 210 of the hose reel 20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전동부(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은 프레임부(100)에 설치되거나 리모컨 형태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motor 600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part 100 or may be configured to be portable by a user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ler.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일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릴(200)를 프레임부(100)에 장착시키면, 가이드롤(300)의 최우측(도 8 기준) 가이드롤 단위체에서 호스릴(200)과 가이드롤(300)의 접촉영역이 형성된다. 이후, 사용자가 핸들부(400)를 회전 조작하면, 3개의 가이드롤(310,320,330)은 호스릴(200)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며, 장착된 해당 호스릴(200)에는 소화호스(H)가 감긴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hose reel 200 is mounted to the frame part 100, the hose reel 200 and the guide roll 300 are disposed at the rightmost (based on FIG. 8) guide roll unit of the guide roll 300. ) A contact area is formed. Then,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unit 400, the three guide rolls (310, 320, 330) support to rotate the hose reel 200, the fire hose (H) is wound around the mounted hose reel (200) .

이때, 압착부(500)를 조작하여, 압착롤러(520)와 가이드롤(300)를 지나는 소화호스(H)를 압착하면, 호스릴(200)에 감기는 소화호스(H)는 압착되어 물이 제거되고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성이 높아진다.At this time, by operating the crimping unit 500, and crimping the fire hose (H) passing through the compression roller 520 and the guide roll 300, the fire hose (H) wound on the hose reel 200 is compressed to water It is removed and the volume is reduced to increase storage.

소화호스(H)를 감는 작업이 종료된 호스릴(200)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400)와 분리하여, 가이드롤(300)의 다른 가이드롤 단위체(도 9의 경우, 최좌측에 위치한 가이드롤 단위체)에 거치되도록, 호스릴(200)을 적재한다.As shown in FIG. 9, the hose reel 200 having the work of winding up the fire hose H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part 400 and the other guide roll unit of the guide roll 300 (in the case of FIG. 9). , So that the hose reel 200 is mounted on the leftmost guide roll unit).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서는, 4개의 가이드롤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고, 모두 4개의 호스릴(200)를 적재할 수 있는 가이드롤(300)를 예시하였으며, 하나의 호스릴(200)에 감기는 소화호스(H)의 최대 길이가 25m라 하면, 일실시예를 통해, 100m 소화호스(H)를 적재할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된다.
In the drawing showing an embodiment, the guide roll 300 is composed of four guide roll units, all four hose reels 200 can be stacked, and wound on one hose reel 200. If the maximum length of the fire hose (H) is 25m, through one embodiment, will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loaded 100m fire hose (H).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re hose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프레임부
110 : 측면 프레임
120 : 배면 프레임
130 : 가로 프레임
140 : 세로 프레임
200 : 호스릴
210 : 회전보스부
211 : 걸림홈부
300 : 가이드롤
310 : 후방 가이드롤
320 : 하방 가이드롤
330 : 전방 가이드롤
400 : 핸들부
410 : 걸림돌기부
500 : 압축부
510 : 토글부
520 : 가압롤러
600 : 전동부
a,b,c,d : 가이드롤 단위체
100: frame portion
110: side frame
120: back frame
130: horizontal frame
140: vertical frame
200: hose reel
210: rotating boss
211: locking groove
300: guide roll
310: rear guide roll
320: downward guide roll
330: front guide roll
400: handle portion
410: locking projection
500: compression unit
510: toggle
520: pressure roller
600: electric drive
a, b, c, d: guide roll unit

Claims (19)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및 탈착되는 호스릴;및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호스릴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호스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가이드롤;
을 포함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A frame part;
A hose reel rotatably mounted and detached to the frame part; and
A guide rol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art, the guide roll forming a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to rotatably support the hose reel;
Fire hose carrier devic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호 이격되게 대향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 결합하여 등받이 영역을 형성하는 배면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unit includes:
Sid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mounting space of the hose reel; And
A rear frame coupled to a rear region of the side frame to form a backrest region;
Fire hose carrier device comprising a.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방 영역은 하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ire hose carr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region of the side fram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릴은,
적어도 둘의 엠보싱 표면 처리영역이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se reel,
At least two embossed surface treatment regions are formed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호스릴과 각각 상기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둘의 가이드롤 단위체가 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roll,
Fire hose carr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portion is formed by combining the hose reel and at least two guide roll units each forming the contact area.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호 이격되게 대향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rame unit includes:
It comprises a side fram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mounting space of the hose reel, and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side frame,
The guide roll unit is a fire hose carr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rotatably fitted in the horizontal fram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의 양 단에는,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플렌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Fire extinguishing hose carr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both ends of the guide roll unit, a guide flange formed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uide roll unit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hose ree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방 가이드롤;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방 가이드롤;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방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전방 가이드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guide roll,
A rear guide roll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rear region of the side frame;
A lower guide roll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lower region of the side frame; and
And a front guide roll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front region of the side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상기 호스릴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릴을 회전시키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andle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art and connected to the hose reel mounted on the frame part to rotate the hose ree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릴의 중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부가 형성된 회전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t the center of the hose reel is formed a rotating boss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locking groove,
Fire end hose carr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at least on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형성되되, 상기 호스릴에 감긴 호스의 인입 또는 인출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소화호스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hose carrier apparatus is fixed to the frame portion, and disposed on the inlet or outlet path of the hose wound on the hose reel, the compression hose for pressing the fire hose further comprise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하는 토글부;
상기 토글부와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토글부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롤에 상기 소화호스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ess-
A toggle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 pressure roller that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toggle unit and interlocks with the toggle unit to selectively pressurize or extinguish the fire hose on the guide roll;
Fire hose carrier device comprising a.
등받이가 장착 가능하게 후방에 등받이 영역을 형성하고,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호스릴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호스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호스릴의 외주면과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가이드롤;및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릴을 회전시키는 전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A frame part which forms a back support region at the rear to enable the back support to be mounted and is formed to have an open front;
A guide rol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art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part to rotatably support the hose reel, and to form a contact area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el; and
A transmission part connected to the frame part to rotate the hose reel;
Fire hose carrier device comprising a.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호스릴과 각각 상기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둘의 가이드롤 단위체가 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guide roll,
Fire hose carr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portion is formed by combining the hose reel and at least two guide roll units each forming the contact area.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호 이격되게 대향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rame unit includes:
It comprises a side fram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mounting space of the hose reel, and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side frame,
The guide roll unit is a fire hose carr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rotatably fitted in the horizontal fram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의 양 단에는, 상기 가이드롤 단위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스릴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플렌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Fire extinguishing hose carr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both ends of the guide roll unit, a guide flange formed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uide roll unit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hose reel.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방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방 가이드롤;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방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방 가이드롤;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방 프레임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가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전방 가이드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guide roll,
A rear guide roll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rear frame of the side frame;
A lower guide roll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lower frame of the side frame; And
And a front guide roll rotatably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formed over the front frame of the side fram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형성되되, 상기 호스릴에 감긴 호스의 인입 또는 인출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e hose carrier device is fixed to the frame portion, disposed on the inlet or outlet path of the hose wound on the hose reel, further comprising a crimp for crimping the hos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하는 토글부;
상기 토글부와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토글부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롤에 상기 호스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호스 캐리어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ress-
A toggle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 pressure roller which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toggle unit and interlocks with the toggle unit to selectively pressurize or release the hose to the guide roll;
Fire hose carrier device comprising a.
KR1020120041227A 2012-04-20 2012-04-20 A fire hose carrier KR101334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27A KR101334728B1 (en) 2012-04-20 2012-04-20 A fire hose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27A KR101334728B1 (en) 2012-04-20 2012-04-20 A fire hose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416A KR20130118416A (en) 2013-10-30
KR101334728B1 true KR101334728B1 (en) 2013-12-02

Family

ID=4963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227A KR101334728B1 (en) 2012-04-20 2012-04-20 A fire hose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72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382A (en) 2014-10-24 2016-05-04 남해인 Forest fire fighting equipment and the operating system
KR102333930B1 (en) * 2020-11-27 2021-12-02 황하준 Fire hose wind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254A (en) * 1995-11-17 1997-07-29 Showa Kiki Sangyo Kk Hose take-up device
JP2005022867A (en) 2003-12-05 2005-01-27 Satoru Yuda Fire extinguishing hose winding up device
KR100770293B1 (en) 2006-07-26 2007-11-01 (주)태성 Portable fores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120000626A (en) * 2010-06-28 2012-01-04 박종민 Apparatus for arranging ho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254A (en) * 1995-11-17 1997-07-29 Showa Kiki Sangyo Kk Hose take-up device
JP2005022867A (en) 2003-12-05 2005-01-27 Satoru Yuda Fire extinguishing hose winding up device
KR100770293B1 (en) 2006-07-26 2007-11-01 (주)태성 Portable fores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120000626A (en) * 2010-06-28 2012-01-04 박종민 Apparatus for arranging ho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382A (en) 2014-10-24 2016-05-04 남해인 Forest fire fighting equipment and the operating system
KR101660359B1 (en) * 2014-10-24 2016-10-10 남해인 Forest fire fighting equipment and the operating system
KR102333930B1 (en) * 2020-11-27 2021-12-02 황하준 Fire hose win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416A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48141B (en) High tension cable retrieves and uses rolling machine
KR101334728B1 (en) A fire hose carrier
CN112978515A (en) Electric power cable construction wiring arrangement
JP2013544604A (en) Wheel assembly for vacuum cleaner
TR201808084T4 (en) Glass panel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CN106040918A (en) Automatic cutting machine for electric vehicle brake cables
CN210250975U (en) Fire hose drainage storage vehicle
CN108815773B (en) Winding device for fire hose
CN216302965U (en) Middle-high grade vehicle charger with automatic winding function
CN209896373U (en) Charging wire anti-drop device of cell-phone mouth that charges
CN111392506B (en) Rope structure releasing assembly
CN210839965U (en) Various audio amplifier is dazzled to rechargeable portable
CN210312971U (en) Electric power facility cable take-up and pay-off device
JP2002120971A (en) Moving type electric winding machine
CN207572140U (en) A kind of device for assembling acetic acid cloth
CN112186422A (en) Power strip with auxiliary fixing and auxiliary repairing functions
CN210200427U (en) Vertical tape winding machine with aluminum foil paper positioning device
CN212356086U (en) Novel cable winding and unwinding turntable
CN104228916A (en) Brake pulling device used for cart
CN218520740U (en) Automatic material supplementing mechanism of full-automatic quantitative packaging machine
EP0995392B1 (en) Device for winding the electrical cable of a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CN214569362U (en) Strong and weak current wiring device for machine room
CN210655706U (en) Rope threading machine
CN202310926U (en) Brake structure for fishing reel
CN217577553U (en) Winding device for textil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