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434B1 -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434B1
KR101330434B1 KR1020120012938A KR20120012938A KR101330434B1 KR 101330434 B1 KR101330434 B1 KR 101330434B1 KR 1020120012938 A KR1020120012938 A KR 1020120012938A KR 20120012938 A KR20120012938 A KR 20120012938A KR 101330434 B1 KR101330434 B1 KR 10133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er
value
unique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558A (ko
Inventor
강현우
백민영
Original Assignee
(주)이스트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트소프트 filed Critical (주)이스트소프트
Priority to KR102012001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4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와 서버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될 각 프로그램 별로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서버 접속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ID, 단말기 자체의 고유한 식별값인 단말기 고유값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접속 시도한 단말기를 인식하고,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정보 입력 과정 없이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to server of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에서 서버에 접속한 불특정 다수의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은 통신망과 통신망을 연동해 놓은 망의 집합을 의미하는 인터네트워크(internetwork)의 약어이며, 랜(LAN) 등 소규모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형태에서 점차 발전하여 현재는 전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가 되었다.
인터넷에는 PC 통신처럼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이 되는 호스트 컴퓨터도 없고 이를 관리하는 조직도 없다. 인터넷을 대표하는 조직으로 ISOC(Internet Society)가 있지만 인터넷망을 총괄 관리하는 기구는 아니다. 그러나 인터넷을 총괄적으로 관리하지는 않지만 인터넷상의 어떤 컴퓨터 또는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실제의 관리와 접속은 세계 각지에서 분산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현재 인터넷은 전화망 버금가는 거대한 세계적 정보 기반이 되었으며 통신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 전송(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 검색(Gopher), 인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 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WWW:World Wide Web),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하며 동화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서비스나 비디오 회의 등 새로운 서비스가 차례로 개발되어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와 풍부한 정보자원 때문에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한다.
PC,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의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서버 측에서는 접속한 불특정 단말기들을 인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또는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단말기를 인식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정보를 잘못 입력하여 서버측에서 단말기를 인식하는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할 때, 불특정 다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별도의 정보 입력과정없이 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와 서버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될 각 프로그램 별로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서버 접속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ID, 단말기 자체의 고유한 식별값인 단말기 고유값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접속 시도한 단말기를 인식하고,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코드값이 없으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코드값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고유한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생성한 코드값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코드값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상기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고유한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고유값은 MAC(Media Access Control) 값 또는 장치 ID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상기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MAC 값을 해쉬 방식으로 암호화한 값을 상기 단말기 고유값으로 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넷 환경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와 서버가 연결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 별로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서버 접속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접속 시도한 단말기를 인식하고,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ID, 단말기 자체의 고유한 식별값인 단말기 고유값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코드값이 없으면, 상기 서버에 코드값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코드값을 요청받으면, 고유한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한 코드값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상기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고유값은 MAC(Media Access Control) 값 또는 장치 ID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MAC 값 또는 장치 ID를 해쉬 방식으로 암호화한 값을 상기 단말기 고유값으로 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정보 입력 과정 없이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유의 코드값 생성 등의 암호화/복호화 과정을 통해 시스템의 오류 발생을 방지하고,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인터넷 환경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200)와 서버(100)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단말기(200)에 설치된 각 프로그램 별로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단말기(200)에 설치된 각 프로그램은 서버(100) 접속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접속 시도한 단말기를 인식하고, 분석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서버,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 등을 가정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서버(100)로부터 접속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내용이 있을 경우 접속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프로그램 고유 ID, 단말기 자체의 고유한 식별값인 단말기 고유값 및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200)는 PC,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200)는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코드값이 없으면, 서버(100)에 코드값을 요청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코드값을 요청받으면, 고유한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한 코드값을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200)는 서버(100)에서 받은 코드값을 저장한다.
보통 단말기마다 고유한 ID를 의미하는 장치 ID(Device ID), MAC(Media Access Control) 값 등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장치 ID, MAC 값 등의 데이터를 해쉬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단말기 고유값으로 활용할 수 있다. MAC 값을 해쉬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단말기 고유값으로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 고유값은 MAC(Media Access Control) 값일 수 있다. 이때, 단말기(200)는 MAC 값을 해쉬 방식으로 암호화한 값을 단말기 고유값으로 하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단말기 MAC 값이 99:47:1D:C4:T6:53 인 경우, 이 MAC 값을 해쉬한 해쉬 MAC 값은 a782F42107AEA31B99A485E046FCC340A 이다. 이러한 해쉬 MAC 값은 단방향 암호화로 복호화가 불가능한 특성이 있다.
참고로, MAC(Media Access Control) 값은 특정 구역 내 정보통신망인 LAN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모델인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를 말한다. MAC 주소는 이더넷 카드의 읽기용 기억장치(ROM)에 기록된 것으로서, 주소 크기가 48비트인 경우, 전반부 24비트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가 공동으로 공중통신망 판매업자들에게 할당하고, 이들이 다시 후반부 24비트를 세부 할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프로그램 별로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서버 접속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접속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200)에서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S205),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7).
코드값이 없으면, 단말기(200)는 서버(100)에 코드값을 요청한다(S209).
그러면, 서버(100)는 고유한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211).
그리고, 서버(100)는 생성한 코드값을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코드값을 수신한 단말기(200)는 이를 저장한다(S213).
다음, 단말기(200)는 프로그램 ID, 단말기 자체의 고유한 식별값인 단말기 고유값 및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S215).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프로그램 ID, 단말기 고유값 및 코드값을 특정 규칙에 맞게 문자열로 구성하고, 해당 문자열의 앞, 뒤에 임의의 값을 추가하고, 이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접속 시도한 단말기를 인식하고, 분석한 정보를 저장한다(S217). 예를 들어, 서버(100)는 단말기 식별 정보 중에서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ID, 단말기 고유값 및 코드값을 DB에 저장된 내용과 비교하여 정상적인 값인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법으로 서버(100)에서 접속한 불특정 다수의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S209 단계에서, 단말기(200)는 서버(100)에 ID와 단말기 고유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211 단계에서 서버(100)는 단말기(200)의 ID와 단말기 고유값을 이용하여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 고유값은 MAC(Media Access Control) 값일 수 있다. 이때, 단말기(200)는 MAC 값을 해쉬 방식으로 암호화한 값을 단말기 고유값으로 하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단말기 MAC 값이 99:47:1D:C4:T6:53 인 경우, 이 MAC 값을 해쉬한 해쉬 MAC 값은 a782F42107AEA31B99A485E046FCC340A 이다. 이러한 해쉬 MAC 값은 단방향 암호화로 복호화가 불가능한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ID가 부여된 접속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된다. 여기서 ID는 SID(System Identification Number)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프로그램은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배포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개발자가 응용 프로그램인 접속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SDK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통해 서버 접속시, 서버에서 단말기 인식관련 수정, 추가 내용이 있을 경우, 해당 내용이 클라이언트에서도 수정될 수 있도록 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Kit)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기술자가 특정한 소프트웨어 꾸러미,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하드웨어 플랫폼, 컴퓨터 시스템, 게임기, 운영 체제 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개발 도구의 집합이다. 특정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접속하거나 특정한 임베디드 시스템과 통신하는 복잡한 하드웨어를 포함하기 위한 어떠한 파일들의 측면에서는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등으로 단순하게 표기할 수 있다. 공통 도구에는 디버깅 보조 프로그램과 다른 유틸리티를 통합 개발 환경(IDE)의 형태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는 샘플 코드를 포함하여 기술 참고나 지원 문서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명확한 요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서버 200 단말기
300 유무선 통신망

Claims (10)

  1. 인터넷 환경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와 서버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될 각 프로그램 별로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서버 접속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ID, 단말기 자체의 고유한 식별값인 단말기 고유값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접속 시도한 단말기를 인식하고,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코드값이 없으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코드값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고유한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생성한 코드값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코드값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상기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고유한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고유값은 MAC(Media Access Control) 값 또는 장치 ID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상기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MAC 값을 해쉬 방식으로 암호화한 값을 상기 단말기 고유값으로 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6. 인터넷 환경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와 서버가 연결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 별로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서버 접속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접속 시도한 단말기를 인식하고,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ID, 단말기 자체의 고유한 식별값인 단말기 고유값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코드값이 없으면, 상기 서버에 코드값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코드값을 요청받으면, 고유한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한 코드값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상기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ID와 상기 단말기 고유값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고유값은 MAC(Media Access Control) 값 또는 장치 ID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MAC 값 또는 장치 ID를 해쉬 방식으로 암호화한 값을 상기 단말기 고유값으로 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 시스템.
KR1020120012938A 2012-02-08 2012-02-08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10133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938A KR101330434B1 (ko) 2012-02-08 2012-02-08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938A KR101330434B1 (ko) 2012-02-08 2012-02-08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558A KR20130091558A (ko) 2013-08-19
KR101330434B1 true KR101330434B1 (ko) 2013-11-15

Family

ID=4921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938A KR101330434B1 (ko) 2012-02-08 2012-02-08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4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16A (ko) * 2003-08-09 2005-02-23 (주)서진씨엔씨테크 전시물 현장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3989A (ko) * 2003-12-03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스캐너 및 네트워크 스캔 시스템 구성 및 유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16A (ko) * 2003-08-09 2005-02-23 (주)서진씨엔씨테크 전시물 현장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3989A (ko) * 2003-12-03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스캐너 및 네트워크 스캔 시스템 구성 및 유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558A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1127B2 (en) Enrolling a mobile device with an enterprise mobile device management environment
US9769266B2 (en) Controlling access to resources on a network
US6438600B1 (en) Securely sharing log-in credentials among trusted browser-based applications
JP2020030866A (ja) 機密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サーバ、ならびに、セキュリティ決定システム
US9258320B2 (en) System for testing computer application
US10440111B2 (en) Application execution program,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that executes application
US109860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CN103944890A (zh) 基于客户端/服务器模式的虚拟交互系统及方法
KR20160043044A (ko) 대량의 vpn 접속들을 종료시키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CN107015996A (zh) 一种资源访问方法、装置及系统
US20170371625A1 (en) Content delivery method
CN111030963B (zh) 文档追踪方法、网关设备及服务器
CN109542862A (zh) 用于控制文件系统的挂载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119928A (zh) 安卓智能终端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7426266B (zh) 数据处理方法和服务器
CN108156092A (zh) 报文传输控制方法和装置
CN103034811B (zh) 一种文件处理的方法、系统及装置
CN106537962B (zh) 无线网络配置、接入和访问方法、装置及设备
KR102032958B1 (ko) 취약점 점검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9143510B2 (en) Secure identification of intranet network
CN112019358A (zh) 网络配置方法、装置、设备和系统
CN113784354B (zh) 基于网关的请求转换方法和装置
CN105871749A (zh) 一种基于路由器的网络访问控制方法、系统及相关设备
US11689551B2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pplications that circumvent permissions and/or obfuscate data flows
KR101330434B1 (ko) 단말기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