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481B1 -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481B1
KR101330481B1 KR1020120019967A KR20120019967A KR101330481B1 KR 101330481 B1 KR101330481 B1 KR 101330481B1 KR 1020120019967 A KR1020120019967 A KR 1020120019967A KR 20120019967 A KR20120019967 A KR 20120019967A KR 101330481 B1 KR101330481 B1 KR 10133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length
type
volume
aes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101A (ko
Inventor
권수애
손부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4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2Breast evaluation or disorder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유방 유형과 볼륨을 고려하여 최적의 브래지어를 제작하기에 적합한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입력받는 유방구성 항목 치수 입력 단계, 입력받은 상기 유방구성 항목 중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 치수로부터 유방 유형을 판별하는 유방 유형 판별 단계, 착용자의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실제 유방 볼륨 산출 단계, 착용자의 미적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미적 유방 볼륨 산출 단계, 선정된 유방 유형과, 미적 유방 볼륨과 실제 유방 볼륨의 차이를 이용하여 패드의 분량을 산출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패드 분량 산출 및 위치 설정 단계 및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반영하여 브래지어 패턴 설계방법인 에스모드(ESMOD)식 브래지어 패턴 설계법에 따라 패턴 설계를 하되, 각 유방 유형별로 미적 유방 형태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는 패턴 설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Design method of brassieres for reflecting breast types}
본 발명은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방 형태 및 볼륨 분석을 통해 착용자에게 최적의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단순히 가슴둘레와 밑가슴둘레의 차이로 유방의 크기나 부피를 예측하여 선정되며, 브래지어 제작에 있어서도 젊은 층의 표준 유방유형을 기준으로 설계됨으로써, 시중에서 다양한 유방 형태나 볼륨(Volume)에 맞는 최적의 브래지어를 찾는 데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이유로 근래에 다양한 착용자에 적합한 브래지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정밀한 계측과 인간공학적인 배려를 반영한 브래지어 제작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28487호(2004.4.17.공고)에 게재된 기술은 가슴부위에 대한 3차원 곡면 데이터를 기초로 2차원의 전개도로 다수 형태의 레플리카 조합 패턴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브래지어를 제작하는 3차원 계측을 이용한 브래지어 제작 기술로서, 취향, 가슴 형태 등에 따른 원하는 패턴의 브래지어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은 3차원 스캔을 통한 개개인의 브래지어 하컵을 단순히 5가지로 변형 조합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방식으로, 3차원 기술을 적용하긴 했지만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유방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 이러한 방법은 스캔 장비가 구비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며, 착용자에 맞는 최적의 브래지어를 설계 및 제작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착용자들이 요구하는 미적인 요소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유방 유형과 볼륨을 고려하여 최적의 브래지어를 제작하기에 적합한,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과정을 통해 다양한 착용자의 유방 유형과 볼륨에 적합하면서도 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은,
착용자의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입력받는 유방구성 항목 치수 입력 단계,
입력받은 상기 유방구성 항목 중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 치수로부터 유방 유형을 판별하는 유방 유형 판별 단계,
착용자의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실제 유방 볼륨 산출 단계,
착용자의 미적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미적 유방 볼륨 산출 단계,
선정된 유방 유형과, 미적 유방 볼륨과 실제 유방 볼륨의 차이를 이용하여 패드의 분량을 산출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패드 분량 산출 및 위치 설정 단계 및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반영하여 브래지어 패턴 설계를 하되, 각 유방 유형별로 미적 유방 형태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는 패턴 설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착용자의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은,
목앞점~젖꼭지점길이, 목옆점~젖꼭지점길이, 유방안쪽점사이간격, 젖꼭지간격, 유방아래직경, 유방내측깊이, 유방바깥쪽길이, 유방아래길이, 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 및 젖가슴밑윤곽선길이이며;
상기 유방 유형은,
상부 발달 유방, 밋밋한 유방, 하부 발달 유방 및 돌출한 유방의 4 가지이며;
상기 유방 유형의 판별은,
하기의 판별함수에 실제 착용자의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대입한 후 얻은 점수를 비교하여 최고점에 따라서 착용자의 유방 유형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판별점수 = -292.84+6.04×(목앞점~젖꼭지점길이)+6.23×(목옆점~젖꼭지점길이)+4.62×(유방안쪽점사이간격)+10.93×(젖꼭지간격)+2.65×(유방아래직경)-10.25×(유방내측깊이)-3.73×(유방바깥쪽길이)+1.48×(유방아래길이)+5.04×(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91×(젖가슴밑윤곽선길이)
제 2 판별점수 = -241.35+5.02×(목앞점~젖꼭지점길이)+5.51×(목옆점~젖꼭지점길이)+3.41×(유방안쪽점사이간격)+9.33×(젖꼭지간격)+3.56×(유방아래직경)-9.67×(유방내측깊이)-2.43×(유방바깥쪽길이)+1.53×(유방아래길이)+6.25×(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29×(젖가슴밑윤곽선길이)
제 3 판별점수 = -280.94+4.57×(목앞점~젖꼭지점길이)+6.03×(목옆점~젖꼭지점길이)+2.03×(유방안쪽점사이간격)+9.62×(젖꼭지간격)+4.32×(유방아래직경)-11.46×(유방내측깊이)-1.88×(유방바깥쪽길이)+1.84×(유방아래길이)+7.46×(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97×(젖가슴밑윤곽선길이)
제 4 판별점수 = -294.79+5.99×(목앞점~젖꼭지점길이)+6.12×(목옆점~젖꼭지점길이)+2.80×(유방안쪽점사이간격)+8.96×(젖꼭지간격)+2.32×(유방아래직경)-9.41×(유방내측깊이)-2.31×(유방바깥쪽길이)+2.29×(유방아래길이)+6.91×(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89×(젖가슴밑윤곽선길이)
그리고 상기 실제 유방 볼륨 산출 단계에서는 하기의 식에 의해 착용자의 실제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방 볼륨 = -398.86+(유방원주)+18.73×(젖꼭지높이)+12.85×(유방내측깊이)
그리고, 상기 미적 유방 볼륨 산출 단계에서는 하기의 식에 의해 착용자의 미적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적 유방 볼륨= -611.30+17.67×(젖가슴둘레)-24.29×(젖가슴아래둘레)+16.31×(목옆점~젖꼭지점~허리둘레선길이)+22.83×(젖가슴너비)+12.22×(허리두께)-8.34×(겨드랑앞벽사이길이)
그리고 각 유방 유형별로 미적 유방 형태로 수정하는 과정은,
착용자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 비율은 미적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비율로 수정하는 단계 및
유방의 유방아래직경을 미적 유방의 유방아래길이와 유방아래직경의 비율을 이용하여 이 전 단계에서 미적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비율에 따라 수정된 유방아래길이를 근거로 수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 분량 산출 및 위치 설정 단계에서는,
상부 발달 유방은 하부에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고, 반대로 하부 발달 유방은 상부에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며, 밋밋한 유방은 전체적으로 유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며, 돌출한 유방은 패드가 없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은 다양한 착용자의 유방 유형과 볼륨을 분석하여 수식을 이용한 알고리즘 시스템을 구축, 이를 통한 유방 유형 분류와 자신의 유방 볼륨, 또 미적인 유방 볼륨을 산출하며, 이를 근거로 2차원적인 패턴 설계 기법을 활용하여 볼륨업(Volume-up)된 착용자에 가장 적합한 브래지어를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이렇게 제작된 브래지어를 착용함으로써 착용자가 가슴에 대해 미적으로 충분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에 있어서 유방구성 항목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점 설정방법과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에 있어서 유방구성 항목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유방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4개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군집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유방 유형 판별에 중요도가 높은 항목을 찾기 위한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에 있어서 유방 유형 판별함수를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과정을 통해 다양한 착용자의 유방 유형과 볼륨에 적합하면서도 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유방관련 주요 신체 치수가 측정되어 시스템의 입력부에 입력되면, 시스템의 연산부에서는 입력된 유방관련 주요 신체 치수를 간단한 수식 등에 대입하여 착용자의 실제 유방 유형 및 볼륨을 파악하고, 또한 착용자에게 이상적인 미적 유방의 형태 및 볼륨을 구하고, 실제 유방 유형 및 볼륨과 미적 유방 형태 및 볼륨을 비교 및 분석하여 최적의 패드의 크기와 형태, 최적의 패턴 등을 설계하여 시스템의 출력부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데 특징이 있다.
상기 시스템은 PC(Personal Computer)만으로 이루어지거나, PC, 통신망, 통신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을 각 과정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유방구성 항목 치수 입력 단계(S1)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은 유방구성 항목 치수 입력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는 착용자의 유방관련 주요 신체 치수, 즉 유방구성 항목이 계측되어 시스템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게 되는데, 도 2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이 되는 계측점을 설정하고, 이 계측점을 기준으로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방관련 주요 신체 치수의 측정을 하며, 이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방관련 주요 신체 치수, 즉 유방구성 항목을 계측하게 된다.
이때 계측되는 유방구성 항목은 유방 및 유방과 관련한 항목들로서, 브래지어의 최적 설계를 위해서 필수적인 항목들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 입력받은 유방구성 항목 치수는 시스템 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2. 유방 유형 판별 단계(S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은 유방 유형 판별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는 유방구성 항목 치수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착용자의 유방구성 항목 치수 중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 치수로부터 시스템 연산부는 착용자의 유방 유형을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은 목앞점~젖꼭지점길이, 목옆점~젖꼭지점길이, 유방안쪽점사이간격, 젖꼭지간격, 유방아래직경, 유방내측깊이, 유방바깥쪽길이, 유방아래길이, 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 및 젖가슴밑윤곽선길이로 이루어지며, 유방 유형으로는 상부 발달 유방(1유형), 밋밋한 유방(2유형), 하부 발달 유방(3유형) 및 돌출한 유방(4유형)이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된 유방 유형 중에서, 상부 발달 유방(1유형)은 유방 안쪽점과 유두간격이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짧고 유방의 직경이나 깊이에 비해 길이가 길며 유방 하부보다 상부의 직경이나 길이가 더 커서 유방 상부가 하부보다 더 발달된 특징이 있고, 밋밋한 유방(2유형)은 유두 간격이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짧고 유방의 깊이와 길이가 가장 작으며 유방윤곽선의 길이도 가장 짧아 유방의 크기와 돌출 정도가 가장 작은 특징이 있으며, 하부 발달 유방(3유형)은 유방안쪽직경과 내측깊이는 짧고 유방아래직경은 가장 커서 유방의 하부가 발달된 특징이 있으며, 돌출한 유방(4유형)은 유방안쪽점사이간격과 유방아래직경은 가장 짧으나 유방의 직경, 깊이, 길이 윤곽선의 길이가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크며 전반적으로 유방이 크고 돌출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시스템 연산부에서의 유방 유형 판별은 시스템 저장부에 저장된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나타나 있는 판별함수에 실제 착용자의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대입한 후 얻은 점수를 비교하여 최고점에 따라서 착용자의 유방 유형을 판별하게 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수학식 1에 의한 제 1 판별점수가 제일 높은 경우는 상부 발달 유방(1유형)으로 판별하고, 수학식 2에 의한 제 2 판별점수가 제일 높은 경우는 밋밋한 유방(2유형)으로 판별하며, 수학식 3에 의한 제 3 판별점수가 제일 높은 경우는 하부 발달 유방(3유형)으로 판별하며, 수학식 4에 의한 제 4 판별점수가 제일 높은 경우는 돌출한 유방(4유형)으로 판별한다.
[수학식 1]
제 1 판별점수 = -292.84+6.04×(목앞점~젖꼭지점길이))+6.23×(목옆점~젖꼭지점길이)+4.62×(유방안쪽점사이간격)+10.93×(젖꼭지간격)+2.65×(유방아래직경)-10.25×(유방내측깊이)-3.73×(유방바깥쪽길이)+1.48×(유방아래길이)+5.04×(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91×(젖가슴밑윤곽선길이)
[수학식 2]
제 2 판별점수 = -241.35+5.02×(목앞점~젖꼭지점길이)+5.51×(목옆점~젖꼭지점길이)+3.41×(유방안쪽점사이간격)+9.33×(젖꼭지간격)+3.56×(유방아래직경)-9.67×(유방내측깊이)-2.43×(유방바깥쪽길이)+1.53×(유방아래길이)+6.25×(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29×(젖가슴밑윤곽선길이)
[수학식 3]
제 3 판별점수 = -280.94+4.57×(목앞점~젖꼭지점길이)+6.03×(목옆점~젖꼭지점길이)+2.03×(유방안쪽점사이간격)+9.62×(젖꼭지간격)+4.32×(유방아래직경)-11.46×(유방내측깊이)-1.88×(유방바깥쪽길이)+1.84×(유방아래길이)+7.46×(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97×(젖가슴밑윤곽선길이)
[수학식 4]
제 4 판별점수 = -294.79+5.99×(목앞점~젖꼭지점길이)+6.12×(목옆점~젖꼭지점길이)+2.80×(유방안쪽점사이간격)+8.96×(젖꼭지간격)+2.32×(유방아래직경)-9.41×(유방내측깊이)-2.31×(유방바깥쪽길이)+2.29×(유방아래길이)+6.91×(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89×(젖가슴밑윤곽선길이)
참고적으로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나타나 있는 상기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판별함수의 도출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유방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유방구성 항목을 주성분 분석, 베리멕스(Varimax)에 의한 회전을 실시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방전체 형상, 유방상부 내측형상, 유방볼륨, 유방하부 외측형상의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4개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측정대상자 182명에 대한 자료를 k평균 군집분석한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군집 유방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 후 사후검증(Duncan test)을 실시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유방 유형의 특징을 파악하게 되었다.
그리고 군집분석을 통해 분류된 유방 유형에 있어서 유방 유형 판별에 중요도가 높은 항목을 찾기 위해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유방 유형 판별에 중요도 내지 공헌도가 높은 항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앞점~젖꼭지점길이, 목옆점~젖꼭지점길이, 유방안쪽점사이간격, 젖꼭지간격, 유방아래직경, 유방내측깊이, 유방바깥쪽길이, 유방아래길이, 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 및 젖가슴밑윤곽선길이의 총 10개로 나타났으며, 이를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을 이용하여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판별함수를 도출하게 되었다.
도 7은 상기의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판별함수를 나타낸 표이다.
이 단계에서 판별된 착용자의 유방 유형은 시스템 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3. 실제 유방 볼륨 산출 단계(S3)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은 실제 유방 볼륨 산출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시스템 연산부는 착용자의 유방 볼륨을 산출하게 되는데, 시스템 저장부에 저장된 하기의 수학식 5를 호출하고 이 식에 해당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대입하여 유방 볼륨을 산출하게 된다.
[수학식 5]
유방 볼륨 = -398.86+(유방원주)+18.73×(젖꼭지높이)+12.85×(유방내측깊이)
여기서, 젖꼭지높이는 젖꼭지점을 지나는 수평면에서 젖가슴아래쪽점까지의 수직 길이를 지칭하며, 유방하부깊이와 동일하다.
상기 수학식 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유방구성 항목에 대해 실제 유방 볼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상관계수가 높은 유방구성 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유방볼륨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적으로 중회귀분석을 통해 회귀식을 구한 것이다.
이 단계에서 산출된 유방 볼륨을 시스템에 저장되게 된다.
4. 미적 유방 볼륨 산출 단계(S4)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은 미적 유방 볼륨 산출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는 시스템 연산부는 착용자에 이상적인 미적 유방 볼륨을 산출하게 되는데, 시스템 저장부에 저장된 하기의 수학식 6을 호출하고 이 식에 관련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대입하여 미적 유방 볼륨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미적 유방은 한국여성의 바람직한 유방 위치와 크기에 관한 연구(황건 외,2005)를 바탕으로, 정면에서 가쪽 경계선 사이의 거리가 가슴폭과 같고, 젖꼭지간격과 젖가슴너비가 3:4에 가깝고, 유방의 양쪽 형상이 큰 차이가 없으며, 측면 사진상에서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비율이 6:5에 가까운 유형으로 선정한 것으로 다른 연구자료에서도 이와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수학식 6]
미적 유방 볼륨= -611.30+17.67×(젖가슴둘레)-24.29×(젖가슴아래둘레)+16.31×(목옆점~젖꼭지점~허리둘레선길이)+22.83×(젖가슴너비)+12.22×(허리두께)-8.34×(겨드랑앞벽사이길이)
상기 수학식 6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유방구성 항목에 대해 미적 유방 볼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상관계수가 높은 유방구성 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미적 유방볼륨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적으로 중회귀분석을 통해 회귀식을 구한 것이다.
이 단계에서 산출된 미적 유방 볼륨은 시스템 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5. 패드 분량 산출 및 위치 설정 단계(S5)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은 패드 분량 산출 및 위치 설정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시스템 연산부는 이전 단계에서 판별된 유방 유형과 산출된 미적 유방 볼륨과 실제 유방 볼륨을 시스템 저장부로부터 호출하고, 유방 유형과, 미적 유방 볼륨과 실제 유방 볼륨의 차이를 이용하여 패드의 분량을 산출하고 패드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발달 유방(1유형)은 하부에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고, 반대로 하부 발달 유방(3유형)은 상부에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며, 밋밋한 유방(2유형)은 전체적으로 유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며, 돌출한 유방(4유형)은 패드 없이 설계된다.
그리고 패드 분량은 미적 유방 볼륨 산출 단계에서 구한 미적 유방 볼륨과 실제 유방 볼륨 산출 단계에서 구한 실제 유방 볼륨의 차이를 통해 산출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산출된 패드의 분량과 결정된 패드의 위치는 시스템 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6. 패턴 설계 단계(S6)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은 패턴 설계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시스템 연산부는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반영하여 브래지어 패턴 설계방법인 에스모드(ESMOD)식 브래지어 패턴 설계법(브래지어 원형 제도법)에 따라 패턴 설계를 하되, 각 유방 유형별로 미적 유방 형태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착용자의 유방에 적합하면서도 미적인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여기서, 각 유방 유형별로 미적 유방 형태로 수정하는 과정은, 첫째, 착용자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 비율은 미적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비율로 수정하는 단계와, 둘째, 유방의 유방아래직경을 미적 유방의 유방아래길이와 유방아래직경의 비율을 이용하여 이 전 단계에서 미적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비율에 따라 수정된 유방아래길이를 근거로 수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미적 유방 형태로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유방 유형별로 브래지어의 위 및 아래 전체 길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아래 길이의 비율을 높여 유두 위치를 조정하고 볼륨업(Volume-up)된 컵의 모양으로 패턴을 제작함으로써 착용자의 몸에 잘 맞으면서도 미적인 컵 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계된 브래지어는 시스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어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거나 제작에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을 따름으로써,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착용자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미적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브래지어의 설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착용자의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입력받는 유방구성 항목 치수 입력 단계,
    입력받은 상기 유방구성 항목 중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 치수로부터 유방 유형을 판별하는 유방 유형 판별 단계,
    착용자의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실제 유방 볼륨 산출 단계,
    착용자의 미적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미적 유방 볼륨 산출 단계,
    선정된 유방 유형과, 미적 유방 볼륨과 실제 유방 볼륨의 차이를 이용하여 패드의 분량을 산출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패드 분량 산출 및 위치 설정 단계 및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반영하여 브래지어 패턴 설계를 하되, 각 유방 유형별로 미적 유방 형태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는 패턴 설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은,
    목앞점~젖꼭지점길이, 목옆점~젖꼭지점길이, 유방안쪽점사이간격, 젖꼭지간격, 유방아래직경, 유방내측깊이, 유방바깥쪽길이, 유방아래길이, 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 및 젖가슴밑윤곽선길이이며;
    상기 유방 유형은,
    상부 발달 유방, 밋밋한 유방, 하부 발달 유방 및 돌출한 유방의 4 가지이며;
    상기 유방 유형의 판별은,
    하기의 판별함수에 실제 착용자의 유방 유형 판별을 위한 유방구성 항목 치수를 대입한 후 얻은 점수를 비교하여 최고점에 따라서 착용자의 유방 유형을 판별하되,
    제 1 판별점수가 제일 높은 경우는 상부 발달 유방으로 판별하고, 제 2 판별점수가 제일 높은 경우는 밋밋한 유방으로 판별하며, 제 3 판별점수가 제일 높은 경우는 하부 발달 유방으로 판별하며, 제 4 판별점수가 제일 높은 경우는 돌출한 유방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제 1 판별점수 = -292.84+6.04×(목앞점~젖꼭지점길이)+6.23×(목옆점~젖꼭지점길이)+4.62×(유방안쪽점사이간격)+10.93×(젖꼭지간격)+2.65×(유방아래직경)-10.25×(유방내측깊이)-3.73×(유방바깥쪽길이)+1.48×(유방아래길이)+5.04×(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91×(젖가슴밑윤곽선길이)

    제 2 판별점수 = -241.35+5.02×(목앞점~젖꼭지점길이)+5.51×(목옆점~젖꼭지점길이)+3.41×(유방안쪽점사이간격)+9.33×(젖꼭지간격)+3.56×(유방아래직경)-9.67×(유방내측깊이)-2.43×(유방바깥쪽길이)+1.53×(유방아래길이)+6.25×(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29×(젖가슴밑윤곽선길이)

    제 3 판별점수 = -280.94+4.57×(목앞점~젖꼭지점길이)+6.03×(목옆점~젖꼭지점길이)+2.03×(유방안쪽점사이간격)+9.62×(젖꼭지간격)+4.32×(유방아래직경)-11.46×(유방내측깊이)-1.88×(유방바깥쪽길이)+1.84×(유방아래길이)+7.46×(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97×(젖가슴밑윤곽선길이)

    제 4 판별점수 = -294.79+5.99×(목앞점~젖꼭지점길이)+6.12×(목옆점~젖꼭지점길이)+2.80×(유방안쪽점사이간격)+8.96×(젖꼭지간격)+2.32×(유방아래직경)-9.41×(유방내측깊이)-2.31×(유방바깥쪽길이)+2.29×(유방아래길이)+6.91×(젖가슴가쪽점~젖가슴위쪽점길이)+3.89×(젖가슴밑윤곽선길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제 유방 볼륨 산출 단계에서는 하기의 식에 의해 착용자의 실제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유방 볼륨 = -398.86+(유방원주)+18.73×(젖꼭지높이)+12.85×(유방내측깊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적 유방 볼륨 산출 단계에서는 하기의 식에 의해 착용자의 미적 유방 볼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미적 유방 볼륨= -611.30+17.67×(젖가슴둘레)-24.29×(젖가슴아래둘레)+16.31×(목옆점~젖꼭지점~허리둘레선길이)+22.83×(젖가슴너비)+12.22×(허리두께)-8.34×(겨드랑앞벽사이길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유방 유형별로 미적 유방 형태로 수정하는 과정은,
    착용자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 비율은 미적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비율로 수정하는 단계 및
    유방의 유방아래직경을 미적 유방의 유방아래길이와 유방아래직경의 비율을 이용하여 이 전 단계에서 미적 유방의 유방위길이와 유방아래길이의 비율에 따라 수정된 유방아래길이를 근거로 수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드 분량 산출 및 위치 설정 단계에서는,
    상부 발달 유방은 하부에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고, 반대로 하부 발달 유방은 상부에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며, 밋밋한 유방은 전체적으로 유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패드로 설계가 되며, 돌출한 유방은 패드가 없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KR1020120019967A 2012-02-27 2012-02-27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KR101330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967A KR101330481B1 (ko) 2012-02-27 2012-02-27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967A KR101330481B1 (ko) 2012-02-27 2012-02-27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101A KR20130098101A (ko) 2013-09-04
KR101330481B1 true KR101330481B1 (ko) 2013-11-15

Family

ID=4945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967A KR101330481B1 (ko) 2012-02-27 2012-02-27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525A1 (ko) * 2018-04-05 2019-10-10 연봉근 미용팩, 브래지어의 제조 방법 및 브래지어용 패드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150A (ko) * 2000-10-12 2002-04-18 전홍건 신체치수 체계를 적용한 의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를위한 신체치수 추정 방법
KR20030076999A (ko) * 2001-01-11 2003-09-29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컵부를 갖는 파운데이션 속옷 생산 관리 시스템
US20040049435A1 (en) 1999-10-18 2004-03-11 Nabarro Daniel Joseph Nunes Method and system for buying and selling bras
KR20050093627A (ko) * 2004-03-20 2005-09-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 유형에 따른 브래지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9435A1 (en) 1999-10-18 2004-03-11 Nabarro Daniel Joseph Nunes Method and system for buying and selling bras
KR20020029150A (ko) * 2000-10-12 2002-04-18 전홍건 신체치수 체계를 적용한 의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를위한 신체치수 추정 방법
KR20030076999A (ko) * 2001-01-11 2003-09-29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컵부를 갖는 파운데이션 속옷 생산 관리 시스템
KR20050093627A (ko) * 2004-03-20 2005-09-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 유형에 따른 브래지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101A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Ghee et al. Breast volume and bra size
CN105976406B (zh) 测量系统、测量装置、以及脚型测量方法、和系统
EP2986213B1 (en) Bra fitting method
JP2020510271A (ja) 人体胸部寸法の計測方法、ブラジャーサイズの選択及び実現方法
CN105243547A (zh) 一种鞋类个性定制服务平台及其定制方法
WO2006002060A2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integrated garment-model simulations
KR20180048449A (ko) 조리 품질의 평가 방법 및 장치
CN105105398B (zh) 一种基于基础尺码获取成衣尺寸数据的方法
JP5109084B2 (ja) 下着のオーダーメイドシステム、サーバ、下着のオーダーメイドの方法、及び下着のオーダーメイドのプログラム
CN105029812B (zh) 一种人台制作方法及应用该方法制作的人台
Liu et al. Study of optimum parameters for Chinese female underwire bra size system by 3D virtual anthropometric measurement
US20220366715A1 (en) Optimizing bra sizing according to the 3d shape of breasts
KR102236191B1 (ko)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체형분류 자동화 및 패턴 자동보정 시스템
KR101330481B1 (ko) 유방 유형을 반영한 브래지어 설계방법
CN106157094A (zh) 一种基于自动测量的适体文胸推荐方法
CN106419922B (zh) 一种人体数据分类方法
KR101275538B1 (ko)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인체와 의복 사이의 공극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Petrak et al. Research of 3D body models computer adjustment based on anthropometric data determined by laser 3D scanner
ÇİLEROğLU Body shapes of Turkish women: In terms of the ready-to-wear industry
McGhee et al. Three-dimensional scanning of the torso and breasts to inform better bra design
Cottle et al. Framework of understanding somatological constructs relative to the fit of apparel
Surville et al. 3d virtual try-on: The avatar at center stage
Shin Intimate apparel: designing intimate apparel to fit different body shapes
Zheng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Breast Shapes
Lee Developing apparel sizing systems for particular grou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