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341B1 -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341B1
KR101332341B1 KR1020120031029A KR20120031029A KR101332341B1 KR 101332341 B1 KR101332341 B1 KR 101332341B1 KR 1020120031029 A KR1020120031029 A KR 1020120031029A KR 20120031029 A KR20120031029 A KR 20120031029A KR 101332341 B1 KR101332341 B1 KR 10133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cotton mesh
far
far infrared
mesh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358A (ko
Inventor
박세희
Original Assignee
박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희 filed Critical 박세희
Priority to KR102012003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34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9Heaters using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opposing surfaces of the resistive element or resistive layer
    • H05B2203/01Heaters comprising a particular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중으로 적층하여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로 인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킴과 더불어 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유지비를 줄이도록 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는 절연재와, 상기 절연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보온 및 발산하는 마감재와,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에 전력을 인가함과 함께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HEATING FILM USING COTTON MESH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킴과 함께 난방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럽문화와는 다르게 동양에서는 바닥을 덮어 온도를 유지하는 온돌문화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부수적 장소 또는 사무실이나 상점 등 상업용 건물 등을 온돌로 구성하는 경우는 그 용도에 비해 온돌 공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 및 난방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그 유지비도 적게 들어가는 전기적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구조에 대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적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구조는 니크롬 발열선이나 동니켈 합금 발열선,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판을 에칭한 발열선 등을 발열선으로 채택하고 상기 발열선 들에 전기를 통해 줌으로써 발열선이 가열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발열선들은 전기가 하나의 선을 통해 흐르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이라도 끊어지면 전체 발열선에 전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발열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열체 부위만 발열되는 부분 발열 방식이므로 온도분포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기적 발열체에서 발열선이 단락되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서 전기저항의 증가로 인한 발열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발열선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선의 표층을 충분한 두께의 전기부도체로 절연시켜야하나, 상기 전기부도체는 열 부도체이므로 열전도 특성이 나쁘기 때문에 발열의 발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카본으로 이루어진 그라파이트 부재를 구비한 방열시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열시트는 단순히 ON 또는 OFF 동작으로 운전, 즉 사용자가 뜨겁다고 판단되면 OFF했고, 다시 춥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ON 동작시키어 그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중으로 적층하여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로 인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킴과 더불어 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유지비를 줄이도록 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은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는 절연재와, 상기 절연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보온 및 발산하는 마감재와,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에 전력을 인가함과 함께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적층하여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로 인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킴과 더불어 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유지비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난방장치를 운전하지 않을 경우에 접지를 통해 전자파를 차단하여 전자파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사용함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기 담요나 전기 장판 등에서 사용되는 전열선 방식에 비해 발열이 빠르고 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열 효과가 크고,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에서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접지수단으로 사용되는 카본파이버 매트전극의 직물 구조는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의 외관 사시도, 그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절단면도 및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이 적용된 바닥 난방구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110) 위에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120)와, 상기 단열재(120)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와,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 위에 적층되는 절연재(140)와, 상기 절연재(140)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와,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보온 및 발산하는 마감재(160)와,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에 전력을 인가함과 함께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전원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갖고 있는데, 이는 탄소의 함유량을 조절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는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보다 탄소의 함유량이 많게 구성되어 큰 용량을 갖게 되고,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는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보다 탄소의 함유량이 적게 구성되는 작은 용량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의 탄소 함유량이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의 탄소 함유량보다 많은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의 탄소 함유량을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보다 많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은 전체 100%의 용량을 가질 경우에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의 용량을 70%로 하고,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의 용량을 30%로 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초기에는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에 전원을 인가하여 100% 운전하게 되고, 일정 온도에 도달할 경우에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를 차단하고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부(150)만을 운전하여 절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를 운전하고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를 운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의 용량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설계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은 서지임피던스나 과도임피던스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일측에 접지수단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이 운전하지 않을 경우에 접지수단을 통해 전자파를 차단하여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접지수단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한다.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는 탄소섬유사와 일반섬유사가 교차로 직조된 구조로 구성되므로 상층부의 모든 표면에 열이 가해지는 전면(全面) 발열 방식으로 온도를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의 도전부에는 탄소가 도포 또는 코팅됨으로써 도전성이 향상되고 과도한 물리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안정된 형태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120)는 실내의 방바닥이나 거실 등에 콘크리트를 시공하거나 또는 타일이나 섬유 패널 등, 단열이 가능한 재료를 소정 두께 및 넓이로 시공함으로써 구성한다.
상기 마감재(160)는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로부터 전해진 열을 보온 및 발산하는 층으로서, 예컨대 모노늄, 강화마루, 테코타일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시공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재(120), 절연재(140) 및 마감재(16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접지수단으로 사용되는 카본파이버 매트전극의 직물 구조는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 구조는 기본적으로 카본파이버 매트전극(carbon fiber mat electrode)을 포함하여 구성는데, 상기 카본파이버 매트전극은 도전성 콘크리트나 접지 저감제 등과의 결합 부착성이 우수하도록 유연한 미세 필라멘트를 매트형태로 직조한 직물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접지 구조는 도전성의 미세 카본(carbon) 필라멘트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형태로 직조한 카본파이버 매트전극(10)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포함하며, 그 카본파이버 매트전극(10)과 결합되는 도전성 구리라인(20), 상기 구리라인(20) 및 카본파이버 매트전극(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30), 그리고 접지단자(30)에 연결되는 접지도선(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의 외관 사시도, 그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절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섬유와 같이 접거나 구겨도 발열체로서의 특성이 변하지 않으므로 그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고, 또한 종래의 온돌 구조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장소에서도 발열체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100)은 전원부(170)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열을 발산하는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와,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의 하부에 단열재(120) 및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 상부에 마감재(16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는 섬유사(133)가 경사로 배열되고, 탄소섬유사(134)가 위사로 배열되어 격자형태로 직조되는 발열부(132)와 상기 발열부(132)의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132)로 열을 전도하는 도전부(1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섬유사(133)는 공지된 바와 같이 도전성이나 발열성이 거의 없는 통상의 의류용 내지 산업용 섬유를 일컫는다. 예컨대, 면 또는 마 등의 천연섬유,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함성 섬유와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 등의 재생섬유나 반합성 섬유 등이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별히 하나의 섬유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사(134)는 공지된 바와 같이 통전시 발열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탄소섬유사(134)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각종 무기 광물질이 포함된 탄소가루를 페이스트화하여 이를 일반 멀티필라멘트 섬유사에 도포하여 제조하는 방법, 탄소와 텅스텐, 망간 및 스테인레스 등을 고온 용융한 상태에서 실로 뽑는 방법, PAN(폴리아크릴니트로릴)계의 섬유를 탄화하여 제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이 방법들은 그 제조방법과 형태가 다르지만 이들 모두 적용 가능한 방법이다. 이러한 탄소는 금속(알루미늄)보다 가볍고 반면에 금속(철)에 비해 탄성과 강도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전부(136)는 발열부(132)의 소정의 부분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전원부(170)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132)에 열을 전도하기 위한 것으로, 격자망 형태로 형성된 상기 발열부의 소정의 위치에 일반섬유사 대신, 경사로서 구리가 소재로 사용된 동사(137)를 복수 가닥 배치하여, 탄소섬유사(134)와 교차시키면서 직조하여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반섬유사(133)와 탄소섬유사(134)의 직조 형태는, 일반섬유사(133) 2가닥이 1조를 이루어 이를 꼬아 꼬임부(135)를 형성하고 상기 일반섬유사의 꼬임부(135)로 탄소섬유사(134)가 통과한 형태로 구성한다. 이에 의해, 탄소섬유사(134)의 상부 및 하부가 일반섬유사(133)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반섬유사의 간격, 꼬임 횟수 및 상기 탄소섬유사의 배치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밀도 및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탄소섬유사(134)와 동사(137)가 직조된 도전부(136) 전체에는 탄소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이에 의해, 탄소섬유사(134)와 동사(137)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아크방전 방지), 점 접촉되어 있던 상기 탄소섬유사(134)와 동사(137)의 교차점이 면 접촉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므로 도전부(136)의 열특성과 원적외선 특성이 향상되며, 또한 상기 동사(137)의 산화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소액은 전도성 우레탄수지 35%, 전도성 폴리아미드수지 10%, 도전성 카본 8%, 흑연 12%, 분산제 0.5%, 가소제 0.5%, 에틸아세테이트 10%, 이소부틸알콜 10%, 에타놀 14%의 비율로 구성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100)이 적용된 바닥 난방구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100)을 적용한 바닥 난방구조는 단열재(120),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 절연재(140),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50), 마감재(160)를 순서적으로 적층시키고, 전원부(170)와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의 도전부(136)를 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부(170)는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를 선택적으로 ON 또는 OFF하게 되는데, 초기에는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를 동시에 운전하다고 일정 온도가 올라갔을 경우에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 중에서 어느 하나를 OFF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170)는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130,15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100)이 적용된 바닥 난방구조는 다른 난방구조와 비교하여 그 유지비가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난방구조는 다른 난방구조와 비교해 볼 때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고, 그 시공 비용이 적게 들며, 유지비가 저렴하고, 특히 원적외선을 발열원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된 난방구조에 적용되는 이중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는 도전부(136)를 구성하는 전원인가선(동사)과 발열체(탄소섬유사)를 직조한 상태에서 탄소액을 도포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전부(136) 내의 동사(137)와 탄소섬유사(134)를 완벽히 결착시키고 이에 의해 종래 전기 난방구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아크방전에 의한 불량원인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난방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접지수단을 이용하여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전자파에 의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바닥재 120 : 단열재
130 :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140 : 절연재
150 :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160 : 마감재
170 : 전원부

Claims (8)

  1.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는 절연재와,
    상기 절연재 위에 적층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와,
    상기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로부터 전해지는 원적외선을 보온 및 발산하는 마감재와,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에 전력을 인가함과 함께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초기에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100% 운전하게 되고, 일정 온도에 도달할 경우에는 제 1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차단하고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부만을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접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의 도전부에는 탄소가 도포 또는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절연재 및 마감재는 동일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은 카본파이버 매트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KR1020120031029A 2012-03-27 2012-03-27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KR10133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029A KR101332341B1 (ko) 2012-03-27 2012-03-27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029A KR101332341B1 (ko) 2012-03-27 2012-03-27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58A KR20130109358A (ko) 2013-10-08
KR101332341B1 true KR101332341B1 (ko) 2013-11-22

Family

ID=4963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029A KR101332341B1 (ko) 2012-03-27 2012-03-27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2331B (zh) * 2019-06-27 2022-05-27 江苏云烯石墨烯科技有限公司 一种无电磁辐射的电热膜及其制备方法
CN113709922A (zh) * 2021-09-03 2021-11-26 山西凯翔凯宇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膜及其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219Y1 (ko) * 2004-02-12 2004-06-22 김정근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건조매트
KR200432466Y1 (ko) * 2006-09-18 2006-12-04 이택영 탄소발열섬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구조
KR20090081280A (ko) * 2008-01-23 2009-07-28 이남용 기능성 침대용 발열패널
KR20100127435A (ko) * 2009-05-26 2010-12-06 문영수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219Y1 (ko) * 2004-02-12 2004-06-22 김정근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건조매트
KR200432466Y1 (ko) * 2006-09-18 2006-12-04 이택영 탄소발열섬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구조
KR20090081280A (ko) * 2008-01-23 2009-07-28 이남용 기능성 침대용 발열패널
KR20100127435A (ko) * 2009-05-26 2010-12-06 문영수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58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729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ing element, heating element manufactured thereby, and use method thereof
CN107409442A (zh) 织物加热元件
CN101325826A (zh) 压延膜封通极型纺织芯发热体
KR200432466Y1 (ko) 탄소발열섬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구조
KR101371509B1 (ko) 적외선 난방 제어 시스템
KR101332341B1 (ko)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CN102325391B (zh) 自限温无电场蓄热电热毯
KR101955641B1 (ko) 인체접지 카본 온열 매트
KR101266668B1 (ko) 탄소나노튜브 파우더가 첨가된 직류식 다용도 찜찔 시트
KR101364539B1 (ko)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필름
KR100689990B1 (ko) 난연성 도전사를 이용한 망상 선면 발열체
KR20070079770A (ko) 망사발열체의 제조방법
CN201797611U (zh) 发热布
KR20060111228A (ko) 면사직조발열체
KR101310667B1 (ko) 면상발열체 및 면상발열체 제조방법
KR101968761B1 (ko) 의료용 복사열 매트
KR20060011461A (ko) 면상발열체 및 그 제작방법
JP2019139902A (ja) 面状発熱体および太陽光モジュール
KR20220161782A (ko) 저자기장 면상발열체 및 이를 적용한 퀵워밍 온열침대
KR20100040464A (ko) 카본온열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H1197160A (ja) 面状発熱体
KR101393264B1 (ko) 저전압 전도체 직물
KR200435898Y1 (ko) 도전사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KR20130140398A (ko) 원적외선 코튼 망사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RU2543966C2 (ru) Гибки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