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494B1 -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 Google Patents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494B1
KR101333494B1 KR1020120113635A KR20120113635A KR101333494B1 KR 101333494 B1 KR101333494 B1 KR 101333494B1 KR 1020120113635 A KR1020120113635 A KR 1020120113635A KR 20120113635 A KR20120113635 A KR 20120113635A KR 101333494 B1 KR101333494 B1 KR 101333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biofilter
circulating water
wat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학
황배근
허관
Original Assignee
허관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관,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허관
Priority to KR102012011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95Specific microorg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은, 공기 중의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악취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알칼리성 악취물질을 흡수 및 중화 시키는 스크라버; 상기 스크라버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크라버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복합악취물질을 흡착 및 분해시키는 바이오필터; 상기 스크라버에서 순환되는 스크라버 순환수와 상기 바이오필터에서 순환되는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유입되며,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혼합된 혼합 순환수가 저장되고, 상기 혼합순환수를 상기 스크라버 및 상기 바이오필터에 각각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공급하는 순환수 혼합탱크; 상기 혼합 순환수를 상기 스크라버의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로 재순환되도록 상기 스크라버와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스크라버 순환배관; 및 상기 혼합 순환수를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재순환되도록 상기 바이오필터와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바이오필터 순환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HIGH-EFFIENCY AND LOST-COST AND ECO-FRIENDLY DEODORIZING SYSTEM FOR SEWAGE AND WASTE WATER DISPOSAL PLANT}
본 발명은 바이오필터 산성 세척수를 순환수로 이용하여 유입되는 복합악취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라버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잔여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바이오필터를 연계하여 운영함에 있어서, 스크라버의 알카리성 순환수와 바이오필터의 산성 세척수가 순환수 혼합탱크에서 혼합되고 혼합탱크에는 미생물탈취제가 공급됨으로 인하여 탈취효율을 높이고 스크라버의 알카리성 순환수 중화제와 바이오필터의 산성 세척수 중화제 및 미생물 배양액 공급설비를 구비하는 대신에 미생물탈취제 공급설비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함에 따라 중화제 공급설비 설치비와 운영비 절감 및 설비 운영의 효율화를 높인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은 악취가스분해 능력이 뛰어나지만 스크라버 또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하는 탈취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하여 미생물 또는 미생물 배양액을 탱크에 보관할 때 미생물 또는 미생물 배양액은 유기물 함유량이 높아 산패로 인하여 쉽게 사멸함으로 보존 기간이 짧고 미생물개체수가 적어져서 악취물질의 분해, 흡착 능력 저하로 탈취제로써의 기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스크라버에는 황산이나 차아염소산나트륨 등과 같은 독성의 약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약액미스트가 후 공정인 바이오필터의 미생물담체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접촉하여 미생물 활성을 떨어뜨려 탈취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복합악취물질이 배출되는 하환경기초시설, 부산물비료 제조장, 폐기물 건조장, 폐기물 처리장, 탈황시설 등의 악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암모니아, 황화합물, 지방산류, 아민류, 탄화수소, VOCs 등의 대기오염(악취)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약액 세정법과 바이오필터 탈취법이 주로 사용되며, 고농도의 복합악취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으로는 연소 탈취법과 약액 세정탑과 바이오필터 등의 탈취탑을 연계하는 탈취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약액 세정법은 순환수에 황산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화공약품을 혼합하고 미세 분사하여 악취 물질과 접촉하도록 하여 흡수, 중화하는 상용화된 탈취공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복합악취물질에는 탈취효율이 낮고 약품 취급에 주의가 요구되며, 작업자 보건위생 및 주변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바이오필터 탈취법은 미생물의 흡착, 분해 기작에 의해서 악취가스를 환경친화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이나, 미생물 담체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장치가 필요하고 고농도의 복합악취 물질인 경우에는 충분한 접촉시간 확보를 위한 설치 부지가 과다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미생물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산 등의 산성용액 생성으로 순환수의 pH가 낮아지기 때문에 가성소다 등의 중화제 주입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악취오염도 규제치 강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목(죽)초액 탈취법과 바이오필터 탈취법을 직렬 연결하여 조합하는 탈취공법[특허등록 제10-0963053호]을 개발하였다. 상기 탈취공법은 1단계 목(죽)초액 탈취탑의 순환수에 목(죽)초액을 주입하여 흡수, 중화, 산화 기작에 의하여 독성물질과 고농도의 복합악취물질을 1차 제거하고, 잔여 악취가스는 2단계 바이오필터의 Bacillus subtilis GU1 미생물담체층을 통과하면서 악취가스가 흡착, 분해하는 친환경 고효율 탈취공법이나, 목(죽)초액과 미생물 배양액 공급설비가 별도로 필요하고 바이오필터 탈취탑 세정수의 낮아진 pH를 높여주기 위하여 중화제 공급설비를 추가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운전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복합악취물질을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하는 탈취공법에 있어서 바이오필터 세척수의 산성폐액을 고액 분리하여 여액은 스크라버 순환수의 중화제로 활용하고 고형물은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담체에 공급하는 탈취공법[특허등록 제10-1150787호]을 개발하였다. 상기 공법은 스크라버의 중화제 사용을 줄여주는 친환경 탈취공법이나, 고농도의 복합악취물질이 유입될 경우는 스크라버의 순환수에 약액의 추가 주입이 필요하고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담체에는 미생물 배양액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설비가 필요하며, 또한, 미생물 배양액은 산패하기 쉬운 영양물질로 구성되어 보존하는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하는 탈취시스템에 스크라버의 순환수와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담체에 미생물탈취제를 공급하는 탈취공법을 운영함에 있어서, 유용미생물에 식물추출물 또는 목초액 또는 식물추출물과 목초액을 혼합한 조성물(이하 `식물추출수`라 한다)을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가 미생물의 장기간 보관에 따른 산패를 방지하고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를 혼합하여 중화시킨 순환수 혼합탱크에 미생물탈취제를 주입하면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의 탈취효율을 높이고 간편한 설비설치로 인한 시설비와 유지비 절감 및 유지 관리에도 편리함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환경기초시설, 부산물비료 제조장, 원료저장 및 취급장, 작업장, 산업시설, 탈황시설 등에서 발생 되는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화합물, 지방산류, 탄화수소, VOCs 등의 복합악취물질을 저비용으로 고효율로 제거하고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높인 복합악취물질 제거용 탈취시스템으로서, 스크라버의 순환수와 바이오필터의 세척수를 혼합하는 순환수 혼합탱크에 식물추출수와 유용미생물을 융합함에 따라 미생물의 산패 억제와 보존성 및 환경적응성이 우수한 미생물탈취제를 주입하여 스크라버의 폴링층과 바이오필터의 미생물담체층에 분사하면 탈취효율을 높이고 시설 및 유지비의 절감과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한 고농도 복합악취물질 제거용 탈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은, 악취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알칼리성 악취물질을 흡수 및 중화 시키는 스크라버; 상기 스크라버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크라버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복합악취물질을 흡착 및 분해시키는 바이오필터; 상기 스크라버에서 순환되는 스크라버 순환수와 상기 바이오필터에서 순환되는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유입되며,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혼합된 혼합 순환수가 저장되고, 상기 혼합순환수를 상기 스크라버 및 상기 바이오필터에 각각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공급하는 순환수 혼합탱크; 상기 혼합 순환수를 상기 스크라버의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로 재순환되도록 상기 스크라버와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스크라버 순환배관; 및 상기 혼합 순환수를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재순환되도록 상기 바이오필터와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바이오필터 순환배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는, 상기 혼합 순환수와 접촉하는 악취물질을 흡수, 중화, 흡착 또는 분해하는 등의 복합반응에 의하여 상기 악취물질이 고효율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미생물 탈취제를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에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미생물 탈취제 저장탱크;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와의 혼합으로 생성된 반응생성물과, 상기 혼합 순환수와 악취물질의 반응으로 생성된 반응생성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배관; 및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의 혼합과 침전 및 고액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막;을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탈취제는 식물추출수와 혼합균주 또는 식물추출수에 과당을 첨가한 후 혼합균주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라버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부에 순환수 분무노즐을 구비한 스크라버 본체;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송풍기의 구동에 의하여 유입되는 상기 스크라버 본체의 하부 또는 상부에 구비된 유입부; 상기 악취와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의 기액 반응으로 상기 악취가 저감되고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스크라버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유출부; 및 스크라버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크라버 순환배관과 연결되는 순환수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필터는, 내부에 분무노즐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노즐 하방에 위치되는 미생물 담체층을 포함하는 바이오필터 본체; 상기 스크라버의 상기 유출부에 연결되어 악취가 저감되고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유입되며 바이오필터 본체의 상기 미생물 담체층 하부 또는 상부에 배관으로 연결된 유입부; 미생물 담체층을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부; 및 상기 바이오필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낙하되며, 상기 바이오필터 순환배관과 연결되는 반응폐액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라버는 상기 스크라버의 내부에 상기 순환수 분무노즐에 의해 분무된 액적 형태의 스크라버 순환수가 상기 바이오필터 본체로 과량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라버 디미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필터는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출부를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오필터 디미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필터의 분무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미생물 담체층을 주기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청정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라버의 전단계에 별도로 구비되는 약액 세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액 세정장치는, 상부에 약액 순환수가 분무되는 약액 분무노즐을 구비한 세정장치 본체; 상기 세정장치 본체의 하부 또는 상부에 구비되어 악취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세정장치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장치 본체를 통과한 공기가 유출되는 세정장치 유출부; 상기 세정장치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와 접촉된 상기 약액 순환수가 낙하되는 약액 순환수 저장부; 상기 약액 순환수 저장부와 약액 분무노즐을 연결하는 약액 순환배관; 및 상기 약액 순환수 저장부에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 탈취제는 식물추출수 성분 중에 함유한 알코올 성분을 분해하는 과당을 첨가하여 숙성시킨 후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추출수와 유용미생물을 융합하는 미생물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생물탈취제는 녹색식물을 파쇄하여 추출기에 넣어 가온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얻어지는 식물추출수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와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식물추출수에 과당을 첨가하여 숙성시킨 후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 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와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균주가 유기물 함량이 높아 보관 중에 쉽게 산패되어 미생물개체수가 급격히 감소됨으로 인해서 탈취제로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균주에 식물추출수와 과당을 혼합하여 미생물탈취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식물추출수의 성분 중에서 강력한 미생물 항산화작용과 악취물질을 흡수, 중화하는 천연 유기산의 기능은 유지하고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알코올류는 분해하기 위해서 식물추출수에 과당을 먼저 첨가하여 숙성한 이후에 균주를 혼합함으로써 미생물의 산패와 발육 억제의 문제를 개선하고 미생물의 보존성과 악취물질의 흡수, 중화 능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미생물탈취제를 스크라버 순환수에 주입하여 악취물질을 흡수, 흡착, 분해하여 탈취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미생물탈취제를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담체에 부착시켜 악취물질을 흡수, 흡착, 분해하여 탈취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크라버의 충진층과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담체층에 혼합 순환수를 분사하는 순환펌프에 미생물탈취제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악취물질 제거용 탈취시스템은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미생물 담체에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미생물탈취제의 개발과 이를 활용하는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 연계 탈취시스템을 운영함에 있어서, 기존의 탈취시스템와 비교하여 탈취효능을 높이고 중화제 설치비와 유지비를 절감하고 설치 공간을 줄이고 유지 관리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미생물 담체에 동시에 사용하는 미생물탈취제는 산패로 보존성과 탈취효과가 낮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천연 유기산의 미생물 항산화작용 기전과 복합악취 흡수작용의 특성을 가진 식물추출수를 혼합하였으며, 식물추출수 중에 미생물 발육을 억제하는 알코올류는 과당과 혼합하여 숙성시켜 분해함으로 장기간 보관 시 산패 문제를 개선하고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에 적응력이 우수하여 탈취효과가 높은 미생물탈취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생물탈취제의 원료물질인 식물추출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물추출수는 식물추출물 또는 목초액 또는 식물추출물과 목초액을 혼합한 조성물이다. 식물추출물의 제조는 녹색식물의 잎, 줄기, 꽃, 열매, 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파쇄한 다음 추출기에 넣고 열 또는 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액상의 식물추출물을 제조한다. 또한, 목초액의 제조는 녹색식물의 잎, 줄기, 꽃, 열매, 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파쇄한 다음 열분해로(가마솥)에 넣고 열을 직접 또는 간접 가열하여 열분해 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연기를 냉각, 응축, 여과, 숙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정을 거쳐 생성된 액상의 목초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식물추출수의 미생물 항산화작용과 악취물질 흡수능 및 미생물의 흡착, 분해능을 동시에 활용하는 미생물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녹색식물의 잎, 줄기, 꽃, 열매, 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파쇄한 다음 추출기에 넣고 열 또는 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증기를 냉각, 응축한 식물추출수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와 혼합하거나, 상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식물추출수 성분 중에 함유되어 미생물 발육을 억제하는 알코올류를 분해하는 과당을 식물추출수에 첨가하여 숙성시킨 후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와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는 장시간 보관하여도 산패가 억제되어 미생물개체수가 유지되고 환경 적응력을 높여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에서 탈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담체에 공급하는 미생물 배양액이 부패하기 쉬운 영양물질로 구성되어 보존 기간이 짧아 탈취효율이 낮고, 보관 중에 유해 세균에 쉽게 오염되는 문제를 식물추출수와 유용미생물이 혼합되어 제조된 미생물탈취제가 이를 개선함에 따라 보존성이 취약한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라버에 미생물탈취제를 사용함에 따라서 황산이나 차아염소산나트륨 등과 같은 독성의 약액미스트가 바이오필터의 미생물담체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접촉하여 탈취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한 탈취시스템은 스크라버 운행 중에 암모니아 등 알카리성 악취물질의 흡수로 pH가 8 ~ 11 범위로 높아지는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운영 중에 미생물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산, 질산 등의 영향으로 pH 2 ~ 5 범위로 낮아지는 미생물담체 세척수를 혼합함에 따라 상호 중화작용에 의하여 pH를 6 ~ 8 범위로 유지하기 때문에 스크라버 순환수에 공급하는 산성 중화제와 바이오필터 세척수에 공급하는 알카리성 중화제가 불필요하며, 약액 사용에 따르는 2차 환경오염 또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한 탈취시스템에서 스크라버 순환수에는 산성 중화제를, 바이오필터 미생물담체에는 알카리성 중화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약액과 미생물 배양액 보관 탱크 및 공급 설비를 구비하는 대신에 보존성이 우수하고 미생물개체수가 많은 미생물탈취제를 공급하는 설비만으로 통합하여 운영함에 따라 중화제 공급설비 설치비와 전력비, 약품비 절감, 설비 운영의 효율화 및 탈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에 따른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탈취제의 원료물질인 식물추출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물추출물의 제조는 녹색식물의 잎, 줄기, 꽃, 열매, 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2 ~ 20㎝로 파쇄한 다음 추출기에 넣고 열 또는 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90 ~ 110℃에서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액상의 식물추출물을 제조한다. 또한, 목초액의 제조는 녹색식물의 잎, 줄기, 꽃, 열매, 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2 ~ 20㎝로 파쇄한 다음 열분해로(가마솥)에 넣고 열을 150℃ ~ 350℃ 에서 직접 또는 간접 열분해 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연기를 냉각, 응축, 여과, 숙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정을 거쳐 생성된 액상의 목초액을 제조한다. 식물추출수는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식물추출물 또는 목초액 또는 식물추출물과 목초액을 혼합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탈취제는 녹색식물의 잎, 줄기, 꽃, 열매, 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2 ~ 20㎝로 파쇄한 다음 추출기에 넣고 열 또는 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90 ~ 110℃에서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증기를 냉각, 응축한 식물추출수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와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탈취제는 식물추출수 10~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 40~90중량% 바람직하게는 60~80중량%와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미생물탈취제의 활성도를 높이는 방법에 있어서, 식물추출수에 함유되며, 미생물 발육을 억제하는 알코올 성분을 분해하는 과당 0.5~20중량% 바람직하게는 2~10중량%를 식물추출수 15~55중량% 바람직하게는 15~35중량%에 첨가하여 30일 이상에서 상온 숙성, 또는 40℃ 내외에서 2 ~ 6 시간 가온 숙성시킨 후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 10~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80중량%와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1)은 악취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악취물질을 흡수 및 중화시키는 스크라버(10), 스크라버(10)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스크라버(1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복합악취물질을 흡착 및 분해시키는 바이오필터(20), 스크라버(10)에서 순환되는 스크라버 순환수(w1)와 바이오필터(20)에서 순환되는 바이오필터 세척수(w2)를 혼합하는 순환수 혼합탱크(30)와, 스크라버(10)와 바이오필터(20)를 연결하여 스크라버(10)를 통과한 공기가 바이오필터(2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동배관(55)를 포함한다.
이때, 순환수 혼합탱크(30)는 혼합 순환수(w3)와 접촉하는 악취물질을 흡수, 중화, 흡착 또는 분해하는 등의 복합 반응에 의하여 상기 악취물질이 고효율로 제거될 수 있도록 미생물탈취제(d)를 순환수 혼합탱크(30)에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미생물탈취제 저장탱크(31)와, 스크라버 순환수(w1) 및 바이오필터 세척수(w2)와의 혼합으로 생성된 반응생성물과, 혼합 순환수(w3)와 악취물질의 반응으로 생성된 반응생성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반응생성물 배출배관(35과, 순환수 혼합탱크(30)로 유입되는 스크라버 순환수(w1) 및 바이오필터 세척수(w2)의 혼합과 침전 및 고액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순환수 혼합탱크(3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판막(301)을 포함한다.
그리고, 탈취시스템(1)에는 혼합 순환수(w3)가 스크라버(10)의 스크라버 순환수(w1)로 재순환되도록 스크라버(10)와 순환수 혼합탱크(30)를 연결하는 순환수 스크라버 순환 배관(15)과, 혼합 순환수(w3)가 바이오필터(20)의 미생물담체 세척을 위한 바이오필터 세척수(w2)로 재순환되도록 바이오필터(20)와 순환수 혼합탱크(30)를 연결하는 바이오필터 순환 배관(29)이 구비된다.
이때, 스크라버 순환배관(15) 및 바이오필터 순환배관(29)에는 각각 스크라버 순환수(w1) 및 바이오필터 세척수(w2)를 유동시키기 위한 스크라버 순환펌프(32) 및 바이오필터 순환펌프(33)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탈취시스템(1)에서는 일반적으로 스크라버 순환수에 주입하는 황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이나 목초액과 같은 약액을 대신하여 바이오필터(20)의 미생물담체에서 질소화합물, 황화합물 등의 악취가스가 흡착,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질산, 황산 등으로 인해 pH 2 ~ 5 범위의 산성 반응폐액이 활용된다.
즉, 송풍기(17)를 통하여 스크라버(10)로 유입하는 암모니아 등의 알카리성 가스가 스크라버 순환수(w1)에 흡수, 중화 반응하여 생성된 초산암모늄염 등의 영향으로 pH 8 ~ 11 범위의 알카리성 반응폐액으로 변한 스크라버 순환수(w1) 전량이 순환수 혼합탱크(30)에서 pH 2 ~ 5 범위의 산성 반응폐액으로 변한 바이오필터 세척수(w2)와 반응하여 pH 6 ~ 8 범위로 유지하여 주기 때문에 스크라버 순환수(w1)에 황산이나 목초액 등의 약액을 별도로 주입하지 않아도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의 알카리성 악취가스와 수용성 가스를 연속해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시스템(1)에는 바이오필터 세척수(w2) 중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카리성 중화제와 미생물 배양액 공급설비가 구비되지 않아도, 바이오필터 세척수(w2)의 중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10)는 공기중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부에 순환수 분무노즐(11)을 구비한 스크라버 본체(100)와,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송풍기(17)의 구동에 의하여 유입되는 스크라버 본체(100)의 하부 또는 상부에 구비된 유입부(12)와, 상기 악취와 스크라버 순환수(w2)의 기액 반응으로 악취가 저감되고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배출되는 스크라버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 유출부(13)와, 스크라버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순환수 저장부(14)와, 순환수 혼합탱크(30)와 순환수 분무노즐(11)을 연결하는 스크라버 순환수 순환 배관(15);을 포함한다.
순환수 혼합탱크(30)는 스크라버 본체(100)의 하부에 낙하하는 스크라버 순환수(w1)가 순환수 저장부(14)를 거치는 스크라버 본체(100) 및 바이오필터 본체(200)와 배관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혼합탱크(30)는 순환수 스크라버 순환배관(15)을 통해 스크라버 분무노즐(11)과 연결되고, 바이오필터 순환배관(25)을 통해 바이오필터 분무노즐(21)과 연결되며, 세척수 공급배관(27)이 연결되어 청정수가 보충될 수 있다.
한편, 세척수 공급배관(27)은 순환수 혼합탱크(30)에 직접연결되어 청정수를 순환수 혼합탱크(30)에 대하여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라버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1)은 스크라버 순환수(w1)를 광범위하게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하나 이상 설치되고, 설치되는 분무노즐의 수는 송풍기의 압력, 그에 따른 악취물질의 상승 속도 그리고 목적하는 처리 효율 등에 따라 결정된다. 분무노즐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치되며 이들 분무 노즐의 수와 간격은 분무 공간의 전체 용적과 분무되는 상향 또는 하방 영역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라버(10) 내부에서 분무노즐에 의해 분무된 액적 형태의 순환수와 악취물질의 접촉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표면적이 넓은 충진재층(1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라버(10) 내부에 분무노즐에 의해 분무된 액적 형태의 순환수가 바이오필터 본체로 과량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라버 디미스트(18)가 스크라버 유출부(13)의 바로 아래의 스크라버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바이오필터(20)는 내부에 분무노즐(21)이 구비되며, 분무노즐 하방에 위치되는 미생물 담체층(26)을 포함하는 바이오필터 본체(200)와, 스크라버(10)의 유출부(13)에 연결되어 악취가 저감되고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유입되며 바이오필터 본체(200)의 미생물 담체층(26) 하부 또는 상부에 배관으로 연결된 유입부(22)와, 미생물 담체층(26)을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부(23)와, 바이오필터 본체(200)의 하부에 마련되며 바이오필터 세척수(w2)가 낙하되며 바이오필터 순환배관(25)과 연결되는 반응폐액 저장부(24)를 포함한다.
이때, 순환수 혼합탱크(30)에는 스크라버 본체(100)의 하부, 즉 순환수 저장부(14) 및 바이오필터 본체(100)의 하부, 즉 반응폐액 저장부(24)에 연결된 각각의 배관이 연결되어, 스크라버 순환수(w1) 및 바이오필터 세척수(w2)가 공급된다.
그리고, 바이오필터(20)의 분무노즐(21)에는 미생물 담체층(26)을 주기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청정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배관(27)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필터(20)는 순환수 혼합탱크(30)의 혼합 순환수(w3)가 바이오필터 세척수(w2)로서 바이오필터(20)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바이오필터(20)의 분무노즐(21)과 순환수 혼합탱크(30)를 연결하는 바이오필터 순환배관(25)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이오필터(20)의 상부에는 유출부(23)를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오필터 디미스트(28)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스크라버 순환수(w1)와 바이오필터 세척수(w2)가 혼합된 혼합 순환수(w3)가 저장된 순환수 혼합탱크(30)에는 식물추출수의 악취물질 흡수능과 미생물의 흡착 및 분해 등을 동시에 활용하기 위하여 식물추출수와 혼합균주 또는 식물추출수에 과당을 첨가한 후 혼합균주를 혼합하여 제조된 미생물탈취제가 미생물탈취제 저장탱크(31)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이오필터 분무노즐(21)에 바이오필터 순환배관(25)이 연결되어 미생물 담체층(26)을 통과한 산성의 바이오필터 세척수(w2)와 알칼리성 악취물질의 흡수로 인한 알칼리성의 스크라버 순환수(w1)가 혼합되어 중화된 혼합 순환수(w3)가 바이오필터 순환펌프(33)에 의하여 바이오필터 순환배관(25)을 통하여 미생물 담체층(26)에 분무된다.
그리고, 바이오필터 분무노즐(21)에는 세척수 공급배관(27)이 연결되어 미생물 담체층(26)에 청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순환수 혼합탱크(30)에는 미생물탈취제 저장탱크(31)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미생물탈취제가 미생물탈취제 정량펌프(34)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미생물탈취제 저장탱크(31)에는 미생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히터 또는 냉각기를 구비한 온도 조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청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배관(27)이 바이오필터 분무노즐(21)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미생물 담체층(26) 및 순환수 혼합탱크(30)에는 청정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청정수 공급배관이 직접 연결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시스템은 스크라버(10)의 충진층과 바이오필터(20)의 미생물 담체층에 혼합 순환수(w3)를 분사하는 순환펌프에 설치되어 미생물탈취제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본 실시예는 약액 세정장치(40)가 더 구비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의 탈취시스템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탈취시스템은 고농도의 복합악취물질을 고효율로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스크라버(10)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스크라버(10)의 전단계에 별도로 구비되는 약액 세정장치(40)를 더 포함한다.약액 세정장치(40)는 상부에 약액 순환수(w4)가 분무되는 약액 분무노즐(41)을 구비한 세정장치 본체(400)와 세정장치 본체(400)의 하부 또는 상부에 구비되어 악취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42)와, 세정장치 본체(4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세정장치 본체(400)를 통과한 공기가 유출되는 세정장치 유출부(43); 세정장치 본체(4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와 접촉된 약액 순환수(w4)가 낙하되는 약액 순환수 저장부(44)와, 약액 순환수 저장부(44)와 약액 분무노즐(41)을 연결하는 약액 순환배관(45)과, 약액 순환수 저장부(44)에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저장탱크(47)를 포함한다.
약액 세정장치(40)의 순환수 저장부(44)의 약액 순환수(w4)는 스크라버 송풍기(17)를 통하여 유입되는 복합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무노즐(41)에 약액 세정장치 순환배관(45)이 연결되어 약액 세정장치 순환수(w4)가 공급될 수 있으며, 유입되는 복합악취물질의 특성에 따라 산성액, 또는 알카리성액을 저장하는 약액 저장탱크(47)를 통하여 약액 세정장치 순환수 저장부(44)에 배관을 통하여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하는 탈취시스템에는 하나 이상의 탈취시스템을 전단 또는 후단에 직렬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필터장치, 응축장치, 유수분리장치, 냉각장치, 기화장치, 산화장치, 촉매장치, 흡착장치, 열분해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전단 또는 후단에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스크라버(10) 전 단계에 산성가스 또는 VOCs 제거용 약액 세정장치(40),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장치, 또는 유분을 제거하는 유수분리장치, 또는 가스중의 온도를 낮추는 응축장치를 부가시키는 것이 악취가스 중의 먼지, 독성물질, 유분, 습증기 등을 줄여주어 이후 공정인 바이오필터 탈취시스템의 악취물질 제거효율을 높이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편백추출수는 장성군 관내에서 서식하는 편백나무 잎을 세척, 건조하고 5~10㎝로 파쇄한 다음 1,000ℓ의 추출용기에 120㎏ 적재하고 열원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내부 온도를 90~110℃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생성된 추출액을 유부 분리하여 상등액을 제외한 하층 여액을 여과하여 조제하였다.
과당은 탄소 6개와 케톤(ketone)기를 가지는 C6H12O6의 분자식을 가지는 무색의 액상으로 수분함량 23.5%, 고형분함량 76.5%, Brix 75, Fructose 55%, Oligo당 6%, pH 5.0의 특성을 갖는 한국산 식품첨가용(신원무역상사)을 사용하였다.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의 Nutrient agar 고체배지로 배양하였으며, 균주의 개체수(CFU/mL)의 측정은 영양한천(Nutrient agar) 고체배지에 37℃에서 48hr 배양하여 평판확산법으로 미생물개체수를 조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균주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표 1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를 대조구로 정하고, 표 2는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를 대조구로 정하여 편백추출수와 균주를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와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균주를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의 혼합 조건과 보관 기간 변화에 따른 미생물개체수 변화를 나타내었다.
구 분 Bacillus S 편백수: Bacillus 혼합비별 개체수(CFU/mL) 편백수 : 과당 : Bacillus
대조구 7 : 3 5 :5 3 : 7 3.0:1.0:6.0 2.5:0.5:7.0
혼합 후
1일
4.0×108 6.1×105 7.3×106 3.2×107 1.1×108 2.3×108
혼합 후
5일
3.3×105 5.0×104 8.0×104 2.1×105 6.9×107 1.8×108
혼합 후
30일
4.3×104 3.5×104 5.6×104 1.5×105 3.0×107 8.6×107
혼합 후
60일
8.5×103 3.1×104 6.0×104 4.8×104 8.4×106 1.3×107
표 1은 편백추출수와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의 혼합비(중량)를 3:7로 조액하였을 경우 혼합 1일 후에 측정한 미생물개체수(CFU/mL)는 3.2×107 이었으나, 60일 이후에는 4.8×104 을 나타내었다. 이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를 대조구에서 초기의 미생물개체수 4.0×108 에서 60일이 경과된 이후에는 8.5×103 로 크게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미생물개체수의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이는 편백추출수와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를 혼합하여 제조한 시료가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만을 이용하여 제조한 시료보다 편백추출수 중의 천연 유기산의 항산화작용으로 인하여 균주의 보존성이 높아진 경과로 판단된다.
또한,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의 혼합비(중량)를 2.5:0.5:7.0으로 조액하였을 경우 혼합 1일 후에 측정한 미생물개체수는 2.3×108 이었으나, 60일 이후에는 1.3×107 을 나타내었다. 이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의 대조구에서의 미생물개체수 감소와 편백추출수와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의 혼합비(중량)를 3:7로 조액하였을 경우의 미생물개체수가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식물추출수 중의 천연 유기산의 항산화작용과 과당의 알코올 분해효과로 인하여 미생물개체수의 감소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를 혼합하여 미생물탈취제를 제조하는 것이 미생물 보존성이 우수하고여 탈취효율을 높여 주어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 분 Pseudomonas 편백수 : Pseudomonas 혼합비별 개체수 편백수:과당:Pseudomonas
대조구 7 : 3 5 :5 3 : 7 3.0:1.0:6.0 2.5:0.5:7.0
혼합 후
1일
8.7×108 5.6×108 8.6×108 7.2×108 7.1×108 7.3×108
혼합 후
5일
4.1×107 1.2×107 3.5×107 5.9×107 5.5×108 6.6×108
혼합 후
30일
1.3×106 6.1×106 1.3×107 2.7×107 2.0×108 5.1×108
혼합 후
60일
4.5×105 4.2×106 5.0×106 6.0×106 2.4×108 3.3×108
표 2는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의 혼합비(중량)를 2.5:0.5:7.0으로 조액하였을 경우 혼합 1일 후에 측정한 미생물개체수는 7.3×108 에서 60일 이후에는 3.3×108 로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대조구에서는 혼합 1일 후에 8.7×108 에서 60일 후에는 4.5×105 로 크게 감소하였고, 편백추출수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의 혼합비(중량)를 3:7로 조액하였을 경우 혼합 1일 후에 7.2×108 에서 60일 이후에는 6.0×106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를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가 식물추출수 중의 천연 유기산의 항산화작용과 과당의 알코올 분해효과로 인하여 미생물개체수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표 1 내지 표 2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이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미생물의 혼합비(중량)를 2.5:0.5:7.0으로 조액한 미생물탈취제가 미생물개체수를 가장 높게 유지하여 탈취효율을 높인 것으로 판단되며, 60일 보관하더라도 개체수의 변화가 적은 것은 환경 적응력이 높아져서 보존성을 크게 높여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미생물탈취제 시료 1은 장성군 관내에서 서식하는 편백나무 잎을 세척, 건조하고 5~10㎝로 파쇄한 다음 1,000ℓ의 추출용기에 100㎏ 적재하여 열원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내부 온도를 90~110℃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생성된 추출액을 유부 분리하여 상등액(편백 정유)을 제외한 편백추출수 30ℓ와 영양한천(Nutrient agar) 고체배지로 배양한 혼합균주(Pseudomonas aeruginosus속:Bacillus subtilis속=5:5) 70ℓ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미생물탈취제 시료 2는 상기 미생물탈취제 시료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편백추출수 25ℓ와 과당 5ℓ을 혼합하여 2개월간 숙성하고 Nutrient agar 고체배지로 배양한 혼합균주(Pseudomonas aeruginosus속:Bacillus subtilis속=5:5) 70ℓ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바이오필터의 본체 중간에 적체하는 미생물담체는 벤토나이트, 유리섬유 등이 혼합된 광물질을 분쇄하는 공정, 분말을 건식 회전기에 넣어 물을 분무하면서 일정한 크기의 내부 핵을 원형으로 성형하는 공정, 내부 핵을 열풍건조로 건조하는 공정, 건조된 내부 핵을 건식 회전기에 넣어 물을 분무하면서 외부로 글라스파우더를 부착시켜 세라믹 볼을 성형하는 공정, 세라믹 볼을 연속로에서 700~900℃로 가열 및 발포시키는 공정, 발포 성형물을 냉각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 다공성 세라믹담체로 강도 3㎏/㎠, 기공율 78.7%, 비중 0.256, 비표면적 1.85㎡/㎤, 최대압축하중 453.8N, 흡수율 26.5%, 밀도 0.5g/㎤의 특성을 가진 다공성 세라믹담체를 에코세라믹 회사에서 공급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한 실험장치의 구성은 본체의 규격 1,300W X 2,800L X 1,650H이고, 상기 스크라버의 규격은 1,300W X 500L X 1,650H로 폴링 여재의 유효높이 400H(유효부피 260 L)를 단층으로 스크라버 최하부에 순환수 저장탱크를 구비한 본체 중간부에 충진하고, 상기 바이오필터의 규격은 1,300W X 2,300L X 1,650H로 미생물 담체의 유효높이 600H(유효부피 1,800 L)를 단층으로 본체 최하부에 담체 세척수 저장탱크를 구비한 바이오필터 중간부에 충진하였다.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에 약액과 미생물 공급은 기존의 방법인 스크라버 순환수 중화제(황산) 공급설비와 바이오필터 세척수를 중화제(수산화나트륨) 공급설비 및 미생물담체에 미생물 배양액 공급설비를 구비하는 대신에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를 혼합하는 혼합탱크(1.75㎥)와 미생물탈취제 공급설비인 미생물탈취제보관탱크(200ℓ)와 정량펌프(1ℓ/min)를 구비하였다.
실험장치의 운전조건은 스크라버 충진재층을 스프레이하고 하단에 배출되는 알카리성 순환수 전량과 바이오필터의 미생물담체를 세척하고 하단에 배출되는 산성 세척수 전량은 순환수 혼합탱크에서 혼합되며, 순환수 혼합탱크 내의 반응생성물과 이물질은 배출 밸브를 통하여 1일 1회 외부로 배출시켰다.
또한,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를 중화시키기 위해서 주입하는 산성과 알카리성 중화제와 바이오필터 미생물 담체에 공급하는 미생물 배양액은 주입하지 않은 대신에 미생물탈취제 시료 1과 미생물탈취제 시료 2를 같은 조건으로 순환수 혼합탱크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1일 200mL를 1차례로 주입하였으며, 혼합탱크에 주입된 미생물탈취제가 혼합된 순환수는 스크라버 순환펌프와 바이오필터 순환펌프를 통하여 스크라버의 충진재층과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담체층에 각각 4개의 나선형 노즐로 분사하였다.
미생물담체에 미생물 시딩을 운전 초기 약 2개월간에 완료한 이후, 스크라버의 체류시간은 4.8초, 순환펌프(50 L/min)로 기액비 3ℓ/㎥로 연속 분사하였으며, 바이오필터의 공탑체류시간은 12초, 공기의 통과선속도(LV)는 0.15 m/sec, 순환펌프(50 L/min)로 바이오필터 내부 온도를 15 ℃이상유지 조건에서 6시간 간격으로 3분간씩 10~50 L/min의 유량으로 분사하였다.
탈취시스템의 운전은 순환수 혼합탱크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반응생성물 등의 이물질은 순환수 혼합탱크 하부의 드래인 밸브를 통하여 주간 평균 약 50 L 배출하였으며, 순환수 혼합탱크의 수위가 내려가면 볼탑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충되는 용수는 주간 평균 약 90 L로 바이오필터 배출구를 통하여 습윤가스로 소모되는 량은 1주일에 약 40 L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비교예 1에서 미생물탈취제로써 탈취효율과 보존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 미생물탈취제의 제조조건별 탈취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담양군 신학마을 마을하수처리장의 하수 유입조와 집수조, 농축조, 슬러지 저장조에서 배출된 악취가스를 포집하여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한 탈취시스템으로 유입시켜서 탈취전과 탈취후의 악취오염도를 조사하여 탈취효율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미생물탈취제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편백추출수와 혼합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 시료 1과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혼합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 시료 2를 대상으로 실시예 2의 탈취시스템에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조건 하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탈취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바이오필터의 미생물이 안정화된 이후 미생물 담체의 세척수는 pH 2.3 ~ 4.4 범위, 스크라버 순환수는 pH 7.8 ~ 9.5 범위, 순환수 혼합 탱크에서의 순환수는 pH 6.5 ~ 8.2 범위를 나타내어 정상적으로 운전되었다.
담양군 신학마을 마을하수처리장의 하수 유입조와 집수조, 농축조, 슬러지 저장조에서 배출된 악취가스를 포집하여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하여 제거한 한 악취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스크라버 유입구와 유출구 및 바이오필터의 배출구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악취물질 항목은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메틸머켑탄(CH3SH) 및 복합악취이고, 그 측정법은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측정방법 분석방법
암모니아 검지관법 UV/VIS
황화수소 테들러백 GC/FPD
메틸머켑탄 테들러백 GC/FPD
복합악취 테들러백 공기희석관능법
탈취시스템의 순환수 혼합탱크에 편백추출수 30ℓ와 혼합균주(Pseudomonas aeruginosus속:Bacillus subtilis속=5:5) 70ℓ를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 시료 1과 편백추출수 25ℓ와 과당 5ℓ을 혼합하여 2개월간 숙성하고 혼합균주(Pseudomonas aeruginosus속:Bacillus subtilis속=5:5) 70ℓ를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 시료 2를 주입하였을 경우의 탈취효과를 조사하였다. 표 4와 표 5는 동일한 탈취시스템와 이를 이용한 를 동일한 장소에 설치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운영한 상태에서 Data를 도출하였다. 탈취시스템의 순환수 혼합탱크에 표 4는 미생물탈취제 시료 1을 주입하였고, 표 5는 미생물탈취제 시료 2를 각각 주입하여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가 안정적으로 기능을 한 이후 스크라버 유입구와 유출구 및 바이오필터 배출구에서 1주일 간격으로 3회 악취오염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 분 스크라버 인입구 스크라버 유출구 바이오필터 배출구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암모니아
(ppm)
오염도 17 16 20 2.8 2.2 3.0 ND ND ND
제거효율(%) - - - 83.5 86.3 85.0 100 100 100
황화수소
(ppm)
오염도 4.8 4.2 4.4 1.2 1.0 1.0 ND ND ND
제거효율(%) - - - 75.0 76.2 77.3 100 100 100
메틸머켑탄
(ppm)
오염도 3.8 3.6 3.5 0.8 0.8 0.7 ND ND ND
제거효율(%) - - - 78.9 77.8 80.0 100 100 100
복합악취
(희석배수)
오염도 2000 2000 2000 300 300 300 100 100 100
구 분 스크라버 인입구 스크라버 유출구 바이오필터 배출구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암모니아
(ppm)
오염도 20 18 22 1.5 1.0 1.2 ND ND ND
제거효율(%) - - - 92.5 94.4 94.5 100 100 100
황화수소
(ppm)
오염도 5.1 4.5 4.4 0.6 0.6 0.4 ND ND ND
제거효율(%) - - - 88.2 86.6 90.9 100 100 100
메틸머켑탄
(ppm)
오염도 4.0 3.5 3.0 0.5 0.4 0.4 ND ND ND
제거효율(%) - - - 87.5 88.6 86.7 100 100 100
복합악취
(희석배수)
오염도 2000 2000 2000 144 144 144 100 100 100
측정 결과 탈취시스템의 순환수 혼합탱크에 미생물탈취제 시료 1을 주입한 경우나, 미생물탈취제 시료 2를 주입한 경우 모두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에서 높은 탈취 효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미생물탈취제 시료 2를 주입한 경우가 스크라버에서 미생물탈취제 시료 1을 주입한 경우보다 탈취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라버의 인입구 악취오염도가 낮기 때문에 스크라버에서 1차 제거된 잔여가스가 바이오필터를 통과하면서 대부분 제거되었다.
스크라버에서 미생물탈취제 시료 2가 시료 1보다 더 높은 탈취효율을 나타난 것은 미생물탈취제 중에 함유된 천연 유기산의 악취물질, 흡수, 중화작용과 과당의 알코올 분해효과로 인하여 미생물개체수가 높게 유지된 상태에서 미생물의 흡착, 분해작용이 원활하여 탈취효율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
신규 탈취시스템(실시예 2의 탈취시스템) 본체에 악취가스를 유입하는 송풍기(0.75㎾, 10㎥/min),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를 혼합하는 혼합탱크(1.75㎥)와 순환펌프(0.2㎾, 50ℓ/min), 반응생성물 배출배관, 미생물탈취제 공급설비인 미생물탈취제보관탱크(200ℓ)와 정량펌프(0.2㎾, 1ℓ/min) 및 바이오필터 세척수의 부패를 방지하는 산기관((0.2㎾)을 구비하였으며,
기존 탈취시스템의 구성은 탈취시스템 본체에 실시예 2의 탈취시스템의 구성 중에 순환수 혼합탱크(1.75㎥)와 미생물탈취제보관탱크(200ℓ)와 정량펌프(0.2㎾, 1ℓ/min)를 제외한 대신에 스크라버 순환수에 중화제(황산)를 공급하는 중화제보관탱크(200ℓ)와 정량펌프(0.2㎾, 1ℓ/min), 바이오필터 세척수에 중화제(수산화나트륨)를 공급하는 중화제보관탱크(200ℓ)와 정량펌프(0.2㎾, 1ℓ/min) 및 미생물담체에 미생물 배양액을 공급하는 미생물배양액보관탱크(200ℓ)와 정량펌프(0.2㎾, 1ℓ/min)를 별도로 구비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2에서 탈취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편백추출수와 과당 및 혼합균주(Pseudomonas aeruginosus속:Bacillus subtilis속=5:5)의 비를 2.5 : 0.5 : 7.0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미생물탈취제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 전량을 혼합하여 중화한 순환수 혼합탱크에 주입하고 스크라버 폴링층과 바이오필터 미생물담체층에 분사하는 실시예 2의 탈취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에 중화제를 주입하고 미생물담체에 미생물 배양액을 주입하는 기존 탈취시스템은 실시예 2의 신규 탈취시스템 본체에 중화제와 미생물 배양액 공급설비 만을 추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탈취시스템은 담양군 신학마을 마을하수처리장의 하수 유입조와 집수조, 농축조, 슬러지 저장조에서 배출된 악취가스를 포집하여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를 연계한 탈취시스템으로 유입시켜서 탈취전과 탈취후의 악취오염도와 탈취시스템 운전 중의 유지비를 조사하였다.
신규 탈취시스템의 운전은 스크라버의 알카리성(pH 7.8~9.5) 순환수와 바이오필터의 산성(pH 2.3~4.4) 세척수 전량을 혼합탱크에서 혼합하여 중화한 순환수(pH 6.5~8.2) 중의 반응생성물은 1주 1회 외부로 배출(약 50 L)하고 미생물탈취제를 주입(1일 200 mL)한 혼합 순환수는 스크라버 폴링층에는 연속 분사하고 바이오필터 미생물담체층에는 6시간 간격으로 3분씩 분사하였다. 순환수 혼합탱크의 수위가 내려가면 볼탑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충되는 용수는 주간 평균 약 90 L로 바이오필터 배출구를 통하여 비산되는 량은 1주일에 약 40 L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탈취시스템의 운전은 스크라버 순환수 탱크에 중화제(황산)와 바이오필터 세척수 탱크에 중화제(수산화나트륨)를 1일 200mL 씩 4차례 주입하였으며, 미생물 배양액은 1일 200mL를 1차례 주입하였다. 스크라버 순환수는 폴링층에 연속 분사하고 바이오필터 세척수는 미생물담체층에 6시간 간격으로 3분씩 분사하였다.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 중의 반응생성물은 1주 1회 외부로 각각 평균 50 L 씩 배출하였고 탱크의 수위가 내려가면 볼탑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1주간 보충되는 용수는 각각 평균 80 L와 90 L로 소모되는 량은 1주일에 각각 평균 30 L와 40 L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의 신규 탈취시스템와 기존의 탈취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전되었을 경우의 탈취효율 조사는 스크라버 유입구와 유출구 및 바이오필터 배출구에서 1주일 간격으로 3회 악취오염도를 측정하고 평균한 조사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표 7에는 정상적인 운전에서 약품비와 전력비를 비교, 평가하였다.
구 분 스크라버 인입구 스크라버 유출구 바이오필터 배출구
신규 장치 기존 장치 신규 장치 기존 장치 신규 장치 기존 장치
암모니아
(ppm)
오염도 23 20 2.1 4.0 ND ND
제거효율(%) - - 90.4 82.6 100 100
황화수소
(ppm)
오염도 4.7 4.5 0.8 1.8 ND 0.3
제거효율(%) - - 83.0 60.0 100 83.3
메틸머켑탄
(ppm)
오염도 3.5 3.6 0.6 1.2 ND 0.2
제거효율(%) - - 82.8 66.7 100 83.3
복합악취
(희석배수)
오염도 2000 2000 300 500 100 144
구 분 품 명 신규 탈취시스템 기존 탈취시스템
소요량
(년간)
단가
(원)
금액
(천원)
소요량
(년간)
단가
(원)
금액
(천원)
약품비 미생물탈취제 73ℓ 10,000 730 - - -
황산 - - - 292ℓ 500 146
수산화나트륨 - - - 292ℓ 500 146
미생물배양액 - - - 73ℓ 10,000 730
73ℓ 730천원 657ℓ 1,022천원
전력비 송풍기 2,190㎾ 650 1,424 2,190㎾ 650 1,424
스크라버 순환펌프 584㎾ 650 380 584㎾ 650 380
바이오필터 순환펌프 15㎾ 650 10 15㎾ 650 10
미생물탈취제 정량펌프 15㎾ 650 10 - - -
황산 정량펌프 - - - 15㎾ 650 10
수산화나트륨 정량펌프 - - - 15㎾ 650 10
미생물배양액 정량펌프 - - - 15㎾ 650 10
산기관 송풍기 438㎾ 650 285 876㎾ 650 570
3,242㎾ 2,109천원 9,423㎾ 2,414천원
용수비 순환수 혼합탱크 4,680ℓ 200 936 - - -
스크라버 순환수탱크 - - - 4,680ℓ 200 936
바이오필터 세척수탱크 - - - 2,080ℓ 200 416
4,680ℓ 936 6,760ℓ 1,352
합 계 3,775천원 4,788천원
악취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에 미생물탈취제를 이용하는 신규 탈취시스템의 경우가 스크라버에 중화제를 이용하고 바이오필터에 중화제와 미생물 배양액을 이용하는 기존 탈취시스템의 경우보다 표 6에서와 같이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복합악취의 제거효율이 크게 높게 나타났다.
신규 탈취시스템와 기존 탈취시스템의 경제성 평가를 위해서 1일 8시간 운전기준으로 1년간 탈취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약품비와 전력비 및 용수비를 조사한 결과 표 7에서와 같이 신규 탈취시스템의 운영비는 연간 3,775천원, 기존 탈취시스템의 운영비는 4,788천원 소요되어 신규 탈취시스템의 경우가 연간 1,013천원 절감하여 약 21%의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라버와 바이오필터가 연계된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 전량을 순환수 혼합탱크에서 중화하고 반응생성물은 외부 배출한 이후 미생물탈취제를 주입한 혼합 순환수를 스크라버 순환수와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반복해서 순환하는 신규 탈취방식은 종래의 탈취방식보다 탈취효율이 높고 유지관리비 측면에서도 유리하여 악취오염도 규제강화와 악취진단제도 신설(2011.2) 등의 정부 규제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저비용의 탈취시스템이다.
10: 스크라버 11: 스크라버 분무노즐
12: 스크라버 유입부 13: 스크라버 유출부
14: 순환수 저장부 15: 순환수 스크라버 순환배관
16: 스크라버 충진재층 17: 스크라버 송풍기
18: 스크라버 디미스트 20: 바이오필터
21: 바이오필터 분무노즐 22: 바이오필터 유입부
23: 바이오필터 유출부 24: 반응폐액 저장부
25: 바이오필터 순환배관 26: 미생물 담체층
27: 용수 공급배관 28: 바이오필터 디미스트
29: 바이오필터 순환배관 30: 순환수 혼합탱크
31: 미생물탈취제 저장탱크 32: 스크라버 순환펌프
33: 바이오필터 순환펌프 34: 미생물탈취제 정량펌프
35: 반응생성물 배출배관 40: 약액 세정장치
41: 약액 분무노즐 42: 약액 세정장치 유입부
43: 약액 세정장치 유출부 44: 약액 세정창치 순환수 저장부
45: 약액 순환배관 46: 약액 세정장치 충진재층
47: 약액 저장탱크 48: 약액 세정장치 디미스트

Claims (7)

  1. 공기 중의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악취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알칼리성 악취물질을 흡수 및 중화 시키는 스크라버;
    상기 스크라버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크라버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복합악취물질을 흡착 및 분해시키는 바이오필터;
    상기 스크라버에서 순환되는 스크라버 순환수와 상기 바이오필터에서 순환되는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유입되며,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혼합된 혼합 순환수가 저장되고, 상기 혼합순환수를 상기 스크라버 및 상기 바이오필터에 각각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공급하는 순환수 혼합탱크;
    상기 혼합 순환수를 상기 스크라버의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로 재순환되도록 상기 스크라버와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스크라버 순환배관; 및
    상기 혼합 순환수를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재순환되도록 상기 바이오필터와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바이오필터 순환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라버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부에 순환수 분무노즐을 구비한 스크라버 본체;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송풍기의 구동에 의하여 유입되는 상기 스크라버 본체의 하부 또는 상부에 구비된 유입부;
    상기 악취와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의 기액 반응으로 상기 악취가 저감되고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스크라버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유출부; 및
    스크라버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크라버 순환배관과 연결되는 순환수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필터는,
    내부에 분무노즐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노즐 하방에 위치되는 미생물 담체층을 포함하는 바이오필터 본체;
    상기 스크라버의 상기 유출부에 연결되어 악취가 저감되고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유입되며 바이오필터 본체의 상기 미생물 담체층 하부 또는 상부에 배관으로 연결된 유입부;
    미생물 담체층을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부; 및
    상기 바이오필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낙하되며, 상기 바이오필터 순환배관과 연결되는 반응폐액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2. 공기 중의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처리장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악취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알칼리성 악취물질을 흡수 및 중화 시키는 스크라버;
    상기 스크라버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크라버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복합악취물질을 흡착 및 분해시키는 바이오필터;
    상기 스크라버에서 순환되는 스크라버 순환수와 상기 바이오필터에서 순환되는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유입되며,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가 혼합된 혼합 순환수가 저장되고, 상기 혼합순환수를 상기 스크라버 및 상기 바이오필터에 각각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공급하는 순환수 혼합탱크;
    상기 혼합 순환수를 상기 스크라버의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로 재순환되도록 상기 스크라버와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스크라버 순환배관; 및
    상기 혼합 순환수를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로 재순환되도록 상기 바이오필터와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바이오필터 순환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는,
    상기 혼합 순환수와 접촉하는 악취물질을 흡수, 중화, 흡착 또는 분해하는 등의 복합반응에 의하여 상기 악취물질이 고효율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미생물 탈취제를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에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미생물 탈취제 저장탱크;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와의 혼합으로 생성된 반응생성물과, 상기 혼합 순환수와 악취물질의 반응으로 생성된 반응생성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배관; 및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스크라버 순환수 및 상기 바이오필터 세척수의 혼합과 침전 및 고액가 분리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수 혼합탱크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막;을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탈취제는 식물추출수와 혼합균주 또는 식물추출수에 과당을 첨가한 후 혼합균주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버는 상기 스크라버의 내부에 상기 순환수 분무노즐에 의해 분무된 액적 형태의 스크라버 순환수가 상기 바이오필터 본체로 과량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라버 디미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필터는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출부를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오필터 디미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터의 분무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미생물 담체층을 주기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청정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버의 전단계에 별도로 구비되는 약액 세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액 세정장치는,
    상부에 약액 순환수가 분무되는 약액 분무노즐을 구비한 세정장치 본체;
    상기 세정장치 본체의 하부 또는 상부에 구비되어 악취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세정장치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장치 본체를 통과한 공기가 유출되는 세정장치 유출부;
    상기 세정장치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와 접촉된 상기 약액 순환수가 낙하되는 약액 순환수 저장부;
    상기 약액 순환수 저장부와 약액 분무노즐을 연결하는 약액 순환배관; 및
    상기 약액 순환수 저장부에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탈취제는 식물추출수 성분 중에 함유한 알코올 성분을 분해하는 과당을 첨가하여 숙성시킨 후에,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aeruginosus)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ubtilis)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속 균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와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KR1020120113635A 2012-10-12 2012-10-12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KR10133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635A KR101333494B1 (ko) 2012-10-12 2012-10-12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635A KR101333494B1 (ko) 2012-10-12 2012-10-12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494B1 true KR101333494B1 (ko) 2013-11-28

Family

ID=4985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635A KR101333494B1 (ko) 2012-10-12 2012-10-12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49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46B1 (ko) 2016-04-08 2016-10-14 (주)바요 Ces-1 혼합미생물 제재를 이용한 악취제거기
KR101880526B1 (ko) * 2017-09-29 2018-07-20 (유)인터테크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901527B1 (ko) 2017-12-04 2018-09-21 박창수 세차장용 폐수정화처리장치
CN109111057A (zh) * 2018-10-19 2019-01-01 江苏道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喷淋循环水自动混合的生物除臭装置
KR102094714B1 (ko) * 2019-09-03 2020-03-30 (주)신화엔바텍 세정과 흡수처리를 포함한 수직거치 담체형 탈취기
KR102189512B1 (ko) * 2020-10-13 2020-12-15 에이티이 주식회사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동시 제거가 가능한 패키지형 바이오 가스 정제시스템
KR102291267B1 (ko) * 2020-03-04 2021-08-19 임형엽 황색포도상구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미생물을 담지한 담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324A (ja) * 2001-01-22 2002-07-30 Kubota Corp 生物脱臭方法および設備
KR100860077B1 (ko) 2007-05-30 2008-09-24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무기 및 유기 악취 탈취장치
KR100963053B1 (ko) 2009-07-29 2010-06-10 허관 악취물질 제거용 바이오필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324A (ja) * 2001-01-22 2002-07-30 Kubota Corp 生物脱臭方法および設備
KR100860077B1 (ko) 2007-05-30 2008-09-24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무기 및 유기 악취 탈취장치
KR100963053B1 (ko) 2009-07-29 2010-06-10 허관 악취물질 제거용 바이오필터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46B1 (ko) 2016-04-08 2016-10-14 (주)바요 Ces-1 혼합미생물 제재를 이용한 악취제거기
KR101880526B1 (ko) * 2017-09-29 2018-07-20 (유)인터테크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901527B1 (ko) 2017-12-04 2018-09-21 박창수 세차장용 폐수정화처리장치
CN109111057A (zh) * 2018-10-19 2019-01-01 江苏道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喷淋循环水自动混合的生物除臭装置
CN109111057B (zh) * 2018-10-19 2023-12-12 江苏道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喷淋循环水自动混合的生物除臭装置
KR102094714B1 (ko) * 2019-09-03 2020-03-30 (주)신화엔바텍 세정과 흡수처리를 포함한 수직거치 담체형 탈취기
KR102291267B1 (ko) * 2020-03-04 2021-08-19 임형엽 황색포도상구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미생물을 담지한 담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189512B1 (ko) * 2020-10-13 2020-12-15 에이티이 주식회사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동시 제거가 가능한 패키지형 바이오 가스 정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494B1 (ko) 저비용, 고효율의 하·폐수처리장 친환경 탈취시스템
KR100963053B1 (ko) 악취물질 제거용 바이오필터 장치
Wysocka et al. Technologies for deodorization of malodorous gases
KR101150787B1 (ko) 복합악취 제거용 자연순환형 바이오필터 탈취장치
KR100918565B1 (ko)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CN101259367A (zh) 一种同时去除多种混合气体恶臭的工艺及装置
CN102389701B (zh) 一种净化油烟废气的方法
CN203764132U (zh) 一体化生物除臭设备
CN201625503U (zh) 高浓度臭气生物处理装置
WO2009140970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urifying and deodorising discharge gases from organic waste producing facilities
Liu et al. A review of practices and technologies forodor control in swine production facilities
KR100581675B1 (ko)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CN206198982U (zh) 畜禽无害化臭气处理成套系统
CN106861395A (zh) 一种用于在畜禽粪便无害化处理时所产生废气的氧化处理系统
CN103623680A (zh) 低温有机恶臭气体处理系统
KR101212713B1 (ko)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멤브레인 패드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KR100481202B1 (ko) 대기오염(악취) 물질 제거용 목(죽)초액 탈취제의 생산과 이용 방법 및 시스템
CN202478818U (zh) 一种新型分解有机臭气的生物滴滤塔
KR101061690B1 (ko) 액비 제조 균주 공급이 가능한 탈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액비화 장치
CN205796953U (zh) 一种生物除臭塔
KR100945292B1 (ko) 악취 저감 및 탈취장치
CN208574472U (zh) 一种高效污水除臭装置
CN101612521A (zh) 一种生态式臭气生物降解净化装置
CN107875823A (zh) 一种用于处理有机废气的方法
KR100728613B1 (ko) 목초액 조성물의 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