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308B1 - Vacuum blasting device - Google Patents

Vacuum blas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308B1
KR101334308B1 KR1020110113688A KR20110113688A KR101334308B1 KR 101334308 B1 KR101334308 B1 KR 101334308B1 KR 1020110113688 A KR1020110113688 A KR 1020110113688A KR 20110113688 A KR20110113688 A KR 20110113688A KR 101334308 B1 KR101334308 B1 KR 10133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ozzle
vacuum
blasting apparatu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8830A (en
Inventor
송건영
김기선
최승진
이재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308B1/en
Publication of KR2013004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진공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의 외주면과 바닥면에 밀착되고, 블라스팅 작업을 위하여 밀폐된 분사공간을 형성하는 씰링부; 씰링부에 장착되고,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 씰링부에 장착되고, 분사공간 내의 공기 및 연마재 중 하나 이상을 흡입하는 흡입호스; 및 씰링부에 장착되고, 분사공간 내로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된다.A vacuum blasting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eal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forming a sealed injection space for the blasting operation; A traveling part mounted to the sealing part and travel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suction hose mounted to the sealing part and sucking at least one of air and abrasives in the injection space; And a spray nozzle mounted to the sealing unit and including an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the abrasive into the spray space.

Description

진공 블라스팅 장치 {VACUUM BLASTING DEVICE}Vacuum blasting device {VACUUM BLASTING DEVICE}

본 발명은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재를 분사하여 부재의 표면을 블라스팅 작업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blasting apparatus for blasting the surface of the member by spraying the abrasive.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시에는 도장작업에 앞서 블라스팅(blasting)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블라스팅 작업은 도장작업에 앞서 구조물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scale), 녹, 도막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의 표면에 모래, 쇼트(shot), 그릿(grit) 등의 연마재를 강하게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다만, 선박과 같은 대형 철구조물의 경우, 블라스팅이 필요한 작업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블라스팅 작업은 자동화된 장비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In general, when the ship is built, the blasting (blasting) is performed before the painting. The blasting operation is to remove scale, rust, coating film, etc.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prior to the painting work, and foreign matter by strongly spraying abrasives such as sand, shot, grit, etc.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his can be done by removing it. However, in the case of large steel structures, such as ships, because the work area that requires blasting is very large, such blasting work is performed by automated equipment.

한 예로,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57548호)에서는 바닥면에 밀착되어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블라스팅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블라스팅 장치는 블라스팅유닛, 전자석유닛, 감지유닛, 제어유닛 등으로 구성되어, 바닥면을 따라 주행하면서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47548) discloses a blasting apparatus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and performing a blasting operation. The blast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composed of a blasting unit, an electromagnet unit, a sensing unit, a control unit, and the like, and is formed to perform a blasting operation while traveling along the bottom surfa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라스팅 장치는 바닥면의 블라스팅 작업에는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몇몇 특수한 부위의 블라스팅에는 적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블라스팅 장치는 평평한 바닥면의 블라스팅 작업만을 자동화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모서리 부위나 파이프 용접 부위 등의 작업이 까다로운 부위는 여전히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블라스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박의 바닥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나 지지대 등이 용접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파이프나 지지대의 용접부위는 종래의 블라스팅 장치로는 블라스팅이 불가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마무리하여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블라스팅 작업의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las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can be suitably used for the blasting operation of the bottom surface,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applied to the blasting of some special areas. That is, the conventional blasting apparatus only stops automating the blasting work of the flat bottom surface, and thus, there are still problems that the worker has to blast through the manual work on the difficult part such as the edge part or the pipe welding part.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pipes or supports are welded to the bottom of the ship. The welding parts of the pipes or supports as described above cannot be blasted by the conventional blasting apparatus, so the worker has to finish them manually by hand.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blasting oper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예를 들면, 도 1은 원형파이프(10) 하단의 용접부위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원형파이프(10)과 같은 지지부재의 경우, 용접을 통해 바닥면(20)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원형파이프(10)는 플랜지(11) 위에 용접 결합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원형파이프(10)의 하단에는 원형파이프(10)와 플랜지(11)가 결합된 제 1 용접라인(W1)과, 플랜지(11)와 바닥면(20)이 결합된 제 2 용접라인(W2)이 형성되게 된다.For example,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elded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circular pipe 10, referring to Figure 1, in the case of a supporting member such as the circular pipe 1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20 by welding Will be.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circular pipe 10 is also welded on the flange 11,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pipe 10, the first pipe is coupled to the circular pipe 10 and the flange 11 A line W1 and a second welding line W2 to which the flange 11 and the bottom surface 20 are coupled are formed.

상기와 같은 제 1, 2 용접라인(W1, W2)는 용접 결합된 부위로서 다른 부위에 비해 녹이나 스케일 등이 쉽게 발생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닥면을 블라스팅하는 종래의 블라스팅 장치로는 자동화가 불가하였다. 따라서 블라스팅 장치를 통해 바닥면을 먼저 블라스팅 작업한 후, 상기와 같은 제 1, 2 용접라인(W1, W2)은 별도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마무리하여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welding lines W1 and W2 are weld-bonded parts, rust or scale may be easily generated as compared to other parts, the conventional blasting apparatus for blasting the bottom surface may be automated. It was impossible. Therefore, after blasting the bottom surface first through the blasting apparatus, the first and second welding lines W1 and W2 as described above had to be finished by a worker by hand, and thus, the work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re was.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57548호 (2010년 08월 20일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57548 (published Aug. 20, 20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형파이프의 블라스팅 작업을 자동화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vacuum blasting apparatus that automates the blasting operation of a circular pi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의 외주면과 바닥면에 밀착되고, 블라스팅 작업을 위하여 밀폐된 분사공간을 형성하는 씰링부; 상기 씰링부에 장착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 상기 씰링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사공간 내의 공기 및 연마재 중 하나 이상을 흡입하는 흡입호스; 및 상기 씰링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사공간 내로 상기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eal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forming a sealed injection space for the blasting operation; A traveling part mounted to the sealing part and travel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suction hose mounted to the sealing part and sucking at least one of air and abrasives in the injection space; And a spray nozzle mounted to the sealing part and spraying the abrasive into the spray space.

또한, 상기 씰링부는 측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밀착되어 내부에 블라스팅 작업을 위한 분사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사공간을 밀폐시키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portion is the sid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the botto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form an injection space for the blasting operation therein; And a pad part mounted to the body part to seal the injection space.

또한, 상기 주행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주행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roller bracket mounted to the body unit; And a traveling roller mounted on the roller bracket and disposed to correspon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상기 바디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측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so that the body port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상기 바디부는, 상기 분사공간을 개폐시키는 압력제거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removing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space.

상기 패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기 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 1 패드;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제 2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d part may include: a first pad mounted to the side end of the body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a second pad mount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상기 주행부는, 상기 롤러브라켓의 일측에 마련되며 케이블소켓이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소켓체결홀이 형성된 케이블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ble fixing too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oller bracket and having a socket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cable socke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노즐지지대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The injection nozzle may be hinged to a nozzle support formed in the body part and fastened to a predetermined degree about a hinge axis.

상기 분사노즐을 위빙 운동시키는 노즐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nozzle driving unit for weaving the injection nozzl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노즐구동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위빙모터; 상기 위빙모터 및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되 상기 위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분사노즐로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zzle driving unit, the weaving motor mounted to the body portion; The link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weaving motor and the injection nozzle, and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eaving motor into a linear motion to transfer the injection nozzle to the injection nozzle.

상기 링크부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정도 편심된 편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위빙모터와 축결합되는 캠플레이트; 및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편심축이 체결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분사노즐에 체결되는 캠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unit includes a cam plate having an eccentric shaft eccentrically offset from a rotation center and axially coupled to the weaving motor; And a cam link formed with a guide hole to which the eccentric shaft is coup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injection nozzle.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구름 운동하는 제 1 가이드롤러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면을 구름 운동하는 제 2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ller mount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having a first guide roller for roll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a second guide roller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roll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장착되어, 블라스팅 작업 후 상기 파이프 하단의 잔여물을 스위핑하는 브러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be mounted to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after the blasting operation may further comprise a brushing portion for sweeping the residue of the bottom of the pip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는 원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돌면서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수작업을 요하였던 원형파이프 하단의 블라스팅 작업이 자동화될 수 있으며, 블라스팅 작업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Vacuum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blasting operation while rotat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Therefore, the blasting operation of the bottom of the circular pipe, which required the conventional manual work, can be automa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blasting operation can be maximized.

도 1은 원형파이프 하단의 용접부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씰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씰링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씰링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사노즐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노즐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lded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circular pipe.
2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unit illustrated in FIGS. 1 and 2.
5 is a side view of the sealing part shown in FIG. 4.
6 is a plan view of the sealing part illustrated in FIG. 4.
7 is a front view of the injection nozzle shown in FIGS. 1 and 2.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driving unit illustrated in FIGS. 1 and 2.
FIG.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vacuum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의 제 2 사시도이다.2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2.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는, 분사공간(111c, 도 4 참고)을 형성하는 씰링부(110)와, 원형파이프(10)의 외주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120)와, 공기 및 연마재를 흡입하는 흡입호스(130)와,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40)을 포함한다.
2 and 3,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ealing part 110 that forms an injection space 111c (see FIG. 4), and a traveling part that runs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pipe 10. 120, a suction hose 130 for sucking air and abrasives, and a spray nozzle 140 for spraying abrasives.

씰링부(110)는 연마재가 분사되기 위한 분사공간(111c)을 형성하고, 분사공간(111c)을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분사공간(111c)을 형성하는 바디부(111)와, 바디부(111)에 장착되어 분사공간(111c)을 밀폐시키는 패드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aling unit 110 forms an injection space 111c for injecting the abrasive, and seals the injection space 111c. The sealing portion 110 forms a spray space 111c therein, and a body portion. The pad unit 112 may be mounted on the 111 to seal the injection space 111c.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씰링부(1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씰링부(11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씰링부(110)의 평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unit 110 illustrated in FIGS. 1 and 2. FIG. 5 is a side view of the sealing unit 110 shown in FIG. 4. 6 is a plan view of the sealing unit 110 shown in FIG.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바디부(111)는 제1측이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제2측이 바닥면(20)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1)는 곡률을 가지는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소정정도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4 to 6, the body part 11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and the second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0. In this case, the body 111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one sid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having the curvature.

또한, 바디부(111)의 내부에는 분사공간(1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사공간(111c)은 블라스팅 작업시 연마재가 분사되는 작업공간이 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1)에는 분사공간(111c)으로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홀(111b)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홀(111b)에는 후술할 분사노즐(도 2의 140참조)이 체결되어 연마재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1)에는 분사공간(111c) 내의 연마재 및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111a)에는 후술할 흡입호스(도 2의 130참조)가 체결되어 분사공간(111c) 내의 연마재 및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jection space 111c may be formed in the body 111. The injection space 111c as described above may be a work space in which abrasive is injected during the blasting operation. In this case, an injection hole 111b for injecting an abrasive into the injection space 111c may be formed in the body 111. An injection nozzle (see 140 of FIG. 2) may be fastened to the injection hole 111b to inject an abrasive. In addition, the body 111 may be formed with a suction hole (111a) for sucking the abrasive and the air in the injection space (111c). A suction hose (see 130 of FIG.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astened to the suction hole 111a to suck the abrasive and the air in the injection space 111c.

한편, 바디부(111)는 분사공간(111c)의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압력제거캡(111d)을 구비할 수 있다. 압력제거캡(111d)은 바디부(111)의 일측에 마련되어, 바디부(111) 내부에 형성된 분사공간(111c)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111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removing cap (111d) for removing the pressure in the injection space (111c). The pressure relief cap 111d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1 to open and close the injection space 111c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1.

상기와 같은 경우, 압력제거캡(111d)이 닫히면, 분사공간(111c)은 패드부(112) 등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블라스팅 작업시에는 압력제거캡(111d)을 닫아 분사공간(111c)을 밀폐시킬 수 있다. 반면, 압력제거캡(111d)이 열리면, 분사공간(111c)은 개방되어 외기와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블라스팅 작업이 완료되면, 압력제거캡(111d)을 열어 분사공간(111c)을 개방시킴으로써, 진공으로 인해 분사공간(111c) 내에 형성되는 압력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ressure removing cap 111d is closed, the injection space 111c may be sealed by the pad part 112 or the like. Therefore, the operator may close the pressure removing cap 111d during the blasting operation to seal the injection space 111c.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relief cap 111d is opened, the injection space 111c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Therefore, when the blas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operator can easily remove the pressure formed in the injection space 111c due to the vacuum by opening the pressure removal cap 111d to open the injection space 111c.

한편, 패드부(112)는 바디부(111)에 장착되어 분사공간(111c)을 밀폐시킨다. 이때, 패드부(112)는 제 1 패드(112a)와 제 2 패드(112b)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패드(112a)는 바디부(111)의 측단에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패드(112b)는 바디부(111)의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바닥면(20)에 밀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d portion 112 is mounted to the body portion 111 to seal the injection space (111c). In this case, the pad part 112 may be formed by being separated into the first pad 112a and the second pad 112b. The first pad 112a may be vertically mounted on the side end of the body 11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In addition, the second pad 112b may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1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0.

상기와 같이 패드부(112)가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다단지게 형성된 원형파이프(10) 하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즉, 원형파이프(10)의 하단에는 플랜지(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플랜지(11)로 인해 원형파이프(10)의 하단 부위는 소정정도 다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부(1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와 같이 다단진 부위가 효과적으로 밀폐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패드부(112)를 제 1 패드(112a)와 제 2 패드(112b)로 분리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다단진 부위가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도 5 참고).When the pad unit 11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pipe 10 formed in multiple stages may be more effectively sealed. That is, the flange 11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pipe 10,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ircular pipe 1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degree of multiplicity by the flange 11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pad part 112 is formed integrally, the multi-stage portion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effectively sea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separating the pad portion 112 into the first pad 112a and the second pad 112b, the multi-stage por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more effectively sealed (see FIG. 5).

한편, 패드부(112)는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부(112)는 우레탄(uretha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ad part 112 may be mounted to be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In this case, the pad part 1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For example, the pad part 112 may be formed of a urethane material.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주행부(120)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가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롤러브라켓(121)과, 롤러브라켓(121)에 장착되는 한 쌍의 주행롤러(122)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the driving unit 120 allows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to trave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the roller bracket 121 and the roller bracket 121. It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traveling rollers (122) mounted on.

롤러브라켓(121)은 주행롤러(12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부(111)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The roller bracket 121 is for supporting the traveling roller 122 and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1.

주행롤러(122)는 롤러브라켓(121)에 장착되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주행롤러(122)는 서로 소정각도 비틀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주행롤러(122)는 원형파이프(1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서로 소정각도 비틀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가 곡률을 가지는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raveling roller 122 is mounted on the roller bracket 121 and may be formed in a pair. In this case, the pair of traveling rollers 122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each other. That is, the pair of traveling rollers 122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circular pipe 10. This is to allow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to trave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having the curvature.

한편, 주행롤러(122)는 바닥면(20)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재질과 같이 밀착력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주행롤러(122)는 상기 우레탄 재질에 미세분말을 혼합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면(2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행롤러(122)에는 샌드페이퍼(sand paper)와 같이 마찰력이 큰 재질이 부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veling roller 12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adhesion, such as a urethane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with the bottom surface 20.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traveling roller 12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fine powder is mixed with the urethane material.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bottom surface 20, a material having a large frictional force such as sand paper may be attached to the traveling roller 122.

한편, 주행부(120)는 한 쌍의 주행모터(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주행모터(123)는 주행롤러(12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주행롤러(122)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주행모터(123)는 제 1 감속기(125)를 통해 주행롤러(1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감속기(125)로는 하모닉 드라이브(harmonic drive)나 감속기어(reduction gear) 등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driving motors 123. The driving motor 123 is for driving the driving roller 122 and may be formed in a pair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driving rollers 122.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traveling motor 123 may be connected to the traveling roller 122 through the first reducer 125. As the first reducer 125, a harmonic drive, a reduction gear,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주행부(120)는 케이블고정구(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고정구(124)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로 연결되는 각종 케이블(미도시)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브라켓(12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고정구(124)에는 소켓체결홀(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소켓체결홀(124a)에는 케이블소켓(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상기 케이블이 케이블고정구(124)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cable fixing tool 124. The cable fixing tool 124 is for fixing and supporting various cables (not shown) connected to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nd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oller bracket 121. At this time, the cable fastener 124 may be formed with a socket fastening hole (124a). A cable socket (not shown)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socket fastening hole 124a so that the cable can be fixedly supported by the cable fixing tool 124.

흡입호스(130)는 분사공간(111c) 내의 연마재 및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부(111)에 장착되어 분사공간(111c)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호스(130)는 바디부(111)에 형성된 흡입홀(111a)에 체결되어, 상기 흡입홀(111a)을 통해 분사공간(111c)과 연통될 수 있다.The suction hose 130 is for sucking the abrasive and the air in the injection space 111c and may be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11 to communicate with the injection space 111c. In detail, the suction hose 130 may be fastened to the suction hole 111a formed in the body part 111 and communicate with the injection space 111c through the suction hole 111a.

또한, 흡입호스(130)는 진공펌프(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분사공간(111c) 내의 공기 및 연마재를 흡입할 수 있다. 즉, 흡입호스(130)는 블라스팅 작업에 사용된 연마재를 흡입하여 다시 회수하는 한편, 분사공간(111c)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분사공간(111c)을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ction hose 130 may be connected to a vacuum pump (not shown) and the like to suck air and abrasives in the injection space 111c. That is, the suction hose 130 may suck and recover the abrasive used in the blasting operation, while sucking the air in the injection space 111c to make the injection space 111c into a vacuum state.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분사노즐(140)은 분사공간(111c) 내로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부(111)에 장착되어 분사공간(111c)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노즐(140)은 바디부(111)에 형성된 분사홀(111c)에 체결되어, 상기 분사홀(111c)을 통해 분사공간(111c)과 연통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injection nozzle 140 is for injecting the abrasive into the injection space 111c and may be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11 to communicate with the injection space 111c. Specifically, the injection nozzle 140 may be fastened to the injection hole 111c formed in the body part 111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injection space 111c through the injection hole 111c.

또한, 분사노즐(140)은 연마재공급호스(미도시)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마재공급호스는 분사노즐(140)로 연마재를 공급할 수 있으며, 분사노즐(140)은 공급된 연마재를 분사공간(111c)으로 분사하여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마재공급호스는 연마재가 저장되는 연마재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연마재공급호스에는 연마재공급펌프(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140 may be connected to an abrasive supply hose (not shown). The abrasive supply hose may supply the abrasive to the injection nozzle 140, the injection nozzle 140 is to perform the blasting operation by spraying the supplied abrasive to the injection space (111c). In this case, the abrasive supply hose may be connected to an abrasive storage tank (not shown) in which the abrasive is stored. If necessary, the abrasive supply hose may be equipped with an abrasive supply pump (not shown).

한편, 분사노즐(140)은 바디부(111)에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nozzle 140 may be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111 to be rotated to a predetermined degree.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사노즐(140)의 정면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of the injection nozzle 140 shown in FIGS. 1 and 2.

도 2 및 도 7을 참고하면, 바디부(111)에는 분사노즐(140)의 장착을 위한 한 쌍의 노즐지지대(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분사노즐(140)은 한 쌍의 노즐지지대(141)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142)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2 and 7, the body portion 111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nozzle support 141 for mounting the injection nozzle 140, the injection nozzle 140 is a pair of nozzle support ( 141 may be coupled to the hinge so as to be rotated to a predetermined degree about the hinge shaft 142.

상기와 같은 경우, 분사홀(111c)은 유연한 재질의 노즐커버(14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즉, 분사노즐(140)이 소정정도 회동되는 경우, 분사노즐(140)과 분사홀(111c) 간에 유격이 형성되는 바, 분사공간(111c)의 밀폐를 위해 분사홀(111c)에는 유연한 재질의 노즐커버(143)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노즐커버(143)는 벨로우즈관(bellows hos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jection hole 111c may be closed by the nozzle cover 143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when the injection nozzle 14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degre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140 and the injection hole 111c, and the injection hole 111c has a flexible material to seal the injection space 111c. The nozzle cover 143 may be mounted.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nozzle cover 14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ellows hose (bellows hos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는 분사노즐(140)을 위빙(weaving) 운동시키는 노즐구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구동부(150)는 분사노즐(140)을 상하로 왕복 회동시켜 연마재 분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driving unit 150 for weaving the injection nozzle 140. The nozzle driving unit 150 may reciprocate the injection nozzle 140 up and down so that the abrasive injection is more effectively performed.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노즐구동부(150)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driver 150 shown in FIGS. 1 and 2.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노즐구동부(150)는 바디부(111)에 장착되는 위빙모터(151)와, 위빙모터(151)의 구동력을 분사노즐(140)로 전달하는 링크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8, the nozzl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weaving motor 151 mounted on the body 111, and a link unit 152 transferring the driving force of the weaving motor 151 to the injection nozzle 140. ) May be provided.

위빙모터(151)는 분사노즐(140)의 위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디부(111)에 장착되어 분사노즐(14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Weaving motor 151 is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weaving of the injection nozzle 140, may be mounted to the body portion 111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injection nozzle 140.

링크부(152)는 위빙모터(151)와 분사노즐(140)을 연결하는 것으로, 위빙모터(15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하여 분사노즐(14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부(152)는 캠플레이트(152b)와, 캠링크(152c)를 구비할 수 있다.The link unit 152 connects the weaving motor 151 and the injection nozzle 140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eaving motor 151 into a linear motion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injection nozzle 140. In detail, the link unit 152 may include a cam plate 152b and a cam link 152c.

캠플레이트(152b)는 위빙모터(151)와 축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캠플레이트(152b)와 위빙모터(151)는 제 2 감속기(152a)를 통해 축결합될 수 있다. 제 2 감속기(152a)로는 하모닉 드라이브나 감속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캠플레이트(152b)에는 편심축(152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편심축(152d)은 캠플레이트(152b)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정도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cam plate 152b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weaving motor 151.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cam plate 152b and the weaving motor 151 may be axially coupled through the second reducer 152a. A harmonic drive, a reduction gea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econd reduction gear 152a. In addition, an eccentric shaft 152d may be formed in the cam plate 152b. At this time, the eccentric shaft 152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eccentrically predetermined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cam plate 152b.

캠링크(152c)는 캠플레이트(152b)와 분사노즐(140)을 연결하는 것으로, 캠플레이트(152b)에 형성된 편심축(152d)이 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152e)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캠링크(152c)의 일측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홀(152e)을 통해 캠플레이트(152b)에 형성된 편심축(152d)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캠링크(152c)의 타측은 분사노즐(14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cam link 152c connects the cam plate 152b and the injection nozzle 140, and guide holes 152e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eccentric shaft 152d formed on the cam plate 152b can be fastened. Can be. That is, one side of the cam link 152c may be fastened to the eccentric shaft 152d formed on the cam plate 152b through the guide hole 152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cam link 152c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injection nozzle 140.

상기와 같은 링크부(152)는 위빙모터(151)가 회전되면, 제 2 감속기(152a)를 통해 캠플레이트(152b)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캠플레이트(152b)가 회전됨에 따라, 캠플레이트(152b)의 편심축(152d)이 가이드홀(152e)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로 인해, 편심축(152d)에 체결된 캠링크(152c)가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캠링크(152c)는 분사노즐(140)을 반복적으로 밀었다가 당기게 되며, 이로 인해, 분사노즐(140)은 힌지축(14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어 위빙 운동할 수 있다.
When the weaving motor 151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cam plate 152b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second reducer 152a. In addition, as the cam plate 152b is rotated, the eccentric shaft 152d of the cam plate 152b is reciprocally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hole 152e, whereby the cam link (152) fastened to the eccentric shaft 152d. 152c is reciprocated linearly. Accordingly, the cam link 152c repeatedly pushes and pulls the injection nozzle 140. As a result, the injection nozzle 140 may rotate up and down about the hinge shaft 142 to perform a weaving motion.

한편,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는 씰링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부(160)는 씰링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제 1 가이드롤러(161)와 제 2 가이드롤러(162)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ller 160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sealing unit 110. The guide roller unit 160 guides the movement of the sealing unit 110 and may include a first guide roller 161 and a second guide roller 162.

제 1 가이드롤러(161)는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구름 운동하도록 바디부(111)의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 1 가이드롤러(161)는 바디부(111)의 좌우측에 한 쌍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롤러(162)는 바닥면(20)을 구름 운동하도록 바디부(111)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 2 가이드롤러(162)는 바디부(111)의 좌우측에 한 쌍이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roller 161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111 to roll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first guide roller 161 may be mounted on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111.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roller 162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1 to roll the bottom surface 20.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second guide roller 162 may be mounted on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111.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는 브러싱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싱부(170)는 블라스팅 작업 후 원형파이프(10) 하단에 남아있는 잔여물을 스위핑(sweeping)한다. 브러싱부(170)는 바디부(111)의 측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바디부(111)의 좌우측에 한 쌍이 장착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rushing unit 170. The brushing unit 170 sweeps the residue remaining at the bottom of the circular pipe 10 after the blasting operation. The brushing unit 170 may be mount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1, and a pair may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111 as necessary.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의 작동상태도이다.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S. 1 and 2.

도 9를 참고하면, 작업자는 먼저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를 블라스팅 작업하고자 하는 원형파이프(10)에 배치시킨다. 이때, 바디부(111)는 측단이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바닥면(20)에 밀착되어 블라스팅 작업을 위한 분사공간(111c)을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9, the operator first places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on the circular pipe 10 to be blasted.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0 to form an injection space 111c for the blasting operation.

작업자가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를 구동시키면, 분사노즐(140)은 연마재를 분사공간(111c) 내로 분사한다. 이때, 분사된 연마재는 원형파이프(10) 하단의 용접부위(W1, W2, 도 1 참고)를 블라스팅 작업하게 된다.When the operator drives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the injection nozzle 140 injects the abrasive into the injection space 111c. At this time, the sprayed abrasive is blasted to the welding portion (W1, W2, see Fig. 1) of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pipe (10).

여기서, 분사공간(111c)에 대하여 흡입호스(130)가 기존의 공기를 먼저 흡입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후, 분사노즐(140)이 분사공간(111c) 내로 분사하는 경우, 블라스팅 효과가 커질 수 있다.Here, after the suction hose 130 sucks the existing air into the vacuum space with respect to the injection space 111c and makes the vacuum nozzle, the injection nozzle 140 may be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111c, the blasting effect can be increased. .

이후, 흡입호스(130)는 분사공간(111c) 내의 공기 및 연마재를 흡입한다. 즉, 분사노즐(140)에 의해 분사된 연마재는 흡입호스(130)에 의해 흡입되어 다시 회수된다. 또한, 흡입호스(130)는 분사공간(111c)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분사공간(111c)을 진공상태로 만들게 되며, 이로 인해, 씰링부(110)가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after, the suction hose 130 sucks air and abrasives in the injection space 111c. That is, the abrasive injected by the injection nozzle 140 is sucked by the suction hose 130 and recovered again. In addition, the suction hose 130 sucks air in the injection space 111c to make the injection space 111c into a vacuum state, whereby the sealing portion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Will be maintained.

한편, 분사노즐(140)은 노즐구동부(150)에 의해 위빙 운동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위빙모터(151)를 구동하면, 분사노즐(140)은 상하로 반복 회동되어 위빙 운동하게 된다. 노즐구동부(150)에 의해 분사노즐(140)이 위빙되는 작동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도 8 참고).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nozzle 140 may be weaved by the nozzle driving unit 150. That is, when the operator drives the weaving motor 151, the injection nozzle 140 is repeatedly rotated up and down to weaving mo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nozzle 140 weaving by the nozzle driving unit 150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ee FIG. 8).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140) 및 흡입호스(130)에 의해 블라스팅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주행부(120)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를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다. 즉, 주행모터(123)가 한 쌍의 주행롤러(122)를 구동함에 따라,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는 씰링부(110)가 원형파이프(10) 및 바닥면(20)에 밀착된 상태로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blas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injection nozzle 140 and the suction hose 130, the driving unit 120 moves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That is, as the driving motor 123 drives the pair of traveling rollers 122,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unit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lar pipe 10 and the bottom surface 20. It m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이때, 한 쌍의 주행롤러(122)는 원형파이프(1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서로 소정정도 비틀어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상기와 같이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블라스팅 작업이 수행되는 분사공간(111c) 내부는 흡입호스(130)에 의해 진공상태가 되므로, 상기와 같은 이동에도 불구하고 씰링부(110)는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덧붙여, 제 1, 2 가이드롤러(161, 162)가 각각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 및 바닥면(20)을 구름 운동함으로써, 씰링부(110)가 밀착된 상태에서도 상기와 같은 이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pair of traveling rollers 122 ar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twisted to a predetermined degre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circular pipe 10, it is easy to mo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since the interior of the injection space 111c in which the blasting operation is performed is vacuumed by the suction hose 130, the sealing portion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despite the movement as described above.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161 and 162 respectively roll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20 of the circular pipe 10, the above-described movement is smooth even in a state where the sealing portion 110 is in close contact. Can be done.

한편, 상기와 같이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바디부(111)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브러싱부(170)는 블라스팅 작업이 완료된 부위의 잔여물을 스위핑하여 제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brushing units 170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body portion 111 is removed by sweeping the residue of the portion where the blasting operation is completed. .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가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완전히 돌고 나면, 작업자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를 구동 정지시키고 블라스팅 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는 구동 후 스스로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따라 돌면서 블라스팅 작업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작업자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가 복수회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돌도록 놓아두어도 무방하다.After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has completely turn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the operator stops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nd completes the blasting operation. At this time, since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lasted while dri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by itself,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may be used by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 plurality of times. You can leave it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가 구동 정지되면, 작업자는 압력제거캡(111d)을 열어 진공으로 인한 분사공간(111c) 내의 압력을 제거한다. 작업자가 압력제거캡(111d)을 열면, 분사공간(111c) 내에 외기가 연통되어 진공상태가 해제되며, 작업자는 용이하게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를 원형파이프(10)에서 분리시키고,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stops driving, the operator opens the pressure removing cap 111d to remove the pressure in the injection space 111c due to the vacuum. When the worker opens the pressure relief cap 111d, the outside air is communicated in the injection space 111c to release the vacuum state, and the worker easily separates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from the circular pipe 10 and completes the work. can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는 원형파이프(10)의 외주면을 따라 돌면서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수작업을 요하였던 원형파이프(10) 하단의 블라스팅 작업이 자동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블라스팅 작업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erform a blasting operation while rotat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pe 10. Therefore, the blasting operation of the bottom of the circular pipe 10, which required the conventional manual work, may be automated,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blasting operation may be maximiz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진공 블라스팅 장치
110: 씰링부 120: 주행부
130: 흡입호스 140: 분사노즐
150: 노즐구동부 160: 가이드롤러부
100: vacuum blasting device
110: sealing part 120: running part
130: suction hose 140: injection nozzle
150: nozzle driving unit 160: guide roller portion

Claims (13)

일측이 소정정도 곡률지게 형성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밀착되며, 내부에 블라스팅 작업을 위한 분사공간이 형성되는 씰링부;
상기 씰링부에 장착되며,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되도록 서로 비틀어지게 배치된 한 쌍의 주행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씰링부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주행부;
상기 씰링부에 마련된 흡입홀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분사공간 내의 공기 및 연마재 중 하나 이상을 흡입하는 흡입호스; 및
상기 씰링부에 마련된 분사홀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분사공간 내로 상기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One side is formed to be a predetermined degree of curvat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the botto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injection space for the blasting operation therein;
A traveling part mounted on the sealing part and having a pair of traveling rollers arranged to be twisted with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the traveling part slidingly moving the sealing par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suction hose mounted to a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sealing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injection space and to suck at least one of air and abrasives in the injection space; And
And a spray nozzle mounted in a spray hole provided in the sealing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spray space and spray the abrasive into the spray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일측의 테두리 또는 상기 하단의 테두리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공간을 밀폐시키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ling part,
And a pad unit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edge of the one side or the edge of the lower end to seal the injection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분사공간을 개폐시키는 압력제거캡을 더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part,
Vacuum blas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removing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spa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씰링부의 상기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 1 패드; 및
상기 씰링부의 상기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제 2 패드를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ad unit includes:
A first pad mounted to the one side of the sealing part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And a second pad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par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한 쌍의 주행롤러가 장착되는 롤러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롤러브라켓의 일측에는 케이블소켓이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소켓체결홀이 형성된 케이블고정구가 구비된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t is provided with a roller bracket on which the driving roller of the pair is mounted,
One side of the roller bracket is a vacuum blas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able fixing hole formed with a socket fastening hole so that the cable socke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씰링부에 마련된 노즐지지대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ay nozzle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is hinged to the nozzle support provided in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to be rotated to a predetermined degree about the hinge axi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을 위빙 운동시키는 노즐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Vacuum blas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nozzle drive for weaving the injection nozzl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동부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위빙모터; 및
상기 위빙모터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되, 상기 위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분사노즐로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nozzle drive unit,
Weaving motor to provide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The blast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weaving motor and the injection nozzle, the vacuum blasting apparatus including a link unit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eaving motor to a linear motion to transfer to the injection nozzl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정도 편심된 편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위빙모터와 축결합되는 캠플레이트; 및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편심축이 체결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분사노즐에 체결되는 캠링크를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cam plate having an eccentric shaft eccentrically offset from a rotation center and axially coupled to the weaving motor; And
A vacuum blasting apparatus including a cam link is formed in the guide hole is coupled to the eccentric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ide is fastened to the injection nozz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제 1 가이드롤러와, 상기 씰링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구름 운동하는 제 2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acuum further comprising a guide roller disposed on the sealing part and having a first guide roller roll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a second guide roller disposed below the sealing and rolling on the bottom surface. Blas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의 측부에 배치되어, 블라스팅 작업 후 상기 파이프 하단의 잔여물을 스위핑하는 브러싱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ushing portion disposed at the side of the sealing portion to sweep the residue of the lower end of the pipe after the blasting operation.
KR1020110113688A 2011-11-03 2011-11-03 Vacuum blasting device KR101334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88A KR101334308B1 (en) 2011-11-03 2011-11-03 Vacuum bla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88A KR101334308B1 (en) 2011-11-03 2011-11-03 Vacuum blas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30A KR20130048830A (en) 2013-05-13
KR101334308B1 true KR101334308B1 (en) 2013-11-28

Family

ID=4865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88A KR101334308B1 (en) 2011-11-03 2011-11-03 Vacuum bla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30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149A (en) * 1975-03-03 1976-08-03 Commercial Resins Company End blaster for pipes
JPH08150496A (en) * 1994-11-28 1996-06-11 Mitsubishi Heavy Ind Ltd Welding part blast device
JPH08197429A (en) * 1995-01-19 1996-08-06 Mitsubishi Heavy Ind Ltd Blasting apparatus for header
JPH10315136A (en) * 1997-05-15 1998-12-02 U Technol:Kk Self traveling blas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149A (en) * 1975-03-03 1976-08-03 Commercial Resins Company End blaster for pipes
JPH08150496A (en) * 1994-11-28 1996-06-11 Mitsubishi Heavy Ind Ltd Welding part blast device
JPH08197429A (en) * 1995-01-19 1996-08-06 Mitsubishi Heavy Ind Ltd Blasting apparatus for header
JPH10315136A (en) * 1997-05-15 1998-12-02 U Technol:Kk Self traveling bla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30A (en)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64028Y (en) Bearing cleaning machine
JPH0352664A (en) Pipeline system processor
CN110369179A (en) A kind of japanning Rustproofing apparatus for cylindrical metal rod
JP5823272B2 (en) Water jet jig
WO2014181301A1 (en) Multifunction robot for maintenance in confined spaces of metal constructions
KR101252475B1 (en) Paint removal preprocessing system of concrete wall panel
JP2959371B2 (en) Automatic polishing and dust suction device
KR101060011B1 (en) Blasting device
KR101772289B1 (en) Sweeping machine
KR101334308B1 (en) Vacuum blasting device
JP2015145060A (en) Device adhering to object surface and capable of traveling along therewith
CN110202317B (en) Remanufacturing process of automobile aluminum alloy hub
CN106040642A (en) Ultrahigh pressure water jet rust removal device for buoy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1369680B1 (en) A painting device
CN115673905A (en)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end cover of air conditioner compressor
KR102092086B1 (en) Air blast machine
KR102281823B1 (en) large pipe painting apparatus
CN212527375U (en) Walnut sand blasting machine
KR102546562B1 (en) Apparatus for removal of paint or rust for bridge
KR102184626B1 (en) Blast machine traveling device
CN220941415U (en) Large steel pipe inner wall operation device
KR20110031638A (en) Blasting machine for use of surface treate
JP7236070B2 (en) mist jet device
KR102548514B1 (en) Blasting device with improved workability
CN110124921A (en) A kind of device for cleaning mould on paint spra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