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060B1 -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 Google Patents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060B1
KR101333060B1 KR1020130066563A KR20130066563A KR101333060B1 KR 101333060 B1 KR101333060 B1 KR 101333060B1 KR 1020130066563 A KR1020130066563 A KR 1020130066563A KR 20130066563 A KR20130066563 A KR 20130066563A KR 101333060 B1 KR101333060 B1 KR 10133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ater
pipe
cooling tower
coo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
Original Assignee
허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 filed Critical 허만
Priority to KR102013006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3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1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feeding gas or vapour
    • F28F25/12Ducts; Guide vanes, e.g. for carrying currents to distinct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부에 외기흡입구(10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기토출구(108)가 형성되며 피냉각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MP)이 구비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흡입구(103)를 통해 외기를 흡인하여 상기 외기토출구(108)를 통해 배출시키는 팬어셈블리(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55)과, 상기 분사노즐(155)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냉각수와 외기와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는 충전재(140)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140)를 통과하여 낙하한 피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팬어셈블리(200)에는 메인팬(230)과 연동되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200)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관(MP)이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MP)을 통해 유입되는 피냉각수가 상기 구동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팬(230)이 회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200)와 상기 분사노즐(155) 사이에는 연결관(30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블레이드(265)를 회전시킨 피냉각수가 상기 분사노즐(155)로 안내된다.

Description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Cooling tower having rotating fan using flow of coolant}
본 발명은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냉각수의 흐름을 이용하여 메인팬의 회전력을 얻는 대향류식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탑이란 중앙 집중식 냉방시스템의 실내기 즉, 실내 에어컨에서 냉방에 사용되고 고온화된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는 장치로서, 크게 냉각수와 외기의 접촉 시 발생하는 열전달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는 개방형과 폐회로 상의 냉각수에 뿌려지는 증발수의 증발잠열을 이용해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는 폐쇄형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이중에서 개방형 냉각탑은 다시 대향류식(Counter Flow Type) 냉각탑, 직교류식(Cross Flow Type) 냉각탑, 무동력 냉각탑 등으로 나누어지며, 특히 대향류식 냉각탑은 측벽 하단에 개방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충전재를 상향 통과하는 외부 공기와 충전재 위쪽에 배치된 분사노즐에서 분사되어 중력에 의해 충전재를 통해 낙하하는 냉각수를 서로 대향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온인 외기와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각수의 접촉 시 발생하는 열전달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대향류식 냉각탑에서 공기는 수직 상방향으로 유동하고 냉각수는 수직 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공기와 냉각수가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직교류식 냉각탑에서는 공기는 거의 수평으로 유동하고 냉각수는 수직 하향으로 유동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대향류식 냉각탑을 도시한 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대향류식 냉각탑(1)은 외부 골격을 이루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가 측면에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토출구(13)가 상부에 형성된 몸체(3)와, 상기 몸체(3)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몸체(3) 내부로 유입시켜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팬(5)과, 공기조화설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분사관(15)으로 순환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과, 상기 분사노즐(7)의 하부로 설치되어 분사된 냉각수를 흡수하는 충전재(9, 필러(filler))와, 충전재(9)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물방울이 저장되는 집수조(19)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노즐(7) 상부로는 토출되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수가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미네이터(17)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3)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의 케이스로서 측면 하단에 외기가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된 외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외기 토출구(13)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팬(5)은 몸체(3) 상단의 토출구(13)에 설치되어 흡입구(11)를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외기를 흡인하여 토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7)은 충전재(9)와 엘리미네이터(17) 사이에 배치된 분사관(15)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중앙냉방 시스템의 실내 에어컨에서 분사관(15)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충전재(9) 위에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엘리미네이터(17)는 일종의 메시 필터로 충전재에서 떨어져 나온 분진이나 입자가 큰 수포를 잡아 걸러 주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충전재(9)는 분사노즐(7)과 외기 흡입구(11) 사이에 배치되어 분사노즐(7)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분산시켜 낙하를 방해하거나, 수직 필름면에 접하여 수막을 넓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와의 접촉면을 최대로 늘려 고온의 냉각수가 용이하게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팬(5)이 작동하면 흡입구(11)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승하면서 충전재(9)를 통과하고 토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고온 상태의 냉각수는 분사관(15)을 통하여 유입되어 분사관(15)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7)을 통하여 분사되어 공기와 접촉하여 냉각하면서 충전재(9)를 통과하고 자유 낙하하여 집수조(19)로 집수 된다.
대향류식 냉각탑에서는 공기와 냉각수의 유동 방향은 반대로서 서로 접촉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수가 냉각되며, 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되어 충전재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하여 집수조(19)와 충전재(9) 사이에는 공간부(18)를 마련한다. 즉, 충전재(9)는 집수조(19)로부터 이격되어 집수조(19)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각탑의 경우에는 팬(5)의 회전을 위하여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하므로 냉각탑의 전체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구동장치는 전기 등을 소비하게 되므로 냉각탑의 유지비용 역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피냉각수의 흐름을 이용하여 메인팬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부에 외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기토출구가 형성되며 피냉각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흡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인하여 상기 외기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냉각수와 외기와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는 충전재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를 통과하여 낙하한 피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는 메인팬과 연동되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피냉각수가 상기 구동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팬이 회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는 연결관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블레이드를 회전시킨 피냉각수가 상기 분사노즐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팬어셈블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메인팬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냉각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를 안내하여 피냉각수가 구동부를 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도관은 상기 구동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그 횡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에는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결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도관은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내부용량이 줄어듬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 및 하부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구동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상기 유도관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보조팬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유도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의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탑 내부로 유입되는 피냉각수의 유동을 이용하여 팬어셈블리에 회전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냉각탑의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팬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유도관이 팬어셈블리를 감싸 피냉각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메인팬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팬어셈블리의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팬어셈블리를 감싸는 유도관은 말단으로 갈수록 그 내부용량이 줄어들도록 설계되어, 피냉각수의 유속을 빠르게 하므로 메인팬이 보다 빠르게 회전될 수 있어, 냉각탑의 구동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대향류식 냉각탑의 구성을 보인 반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팬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팬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팬어셈블리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이하 '냉각탑'이라 한다)의 몸체(100)는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03)가 그 측면에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토출구(108)가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에는 피냉각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MP)이 연결되는데, 상기 유입관(MP)은 아래에서 설명될 팬어셈블리(200)에 제공되어 팬어셈블리(200)의 메인팬(23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모체의 내부에는 공기조화설비 내에서 순환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55)이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155)은 냉각수를 하방으로 분사하여 상방으로 이동되는 외기와 접촉하여 냉각되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분사노즐(155)은 충전재(140)와 엘리미네이터(160) 사이에 배치된 분사관(150)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중앙냉방 시스템의 실내 에어컨 등에서 분사관(150)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충전재(140) 위에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엘리미네이터(160)는 일종의 메시 필터로 충전재(140)에서 떨어져 나온 분진이나 입자가 큰 수포를 잡아 걸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155)의 하부에는 충전재(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충전재(140)는 상기 분사노즐(155)과 외기 흡입구(103) 사이에 배치되어 분사노즐(155)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분산시켜 낙하를 방해하거나, 수직 필름면에 접하여 수막을 넓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와의 접촉면을 최대로 늘려 고온의 냉각수가 용이하게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는 낙하하는 물방울이 저장되는 집수조(120)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120)는 상기 분사노즐(155)을 통하여 분사되어 공기와 접촉하여 냉각하면서 충전재(140)를 통과한 냉각수가 자유 낙하하여 집수되는 부분이다. 상기 분사노즐(155) 상부에는 토출되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수가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미네이터(1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 구비된 토출구(108)에는 팬어셈블리(200)가 구비되어, 흡입구(103)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승하면서 충전재(140)를 통과하고 토출구(108)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팬어셈블리(200)는 몸체(100) 상단의 토출구(108)에 설치되어 흡입구(103)를 통해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외기를 흡인하여 토출구(108)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팬어셈블리(200)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관(MP)이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MP)을 통해 유입되는 피냉각수가 구동부(도면부호 부여 않음)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팬(230)이 회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200)와 상기 분사노즐(155) 사이에는 연결관(30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블레이드(265)를 회전시킨 피냉각수가 상기 분사노즐(155)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팬어셈블리(200)의 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팬어셈블리(200)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메인팬(230), 그리고, 상기 회전축(2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냉각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10)은 메인팬(230)의 회전중심이 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210)에는 고정브라켓(215)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215)은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되지는 않는다.
상기 메인팬(230)은 외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08)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블레이드의 개수 및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에서 미설명부호 220은 링허브를, 225는 블레이드연결부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 및 하부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260)와, 그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블레이드(265)로 구성되는데, 상기 구동블레이드(26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0) 사이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냉각수의 유동과정에서 냉각수와 마찰하여 회전력을 얻게 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블레이드(265)는 상기 유도관(240)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는 보조플레이트(280)와 커버플레이트(27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플레이트(280)와 커버플레이트(27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0)의 상부에 적층되어 결합된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회전축(210)의 일단에는 보조팬(2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팬(295)은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피냉각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보조팬(295) 역시 상기 메인팬(230)과 함께 외기의 흡인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290은 팬헤드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구동부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부를 감싸도록 유도관(240)이 설치된다. 상기 유도관(240)은 그 일단(241)에 상기 유입관(MP)이 연결되어 유입관(MP)을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를 안내하여 피냉각수가 구동부를 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관(240)은 상기 구동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그 횡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241)에는 유입관(MP)이 연결되고 타단(245)에는 연결관(30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유도관(240)의 형상에 의해 냉각수는 유도관(240) 내측면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블레이드(265)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도관(240)은 상기 유입관(MP)이 연결되는 일단(241)으로부터 상기 연결관(300)이 연결되는 타단(245)으로 갈수록 내부용량이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도관(240)은 상기 유입관(MP)이 연결되는 일단(241)으로부터 상기 연결관(300)이 연결되는 타단(245)으로 갈수록 그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냉각수의 유속이 점점 증가하게 되고, 구동블레이드(265)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도관(240)의 타단(245)에 연결되는 연결관(300)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유도관(240) 일측(24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155)의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피냉각수가 유입관(MP)을 통해 몸체(100) 내부로 전달되면, 상기 피냉각수는 유입관(MP)의 일단에 위치되는 팬어셈블리(200)로 안내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팬어셈블리(200)에 구비된 유도관(240)에 의해 안내되어 유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팬어셈블리(200)의 구동부, 즉 구동블레이드(265)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블레이드(265)는 구동부 및 이에 연결된 회전축(210)을 회전시키고, 결과적으로 회전축(210)에 연결된 메인팬(23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메인팬(230)이 회전되면, 흡입구(103)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방으로 흡인되어 토출구(108)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모터와 같은 구동원 없이 피냉각수의 유동을 이용하여 메인팬(230)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피냉각수는 말단(245)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유도관(240)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속이 빨라지게 되고, 따라서 구동블레이드(265)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시켜 메인팬(230)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를 회전시킨 피냉각수는 연결관(300)을 따라 안내되어 분사관(150)으로 이동하게 되고, 분사관(150)에 구비된 분사노즐(155)을 통해 하방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된 피냉각수는 흡인된 외기와 접촉하여 열교환을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냉각된 후 하방으로 낙하한다. 마지막으로, 낙하한 피냉각수는 다시 충전재(140)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집수조(120)에 집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몸체 120: 집수조
200: 팬어셈블리 300: 연결관

Claims (7)

  1. 하부에 외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피냉각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 흡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인하여 상기 외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냉각수와 외기와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는 충전재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를 통과하여 낙하한 피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는 메인팬과 연동되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피냉각수가 상기 구동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팬이 회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는 연결관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를 회전시킨 피냉각수가 상기 분사노즐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어셈블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메인팬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냉각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를 안내하여 피냉각수가 구동부를 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상기 구동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그 횡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에는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결관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내부용량이 줄어듬을 특징으로 하는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 및 하부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구동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상기 유도관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보조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유도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의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KR1020130066563A 2013-06-11 2013-06-11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KR101333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563A KR101333060B1 (ko) 2013-06-11 2013-06-11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563A KR101333060B1 (ko) 2013-06-11 2013-06-11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060B1 true KR101333060B1 (ko) 2013-11-26

Family

ID=4985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563A KR101333060B1 (ko) 2013-06-11 2013-06-11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0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2974A (zh) * 2018-04-11 2018-07-20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鼓风式机械通风海水冷却塔进风口优化结构
KR20200114145A (ko) 2019-03-27 2020-10-07 안교우 냉각탑용 냉각팬 구동장치 및 냉각탑
CN117282206A (zh) * 2023-10-18 2023-12-26 南通苏通分离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烟气处理用喷淋式填料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569A (ja) * 1995-03-23 1996-10-08 Toyota Auto Body Co Ltd 散水式冷却器のスライム発生防止方法
KR200267293Y1 (ko) 2001-12-22 2002-03-1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물방울 비산이 없는 냉각탑
KR100867410B1 (ko) 2007-06-29 2008-11-06 주식회사 카엘 소음저감형 대향류식 냉각탑
KR20090088192A (ko) * 2008-02-14 2009-08-19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분사추진력을 이용한 강제 통풍식 냉각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569A (ja) * 1995-03-23 1996-10-08 Toyota Auto Body Co Ltd 散水式冷却器のスライム発生防止方法
KR200267293Y1 (ko) 2001-12-22 2002-03-1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물방울 비산이 없는 냉각탑
KR100867410B1 (ko) 2007-06-29 2008-11-06 주식회사 카엘 소음저감형 대향류식 냉각탑
KR20090088192A (ko) * 2008-02-14 2009-08-19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분사추진력을 이용한 강제 통풍식 냉각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2974A (zh) * 2018-04-11 2018-07-20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鼓风式机械通风海水冷却塔进风口优化结构
KR20200114145A (ko) 2019-03-27 2020-10-07 안교우 냉각탑용 냉각팬 구동장치 및 냉각탑
KR102177011B1 (ko) * 2019-03-27 2020-11-11 안교우 냉각탑용 냉각팬 구동장치 및 냉각탑
CN117282206A (zh) * 2023-10-18 2023-12-26 南通苏通分离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烟气处理用喷淋式填料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357B1 (ko) 소음저감형 대향류식 냉각탑
AU2018324521B2 (en) Water collection arrangement
US8622372B2 (en) Fan cooling tower design and method
KR101333060B1 (ko) 피냉각수 유동을 이용한 팬구동방식 냉각탑
KR100817473B1 (ko) 이중 분사식 냉각탑
KR20110072825A (ko) 3면 흡입식 냉각탑
KR20140075399A (ko) 가열탑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설비
KR100867410B1 (ko) 소음저감형 대향류식 냉각탑
JP3890303B2 (ja) 一体形空気調和機
KR102177011B1 (ko) 냉각탑용 냉각팬 구동장치 및 냉각탑
CN209944554U (zh) 空气净化模块、空调室内机以及空调器
US11415022B2 (en) Oil console equipment, rotary machine provided with oil console equipment, and method for recovering lubrication oil contained in exhaust gas
KR20150139240A (ko) 낙수를 이용하는 발전유닛을 갖춘 냉각탑
CN101389918B (zh) 用于冷却溶液的设备和方法
KR101331593B1 (ko) 직교류형 이원 냉각탑
CN214558469U (zh) 一种电气自动化焊接机的快速降温装置
KR101121172B1 (ko) 백연방지 냉각탑
KR20100035838A (ko) 하이브리드형 냉각탑
US2347757A (en) Refrigeration
CN113048808A (zh) 一种硅烷交联聚乙烯电缆料用冷却塔
KR20160046564A (ko) 냉각탑
CN217330053U (zh) 复合蒸发冷却机组与空调系统
CN218046493U (zh) 一种多层蒸发塔
TWI595205B (zh) 冷卻水塔
CN209857686U (zh) 一种高效冷却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