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843B1 - 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 Google Patents

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843B1
KR101331843B1 KR1020120067203A KR20120067203A KR101331843B1 KR 101331843 B1 KR101331843 B1 KR 101331843B1 KR 1020120067203 A KR1020120067203 A KR 1020120067203A KR 20120067203 A KR20120067203 A KR 20120067203A KR 101331843 B1 KR101331843 B1 KR 10133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hamber
outside
control reference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휘동
안광용
박윤주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102012006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8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device for keeping the temperature of objects inside the container device to be constant by controlling the output or power supply of a temperature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o control temperature inside a chamber;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chamb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tin) inside the chamber;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outside the chamb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chamber; and a control part which controls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based on a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1) to keep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t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t0) and increases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1) when the temperature (tout) outside the chamber increases.

Description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본 발명은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조절 유닛의 출력 또는 전원을 제어하여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ommodat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an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commodat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an object by controlling an output or a power supply of a temperature control unit.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로서 대표적으로는 냉장고, 온장고 등이 있다. 이들은 주로 식품 보관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화장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실험을 위하여 시료 등을 특정 온도로 유지하는 수용 장치 등도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다.As a storage apparatus which keeps the temperature of an object constant, there exist a refrigerator, a warmer, etc. typically. They are mainly used for food storage, but a storage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cosmetics or for maintaining a sample or the like at a specific temperature can be obtained commercially.

보관 대상물을 냉동 보관하거나, 따뜻하게 데우기 위하여 온장 보관하는 경우에는 보관 대상물의 온도가 소정 범위 내에서 변화하더라도 대상물의 보관 상태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컨대, 냉동생선이 -25℃~-20℃의 온도 범위에서 온도가 변하면서 보관되더라도 냉동생선의 보관상태가 크게 하락하지 않으며, 온장고에 보관하는 캔음료의 온도가 50℃~60℃의 온도 범위에서 온도가 변하면서 보관되더라도 캔음료의 보관상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When the object to be stored is frozen or stored warm to warm up,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is chang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torage state of the object. For example, even if frozen fish is stored at a temperature range of -25 ° C. to -20 ° C., the storage state of the frozen fish does not drop significantly, and the temperature of the canned beverage stored in the warmer is 50 ° C. to 60 ° C. Storage at varying temperature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torage of canned beverages.

그러나, 보관시의 온도 변화가 보관 대상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상물도 존재하며, 대표적으로는 와인이 그러하다. 통상적으로 농도가 진한 레드 와인의 경우, 약 18℃ 정도에서 보관해야 제품의 변질이 적고 최적의 풍미를 느낄 수가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냉장고는 온도의 편차가 너무 심할 뿐만 아니라, 자주 문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와인의 저장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와인 전용 저장고가 시중에 출시된 바 있다.However, there are also objects in which the change in temperature at the time of storage greatly affects the quality of the storage object, such as wine. In general, when the concentration of red wine is dark, about 18 ℃ should be stored in less product deterioration and optimal flavor can be felt. However, conventional refrigerators are not suitable for the storage of wine because the temperature fluctuations are not only too severe, but also need to be opened frequently. A wine cellar has been launched on the market.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29399호(이하, '선행발명'이라 함)는 와인 셀러에 관한 발명이며, 저장고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냉장 압축기의 작동을 개시하는 제어 로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저장고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저장고 내의 온도는 실제 온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는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저장고 온도 센서가 저장고 외부의 온도에 영향을 받아서, 저장고 내의 실제 온도에 비하여 저장고 온도 센서에서 더 높은 온도값이 측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저장고 온도 센서의 측정값만으로 저장고의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온도 편차가 매우 크게 날 수 있으며, 선행발명은 와인과 같이 매우 온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 보관되어야 하는 대상물을 보관하는 데에는 그 성능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2939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invention') relates to a wine cellar, and the control logic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ompressor by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in the reservoir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Is disclosed. However, the temperature in the reservoir typically sensed by the reservoir temperature sensor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temperature. More specifically, the reservoir temperature sensor is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servoir, so that a higher temperature value is often measured at the reservoir temperature sensor compared to the actual temperature in the reservoir. Therefore, the temperature deviation can be very large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servoir using only the measured value of the reservoir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stored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does not change very much, such as wine. There is a disadvantage of poor performance in storing the objec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외부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저장 대상물을 저장하는 챔버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수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ceiving device in which a temperature in a chamber for storing a storage object can be kept constant even if the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는, 내부에 온도 유지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유닛;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tin)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센서; 상기 챔버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 및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t0)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 조절 유닛을 제어 기준 온도(t1)를 기준으로 온오프 제어, 또는 출력을 증감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높을수록,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를 높은 온도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ccommodation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that can accommodate the temperature holding object therein; A temperature regula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and measuring a temperature t in of the chamber;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chamber to measure a temperature t out of the chamber; And performing on / off control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a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or control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output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t a preset target temperature (t 0 ), and the chamber 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to a higher temperature as the external temperature t out is higher.

바람직하게,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높을수록,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연속적으로 점차 높아진다.Preferably, the higher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of the chamber, the higher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gradually higher.

바람직하게,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를 복수 개의 온도 구간으로 나누어, 각 온도 구간 내에서는 제어 기준 온도(t1)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각 온도 구간의 평균 온도가 높을수록 제어 기준 온도(t1)가 더 높게 설정된다.Preferably,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ctions, and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kept constant in each temperature section, and the higher the average temperature of each temperature section, the higher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is set higher.

바람직하게, 상기 목표 온도(t0)는 17℃~19℃이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15℃ 이상 25℃ 미만일 때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18℃~21℃이다.Preferably,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17 ° C. to 19 ° C., and when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is 15 ° C. or more and less than 25 ° C.,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18 ° C. to 21 ° C. .

바람직하게, 상기 목표 온도(t0)는 17℃~19℃이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25℃ 이상 30℃ 미만일 때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21℃~23℃이다.Preferably,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17 ° C. to 19 ° C., and when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is 25 ° C. or more and less than 30 ° C.,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21 ° C. to 23 ° C. .

바람직하게, 상기 목표 온도(t0)는 17℃~19℃이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30℃ 이상 38℃ 미만일 때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22℃~24℃이다.Preferably,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17 ° C. to 19 ° C., and when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is 30 ° C. or more and less than 38 ° C.,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22 ° C. to 24 ° C. .

바람직하게, 상기 목표 온도(t0)는 17℃~19℃이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38℃ 이상일 때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24℃~26℃이다.Preferably,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17 ° C. to 19 ° C., and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24 ° C. to 26 ° C. when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is 38 ° C. or more.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온도 센서는 상기 챔버 내부의 벽에 설치된다.Preferably,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a wall inside the chamber.

바람직하게, 상기 목표 온도(t0)는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Preferably, the target temperature t 0 can be arbitrarily adjus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에 따르면, 외부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저장 대상물을 저장하는 챔버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ceiv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for storing the storage object can be kept constan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above,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ation.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device that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of an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elem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elem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와인을 저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이하, '수용 장치'라 함)가 와인을 저장하는 용도에 한정되지는 않음을 분명히 밝혀 둔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of storing wi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an accommod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ccommodation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an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a use of storing wine. Make it clear.

종래기술의 경우, 저장고를 단열시키더라도 저장고가 놓여 있는 장소의 온도에 따라 저장고 자체의 온도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저장고 내부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 온도 센서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열기 또는 냉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저장고 내부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된 저장고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는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수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In the prior art, even if the reservoir is insulated, the temperature of the reservoir itself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reservoir is placed. Therefore, the reservoir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wall inside the reservoir is used for hot or cold Affected by Therefore,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reservoir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wall inside the reservoir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servoir.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discovering this problem of the prior art and attempting to provide an accommodating device that performs control to solve this problem fundamental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device that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of an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 장치(10)는, 내부에 온도 유지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챔버(12)와, 챔버(12) 내부로 온도 유지 대상물을 넣고 빼기 위하여 챔버(12)에 설치된 도어(14)와, 상기 챔버(12) 내부 벽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2) 내부의 온도(tin)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센서(16)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수용 장치(10)의 내부에는 온도 유지 대상물로서 와인병(2)이 적재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챔버(12)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유닛과, 챔버(12) 외부에 설치되어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가 수용 장치(10)에 구비되며, 내부 온도 센서(16)와 외부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아 온도 조절 유닛을 가동하는 제어부도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accommod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12 capable of accommodating a temperature maintaining object therein, and a chamber 12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temperature maintaining object into the chamber 12. And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6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12 to measure the temperature t in of the chamber 12. Inside the accommodating device 10 shown in FIG. 1, the wine bottle 2 is mounted as a temperature maintenance object.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temperature control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 and an external device installed outside the chamber 12 to measure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chamber 12. The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device 10,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measurement value from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6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to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also provided.

제어부는 챔버(12) 내부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t0)로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 조절 유닛을 제어 기준 온도(t1)를 기준으로 온오프 제어, 또는 출력을 증감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기준 온도(t1)란 온도 조절 유닛을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을 증감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기준이 되는 온도를 말하며, 내부 온도 센서(16)에서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한다. 예컨대, 챔버(12) 내부의 목표 온도(t0)가 18℃이고, 제어 기준 온도(t1)가 22℃라고 할 때, 내부 온도 센서(16)에서 측정된 챔버(12) 내부의 온도(tin)가 18℃ 근방이면 제어부는 온도 조절 유닛을 제어하지 않고, 만약, 챔버(12) 내부의 온도(tin)가 제어 기준 온도(t1)인 22℃에 도달하면 제어부가 온도 조절 유닛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후술할 <표 1>과 같이,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가 높을수록 제어 기준 온도(t1)를 높은 온도로 설정하게 된다.The controller performs on / off control or control to increase or decrease the output based on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 at a preset target temperature t 0 . Here,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refers to a temperature that is a reference for performing on / off control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or control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output, and is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6. For example, when the target temperature t 0 inside the chamber 12 is 18 ° C. and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22 ° C.,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 measur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6 ( If t in ) is around 18 ° C., the control unit does not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f t in ) reaches 22 ° C., which is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the control unit does not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o control. 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1, the control unit sets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to a higher temperature as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12 is higher.

온도 조절 유닛은 통상적인 냉장 기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수용 장치(10)가 설치되는 장소의 온도가 매우 낮은 곳이라면 히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온도 조절 유닛으로 냉장 기구 및 히터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냉장 기구로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모세관, 열교환기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장 기구의 작동 원리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히터로는 전열 히터가 직접 사용되거나 전열 히터에서 발생된 열을 송풍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 기구 및 히터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열전소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A conventional refrigeration mechanism may be used for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a heater may be used if the temperature at the place where the receiving device 10 is installed is very low. Of course, both the refrigeration mechanism and the heater may be provided as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he refrigeration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 capillary tube, a heat exchanger, and the like. Sinc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refrigeration apparatu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the heater, an electrothermal heater may be used directly or a method of blowing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thermal heater may be used. In addition, a thermoelectric element capable of performing both the refrigeration mechanism and the heater may be used.

목표 온도(t0)가 특정한 값으로 정해졌더라도 제어 기준 온도(t1)가 고정된 값을 갖는 것은 아니며, 제어 기준 온도(t1)는 외부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챔버(12) 외부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갖는다. 예컨대, 챔버(12) 내부의 목표 온도(t0)가 18℃일 때, 제어 기준 온도(t1)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변할 수 있다.Even if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set to a specific value,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does not have a fixed value, and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a temperature outside the chamber 12 measur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It has a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For example, when the target temperature t 0 in the chamber 12 is 18 ° C.,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may change as shown in Table 1 below.

챔버 외부의 온도(tout)Temperature outside chamber (t out ) 제어 기준 온도(t1)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15℃이상 25℃미만(1구간)15 ℃ or more but less than 25 ℃ (1 section) 18℃~21℃18 ℃ ~ 21 ℃ 25℃이상 30℃미만(2구간)25 ° C or higher, but less than 30 ° C (2 sections) 21℃~23℃21 ℃ ~ 23 ℃ 30℃이상 38℃미만(3구간)30 ℃ or more and less than 38 ℃ (3 sections) 22℃~24℃22 ℃ ~ 24 ℃ 38℃이상(4구간)38 ℃ or higher (4 sections) 24℃~26℃24 ℃ ~ 26 ℃

상기 <표 1>은 목표 온도(t0)가 18℃일 때뿐만 아니라, 목표 온도(t0)가 18℃를 포함한 온도 구간, 예컨대, 17℃~19℃일 때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가 높을수록, 제어 기준 온도(t1)는 연속적으로 점차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높아진다는 것은, 상기 1구간 내에서도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 15℃로부터 25℃까지 변함에 따라 제어 기준 온도(t1)가 점점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Table 1 may be applied not only when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18 ° C., but also when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a temperature section including 18 ° C., for example, 17 ° C. to 19 ° C. Referring to Table 1, as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12 becomes higher,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gradually increases gradually. Here, the term 'continuously' means that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gradually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chamber 12 changes from 15 ° C to 25 ° C even within the first section.

그러나, 제어 기준 온도(t1)가 반드시 연속적으로 상승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온도 구간에서는 제어 기준 온도(t1)가 일정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챔버(12) 내부의 목표 온도(t0)가 18℃이고,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가 15℃이상 25℃미만(1구간)일 때, 제어 기준 온도(t1)는 19℃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가 25℃이상 30℃미만(2구간)일 때, 제어 기준 온도(t1)는 22℃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를 복수 개의 온도 구간으로 나누어 각 온도 구간 내에서는 제어 기준 온도(t1)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각 온도 구간의 평균 온도가 높을수록 제어 기준 온도(t1)가 더 높게 설정되는 방식이다. 물론,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것보다 더 작은 구간으로 나누어서 제어 기준 온도(t1)를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However,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tinuously raised, and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may be set constant in a specific temperature section. For example, when the target temperature t 0 inside the chamber 12 is 18 ° C. and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12 is 15 ° C. or more and less than 25 ° C. (one section),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Can be kept constant at 19 ° C., and when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12 is 25 ° C. or higher and less than 30 ° C. (2 sections),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constant at 22 ° C. Can be maintained. That is, by dividing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12 into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ctions,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kept constant in each temperature section, and the higher the average temperature of each temperature section is, the higher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is. (t 1 ) is set higher. Of course,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12 may be divided into smaller sections than those shown in Table 1,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more precisely.

상기 <표 1>은 예시적인 데이터를 기재한 것으로서 수용 장치(10)의 단열상태에 따라, 수용 장치(10)의 외부로부터 내부 온도 센서(16)에 유입되는 열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 장치(10)의 단열상태가 우수한 경우에는 챔버(12) 내부의 목표 온도(t0)와 제어 기준 온도(t1) 가 상대적으로 적게 차이 나고, 수용 장치(10)의 단열상태가 열악한 경우에는 챔버(12) 내부의 목표 온도(t0)와 제어 기준 온도(t1) 가 상대적으로 크게 차이 나게 된다.Table 1 describes exemplary data, and according to the heat insulation state of the accommodation device 10, the amount of heat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6 from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device 10 may vary. Therefore, when the heat insulating state of the accommodating device 10 is excellent, the target temperature t 0 and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n the chamber 12 are relativ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heat insulating state of the accommodating device 10 is In a poor case, the target temperature t 0 inside the chamber 12 and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are relativ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표 1>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용 장치(10)가 제어된다고 가정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차별화되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챔버(12) 내부의 목표 온도(t0)는 18℃이고,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는 32℃인 것으로 가정한다.Assuming that the receiv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on the basis of the data in Table 1, the differentiating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Here, it is assumed that the target temperature t 0 inside the chamber 12 is 18 ° C., and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12 is 32 ° C.

종래기술에 설치된 저장고 온도 센서 및 본 발명에 구비된 내부 온도 센서(16) 양자 모두에서 그 측정값은 저장고 내의 온도의 값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는다. 즉, 저장고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에 영향을 받아 저장고의 온도가 변화하고, 이 저장고의 열 또는 냉기가 저장고 온도 센서에 유입될 수밖에 없다. 예컨대, 챔버(12)의 실제 온도가 18℃인 경우에 센서에는 약 23℃가 측정된다.In both the reservoir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prior art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6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d value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value of the temperature in the reservoir.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roo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storage room is located, and heat or cold air of the storage room is forced to flow into the storage temperature sensor. For example, when the actu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12 is 18 ° C., about 23 ° C. is measured on the sensor.

종래기술에서는 저장고 내의 온도가 23℃로 측정되면 센서 측정값이 18℃가 될 때까지 저장고를 냉각하게 되며, 센서 측정값이 18℃에 도달했을 때 비로소 온도 조절을 위한 모듈이 작동을 멈추게 된다. 그러나, 센서 측정값이 18℃일 때, 실제 저장고 내의 온도는 12~13℃가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챔버(12) 외부 온도(tout)가 32℃를 훨씬 상회하는 경우에는 센서 측정값이 18℃가 될 때까지 저장고를 냉각하면, 실제 저장고 내의 온도는 11℃이하까지 하락할 수 있다.In the prior art, when the temperature in the reservoir is measured at 23 ° C., the reservoir is cooled until the sensor reading reaches 18 ° C., and the module for temperature control stops operating until the sensor reading reaches 18 ° C. However, when the sensor measurement value is 18 ° 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in the actual reservoir is 12 to 13 ° C. In the case where the chamber 12 external temperature t out is much higher than 32 ° C., if the reservoir is cooled until the sensor measurement reaches 18 ° C., the temperature in the actual reservoir may drop to 11 ° C. or lower.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가 32℃일 때, 제어 기준 온도(t1)는 약 23℃로 설정되고, 내부 온도 센서(16)의 측정값이 23℃로 유지되도록 제어되며, 이 때 챔버(12)의 실제 온도는 18℃이므로, 챔버(12) 내부의 실제 온도가 목표 온도(t0)인 18℃로 유지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chamber 12 is 32 ° C,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set to about 23 ° C,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6 is 23 ° C. In this case, since the actu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12 is 18 ° C.,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 may be maintained at 18 ° C., which is the target temperature t 0 .

상기 <표 1>은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15℃이상일 때를 예시로 들었으나,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이보다 낮을 때에도 챔버(12) 내부의 실제 온도가 목표 온도(t0)로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10℃라면, 챔버(12) 내부의 실제 온도가 18℃라고 하더라도, 내부 온도 센서에 외부로부터의 냉기가 유입되어 내부 온도 센서 측정값은 약 16℃가 된다. 만약, 내부 온도 센서 측정값이 18℃가 될 때까지 챔버(12) 내부는 가열한다면, 챔버(12) 내부의 실제 온도는 약 20℃가 될 것이다. 따라서, 챔버(12) 외부의 온도(tout)가 10℃라면 제어 기준 온도(t1)를 약 16℃로 설정하여 챔버(12) 내부의 실제 온도를 18℃로 유지할 수 있다.<Table 1> is an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t out ) outside the chamber is 15 ℃ or more, but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 is the target temperature (t) even when the temperature (t out ) outside the chamber is lower than this 0 ).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is 10 ° C., even if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 is 18 ° C., cold air from the outside flows into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reading is about 16 ° C. do. I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2 is heated until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reading is 18 ° C,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 will be about 20 ° C.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chamber 12 is 10 ° C.,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may be set to about 16 ° C. to maintain the actu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12 at 18 ° C.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챔버(12) 외부의 온도와는 무관하게 챔버(12)의 실제 온도가 목표 온도(t0)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ctu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12 can be maintained at the target temperature t 0 ,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utside the chamber 12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종래의 수용 장치에 따르면 저장고 벽체가 외부 온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저장고 벽체의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즉, 외부 온도에 의하여 저장고 벽체의 온도가 변화하는 속도를 단열 소재 등에 의하여 늦출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결국 저장고 벽에 부착된 온도 센서는 저장고 벽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 또는 냉기에 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저장고 내의 실제 온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는 못하며, 이 저장고 내의 온도 센서만을 기준으로 저장고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은 불완전하다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ccommodating device,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storage wall from being affe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wall is changed. In other words, it is only possible to slow down the rate at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wall of the reservoir changes due to the external temperature by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As a result, the temperature sensor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cellar are not accurately reflected in the actual temperature in the cellar because they are affected by heat or cold air transmitted through the cellar wall. It is bound to be incomplet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 기준 온도(t1)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챔버(12)의 벽의 온도가 변하는 것과 무관하게 효과적으로 챔버(12) 내부의 온도를 목표 온도(t0)로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목표 온도(t0)가 특정 온도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목표 온도(t0)는 얼마든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 용기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종류가 바뀌는 경우에는 목표 온도(t0)를 다른 온도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목표 온도(t0) 설정을 위한 조작부가 수용 장치(10)에 마련될 수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 is effectively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f the wall of the chamber 12 being changed. The target temperature t 0 can be maintained. So far, the case where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determined to be a specific temperature has been described, but the target temperature t 0 can be arbitrarily set.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the objec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ontainer is changed, the target temperature t 0 may be set to another temperature, and an operation unit for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t 0 may be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device 1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2 : 와인병 10 : 수용 장치
12 : 챔버 14 : 도어
16 : 내부 온도 센서
2: wine bottle 10: receiving device
12 chamber 14 door
16: internal temperature sensor

Claims (9)

내부에 온도 유지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유닛;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센싱 온도(tin)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센서;
상기 챔버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 및
상기 챔버 내부의 실제 온도를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t0)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목표 온도(t0)와는 별도로 설정되는 제어 기준 온도(t1)를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tin)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온도 조절 유닛을 온오프시키거나 출력이 증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상기 목표 온도(t0)보다 높을수록 상기 목표 온도(t0)보다 높게 설정되어, 상기 챔버 외부로부터 상기 챔버 내부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내부 온도 센서에 발생할 수 있는 온도 측정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장치.
A chamber capable of receiving a temperature maintaining object therein;
A temperature regula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and measuring a sensing temperature t in of the chamber;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chamber to measure a temperature t out of the chamber;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t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t 0 ,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set separately from the target temperature t 0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t in inside the chamb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o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set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t 0 as the temperature t out outside the chamber is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t 0 , and is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Receiv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rrect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error that may occur in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by the h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높을수록,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연속적으로 점차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igher the temperature (t out )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is gradually higher gradually, the accommodation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obj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를 복수 개의 온도 구간으로 나누어, 각 온도 구간 내에서는 제어 기준 온도(t1)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각 온도 구간의 평균 온도가 높을수록 제어 기준 온도(t1)가 더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mperature t out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ctions, and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kept constant in each temperature section, and as the average temperature of each temperature section is higher,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Is set higher, the accommodation device for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온도(t0)는 17℃~19℃이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15℃ 이상 25℃ 미만일 때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18℃~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rget temperature (t 0 ) is 17 ℃ ~ 19 ℃, when the temperature (t out )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is more than 15 ℃ 25 ℃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is 18 ℃ ~ 21 ℃ An accommodation device for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to be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온도(t0)는 17℃~19℃이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25℃ 이상 30℃ 미만일 때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21℃~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rget temperature (t 0 ) is 17 ℃ ~ 19 ℃, when the temperature (t out )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is more than 25 ℃ 30 ℃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is 21 ℃ ~ 23 ℃ An accommodation device for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to be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온도(t0)는 17℃~19℃이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30℃ 이상 38℃ 미만일 때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22℃~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rget temperature (t 0 ) is 17 ℃ ~ 19 ℃, when the temperature (t out ) of the outside of the chamber is more than 30 ℃ 38 ℃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is 22 ℃ ~ 24 ℃ An accommodation device for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to be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온도(t0)는 17℃~19℃이고, 상기 챔버 외부의 온도(tout)가 38℃ 이상일 때 상기 제어 기준 온도(t1)는 24℃~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rget temperature (t 0 ) is 17 ℃ ~ 19 ℃, when the temperature (t out ) outside the chamber of 38 ℃ or more, the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24 ℃ ~ 26 ℃ Receiving device to keep the temperature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온도 센서는 상기 챔버 내부의 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a wall inside th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온도(t0)는 임의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rget temperature (t 0 ) is arbitrarily adjustable, the accommodation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object.
KR1020120067203A 2012-06-22 2012-06-22 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KR101331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203A KR101331843B1 (en) 2012-06-22 2012-06-22 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203A KR101331843B1 (en) 2012-06-22 2012-06-22 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843B1 true KR101331843B1 (en) 2013-11-22

Family

ID=4985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203A KR101331843B1 (en) 2012-06-22 2012-06-22 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84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3702A (en) * 2018-10-12 2019-02-2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The constant-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wine cabinet
RU2711233C1 (en) * 2018-12-06 2020-01-15 Борис Алексеевич Хозяинов Beverage cool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9076A (en) * 1995-04-07 1996-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9076A (en) * 1995-04-07 1996-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3702A (en) * 2018-10-12 2019-02-2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The constant-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wine cabinet
RU2711233C1 (en) * 2018-12-06 2020-01-15 Борис Алексеевич Хозяинов Beverage cool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210B2 (en) refrigerator
CN105241173B (en) Adaptive regulation method, device and the refrigerator of refrigerator compartment temperature
WO2019085726A1 (en) Freeze determining method for food in refrigerator, preservation method for food in refrigerator, and preservation refrigerator
WO2019085727A1 (en) Freeze determining method for food in refrigerator, preservation method for food in refrigerator, and preservation refrigerator
JP4775344B2 (en) refrigerator
KR101331843B1 (en) Device of containing object whos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WO2024026579A1 (en) Constant temperature wine cabinet
US20150226475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3273371A1 (en) Constant temperature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nstant temperature wine cabinet
KR101403378B1 (en) Drinking water cooling unit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2001201229A (en) Stor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854279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101172054B1 (en) method for operating refrigerator having a inverter compressor
JP2018013273A (en) refrigerator
KR100607262B1 (en) Wine cellar and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0759339B1 (en) Method for temperature control of kimchi chamber
RU2605753C1 (en) Refrigerating device with refrigeration chamber
KR100532315B1 (en) Tropical fruit ripening room of refrigerator
KR100878821B1 (en) Kimchi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366363B1 (en) Kimchi refrigerator with outer thermal sensor
JP7241395B2 (en) wine cellar
KR1019410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refrigerator
KR101112994B1 (en) method for operating refrigerator having a inverter compressor
KR20150075576A (en) Supercooling Pocket
KR20180097856A (en) Ic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