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672B1 -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 - Google Patents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672B1
KR101331672B1 KR1020120006819A KR20120006819A KR101331672B1 KR 101331672 B1 KR101331672 B1 KR 101331672B1 KR 1020120006819 A KR1020120006819 A KR 1020120006819A KR 20120006819 A KR20120006819 A KR 20120006819A KR 101331672 B1 KR101331672 B1 KR 10133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s
pivot
wind
colum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769A (ko
Inventor
임희창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6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끝단부에 와류 생성기를 설치하여 회전시 와류를 의도적으로 만듦으로서, 블레이드 주변의 풍압을 고르게 하여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사보니우스 블레이드 구조 및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블레이드 장착구조를 피벗기둥에 다수개 설치하여, 회전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블레이드 구조물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Blade structure of Savonius wind generator having vortex-generating element}
본 발명은 풍력 발전용 사보니우스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류(vortex) 발생 부재가 블레이드 끝단에 형성되어져 블레이드 회전시 소음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사보니우스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보니우스 블레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장치에 사용되어진다. 풍력은 그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유용한 에너지로 변환가능한데, 일반적인 것이 터빈 또는 풍차이고 터빈의 회전력을 발전기에 전달하는 축 형태에 따라서 수평축 혹은 수직축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사보니우스 터빈은 수직축 시스템에 속하며, 날개가 전체적으로 s 자 모양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회전력이 발생하지 않는 날개 부분은 오히려 바람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비교적 회전속도가 느리지만 회전하는 날개 면적이 넓고 바람을 정면으로 받아 토크를 크게 발생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낮은 풍속 및 적은 풍량에서도 비교적 발전 효율이 좋은 장점이 있다.
수직축 소형풍력 발전기의 대표적 형태는 두개의 반파이프(half pipe) 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한쪽이 최대 항력을 받을 때, 다른 반파이프 부분은 최소의 항력을 받도록 하여, 주기적이면서 낮은 주속비에서 큰 토크 특성을 가지는 사보니우스 로터를 들 수 있다. 기존의 사보니우스 로터는 반파이프형태에서 최근, 소음 진동을 고려하여 나선형 사보니우스 형상을 이용하는 기술들이 많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보니우스 블에이드는 회전시 끝면에서 소음과 진동이 다량 발생하여 회전력 발생저감, 전기 생성 저감 및 시끄러운 소리 때문에 주변 주거민으로부터의 민원이 발생되곤 한다. 이를 고려하여 나선형의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예도 있지만 이러한 형상으로도 완전한 해결이 힘든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 끝단부에 와류 생성기를 설치하여 회전시 와류를 의도적으로 만듦으로서, 블레이드 주변의 풍압을 고르게 하여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최대 20~30퍼센트 정도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종래의 사보니우스 풍력 발전 블레이드의 문제점으로는, 단순한 가공을 통해서 반파이프 형태(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풍압에 의한 블레이드 회전력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개폐가능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 형태를 구현함으로써 파워 특성이 20~30 퍼센트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소형 풍력 발전기에 널리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레이드 끝단부에 와류 생성기를 설치하여 회전시 와류를 의도적으로 만듦으로서, 블레이드 주변의 풍압을 고르게 하여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사보니우스 블레이드 구조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보니우스 구조를 가진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블레이드 장착구조를 피벗기둥에 다수개 설치하여, 회전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블레이드 구조물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은 아래와 같다.
즉 풍력발전을 위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 구조에 있어서,
원형의 상판(400)과 하판(410) 사이 공간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직축(300);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방향에서 볼때 원호형태를 가지는 블레이드(150,151);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부에 수직하게 다수 형성되는 와류형성부재(170,171);
을 포함하되,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w2)에 대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된 블레이드(150)에 설치되는 와류발생부재(171)의 측면(A2)은
다른 측면(B2, C3) 보다 경사도가 높게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 회전력을 높임과 동시에 블레이드 끝단부 주위로 와류 발생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 구조가 제시된다.
기타 상세 설명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서술토록 한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끝단부에 와류 생성기를 설치하여 회전시 와류를 의도적으로 만듦으로서, 블레이드 주변의 풍압을 고르게 하여 소음과 진동을 매우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블레이드 장착구조를 피벗기둥에 다수개 설치하여, 회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도 1a 의 와류발생부재 주위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 장착구조도,
도 3는 도 2의 상황에서 바람이 불때 블레이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과 도 5는 블레이드와 피벗기둥의 장착상태를 보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원리를 개략도로 표시한 도면,
도 7은 종래 사보니우스 블레이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파악되는 발명 범위와 균등한 수준의 발명에까지 그 권리가 미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7은 종래의 사보니우스 로터 (10)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수직축(30)을 중심으로 블레이드가 회전하게 되며, 지지판(40)에 수직축(30)이 결합되어 있다. 하측의 발전부(50)는 블레이드(20)의 회전에 따라서 전력이 발생되는 부위를 간략히 도시하고 있다. 블레이드(20)는 바람을 정면으로 받아 바람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블레이드와 바람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수직의 회전축은 제1,2 블레이드의 좌우 일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 및 바람의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고 축의 일측 단부로 전달한다.
블레이드 날개 끝단부의 불규칙한 기류 형성에 의하여 소음이 동반된 진동이 매우 심하게 발생함에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블레이드 단부에서의 복잡한 구조적 형상에 의거하여 풍압이 매우 불규칙하고 유동 박리 현상 또는 비정형적이어서 소음 진동이 많이 발생함과 동시에, 바람의 방향을 최대로 받는 블레이드(풍향에 대해 오목한 블레이드)의 반대편 블레이드(풍향에 대해 볼록한 블레이드)에서는 오히려 회전력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풍력 발전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부재를 블레이드 단부에 형성하여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블레이드 부분에서는 바람을 통과시키도록 하며 와류 발생기에 의한 소음 진동을 저감시켜 회전력을 최대로 증가시키는 것을 기술적 사상의 요지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b는 도 1a 의 와류발생부재 주위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 장착구조도이고 도 3는 도 2의 상황에서 바람이 불때 블레이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과 도 5는 블레이드와 피벗기둥의 장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원리를 개략도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a와 도1b를 참조하면, 도 7의 종래기술과 같이 상하판(400,410) 사이 공간에는 중심 수직축(300)이 하판의 중심과 상판의 중심을 연결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이를 중심으로 블레이드들이 회전하면서 발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된 구조에는 삼각뿔 형태의 와류발생부재가 블레이드(150,151) 단부에 수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풍향은 w1, w2 로 불고 있다. 중심수직축(300)에는 반원형(상부에서 내려다 볼때 기준) 혹은 원호의 일부 형태인 블레이드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풍향에 대하여 오목 혹은 볼록하게 바람을 마주하고 있다.
이때 블레이드(150)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풍압을 최대로 받게 되므로 회전력(상부에서 내려다 볼때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을 일으키게 되며, 반대편 블레이드(151)는 풍향에 대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풍향 w1 인 바람이 오목한 블레이드(150)쪽 및 와류발생부재(151) 쪽으로 안내되도록 기능한다.
회전력 측면에서는 도 1a 와 같은 블레이드 위치에서, 풍향에 대해 볼록한 블레이드는 악역향을 끼친다. 그 이유는 풍향에 대해 볼록한 블레이드(151)에 가해지는 풍압 때문에 블레이드가 실제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토오크(torque)가 걸려 오히려 회전력 나아가 풍력발전량을 감소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되게 된다.
한편, 블레이들(150,151)의 단부에서는 유동 박리(separation)의 위치와 강도가 매우 불규칙한데 이는 블레이드는 고정체가 아니라 회전을 지속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실제 사보니우스 풍력 발전용 블레이드 단부는 떨림 현상이 심하고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기술적으로 개량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와류발생부재(170)는 의도적으로 유동 박리를 시킴으로써 블레이드 단부의 압력장(pressure field) 분포를 다소 균일하게 만듦으로써 블레이드의 진동 소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보다 상세히 와류발생부재의 구조 및 역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와 도 1b에서 파악할 수 있듯이, 와류발생부재(170,171)는 뿔형태로 형성되되, 한쪽으로 편심된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들어 도면부호 171의 와류발생부재의 경우 경사도가 낮은 빗면인 B2, C2 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A2면은 뿔의 꼭지점을 향해서 경사도가 높은 빗면에 해당한다. B2, C2의 경우 바람이 이러한 면을 타고 쉽게 올라가도록 경사도가 낮게 형성되어 풍압을 덜 받도록 형성되며, A2의 경우는 경사도가 높아서 풍압을 많이 받게 된다.
도면부호 151의 블레이드 쪽이 풍압을 덜 받아야 회전력 발생에 유리하기 때문에 B1, C1과 같이 경사가 낮은 면이, 방향이 바람이 불어오는 w1 쪽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A1 면은 블레이드(170) 끝단부 쪽과 대면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부호 151의 블레이드가 180도 회전하여 도면부호 150의 블레이드 위치로 오게 되면, A1 면은 A2 면 위치에 대응되게 된다. 블레이드(150)의 경우 안쪽이 오목하여 풍압을 많이 받도록 형성되는 것과 같은 목적으로, A2 면은 경사가 급하게 설계되어 풍압을 되도록 한다.
풍향 w2 의 바람은 A2 면과 부딪히면서 와류발생부재(171) 주위로 넓은 범위에 걸쳐 와류를 형성시키게 됨과 동시에 블레이드 끝단부 주위의 압력장을 비교적 고르게 분포시킨다. 이로써 블레이드 (150) 끝단부의 앞뒤면 간의 큰 압력차이를 줄이게 되는 효과가 발생되고, 와류발생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적인 블레이드 보다 진동과 소음이 대폭 저감된다. v1, v2는 와류발생부재 근처에서의 와류를 의미한다.
도 1a 에서의 우측 사각 점선내에는 와류발생부재를 각각 상방향 및 측방향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h1 과 h2의 비율은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1:2 비율 정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류발생부재의 형상은 편심된 다각뿔 혹은 편심된 원뿔로도 구성가능하며,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여하한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b 에서는 와류발생부재(170,171) 주위에 흘러가는 유동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부호 150의 위치에 있는 와류발생부재(171)의 경우가 와류가 조기에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 장착구조도이고 도 3는 도 2의 상황에서 바람이 불때 블레이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가장 외측의 블레이드에 와류발생부재를 설치하는 구조 및 목적이 도 1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도 1과는 달리, 곡면의 블레이드가 각각 여러개의 블레이드들로 나뉘어져 구성된 실시예인데, 바람이 불어올때 바람의 방향에 대하여 볼록하게 대면하는 블레이드의 단점을 개선하여 블레이드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요지이다.
도 2은 블레이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바람이 없거나 미약할 경우 ), 도 3은 지면(紙面) 앞쪽에서 뒤쪽으로 바람이 불 때를 가정하여, 바람의 방향(w4)에 대해 볼록하게 대면하는 블레이드 즉, 우측의 블레이드들 (750,760,770,780)이 풍압(風壓)에 의해 열려 있는 장면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w3의 바람에 대해 오목하게 대면하는 블레이드들(710,720,730,740)은 모두 닫혀 있다.
도 1, 도 2, 도 3에서는, 도 7에서의 발전부(5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편의상 생략하여 주요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하였다.
도 7의 종래기술과 같이 상하판(400,410) 사이 공간에는 중심 수직축(300)이 하판의 중심과 상판의 중심을 연결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이를 중심으로 블레이드들이 회전하면서 발전하게 된다. 상판홀(401)에는 수직축(300)이 결합되는 곳으로 간략히 도시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종래기술인 도 7과는 달리 블레이드들 (710,720,730,740,750,760,770,780)이 피벗기둥(610,620,630,640,650,660)들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블레이드들은 소정의 탄성수단이 사용되어 피벗기둥들에 연결되는데, 이는 평상시에는 블레이드들이 탄성수단(812a,812b,812c )의 탄성력에 의해 닫혀 있다가 바람이 불게 될 경우에만 풍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는 이렇게 풍압에 의해서 수직축(300) 우측의 여러 블레이드들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A, B, C, D 는 풍압에 의해 블레이드가 개방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개방되는 블레이드들은 바람방향에 대해 볼록하게 돌출된 위치에 있을 경우이다. 개방되지 않는 블레이드들은 바람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위치한 경우이다.
한편, B, C 방향으로 블레이드가 개방될 때 스프링은 중립(NEUTRAL) 상태에서 각각 인장, 압축되어 원상태로 복원되려 하지만 풍압에 의해서 개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풍압은 1/2* 공기밀도* (풍속의 제곱값) 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스프링력에 의한 토오크 보다 풍압에 의한 토오크가 커야 블레이드가, 도 3와 같이 개방되므로 소형 풍력발전기에 가해지는 통상의 외기 풍속을 고려하여 스프링(탄성수단)의 상수 및 탄성수단이 장착되는 위치등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의 중심 수직축(300)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블레이드들은 닫혀 있는데, 이때 도면부호 720의 블레이드는 피벗패널(610)이 스토퍼(stopper) 역할을 담당하며, 도면부호 730의 블레이드는 피벗패널(630)이 스토퍼 역할을 담당하며, 도면부호 740의 블레이드는 수직축(300)이 스토퍼 역할을 담당한다.
피벗기둥들(610,620,630,640,650,660)은 수직축(30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각각 3개씩 대향되는 위치에 있으며, 링크(900)에 의해서 각각의 피벗기둥들의 단부는 링크(9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어서 수직축(300)을 중심으로 180도 각도로 마주보면서 대향되어 있는 피벗기둥들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피벗기둥들은 링크(9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수직축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의 피벗기둥들이 한몸체를 이루며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벗기둥들의 개수는 가감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블레이드의 형상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곡률을 가진 원호 형상(단면이 원호형상임)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직축(300) 일측의 네개의 블레이드를 전체적으로 바라볼때 (상방향에서 바라 볼때) 반원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 6의 블레이드 한개의 형상처럼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피벗기둥과 블레이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750)이 피벗기둥(640)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탄성수단(812a) 은 피벗기둥의 중심부 일측에 장착된다. 탄성수단은 바람이 불지 않을 때는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당겨져 고정되어 있다가, 바람이 불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풍압에 의해 열려지게 된다.
탄성수단의 단부는 스프링고정수단(735)에 고정된 구조를 취하며, 블레이드(750) 가장자리는 블레이드고정수단(642a, 642b)과 결합된다. 블레이드고정수단은 피벗기둥(640) 외주를 감싸도록 장착된다.
다수의 리벳수단(737)에 의해 블레이드고정수단(642a)과 블레이드(75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리벳에 국한됨은 아니고 다양한 체결수단이 사용될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도 2의 피벗기둥들 중에서 도면부호 620의 피벗기둥에, 두개의 블레이드(720,730)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피벗기둥(620)과 블레이드(720,730)는 구조상, 도 3의 다른 피벗기둥(650)과 블레이드(760,770)와 동일하며 도 3에서와 같이 두개의 블레이드(720,730)는 피벗기둥(620)을 중심으로 하여, 풍압이 가해질 경우 v자 모양을 이루면서 열려져 바람을 통과시키게 된다.
도 5의 구조가 도 4과 다른점은, 블레이드 2개가 하나의 피벗기둥에 장착되어져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탄성수단(812b,812c)이 두개가 피벗기둥 주위로 장착되며, 블레이드고정수단(642c, 642d, 642e, 642f)은 각 두개씩 블레이드(720,730)와 결합, 고정된다.
탄성수단 단부는 블레이드 면의 일측에 고정된다는 점은 도 4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요약한 도면이며, 풍향을 아래에서 위로 정하였고, 블레이드의 상방향에서 관찰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람이 불어 오면, 바람에 대한 오목하게 배치된 블레이드들은 풍압을 최대로 받아 회전력(시계방향)이 발생되고, 바람에 대해 볼록하게 배치된 블레이드들은 스프링력이 풍압보다 작아 블레이드가 피벗기둥을 중심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회전력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끝단부에 와류 생성기를 설치하여 회전시 와류를 의도적으로 만듦으로서, 블레이드 주변의 풍압을 고르게 하여 소음과 진동을 매우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블레이드 장착구조를 피벗기둥에 다수개 설치하여, 회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구조는 사보니우스 타입 이외의 풍력발전기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w1,w2: 풍향
170:와류발생부재
300:중심수직축
400:상판 401:상판홀
410:하판
610,620,630,640,650,660: 피벗기둥
150, 151, 710,720,730,740,750,760,770,780: 블레이드
812a,812b,812c: 탄성수단

Claims (7)

  1. 원형의 상판과 하판 사이 공간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직축(300);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방향에서 볼 때,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들(710, 720, 730, 740);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들(710, 720, 730, 740)과 대향된 위치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들(750, 760,770,780);
    블레이드 각각이 장착되는 다수의 피벗기둥들(610, 620, 630, 640, 650, 660);
    각 피벗기둥 외주에 형성되고, 블레이드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 탄성수단을 포함하되,
    피벗기둥들은 링크(900)에 의해서 이웃한 피벗기둥의 단부끼리 상호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들 중 중심축에서 각각 최외곽의 두 개의 블레이드인(710,780)는 그에 대응된 피벗기둥(610,660)의 외주에 각각 결합되고,
    피벗기둥들 중 외곽 피벗기둥(610)에서 가장 가까운 피벗기둥 들 중, 하나의 피벗기둥(620)에는 양측으로 두 개의 블레이드들(720,730)이 동시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피벗기둥(650)에도 양측으로 두 개의 블레이드들(760,770)이 결합되고,
    피벗기둥들 중 수직축(300)에 최 근접된 두 개의 피벗기둥 중 하나의 피벗기둥(630)에는 하나의 블레이드(740)가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피벗기둥(640)에도 하나의 블레이드(750)가 결합되며,
    블레이드 각각이 피벗기둥에 결합됨에 있어서, 피벗기둥 외중에 감겨진 스프링 탄성수단의 일단부는 블레이드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피벗기둥에 고정되며,
    상기 블레이드 중 최외곽 블레이드 끝단부에 뿔형상의 와류발생부재 (172,173)가 형성되며,
    풍향에 대해 오목하게 배열된 블레이드들(710, 720, 730, 740)은 탄성수단의 힘에 의하여 원호형상을 이루며 닫혀 있고, 그와 동시에
    풍향에 대해 볼록하게 배열된 블레이드들(750, 760, 770, 780)은 탄성수단을 능가하는 풍압력에 의하여, 각 블레이드들(750, 760, 770, 780)가 장착된 피벗기둥을 중심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06819A 2012-01-20 2012-01-20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 KR10133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19A KR101331672B1 (ko) 2012-01-20 2012-01-20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19A KR101331672B1 (ko) 2012-01-20 2012-01-20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69A KR20130085769A (ko) 2013-07-30
KR101331672B1 true KR101331672B1 (ko) 2013-11-20

Family

ID=4899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819A KR101331672B1 (ko) 2012-01-20 2012-01-20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3764B1 (en) 2017-07-06 2019-06-03 Apl Tech As Energy harvesting Device
CN110242497B (zh) * 2019-07-26 2023-12-05 东北大学 一种柔性叶片式萨布纽斯风轮机
WO2024078538A1 (zh) * 2022-10-12 2024-04-18 武汉云太极科技有限公司 开闭式垂直轴流体轮发电装置及发电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225A (ja) * 2002-03-05 2003-09-10 Ebara Corp 風車の気流騒音低減装置
KR100970309B1 (ko) 2008-04-18 2010-07-15 정자춘 풍력 발전 장치
KR20110112106A (ko)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삼광산전 수직축형 풍력발전기
KR20110114043A (ko) * 2010-04-12 2011-10-19 안정오 가변형 날개를 구비하는 발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225A (ja) * 2002-03-05 2003-09-10 Ebara Corp 風車の気流騒音低減装置
KR100970309B1 (ko) 2008-04-18 2010-07-15 정자춘 풍력 발전 장치
KR20110112106A (ko)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삼광산전 수직축형 풍력발전기
KR20110114043A (ko) * 2010-04-12 2011-10-19 안정오 가변형 날개를 구비하는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69A (ko)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ng et al. Cross axis wind turbine: Pushing the limit of wind turbine technology with complementary design
US9284943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US8178990B2 (en) Wind power nozzle with increased throughput
US8932024B2 (en) Wind turbine blade and wind power generator using the same
US8167533B2 (en) Wind energy system
US20100322770A1 (en) Turbine blade constructions particular useful in vertical-axis wind turbines
US20090060744A1 (en) Vertical Axis Self-Breaking Wind Turbine
KR101188058B1 (ko) 사보니우스 블레이드 구조
US20220228555A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CN107076108B (zh) 用于风力涡轮机的转子叶片
US20180142673A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blade angle based on centrifugal force
KR101331672B1 (ko) 와류발생 부재가 형성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구조
Cho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deflector integrated cross axis wind turbine
US11313348B2 (en) Hybrid vertical axis turbine apparatus
KR101230324B1 (ko) 에이치 로우터 수직축 풍력발전
Mauri et al. Design and realisation of a high-performance active pitch-controlled H-Darrieus VAWT for urban installations
KR101612238B1 (ko) 나선형 날개 유닛 및 풍력 발전기
KR101033009B1 (ko) 풍력발전용 풍차의 회전날개
WO2013120250A1 (zh) 风能动力装置
KR101165619B1 (ko) 유도관을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
Anjum et al. Common vertical axis Savonius-Darrieus wind turbines for low wind speed highway applications
KR20100118285A (ko) 풍력발전용 사보니우스 터빈 구조
Usubamatov et al. New Vane-Type Wind Turbine of High Efficiency
KR101042904B1 (ko) 풍력발전기용 로터 블레이드
Roy et al. Design of Savonius-style wind turb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