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737B1 - Develop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elop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737B1
KR101329737B1 KR1020060117912A KR20060117912A KR101329737B1 KR 101329737 B1 KR101329737 B1 KR 101329737B1 KR 1020060117912 A KR1020060117912 A KR 1020060117912A KR 20060117912 A KR20060117912 A KR 20060117912A KR 101329737 B1 KR101329737 B1 KR 10132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oller
film member
support shaft
ton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27436A (en
Inventor
최원
무네노브 오쿠보
미츠구 이노마타
쿠니오 시게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5791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85196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579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845659B2/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2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4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36Way of functioning of agitator means
    • G03G2215/0841Presentation of developer to donor member

Abstract

현상롤러와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현상장치는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 현상롤러의 하부쪽의 현상제공급영역에 현상롤러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마련된 필름부재와, 필름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필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토너이송부재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60117912

A developing roll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disclosed develop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ing roller for attaching and transporting a developer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lm member provided to approach or contact the developing roller in a developer supply area at a lower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to insert the film member. A toner transfer member having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ed thereon is provided.

Figure R1020060117912

Description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Develop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4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5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토너이송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ner transport member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7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토너이송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ner conveying member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름부재와 현상롤러 사이에 정전흡착력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does not operate between the film member and the developing roller shown in FIG. 9;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필름부재와 현상롤러 사이에 정적흡착력이 작동하면서 토너가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oner passes while the static adsorption force is operated between the film member and the developing roller shown in FIG. 9;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층규제 대전부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12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shown in FIG. 9;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층규제대전부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13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shown in FIG. 9;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40,240,340,340',340''...현상장치140,240,340,340 ', 340' '... developing device

141,241,341...감광드럼 142,242,342...현상롤러141,241,341 ... photosensitive drum 142,242,342 ... developing roller

143,344...층규제 대전부재 144,244,343...RS롤러143,344 ... layer regulated charging member 144,244,343 ... RS roller

145,245...교반부재 147...토너이송부재145,245 Stirring element 147 Toner transfer member

148,345...필름부재 149...지지축148,345 Film member 149 Support shaft

346...지지부재 348...미소간극346 Supporting member 348 Smile clearance

본 발명은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공급부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toner supply memb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현상장치(1)는 토너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10), 현상롤러(10)에 부착되는 토너의 층을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20), 현상롤러(10)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잔류토너를 박리하거나 또는 현상롤러(10)에 토너를 공급하는 RS롤러(30,remove and supply roller)와,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부재(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eveloping apparatus 1 includes a developing roller 10 for attaching and transferring toner, a doctor blade 20 for regulating a layer of ton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a developing roller 10. An RS roller 30 for removing residual toner remain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supplying toner to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a stirring member 40 for stirring the toner are provided.

위와 같이 구성되는 현상장치(1)의 토너이송경로를 살펴보면, 토너용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토너받침(50)의 상측에 마련된 교반부재(40)에 의하여 교반되어, 베이스(60)에 고정된 닥터블레이드(20)와 현상롤러(10)사이에 마련된 토너공급영역(C)에 공급된다. 토너공급영역(C)에 공급된 토너는 닥터블레이드(20)를 지나면서 대전 및 박층으로 형성되어 현상롤러(10)에 부착된다. 현상롤러(10)에 부착된 토너는 감광드럼(5)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감광드럼(5)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현상롤러(10)상에 잔류하는 잔류토너는 스폰지 등의 발포체(31)로 이루어진 RS롤러(30)에 의해 기계적으로 박리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평 11-167254호에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toner transfer path of the developing devic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oner supplied from the toner container (not shown) is stirred by the stirring member 40 provided above the toner support 50, the base 60 Is supplied to the toner supply region C provided between the doctor blade 20 and the developing roller 10 fixed thereto. The toner supplied to the toner supply region C is formed into a charge and a thin layer while passing through the doctor blade 20 and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10. The ton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10 develop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5 at a position facing the photosensitive drum 5. The remaining toner remaining on the developing roller 10 is mechanically peeled off by the RS roller 30 made of foam 31 such as a sponge. Such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167254.

위와 같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현상장치는 현상롤러(10)에의 토너공급능력이 낮다.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as described above has a low toner supply ability to the developing roller 10.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도 2를 참조하면, 현상장치(1')는 토너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10), 현상롤러(10)에 부착되는 토너의 층을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20), 현상롤러(10)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잔류토너를 박리하거나 또는 현상롤러(10)에 토너를 공급하는 RS롤러(30,remove and supply roller)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eveloping apparatus 1 ′ includes a developing roller 10 for attaching and transferring toner, a doctor blade 20 for regulating a layer of ton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a developing roller 10. RS to remove the residual toner remain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r to supply the toner to the developing roller (10).

현상롤러(10)와 RS롤러(3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현상롤러(10)와 RS롤러(30)의 접촉부 위쪽에 토너웅덩이(D)를 형성한다. 닥터블레이드(20)의 일단이 토너웅덩이(D)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롤러(10)와 닥터블레이드(20)에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충분한 양의 토너가 공급될 수 있다.The developing roller 10 and the RS roller 30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to form a toner pool D above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the RS roller 30. Since one end of the doctor blade 20 is located in the toner pool D, a sufficient amount of toner can be supplied to a gap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the doctor blade 20.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현상장치(1)는 교반부재(40)에 의한 압력으로 닥터블레이드(20)와 현상롤러(10)사이의 틈에 토너를 공급하나, 도 2에 도시된 현상장치(1')는 현상롤러(10)와 RS롤러(30)가 접촉하여 직접 토너를 닥터블레이드(20)와 현상롤러(10)사이의 틈에 공급하므로 토너공급능력이 높다.  Therefore, the developing apparatus 1 shown in FIG. 1 supplies toner to a gap between the doctor blade 20 and the developing roller 10 by the pressure of the stirring member 40, but the developing apparatus shown in FIG. 1 ') has high toner supply capability because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the RS roller 30 contact each other and directly supply the toner to the gap between the doctor blade 20 and the developing roller 10.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해, 예를 들어 도1의 토너공급영역(C)에 체류하는 토너를 현상롤러(10)와 닥터 블레이드(20)사이에 적극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RS롤러(30)와 동일한 롤러를 토너공급영역(C)에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For the above problem, for example, in order to actively supply toner remaining in the toner supply region C of FIG. 1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the doctor blade 20, the same roller as the RS roller 30 is used. It is conceivable to provide the toner supply region C. FIG.

그러나, RS롤러(30)는 발포체층(31)에 의해 토너의 공급 및 박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포체층(31)의 두께가 최저 약 3mm 필요하고, 중심축 지름까지 고려하면, 직경이 약 10mm의 롤러가 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롤러의 설치제약이나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in order to supply and peel the toner by the foam layer 31, the RS roller 30 needs the thickness of the foam layer 31 to be at least about 3 mm, and considering the central axis diameter, the diameter is about 10 mm. It should be a roller. For this reason, it is unpreferable in terms of installation constraints and cost of a roller.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공급영역(C)에 롤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토너공급영역(C)에 토너가 체류해 버리고, 현상롤러(10)와 닥터블레이드(20)사이로의 토너공급량이 변동하기 쉽다. 이 때문에, 현상롤러(10)상의 토너층의 두께가 변동하고, 화질의 열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토너공급영역(C)에 롤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공급능력이 있는 롤러의 배치는 어렵고, 꼭 필요한 경우에는 교반 기능만을 가진 축이 마련된다.In addition, when the roller is not provided in the toner supply area C as described above, the toner remains in the toner supply area C, and the toner supply amount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the doctor blade 20 is reduced. Easy to change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of the toner layer on the developing roller 10 varies, and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occur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oller in the toner supply region C.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of the roller having the toner supply capability is difficult, and if necessary, an axis having only a stirring function is provided.

한편, 도 2에 도시된 현상장치(1')의 닥터블레이드(20)는 직사각형 방향을 따라 견고하고, 현상롤러(10)에 대해 높은 선압을 가한다. 이 때문에, 닥터블레이드(20)의 평면성이나 현상롤러(10)의 원통형상의 불균일에 의한 닙의 불균일이나, 현상롤러(10)의 회전에 따른 닙 상태의 변동에 따라, 현상롤러(10)위의 토너층이 불균일해지거나, 닙 상태에 변동이 생겨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ctor blade 20 of the developing device 1 ′ shown in FIG. 2 is firm along the rectangular direction and exerts a high linear pressure on the developing roller 10.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nonuniformity of the nip by the planarity of the doctor blade 20, the cylindrical nonuniformity of the developing roller 10, or the variation of the nip stat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ner layer becomes nonuniform or the nip state changes,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10-39623호에 개시된 유연성 닥터블레이드(40)가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3, the flexible doctor blade 40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0-39623 has been proposed.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도 3을 참조하면, 유연성 닥터블레이드(40)는 거의 L자형상의 블레이드(41)가 박판모양의 갭 조정판(42)에 의해 뒷받침되고, 탄성폼(43)을 사이에 두고 블레이드 지지부재(44)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41)와 블레이드 지지부재(44)사이에 탄성폼(43)을 마련함으로써 현상롤러(10)의 회전방향의 변동에의 추종성이 향상되며, 갭 조정판(42)에 의해 현상 롤러(10)의 트러스트 방향의 블레이드 평면성이 향상된다.Referring to FIG. 3, the flexible doctor blade 40 has a substantially L-shaped blade 41 supported by a thin gap adjusting plate 42, and a blade support member 44 with an elastic foam 43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fixed at. By providing the elastic foam 43 between the blade 41 and the blade supporting member 44, the followability to variation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10 is improved, and the developing roller 10 is provided by the gap adjusting plate 42. The blade planarity in the trust direction is improved.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유연성 닥터블레이드(40)에서는, 현상롤러(10)의 주면에 대해 수직방향에서의 닥터 블레이드 추종성과 블레이드(41)의 현상롤러 회전 방향에서의 토너의 유지력과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41)의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상류측의 주방향 변위에 의해 토너의 유입구가 되는 쐐기형상의 갭이 변동한다. 이 갭이 변동함으로써 토너의 수확량이 변동하거나, 탄성폼(43)에 의한 압압의 최적화가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flexible doctor blade 40 shown in Fig. 3, both the doctor blade track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0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toner in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 41 are maintained. It's hard to do. For this reason, the wedge-shaped gap used as the inlet of toner fluctuates by the circumferential displacement of the blade 41 upstream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As the gap fluctuat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yield of toner fluctuates, or it is difficult to optimize the pressure by the elastic foam 4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소형으로 토너공급능력을 가지는 토너이송부재 및, 토너를 대전시킴과 동시에 균일한 토너층을 형성할 수 있는 층규제 대전부재를 구비한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ncludes a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toner conveying member having a compact toner supply capability, and a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capable of charging a toner and forming a uniform toner layer at the same time, and an image employing the sam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orming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현상장치는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evelo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eloping roller for attaching and transferring a developer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현상롤러의 하부쪽의 현상제공급영역에 상기 현상롤러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마련된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필름부재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토너이송부재를 구비한다.A film member provided near or in contact with the developing roller in a developer supply region at the lower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member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A gap is formed, the toner conveying member having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film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은 회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upport shaf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현상롤러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to the developing roller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된다.The film member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은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upport shaf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지지축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on the support shaft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대해 슬라이딩을 일으킨다.The film member causes sliding against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upport shaf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지지축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on the support shaft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지지축과 상기 필름부재는 일체로 회동한다.The support shaft and the film member are rotated integrall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반송하는 현상롤러;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developing roller for transporting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된 현상제의 층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현상제를 대전시키는, 유연성을 가진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외접하도록 상기 필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층규제 대전부재를 구비하며,A film member having flexibility, which charges the developer while simultaneously regulating a layer of a develop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and supporting the film membe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lm member is externally circumscrib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It is provided with a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having a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된 상기 필름부재의 고정단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필름부재 사이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의 도입구인 미소간극이 일정해지도록 마련되며, The fixed end of the film member fixed to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so that a small gap, which is an introduction port of the developer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film member, becomes constant.

상기 필름부재의 자유단은 상기 필름부재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에 정전흡착되며, 상기 미소간극은 2mm 이하이다.The free end of the film member is electrostatically adsorbed to the developing roller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ilm member, and the micro gap is 2 mm or less.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름부재는 적어도 중저항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저항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저항층의 저항값은 104∼109Ωㆍcm 이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lm member further comprises a medium resistance layer made of at least a medium resistance material, where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medium resistance layer is 104 to 109 Ω · c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름부재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필름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공급부재를 더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lm member, further comprising a voltage supply member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lm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현상롤러에는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voltages are applied to the film member and the developing roll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름부재는 표면 저항층을 더 구비하고,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lm member further comprises a surface resistive layer,

상기 표면 저항층의 현상롤러의 회전방향의 상류측은 저저항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 저항층의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은 고저항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upstream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of the surface resistance layer is made of a low resistance material,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of the surface resistance layer is made of a high resistanc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장치와 화상을 인쇄매체에 융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developing apparatus and a fixing apparatus for fusing an image onto a print medium,

상기 현상장치는The developing device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A developing roller for transferring the develope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현상롤러의 하부쪽의 현상제공급영역에 상기 현상롤러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마련된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필름부재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토너이송부재를 구비한다.A film member provided near or in contact with the developing roller in a developer supply region at the lower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member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A gap is formed, the toner conveying member having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film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1)의 하측에는 인쇄용지(S)를 장착하고 착탈 가능 하게 용지카세트(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지카세트(110)의 상측에는 상기 인쇄용지(S)를 낱장 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120)가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1 is attached to the printing paper (S), the paper cassette 110 is installed detachably, the upper side of the paper cassette 110, the printing paper (S) Pick-up roller 120 for picking up one by one is installed.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용지(S)의 이송경로를 따라 마련된 현상장치(140), 노광장치(142), 전사롤러(150), 정착장치(160) 및 배지장치(170)를 구비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eveloping device 140, an exposure device 142, a transfer roller 150, a fixing device 160, and a discharge device 170 provided along a transport path of the printing paper S. do.

상기 현상장치(140)는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로 일부 노출된 감광드럼(141)을 구비하고 있다.The developing device 140 supplies a toner as a develop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to develop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nto a toner image,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1, and has a photosensitive drum 141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Doing.

상기 노광장치(142)는 인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감광드럼(14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감광드럼(141)의 표면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조사하는 방식인 레이저스캐닝유니트(LSU)가 사용된다.The exposure apparatus 142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41 in response to printing data. In general, the exposure apparatus 142 emits light irradiated from a light source onto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41. Scanning unit (LSU) is used.

상기 전사롤러(150)는 상기 감광드럼(141)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14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 인쇄용지(S)에 전사시킨다.The transfer roller 150 is installed to face the photosensitive drum 141 to transfer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41 to the printing paper S. FIG.

상기 정착장치(160)는 토너화상이 전사된 상기 인쇄용지(S)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상기 인쇄용지(S)에 융착시키는 것이다. 대체로, 열을 발생하는 히팅롤러와 상기 인쇄용지(S)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device 160 fuses the toner image onto the printing paper S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printing paper S on which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In general, it comprises a heating roller for generating heat and a pressure roller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printing paper (S).

상기 배지장치(170)는 상기 정착장치(160)에 의하여 토너화상이 융착된 인쇄용지(S)를 상기 본체(101)의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discharge device 170 discharges the printing paper S on which the toner image is fused by the fixing device 16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1.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토너이송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ner conveying member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140)는 현상제인 토너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142), 현상롤러(142)상의 토너의 층을 규제하고 토너를 대전시키기 위한 층규제 대전부재(143), 현상롤러(142)상의 잔류토너를 회수하는 RS롤러(144),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부재(145)와, 토너공급영역에 마련되는 토너이송부재(147)를 구비한다.5 and 6, the developing apparatus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ulates the layer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and the toner on the developing roller 142 to attach and transfer the toner as a developer. A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for charging the toner, an RS roller 144 for collecting residual toner on the developing roller 142, a stirring member 145 for stirring the toner, and a toner transport member provided in the toner supply area. 147 is provided.

상기 현상롤러(142)는 그 외주면에 현상제인 토너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원주 형상의 현상제담지체이며, 도 4의 지면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현상 롤러(110)는 회전함으로써 토너를 이송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토너를 감광드럼(141)에 공급한다. 상기 현상롤러(142)는 상기 감광드럼(141)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감광드럼(141)과의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전압(V1)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현상롤러(142)와 감광드럼(141)의 전압이 약 400V가 되도록 상기 현상롤러(142)에 전압(V1)이 인가된다.The developing roller 142 is a circumferential developer carrying member for attaching and transporting toner, which is a developer,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disposed to exten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paper of FIG. The developing roller 110 transfers the toner by rotating and supplies the toner for develop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to the photosensitive drum 141. The developing roller 142 is provided in close proximity to the photosensitive drum 141, and a voltage V1 is applied to form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141. For example, the voltage V1 is a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2 such that the voltage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42 and the photosensitive drum 141 is about 400V.

상기 층규제 대전부재(143)는 토너의 층규제 및 대전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상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층규제 대전부재(143)는, 일면이 상기 현상롤러(142)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현상롤러(142)의 회전방향의 상류 쪽에는, 상기 현상롤러(142)와 층규제 대전부재(143)사이에 토너를 도입하기 위한 토너공급영역(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142)의 회전방향의 하류 쪽에는, 토너의 층규제를 수행하면서 대전시키도록 근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층규제 대전부재(143)의 일단은 베이스(101a)에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is a member for performing layer regulation and charging of the toner, and is formed of, for example, a plate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is provided so that one surface thereof fac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 toner supply region C for introducing toner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42 and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Further, a down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s provided so as to be charged while performing layer regulation of the toner. In addition, one end of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base 101a.

상기 RS롤러(144)는 상기 감광드럼(141)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현상롤러(141)에 잔류한 토너를 회수하는 회수부재로서 기능한다. 상기 RS롤러(144)의 외주부는 스폰지층(131)으로 되어 있고, 상기 현상롤러(142)에 압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RS롤러(144)에는, 예를 들어, 상기 현상롤러(142)와 거의 등전위가 되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부재로서 RS롤러(144)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RS roller 144 functions as a recovery member for recovering toner remaining in the developing roller 141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141.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S roller 144 is made of a sponge layer 131, and is arranged to be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developing roller 142. For example, a voltage is applied to the RS roller 144 such that it is substantially equipotential to the developing roller 142. In addition, although the RS roller 144 was used as a collection | recovery member in this embodimen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상기 교반부재(145)는 상기 현상롤러(142)에 공급되는 토너를 교반하는 부재이다. 상기 교반부재(145)에는 상기 RS롤러(144)에 의해 회수된 상기 현상롤러(142)상의 잔류토너와 새로 공급되는 토너가 공급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교반부재(145)에 의해 교반된다. 상기 교반부재(14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회전축(145a)에 거의 등간격으로 마련된 4개의 날개부재(145b)를 구비한다. 상기 교반부재(145)의 회전축(145a)을 회전시켜 날개부재(145b)를 회전함으로써 토너를 토너공급영역(C)에 공급한다.The stirring member 145 is a member for stirring the toner su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2. The toner supplied to the stirring member 145 and the remaining toner on the developing roller 142 recovered by the RS roller 144 and the newly supplied toner are agitated by the stirring member 145 rotating clockwise. As shown in FIG. 4, the stirring member 145 is provided with four wing members 145b provid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on the rotation shaft 145a, for example. The toner is supplied to the toner supply region C by rotating the wing member 145b 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145a of the stirring member 145.

상기 토너이송부재(147)는 토너를 이송하는 필름부재(148)와, 상기 필름부재(148)의 내측에 삽입된 지지축(149)을 구비한다. 상기 필름부재(148)는 약 104∼109Ω.cm의 저항값(체적 저항값 또는 표면 저항값)의 재질로 형성되는 중저항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저항층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등을 주로 한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름부재(148)의 두께는 약 50∼500μm으로 형성된다.The toner conveying member 147 includes a film member 148 for conveying toner and a support shaft 149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148. The film member 148 preferably includes a medium resistance laye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value (volume resistance value or surface resistance value) of about 104 to 109 Ω.cm. The medium resistance layer is formed of, for example, a polymer film mainly made of polyimide, polycarbonate, polyamide, or the like. The film member 148 has a thickness of about 50 to 500 μm.

상기 지지축(149)은 상기 필름부재(14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고, 지지축(1493)자체는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49)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그 직경은 약 4∼5mm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149)에는 전압(V2)이 인가되며, 접촉에 의해 상기 필름부재(148)에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현상롤러(142)와 지지축(149)의 전위 차가 없는 상태(초기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49)의 외주면과 상기 필름부재(148)의 내주면 사이에는 아주 작은 틈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부재(148)는 상기 지지축(149)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149)의 외주면과 상기 필름부재(148)의 내주면을 미끄럼이 좋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름부재(148)의 회전이 용이해진다. 또한 초기상태에서, 상기 필름부재(148)는 상기 현상롤러(142)의 외주면과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마련된다.The support shaft 149 is a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ilm member 148, and the support shaft 1493 itself is fixed to be rotatable. The support shaft 149 is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for example, and the diameter thereof is formed to be about 4 to 5 mm. In addition, a voltage V2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149 to supply voltage to the film member 148 by contac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42 and the support shaft 149 (initial state), a very small gap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49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148. Thus, the film member 148 may rotate around the support shaft 149. In this ca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49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148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ood sliding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film member 148. In addition, in the initial state, the film member 148 is provided to approach or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현상장치(140)는 현상장치(140)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전압제어부는 현상 롤러(142) 및 지지축(149)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한다. 각 부재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현상롤러(142)와 지지축(149)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developing devic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oltage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a voltage applied to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developing device 140. The voltage controller controls a voltage a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2 and the support shaft 149. By controlling the voltage of each member,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42 and the support shaft 149 can be controlled.

상기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140)는 상기 교반부재(145)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이송하는 상기 토너이송부재(1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veloping apparatus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toner transfer member 147 for transferring the toner supplied from the stirring member 145.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140)에서의 토너의 순환, 특히 토너 이송부재(147)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irculation of the toner in the developing apparatus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action of the toner conveying member 14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상기 교반부재(145)에 의해 교반된 토너가 토너공급영역(C)에 공급된다. 토너공급영역(C)은 상기 현상롤러(142)와 층규제 대전부재(143)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며, 토너이송부재(14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교반부재(145)에 의해 공급되는 토너는, 상기 토너이송부재(147)에 의해 층규제 대전부재(143)의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쪽으로 이송된다.The toner stirred by the stirring member 145 is supplied to the toner supply region (C). The toner supply region C is an area formed by the developing roller 142 and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and the toner conveying member 147 is provided. The toner supplied by the stirring member 145 is transferred by the toner conveying member 147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of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토너이송부재(147)에 의해 토너를 이송할 때, 상기 지지축(149)에는 소정의 전압(V2)이 인가된다. 한편, 상기 현상롤러(142)에는 상기 감광드럼(141)사이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전압(V1)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축(149)과 현상롤러(142)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전계는 상기 필름부재(148)를 상기 현상롤러(142)의 외주면에 대전 흡착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름부재(148)는 정전 흡착력(N1)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142)에 흡착되고, 상기 현상롤러(142)와 접촉하여 소정의 폭, 예를 들어 약 1∼2mm의 닙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148)와 지지축(149)사이에는 아주 작은 틈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필름부재(148)는 상기 현상롤러(142)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지지축(149)의 주위를 회전한다.In detail, when the toner is transferred by the toner transfer member 147, a predetermined voltage V2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149. On the other hand, since the voltage V1 is a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2 to form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s 141,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shaft 149 and the developing roller 142. .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lm member 148 is charged and adsorb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Therefore, the film member 148 is adsorb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2 by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N1), and in contact with the developing roller 142 to form a nip of a predetermined width, for example about 1 to 2 mm. do. Here, a very small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lm member 148 and the support shaft 149. For this reason, the film member 148 rotates around the support shaft 149 fixed in a non-rotable manner with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상기와 같이, 상기 토너이송부재(147)는 상기 지지축(149)의 외주면 및 상기 필름부재(148)의 내주면은 마찰계수가 아주 작아지도록, 미끄럼이 좋은 재질, 예를 들어 불소 등이 코팅되어 있다. 작은 마찰계수와 정전흡착력(N1)과의 관계로부터, 상기 필름부재(148)와 지지축(149)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필름부재(148)는 상기 지지축(149)에 큰 외력을 거는 일 없이, 고정된 지지축(149)의 주위를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필름부재(148)는 상기 현상롤러(1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필름부재(148)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기구도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작은 지름이면서 토너 이송능력을 가지는 롤러가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oner transfer member 147 is coated with a good sliding material such as fluorine such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49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148 have a very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have. Sliding occurs between the film member 148 and the support shaft 149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N1. Therefore, the film member 148 can stably rotate around the fixed support shaft 149 without applying a large external force to the support shaft 149. In addition, since the film member 148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a separate driv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film member 148 is also unnecessary. Thus, a roller having a small diameter and having a toner conveying capacity is formed.

또한, 상기 필름부재(148)와 지지축(149)사이에도 정전기적인 흡착력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부재(148)는 상기 지지축(149)에 다소 정전흡착하지만, 그 롤링(rolling)각은 작고, 상기 지지축(149)의 외주면 및 상기 필름부재(148)의 내주면의 마찰계수는 아주 작기 때문에, 상기 필름부재(148)에 큰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필름부재(148)는 상기 지지축(149)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lm member 148 and the support shaft 149. Accordingly, the film member 148 is somewhat electrostatically adsorbed to the support shaft 149, but its rolling angle is small,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49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148 is reduced. Since is very small, a large force does not act on the film member 148. Therefore, the film member 148 may rotate around the support shaft 149.

상기 토너이송부재(147)에 의해 층규제 대전부재(143)의 현상롤러 회전 방향의 하류쪽으로 이송된 토너는, 상기 현상롤러(142)와 층규제 대전부재(143)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층규제되면서 대전된다. 균일하게 층규제되고, 대전된 토너는 상기 현상롤러(142)에 부착되어 상기 감광드럼(141)와의 대향부까지 이송되며, 정전잠상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142)로부터 상기 감광드럼(141)에 부착한다.The toner transferred by the toner conveying member 147 to the downstream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of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is layer regulated by passing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42 and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143. It is charged. Uniformly layered and charged toner is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2 to be transferred to the opposing portion with the photosensitive drum 141, from the developing roller 142 to the photosensitive drum 141 according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Attach.

한편, 상기 현상롤러(142)의 잔류토너는, 상기 RS롤러(144)에 의해 회수된다. 상기 RS롤러(144)에 의해 회수된 잔류토너는 상기 교반부재(145)에 공급되고, 토너용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새로운 토너와 함께 교반된다. 그리고, 교반된 토너는 토너공급영역(C)에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sidual toner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is recovered by the RS roller 144. The residual toner recovered by the RS roller 144 is supplied to the stirring member 145 and stirred together with fresh toner supplied from a toner container (not shown). Then, the stirred toner is supplied to the toner supply area (C).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140)에 의하면, 상기 교반부 재(145)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이송하는 상기 토너이송부재(147)를 토너가 체류하기 쉬운 토너공급영역(C)에 마련한다. 상기 토너이송부재(147)는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지지축(149)과, 상기 지지축(14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필름부재(148)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149)과 현상롤러(142)사이에는 상기 필름부재(148)를 상기 현상롤러(142)에 정전흡착하기 위한 전계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현상롤러(1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름부재(148)는 안정되게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필름부재(148)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기구도 불필요하고, 작은 지름으로 토너 이송 능력을 구비하는 롤러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veloping apparatus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toner supply region C where toner easily tends to stay in the toner conveying member 147 for conveying the toner supplied from the stirring part material 145. To). The toner conveying member 147 is composed of the support shaft 149 which is fixed in a non-rotable manner, and the film member 148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49 to be rotatable, and the support shaft 149 Between the and the developing roller 142,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148 to the developing roller 142 is formed. As a result, the film member 148 rotates stabl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142. In this manner, a separate driv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film member 148 is also unnecessary, and a roller having a toner conveying capacity with a small diameter can be 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토너이송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ner transfer member shown in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240)는 현상제인 토너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242), 상기 현상롤러(242)상의 잔류토너를 박리하는 RS롤러(244),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부재(245)와, 토너공급영역에 설치되는 토너이송부재(247)를 구비한다.7 and 8, the developing apparatus 2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residual toner on the developing roller 242, the developer roller 242 to attach and transport the toner as a developer. RS roller 244, a stirring member 245 for stirring the toner, and a toner conveying member 247 provided in the toner supply area.

이러한 각 부재는 제1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장치(240)의 토너이송부재(247)는 제1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40)와 비교하여 토너이송능력과 아울러 토너의 층규제 및 대전도 가능한 점에서 서로 상이하다. 이 때문에, 상기 현상장치(240)에는 토너의 층규제 및 대전를 수행하기 위한 층규제 대전 블레이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Each of these members is configur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oner conveying member 247 of the developing apparatus 2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developing apparatus 140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toner conveying ability, layer regulation and charging of the toner are also possible. For this reason, the developing device 240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with a layer regulating charging blade for performing layer regulation and charging of the toner.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너이송부재(247)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oner transfer member 24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토너이송부재(247)는 제1실시예와 같이, 유연성을 가진 필름부재(248)와 상기 필름부재(248)의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축(24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축(249)에는 전압(V2)이 인가되고, 접촉에 의해 상기 필름부재(248)에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현상롤러(242)와 지지축(249)의 전위 차가 없는 상태(초기 상태)에 있어서, 지지축(249)의 외주면과 상기 필름부재(248)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1실시 예와 같이 아주 작은 틈이 마련되어 있다.As the first embodiment, the toner transfer member 247 includes a flexible film member 248 and a support shaft 249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248. A voltage V2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249 and supplies voltage to the film member 248 by contact.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242 and the support shaft 249 (initial stat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49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248 is very small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 gap.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49)에 인가되는 전압(V2)은 제1실시예에서의 전압(V2)보다도 크고, 상기 지지축(249)과 현상롤러(242)사이에 대전한 토너가 현상롤러(242)에 흡착하는 방향의 전계가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상기 필름부재(248)는 정전흡착력(N1)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242)에 정전흡착되고, 상기 필름부재(248)와 현상롤러(242)에 의해 소정의 폭, 예를 들어 약 1∼2mm의 닙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름부재(248)의 외주면의 마찰계수(μ1)과 정전흡착력(N1)의 관계로부터, 상기 현상롤러(242)와 상기 필름부재(247)사이에 마찰력(F1)이 생긴다.In this embodiment, the voltage V2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249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2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toner charged between the support shaft 249 and the developing roller 242. Is set so that an electric field in the direction of being adsorbed by the developing roller 242 is formed. By this electric field, the film member 248 is electrostatically absorbed to the developing roller 242 b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N1), the film member 248 and the developing roller 242 by a predetermined width, for example For example, a nip of about 1 to 2 mm is formed. At this time, the friction force F1 is generat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242 and the film member 247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iction coefficient μ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248 and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N1.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부재(248)와 지지축(249) 사이에도 정전기적인 흡착력(N2)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필름부재(248)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축(249)의 외주면 사이에는 작은 틈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필름부재(248)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축(249)의 외주면의 작은 틈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필름부재(248)가 상기 지지축(249)에 접촉하는 영역은 커진다. 즉, 상기 필름부재(248)와 지지축(249)이 흡착하는 각도(롤링각)가 커지고, 결과적으로 상기 필름부재(248)는 상기 지지축(249)에 정전흡착한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N2) is generated between the film member 248 and the support shaft 249. However, only a small gap exist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248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49. Small gap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248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49 are preferably smaller than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For this reason, the area | region which the said film member 248 contacts the said support shaft 249 becomes large. That is, the angle (rolling angle) that the film member 248 and the support shaft 249 adsorb becomes large, and as a result, the film member 248 is in the state of electrostatic adsorption on the support shaft 249.

이 때, 상기 필름부재(248)의 내주면의 마찰계수(μ2)와 정전흡착력(N2)과의 관계로부터, 상기 필름부재(248)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축(249)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력(F2)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필름부재(248)는 상기 현상롤러(242)가 회전해도 힘(F1) 및 힘(F2)의 작용에 의해 상기 지지축(249)의 주위를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필름부재(248)와 현상롤러(242) 사이에 슬라이딩을 일으키게 한다.At this time, the frictional force F2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248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49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iction coefficient μ2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248 and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N2. ) Accordingly, the film member 248 does not rotate around the support shaft 249 by the action of the force F1 and the force F2 even when the developing roller 242 rotates. And sliding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242.

상기 필름부재(248)와 상기 현상롤러(242)사이에 슬라이딩이 생긴 상태에서, 상기 필름부재(248)와 현상롤러(249)사이에 토너가 도입되면, 토너는 상기 필름부재(248)와의 슬라이딩에 의해 마찰대전되는 동시에, 상기 필름부재(248)가 상기 현상롤러(242)에 흡착하는 힘을 받아 박층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토너이송부재(247)를 토너공급영역(C)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교반부재(245)에 의해 공급된 토너가 상기 현상롤러(242)와 필름부재(248)사이에 장착되기 쉬워지고, 토너의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필름부재(248)를 상기 지지축(249)에 흡착시켜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현상롤러(242)사이에 슬라이딩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토너의 층규제를 수행하면서 대전시킬 수 있다.When toner is introduced between the film member 248 and the developing roller 249 in a state where sliding occurs between the film member 248 and the developing roller 242, the toner is slid with the film member 248. At the same time, the film member 248 is formed into a thin layer by the force adsorbed by the developing roller 242. By providing the toner transfer member 247 in the toner supply region C in this manner, the toner supplied by the stirring member 245 is easily mount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242 and the film member 248. Supply of the toner is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the film member 248 may be adsorbed on the support shaft 249 so as not to rotate, and sliding may occur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s 242 to charge the toner while performing layer regulation.

한편, 비화상 형성시에, 상기 필름부재(248)와 현상롤러(242)사이에 형성되는 전계를 오프로 하면, 상기 필름부재(248)의 지지축에의 흡착력이 약간 약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필름부재(248)는 상기 현상롤러(242)의 회전에 따라 약간 회 전된다. 이로써, 상기 필름부재(248)의 상기 현상롤러(242)에 마주하는 부분을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부재(248)의 현상롤러(242)와 마주하는 면을 차례로 바꿈으로써 상기 필름부재(248)의 표면에의 역대전 토너 등의 부착, 체류를 해소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름부재(248)의 토너의 대전 및 층규제부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lm member 248 and the developing roller 242 is turned off at the time of non-image formation, the suction force on the support shaft of the film member 248 is slightly weakened. For this reason, the film member 248 is slightly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242. As a result, a portion of the film member 248 facing the developing roller 242 may be changed. Therefore, by changing the surface facing the developing roller 242 of the film member 248, adhesion and retention of anti-charge toner or the like to the surface of the film member 248 can be eliminated. As a result, the charge of the toner of the film member 248 and the life of the layer regulating portion can be extend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200)에 의하면, 상기 토너이송부재(247)가 토너가 체류하기 쉬운 토너공급영역(C)에 마련된다. 상기 토너이송부재(247)는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지지축(249)과, 지지축(24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필름부재(248)로 이루어지고, 지지축(249)과 현상롤러(242) 사이에는 필름부재(248)를 현상롤러(242)에 정전흡착하기 위한 전계가 형성된다. 이 때, 필름부재(248)에는 현상롤러(242)에 흡착하기 위한 정전흡착력이 기능함과 동시에, 지지축(249)에 흡착하기 위한 정전흡착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이 때문에, 필름부재(248)는 지지축(249)에 흡착하고, 현상롤러(242)와 슬라이딩을 일으킨다. 이로써, 토너를 현상롤러(242)와 필름부재(248)사이에 도입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토너의 층규제 및 대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velop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r transport member 247 is provided in the toner supply region C where toner easily stays. The toner transfer member 247 is composed of a support shaft 249 fixedly rotatable and a film member 248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249, and the support shaft 249 and the developing roller (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248 to the developing roller 242 is formed between the 242. At this time, the film member 248 functions as an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for adsorption on the developing roller 242 and a strong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for adsorption on the support shaft 249. For this reason, the film member 248 adsorb | sucks to the support shaft 249, and makes sliding with the developing roller 242. As a result, the toner can be easily introduc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242 and the film member 248, and the toner can be regulated and charged.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름부재와 현상롤러 사이에 정전흡착력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필름부재와 현상롤러 사이에 정적흡착력이 작동하면서 토너가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층규제 대전부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9 에 도시된 층규제대전부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does not operate between the film member and the developing roller shown in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oner passes while the static adsorption force is operated between the film member and the developing roller shown in FIG. 9, and FIG. 12 shows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shown in FIG. FIG. 13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shown in FIG. 9.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340)는 현상제인 토너를 부착하여 반송하는 현상롤러(342), 상기 현상롤러(342)에 토너를 공급하고 또 현상 롤러(342)위에 잔류하는 토너를 박리하는 RS(Removeand Supply) 롤러(343)와, 상기 현상롤러(342)상의 토너의 층규제를 수행하고, 토너를 대전시키기 위한 층규제 대전부재(345)를 구비한다.9, the developing apparatus 3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developing roller 342 for attaching and conveying toner as a developer, and supplies the toner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a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345 for performing layer regulation of the toner on 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charging the toner. .

상기 현상롤러(342)와 RS롤러(343)는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 및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구성과 작용이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the RS roller 343 have the sam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상기 층규제 대전부재(345)는 토너의 층규제 및 대전을 수행하는 부재이고, 상기 현상롤러(342)의 원주를 따라 마련된다. 층규제 대전부재(345)를 기준으로 현상롤러의 회전방향의 상류측에 상기 RS롤러(343)가,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감광드럼(341)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층규제 대전부재(345)는 유연성을 가진 필름부재(346)와, 상기 필름부재(346)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46)를 구비한다.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345 is a member for performing layer regulation and charging of the toner, and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RS roller 343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345 so that the photosensitive drum 341 is position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345 includes a film member 346 having flexibility and a support member 346 supporting the film member 346.

상기 필름부재(346)는 상기 현상롤러(342)에 부착되는 토너의 층을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토너를 마찰대전한다. 상기 필름부재(346)는 약 104∼109Ωㆍcm의 저항값(체적 저항값 또는 표면 저항값)의 재질로 형성되는 중저항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저항층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등을 주로 한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된다.The film member 346 makes the layer of toner adhered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uniform and at the same time frictionally charges the toner. The film member 346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a middle resistance laye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value (volume resistance value or surface resistance value) of about 104 to 109 Ω · cm. The medium resistance layer is formed of, for example, a polymer film mainly made of polyimide, polycarbonate, polyamide,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345)는 중저항층에 더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저항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 저항층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토너의 도입구인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상류측의 층(347a)을 저저항 재질로 형성하고,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측의 층(347b)은 고저항재질(절연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상류측은 정전흡착력이 커지고, 상기 필름부재(345)와, 상기 현상롤러(342)에 의해 형성되는 미소간극(348)을 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토너의 유입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 Here, the film member 345 may include a surface resistance layer in addition to the medium resistance layer as shown in FIG. 11. In the case of forming the surface resistive layer, for example, the layer 347a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which is an inlet for toner, is formed of a low resistance material, and the layer 347b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is high. It can be formed of a resistance material (insulation material). As a result, the up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increases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and can maintai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micro gap 348 formed by the developing roller 342 more consistently to stabilize the inflow of toner. Can be.

한편,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측은 정전흡착력이 작아지고, 상기 필름부재(345)의 자유단의 향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도전은 필름부재(345)의 표면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기 때문에, 필름 부재(345)의 중저항층과 지지부재(34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접속 부재로는, 예를 들어, 구리 테이프 등의 도전성이 있는 층상의 씨트 부재가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becomes smaller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rovement of the free end of the film member 345. At this time, since the conducting is performed with the surface of the film member 345 interposed therebetween, a connecting member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eavy resistance layer of the film member 345 and the supporting member 346 is provided. As a connection member, electroconductive layered sheet members, such as a copper tape, are used, for example.

뿐만 아니라, 상기 필름 부재(345)의 현상롤러(342)와 대향하는 면 쪽에 코팅층(미도시)을 마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코팅층의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상류측은 표면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토너에 의한 필름부재(34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표면 경도가 높은 층은,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로, 폴리우레탄(PP)을 사용할 수도 있다. 코팅층의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측은 표면 에너지가 낮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필름부재(345)에 토너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면 에너지가 낮은 층은, 예를 들어, 불소코팅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ating lay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film member 345 facing the developing roller 342. For example, the up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surface hardness to prevent breakage of the film member 345 due to toner. The layer with high surface hardness can be formed, for example with polyphenylene sulfide (PPS). In addition, a good wear resistance, polyurethane (PP) can be used.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surface energy, thereby preventing toner from adhering to the film member 345. The layer with low surface energy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fluorine coating or the like.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345)의 두께는 약 50∼500μ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름부재(345)는 현상롤러(342)에 대해 높 은 선압을 걸지 않도록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film member 345 is preferably formed to about 50 ~ 500μm. In addition, the film member 345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o as not to apply high linear pressure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상기 필름부재(34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상류측(A측)의 일단(이하, 고정단(345a)이라고 한다.)측이 상기 지지부재(346)에 고정되어 있고,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측(B측)의 타단(이하, 자유단(345b)이라고 한다.)측은 만곡하여 적어도 일부가 현상 롤러(342)에 외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film member 345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346 at one e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xed end 345a) of an upstream side (A side) in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The other e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ree end 345b) side of the downstream side (B side) in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is curved and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circumscribed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상기 필름부재(345)의 고정단(345a)은 상기 지지 부재(346)에 의해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사이에 미소간극(348)이 형성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미소간극(348)은 토너의 도입구가 된다. 상기 미소간극(348)의 폭은 토너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미소간극(348)의 폭은 상기 필름부재(345)의 두께나 구부림 강성 등에 의해 변화하지만, 상기 지지부재(346)의 현상롤러(342)와의 대향하는 단부(346a)와 현상롤러(342)의 외주면과의 거리(d)에 의해 규제된다. 여기서, 거리(d)는 예를 들어, 약 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3∼0.5mm 정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름부재(345)의 고정단(345a)을 지지부재(346)의 현상롤러(342)쪽의 단부(346a)에 고정함으로써 토너의 반송압력에 의해 미소간극(348)이 변동하지 않도록 되며, 필름부재(345)의 도입구에서 토너층을 소정의 두께로 규제할 수 있다.The fixed end 345a of the film member 345 is fixed to the position where the micro gap 348 is formed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by the support member 346. The microgap 348 serves as an inlet for toner. The width of the microgap 348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ner. The width of the microgap 348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film member 345, the bending stiffness, and the like, but the end portion 346a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facing the developing roller 342 of the support member 346. Is regulated by the distance (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Here, the distance d is set, for example, about 2 mm or less, preferably about 0.3 to 0.5 mm. As such, the fixing end 345a of the film member 345 is fixed to the end portion 346a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346 so that the micro gap 348 does not change due to the conveying pressure of the toner. The toner layer may be regul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the inlet of the film member 345.

상기 필름부재(345)의 자유단(345b)은 지지부재(346)의 현상롤러(342)쪽의 단부(346a)와 현상롤러(342)사이에 굴곡되어 영어소문자 r을 이루며,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쪽(B)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필름부재(345)의 자유단(345b)의 적어도 일부가 현상롤러(342)의 외주면에 접촉해 있다. 또한, 상기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의 접촉부로부터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B)쪽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필름부재(345)는 그 인성(靭性)에 의해 현상롤러(342)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는 듯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필름부재(345)의 자유단(345b)은 필름부재(345)의 자유단의 적어도 일부가 현상롤러(342)의 외주면과 확실히 접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상기 필름부재(345)의 자유단(345b)의 길이는, 예를 들어, 약 5∼10mm의 길이로 할 수 있다.The free end 345b of the film member 345 is bent between the end portion 346a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346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to form an English letter r, and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It is disposed downstream of (B).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free end 345b of the film member 345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Further, as the film member 345 is directed downstream from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toward the downstream B in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the film member 345 has the developing roller 342 due to its toughness. It has a shape that seems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The free end 345b of the film member 345 is provided to have a length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ree end of the film member 345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length of the free end 345b of the film member 345 may be, for example, about 5 to 10 mm in length.

또한, 상기 필름부재(345)에는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사이에 대전된 토너가 현상롤러(342)에 부착되는 방향, 즉 현상롤러(342)의 회전 중심방향의 전계가 형성되도록 전압(V2)가 인가된다. 상기 필름부재(345)로의 전압공급은 상기 필름부재(345)의 중저항층의 형성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중저항층이 필름부재(345)로 현상롤러(342)와 반대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46)를 도전성재질로 형성하고, 지지부재(346)로 전압(V2)을 인가함으로써 지지부재(346)와의 접촉면에서 필름부재(345)로 도전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m member 345 has an electric fiel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ner charged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is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voltage V2 is applied so that it may be. The voltage supply to the film member 345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middle resistance layer of the film member 345. For example, when the middle resistanc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by the film member 345, as shown in FIG. 10, the support member 346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By applying the voltage V2 to the support member 346, the film member 345 may be electrically conductiv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346.

상기 필름부재(345)의 체적저항이 중저항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부재(345)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공급부재(349)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압공급부재(349)는, 예를 들어, 도전성 스폰지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전압공급부재(349)는 상기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의 접촉부 상측에 위치하는 필름부재(345)의 일면(현상롤러(342)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쪽 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된다.When the volume resistance of the film member 345 is a heavy resistan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a voltage supply member 349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lm member 345 may be provided. have. The voltage supply member 349 is formed of, for example, a conductive sponge member. The voltage supply member 349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lm member 345 positioned above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developing roller 342). Prepared.

또한, 중저항층이 상기 필름부재(345)의 현상롤러(342)와 대향하는 면 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필름부재(345)를 상기 지지부재(346)의 현상롤러 회전방향의 하류측 면에 고정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상기 지지부재(346)를 도전성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346)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46)의 접촉면에서 상기 필름부재(345)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름부재(345)의 중저항층의 형성위치에 따라, 상기 필름부재(345)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iddle resistanc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side facing the developing roller 342 of the film member 345,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fix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rotation direction of 346.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the support member 346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46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support member 346. Can be authorized. As such, accor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heavy resistance layer of the film member 345, a voltage may be su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이와 같은 상기 필름부재(345)에 전압이 인가되어 현상롤러(342)와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면, 상기 필름부재(345)는 현상롤러(342)의 외주면에 정전흡착되고,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사이에 닙 폭이 증대된다. 닙폭은 필름부재(345)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닙은 폭(현상 롤러(342)의 주방향의 폭)이 약 1∼2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 닙을 토너가 통과함으로써 균일한 박층이 되는 동시에 토너가 마찰 대전된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such that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film member 345 is electrostatically absorb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the film member 345. The nip width is increased between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nip width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In this embodiment, the nip is formed so that the width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is about 1 to 2 mm. As the toner passes through the nip, the toner becomes a uniform thin layer and the toner is triboelectrically charged.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340)는 필름부재(345)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전압제어부에 의해 필름부재(345)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eloping apparatus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oltage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a voltage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by the voltage controller,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can be controlled.

다음으로, 토너의 순환흐름을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3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현상시의 현상장치(340)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long the circulation flow of the toner.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40 at the time of image develop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340)는 토너 용기부(미도시)에 수용된 토너를 RS 롤러(343)에 의해 현상롤러(342)에 공급한다. 상기 RS롤러(343)는 현상롤러(342)에 압압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RS롤러(343)와 현상롤러(342)에 의해 닙이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RS롤러(343)는 토너용기부의 토너를 담지하여 닙부에 반송한다. 한편, 상기 현상롤러(342)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RS롤러(343)에 의해 반송된 토너는 닙부에 유입하지 않고 현상롤러(342)에 문질러지며, 현상롤러(342)에 부착된다.The developing apparatus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pplies the toner contained in the toner container portion (not shown)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by the RS roller 343. Since the RS roller 343 is provided by pressing the developing roller 342, a nip is formed by the RS roller 343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As shown in Fig. 9, for example, the RS roller 343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arries the toner in the toner container and conveys it to the nip.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is also rotating counterclockwise. For this reason, the toner conveyed by the RS roller 343 is rubbed into the developing roller 342 without entering the nip portion, and is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상기 현상롤러(342)에 부착된 토너는 현상롤러(342)의 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층규제 대전부재(344)에 의해 층규제 및 대전된다. 상기 층규제 대전부재(344)의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사이에 형성되는 미소간극(348)을 통과하기 전의 토너층의 두께는 불균일하지만, 미소간극(348)을 토너가 통과할 때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에 의해 형성된 닙을 통과하는 토너량이 규제된다The ton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is layer regulated and charged by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344 provided along the main direc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toner layer before passing through the microgap 348 formed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of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344 is different, the toner passes through the microgap 348. Amount of toner passing through the nip formed by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is regulat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름부재(345)의 고정단(345a)은 지지부재(346)에 지지되어 있고, 필름부재(345)의 자유단(345b)는 지지부재(346)의 현상롤러(342)측 단부(346a)에 필름부재(345)가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의 반송 압력이 커졌다 하더라도, 필름부재(345)의 자유단(345b)은 지지부재(346)의 단부(346a)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미소간극(348)의 폭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토너의 반송 압력이 변동하더라도 미소간극(348)은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닙에 유입하는 토너량이 거의 일정해지도록 규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ed end 345a of the film member 34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346, and the free end 345b of the film member 345 is the developing roller 342 of the support member 346. The film member 345 is bent at the side end 346a. Therefore, even if the conveying pressure of the toner increases, the free end 345b of the film member 345 is supported by the end portion 346a of the supporting member 346, so that the width of the microgap 348 is kept substantially constant. do.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microgap 348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conveying pressure of the toner varies, the amount of toner flowing into the nip can be regulated to be substantially constant.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 사이에 형성된 미소간극(348)을 통과한 토너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부재(345)가 현상롤러(342)에 정전흡착하여 형성된 닙을 통과한다. 토너는 닙을 통과할 때 필름부재(345)에 문질러짐으로써 마찰대전된다.As the toner passed through the microgap 348 formed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as shown in FIG. 11, the nip formed by the film member 345 electrostatically adsorbed on the developing roller 342. To pass. The toner is triboelectrically charged by rubbing on the film member 345 as it passes through the nip.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3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저항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저항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사이에 기능하는 정전흡착력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닥터블레이드(20)와 비교하여 약하다. 또한, 상기 필름부재(345)는 유연성 및 인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남은 필름에 의해 닙를 통과하는 토너에 대해 유연하게 기능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현상롤러(10)에 높은 선압이 걸리는 현상장치(1)와 비교하여 현상롤러(342)에 걸리는 선압을 낮출 수 있고, 닙를 통과하는 토너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Here, the film member 345 is configured to include a medium resistance layer made of a medium resistanc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functioning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is weak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octor blade 20 made of, for example, the metal thin plate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film member 345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toughness, the film member 345 functions flexibly with respect to the toner passing through the nip by the remaining film. Therefore, the linear pressure a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can be lowered compared to the developing apparatus 1 in which a high linear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developing roller 10 shown in FIG. 2,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toner passing through the nip can be reduced. Can be.

또한, 닙에서는 미소간극(348)에서 거의 균일한 층이 되도록 규제된 현상롤러(342)상의 토너층이, 더욱 균일한 박층이 되도록 층규제된다. 토너층의 층규제는 현상롤러(342)의 회전 중심방향으로 정전흡착력이 기능하는 닙부에 토너를 통과시킴으로써 토너를 현상롤러(342)쪽에 압압하여 수행된다. 이 때, 이미 미소간극(348)에서 한 번 토너의 층규제가 수행되었기 때문에, 닙부에서의 토너의 층규제에는 큰 압압력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토너에 큰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층규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층규제 대전부재(344)는 미소간극(348)에 있어서 토너의 유입량을 규제하고, 나아가 닙에서 박층에 수렴시킨다. 2단계로 토너층의 규제를 함으로써 균일하고 얇은 토너층을 큰 압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nip, the toner layer on the developing roller 342, which is regulated to be an almost uniform layer in the microgap 348, is layer regulated so as to be a more uniform thin layer. The layer regulation of the toner layer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toner against the developing roller 342 by passing the toner through a nip in whic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functions in the rotational center direc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At this time, since the toner layer regulation has already been performed once in the microgap 348, a large pressing force is unnecessary for the layer regulation of the toner in the nip. Therefore, layer control can be performed without stressing the toner. As described above,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34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gulates the inflow amount of the toner in the microgap 348 and further converges to the thin layer in the nip. By regulating the toner layer in two steps, a uniform and thin toner layer can be formed without requiring a large pressing force.

여기서, 전압제어부에 의해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의 전류값이 일정해지도록 전압제어할 수도 있다. 이로써,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 사이에 개재하는 토너에도 불구하고 양 부재 사이의 정전흡착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더욱 균일하게 토너층을 규제할 수 있다.Here, the voltag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voltage so that the current value of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is constant. Thereby, despite the toner interposed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between both members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toner layer can be regulated more uniformly.

닙를 통과함으로써 대전되고, 균일한 박층으로 된 현상롤러(342)상의 토너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341)과 현상롤러(342)가 근접하는 위치에서, 일부가 감광드럼(341)에 부착한다. 상기 감광드럼(341)에 부착하지 않고 현상롤러(342)에 잔류하는 토너는, 현상롤러(342)와 RS롤러(343)의 접촉부에서 역학적으로 현상롤러(342)로부터 박리된다. 박리된 토너는 RS롤러(343)에 의해 반송되고, 다시 현상롤러(342)에 공급된다.The toner on the developing roller 342, which is charged by passing through the nip and is made of a uniform thin layer, is partially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341 at a position where the photosensitive drum 341 on which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are close to each other. do. The toner remaining in the developing roller 342 without adher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341 is mechanically separated from the developing roller 342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the RS roller 343. The peeled toner is conveyed by the RS roller 343 and su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agai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340)는 필름부재(345)를 현상롤러(342)에 정전흡착 시킴으로써 닙을 형성하고, 닙을 통과하는 현상롤러(342)상의 토너의 층규제를 수행함과 동시에 토너를 대전한다. 필름부재(345)의 정전흡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부재(345)에 전압을 인가하고, 현상롤러(342)와 필름부재(345)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 장치(340)의 전압제어부는 현상장치(340)의 구동상태에 따라 필름부재(345)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현상롤러(342)상의 토너 처리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developing apparatus 3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 nip by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345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the toner on the developing roller 342 passes through the nip. The toner is charged at the same time as the layer regula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of the film member 345 applies a voltage to the film member 345 and depends on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the film member 345. Therefore, the voltage control unit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rol the toner processing on the developing roller 342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40. have.

예를 들어, 현상 시에는 전압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의 층규제 및 대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필름부재(345)를 현상롤러(342)에 흡착시키는 정전흡착력이 기능하도록 필름부재(345)에 전압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의 전압이 약 0 ∼ 600V가 되도록 전압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압제어부는 필름부재(345)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여 전계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닙을 통과하는 토너량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t the time of development, since the voltage controller performs layer regulation and charging of the toner as described above, the film member 345 so as to function as an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for adsorbing the film member 345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Apply voltage to For example, the voltage is controlled so that the voltage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is about 0 to 600V. Here, the voltag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mount of toner passing through the nip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비현상 시에는, 전압제어부는 현상롤러(342)와 필름부재(345)사이에 현상 시와 반대의 전계가 형성되도록 전압을 제어한다. 또는, 필름부재(345)에 전압을 인가 또는 전압을 걸지 않도록 전압제어한다. 전압제어부에 의해 필름부재(345)에 인가하는 전압을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필름부재(345)에 부착하는 정규 극성으로 대전한 토너가 아니라, 역극성으로 대전한 토너를 현상롤러(342)에 부착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또는, 비현상 시의 전계가 현상 시의 전계와 비교하여 낮아지도록, 필름부재(345)에 인가하는 전압을 낮출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상롤러(342)와 필름부재(345)사이의 정전흡착력이 저하함과 동시에, 전계에 의한 역극성 토너의 필름부재(345)에의 전기적인 흡착력도 저하하기 때문에, 정극성 토너와 함께 역극성 토너도 배출시킬 수 있다.In the absence of development, the voltage control unit controls the voltage so that an electric field opposite to that in development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ment roller 342 and the film member 345. Alternatively, voltage control is performed so as not to apply or apply voltage to the film member 345.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by the voltage controller in this manner, the toner charged with the reverse polarity is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342, not the toner charged with the normal polarity attached to the film member 345. Can be discharged. Alternatively,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may be lowered so that the electric field at the time of non-development becomes lower than the electric field at the time of development. In this case,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the film member 345 decreases, and the electrical adsorption force of the reverse polar toner by the electric field to the film member 345 also decreases, so that together with the positive toner Reverse polar toner can also be discharged.

또한, 현상종료 시에는 전압제어부에 의해 현상롤러(342)상의 토너층을 제거하는 전압이 필름부재(345)에 인가된다. 즉, 필름부재(345)와 현상롤러(342)사이에, 현상 시보다도 강한 전계 또는, 현상 시와 반대의 전계가 형성되도록 전압 제어부는 필름부재(345)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로써 현상롤러(342)상의 토너층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색화상 형성장치에서의 혼색이나 현상장치 교환 시의 토너 부착 등을 방지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development, a voltage for removing the toner layer on the development roller 342 is applied to the film member 345 by the voltage control unit. That is, between the film member 345 and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voltage controller applies a voltage to the film member 345 so that a stronger electric field than the developing time or an electric field opposite to the developing time is formed. As a result, the toner layer on the developing roller 342 can be removed, thereby preventing mixing of color in the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dhesion of toner when the developing apparatus is replaced, and the like.

이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340)에 대해 설명했다. 이러한 현상장치(340)는 현상롤러(34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닙이 정전흡착력에 의해 형성되고, 현상롤러(342)의 회전방향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또한 현상롤러(342)의 외주면 상에 균일한 박층인 토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환경의 변동에 의해 현상롤러(342)의 외경이 변동하더라도 필름부재(345)가 적응하기 때문에, 현상롤러(342)에 형성되는 토너층도 환경에 의한 대전성의 변동이나 토너층 두께의 변동이 없으며, 화상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The developing apparatus 3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developing device 340 has a uniform nip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b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flexibly responds to the varia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and also the developing roller 342. The toner layer, which is a uniform thin layer, can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strate. As a result, the film member 345 adapts even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developing roller 342 changes due to a change in the environment, so that the toner layer formed on the developing roller 342 also changes in chargeability or toner layer thickness due to the environment. No image quality can be stabilized.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례 또는 수정례를 생각해 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y are naturally understood to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2실시예에서는, 지지축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상 시에는 지지축의 회전을 정지하여 필름부재와 현상롤러 사이에 토너의 대전 및 층규제를 수행한다. 한편, 비화상 형성 시에는, 전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지지축을 조금 회전시키고, 현상롤러와의 대향면을 변경한다. 전계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필름부재는 지지축에 정전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부재와 지지축이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For example, in the abov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support shaf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is case, during the developmen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is stopped to charge and layer the toner between the film member and the developing roller.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non-image formation, the support shaft is slightly rotated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and the opposite surface to the developing roller is changed.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since the film member is electrostatically absorbed by the support shaft, the film member and the support shaft are integrally rotated.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필름부재(248)의 내주면과 지지축(249)의 외주면과의 틈을 작게 함으로써 필름부재(248)와 지지축(249)의 롤링각을 크게 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필름부재(248)의 강성을 낮춤으로써도 롤링각을 크게 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said 2nd Example, although the rolling angle of the film member 248 and the support shaft 249 was enlarged by reducing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member 248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49,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for example, the rolling angle can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rigidity of the film member 248.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필름 부재에의 전압 공급은 필름 부재의 고정단측에서 공급되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름 부재의 고정단측과 자유단측의 양방에서 전압 공급할 수도 있다. 이 때, 고정단측에서 인가하는 전압을 자유단측에서 인가하는 전압에 비해 약하게 함으로써 필름 부재의 고정단측에 생기는 정전흡착력은 자유단측의 정전흡착력보다도 커진다. 이로써, 토너가 도입되는 미소 간극을 더욱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토너의 유입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voltage supply to the film member was supplied from the fixed end side of the film memb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the voltage may be supplied from both the fixed end side and the free end side of the film member. At this time, when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fixed end side is weaker than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free end side,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generated on the fixed end side of the film member becomes larger tha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on the free end side. As a result, the minute gap into which the toner is introduced can be kept more constant, and the inflow amount of the toner can be stabiliz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As described above, the developing apparatus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소형으로 토너공급능력을 구비한 토너이송부재를 구비하여, 현상롤러와 층규제 대전부재에 토너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며,First, it is provided with a toner conveying member having a small toner supply capacity, so that the toner is smoothly su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둘째, 토너를 대전시키는 동시에 균일한 토너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a uniform toner layer while simultaneously charging the ton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4)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A developing roller for transferring the develope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현상롤러의 하부쪽의 현상제공급영역에 상기 현상롤러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마련된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필름부재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토너이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A film member provided near or in contact with the developing roller in a developer supply region at the lower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member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oner transfer member having a gap formed therein and having a support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ilm me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축은 회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The support shaf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현상롤러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to the developing roller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And the film member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축은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The support shaf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지지축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on the support shaft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대해 슬라이딩을 일으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현상장치.The film member is a devel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using the sliding of the developing roll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축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The support shaf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지지축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on the support shaft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지지축과 상기 필름부재는 일체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And the support shaft and the film member are integrally rotated.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반송하는 현상롤러;A developing roller for attaching and conveying a developer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된 현상제의 층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현상제를 대전시키는, 유연성을 가진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외접하도록 상기 필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층규제 대전부재를 구비하며,A film member having flexibility, which charges the developer while simultaneously regulating a layer of a develop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and supporting the film membe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lm member is externally circumscrib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It is provided with a layer regulating charging member having a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된 상기 필름부재의 고정단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필름부재 사이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의 도입구인 미소간극이 일정해지도록 마련되며, The fixed end of the film member fixed to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so that a small gap, which is an introduction port of the developer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film member, becomes constant. 상기 필름부재의 자유단은 상기 필름부재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에 정전흡착되며,The free end of the film member is electrostatically adsorbed to the developing roller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ilm member, 상기 미소간극은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And the microgap is 2 mm or less.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필름부재는 적어도 중저항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저항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저항층의 저항값은 104∼109Ωㆍ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And the film member further comprises a medium resistance layer made of at least a medium resistance material, where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medium resistance layer is 104 to 109 Ω · cm.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필름부재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필름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공급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And a voltage supply member provid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film member to apply a voltage to the film member. 제 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현상롤러에는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And a different voltage is applied to the film member and the developing roller. 제 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필름부재는 표면 저항층을 더 구비하고, The film member further includes a surface resistive layer, 상기 표면 저항층의 현상롤러의 회전방향의 상류측은 저저항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 저항층의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은 고저항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The up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of the surface resistance layer is made of a low resistance material,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of the surface resistance layer is made of a high resistance material. 적어도 하나의 현상장치와 화상을 인쇄매체에 융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developing device and a fixing device for fusing an image onto a print medium, 상기 현상장치는The developing device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이송하는 현상롤러;A developing roller for transferring the develope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현상롤러의 하부쪽의 현상제공급영역에 상기 현상롤러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마련된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필름부재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토너이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 film member provided near or in contact with the developing roller in a developer supply region at the lower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member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oner transfer member having a gap formed thereon and having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film member. 제 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지지축은 회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The support shaf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현상롤러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to the developing roller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film member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제 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지지축은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The support shaf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지지축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on the support shaft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대해 슬라이딩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film member causes slid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제 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지지축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The support shaf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지지축에 정전흡착시키기 위한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전압이 인가되며,A voltag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uch that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statically adsorbing the film member on the support shaft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ort shaft. 상기 지지축과 상기 필름부재는 일체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support shaft and the film member are integrally rotated.
KR1020060117912A 2006-09-22 2006-11-27 Develop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13297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7912A JP4785196B2 (en) 2006-09-22 2006-09-22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JP-P-2006-00257910 2006-09-22
JPJP-P-2006-00257912 2006-09-22
JP2006257910A JP4845659B2 (en) 2006-09-22 2006-09-22 Develop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36A KR20080027436A (en) 2008-03-27
KR101329737B1 true KR101329737B1 (en) 2013-11-14

Family

ID=3941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912A KR101329737B1 (en) 2006-09-22 2006-11-27 Develop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73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317A (en) * 1991-12-13 1993-07-02 Toshiba Corp Development device
JP2005274900A (en) 2004-03-24 2005-10-06 Fuji Xerox Co Ltd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t
JP2005326483A (en) 2004-05-12 2005-11-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Single-component developmen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317A (en) * 1991-12-13 1993-07-02 Toshiba Corp Development device
JP2005274900A (en) 2004-03-24 2005-10-06 Fuji Xerox Co Ltd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t
JP2005326483A (en) 2004-05-12 2005-11-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Single-component develop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36A (en)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46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91005B2 (en)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US10394156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controlling charging voltage and development voltage
US5937253A (en) Developing apparatus and L-shaped toner regulating blade therefor
JP202205971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198988B2 (en) Image forming device
JP3197514B2 (en)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device
KR101329737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2007171404A (en) Wet developing device and wet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310886A1 (en) Developer regulat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pparatus
US2022010758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042679A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1329736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3303841B2 (en) Sleeve rotation transport device,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fixing device
JP2001175066A (en) Developing device
JP2005156905A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guide member
JPH1069162A (en) Nonmagnetic one-component developing device
JPH10221933A (en) Non-magnetic one-component developing device
JP4845659B2 (en) Development device
US2024002795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33982A (en) Development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85196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49966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523533B2 (en) One-component toner developing device
JP5831494B2 (en) Wet image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