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450B1 - 기능성 침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450B1
KR101327450B1 KR1020120092780A KR20120092780A KR101327450B1 KR 101327450 B1 KR101327450 B1 KR 101327450B1 KR 1020120092780 A KR1020120092780 A KR 1020120092780A KR 20120092780 A KR20120092780 A KR 20120092780A KR 101327450 B1 KR101327450 B1 KR 101327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frame
base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12009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Abstract

등받이, 등받이에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 구조를 가진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된 본체하우징; 베이스부의 내부공간에 서랍방식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약재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약재부; 약재부로 열을 제공하도록 베이스부에 설치된 가열부; 및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부의 상부공간을 덮도록 베이스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커버부는 상호 간에 베이스부의 폭(W)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종단에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한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부재; 한쌍의 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아치형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한약재 및 열선이 구비된 커버부재; 및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프레임연결부재,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연결부재와, 프레임연결부재와 베이스연결부재를 힌지 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부재가 구비된 연결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기능성 침대{FUNCTIONAL BED}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쇼파에 앉아서 쉬면서 찜질을 할 수 있는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차적으로 주거문화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침구문화의 변화로, 온돌사용에서 침대사용으로 침구문화가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침대는 수면 중인 사람에게 푹신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단순한 기능만을 갖고 있는 서양식 침대에 불과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침대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12037호에는 건강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12037호에 개시된 건강용 침대는 하부 측면에 다수의 공기 구멍(1)을 형성한 침대 프레임(2) 내부에 하단으로부터 동판(3)을 깔고 그 위에 정화작용을 하는 제1숯층(4)을 적층시킨 다음 면천(5)으로 덮고, 상기 면천(5) 위에는 방바닥으로부터 온수 배관을 연결시켜 발열되는 제1발열층(6)과 제1소금층(7),볏짚,약쑥,당귀,천궁,감초 살구씨,은행 등과 같은 복수의 약재(9)를 분말로 된 황토(8)와 골고루 섞어서 이루어지는 약재층(10)을 순서대로 적층시키며 상기 약재층(10)의 상부에는 다시 제2숯층(11)과 온수를 이용한 제2발열층(12) 및 제2소금층(13), 옥돌층(14), 돗자리(15)가 차례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건강용 침대는 발열층을 이루는 황토가 섞인 약재, 옥돌층 등의 교체가 불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치료 목적에 따른 약재 및 광물의 선택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침대에서 누워서 TV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누워있거나 할 때에, 찜질 효과를 부여하여 인체에 누적된 피로를 해소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등받이, 등받이에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 구조를 가진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된 본체하우징; 베이스부의 내부공간에 서랍방식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약재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약재부; 약재부로 열을 제공하도록 베이스부에 설치된 가열부; 및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부의 상부공간을 덮도록 베이스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커버부는 상호 간에 베이스부의 폭(W)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종단에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한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부재; 한쌍의 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아치형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한약재 및 열선이 구비된 커버부재; 및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프레임연결부재,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연결부재와, 프레임연결부재와 베이스연결부재를 힌지 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부재가 구비된 연결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는, 커버부재가 베이스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프레임연결부재와 베이스연결부재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접혀진 상태로 베이스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커버부재가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벗어나 베이스부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바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프레임연결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부재에 대해 힌지운동하여 베이스연결부재와 펼쳐지게 작동되어, 커버부재가 베이스부의 상부에 오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는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부의 상부의 일부 공간을 덮도록 베이스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커버부; 및 제 1 커버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 1 커버부와 인접하게 베이스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의 상부의 나머지 일부 공간을 덮도록 제공된 제 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재는 테두리 부분이 서로 봉제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지는 매트커버; 하부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봉제되는 하부덮개천 내에 제 1 충진물질이 충진된 하부충진층; 및 하부충진층 상부에 배치되며 중간덮개천 내에 전열선이 배치되는 열선층; 및 열선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봉제되는 상부덮개천 내에 제 2 충진물질이 충진된 상부충진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충진물질은 게르마늄, 황토, 참숯 또는 편백나무 톱밥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제 2 충진물질은 한약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는 전열선 또는 온수파이프 중 어느 하나이고, 가열부는 사(蛇)형으로 구불 구불하게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에 설치된 약재부 전반에 걸쳐 열을 고르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침대에서 누워서 TV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누워있거나 할 때에, 찜질 효과를 부여하여 인체에 누적된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가 두개로 분리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찜질을 원하고자 하는 부분에 한정하여, 찜질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전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내부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A-A'따른 기능성 침대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에 따른 연결부가 설치된 기능성 침대의 저면도 및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100)는 본체하우징(110), 약재부(120), 가열부(130) 및 커버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하우징(110)은 등받이(111) 베이스부(112) 및 복수의 지지다리(113)를 구비한다. 여기서, 등받이(111)는 베이스부(112)의 일측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다리(113)는 베이스부(1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부(1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체하우징(110)의 지지다리(113)는 승강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베이스부(112)는 지지다리(113)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지다리(113)의 승강작동시 지지다리(113)와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2)는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 구조를 가지며, 이때, 베이스부(112)는 상부와 하부가 폐쇄되고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베이스부(112)의 개방된 일측으로는 약재부(120)가 설치되고, 베이스부(112)의 하부에는 약재부(120)로 열을 제공하기 위한 가열부(1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약재부(12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를 가지며, 베이스부(112)의 내부공간에 서랍방식으로 설치된다. 약재부(12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베이스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약재부(120)의 외면에는 약재부(120)가 베이스부(112)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공된 손잡이홈(121)이 구비된다. 약재부(120)의 내부에는 게르마늄, 참숯, 쑥, 박하 또는 다양한 종류의 한약재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게르마늄은 가열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소재이다. 그리고, 참숯은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이 뛰어난 소재로서, 복원력이 뛰어나 주위에 사물을 활성화시키고, 인체 건강을 유지시키며 치료할 수 있으며, 침구류, 방석 등에 사용될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전자가 공급되는 환원 작용으로 몸이 상쾌해지고 개운해지고, 음이온 발생 효과가 우수하고 전자파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참숯은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우수하고, 습도 조절 효과 및 여과 냄새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여기서, 황토는 열전도력과 열유지력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해독작용이 우수한 소재이다, 한편, 편백나무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를 낮춰주는 기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항균효과는 물론 알레르기 피부질환에 효과가 좋고 혈액순환계 질환에 효과가 좋고, 피톤치드의 발생으로 면역력 강화나 진정작용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30)는 약재부(120)의 바닥면 아래에 위치되게 베이스부(112)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30)는 사(蛇)형으로 구불 구불하게 베이스부(112)에 설치되어, 베이스부(112)에 설치된 약재부(120) 전반에 걸쳐 열을 고르게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여기서, 가열부(130)는 약재부(120)로 열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전열선(149b) 또는 온수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재부(120)로 열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라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 이외에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140)는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부(112)의 상부공간을 덮도록 베이스부(112)에 연결된 부재로서, 한쌍의 가이드레일, 한쌍의 프레임부재, 커버부재와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140)는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제 1 커버부(141)와 제 2 커버부(142)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기능성 침대(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베이스부의 일부 공간을 덮는 상태로 베이스부(112)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베이스부(112)의 상부 공간 전부를 덮은 상태로 베이스부(112)에서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선택의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커버부(141)는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부(112)의 상부의 일부 공간을 덮도록 베이스부(112)의 일측에 설치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커버부(141)에 속한 '가이드레일'을 '제 1 가이드레일(143)'로 지칭하고, 이하, '프레임부재'를 '제 1 프레임부재(144)'로, '커버부재'를 '제 1 커버부재(146)'로, '연결부'를 '제 1 연결부(145)'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3)은 상호 간에 베이스부(112)의 폭(W)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베이스부(112)의 하면에 설치된다.
이때, 한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3)은 베이스부(112)의 하면에서 베이스부(112)의 폭(W)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한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3)에는 한쌍의 제 1 프레임부재(144)가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프레임부재(144)는 아치형 형상을 가진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쌍의 제 1 프레임부재(144)는 상호 간에 커버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커버부재(146)는 한 쌍의 제 1 프레임부재(144)에 설치되어 아치형 형상을 이룬다. 제 1 커버부재(14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부재(144)의 양 종단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43)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144a, 144b)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동바퀴(144a, 144b)는 자성을 가져,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자성에 의해 제 1 가이드레일(14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의 (a)와 도 4의 (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부(145)는 제 1 프레임부재(144)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연결부(145)는 베이스연결부재(145a),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부재(145b, 145c)와 프레임연결부재(145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연결부(145)는 제 1 프레임부재(144)의 이동시 제 1 프레임부재(144)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 1 프레임부재(144)가 베이스부(112)의 하부에 위치된 경우에는 제 1 프레임부재(144)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다.
베이스연결부재(145a)의 일단은 등받이(111)와 같은 축 방향에서 베이스부(112)의 하부에 고정되고, 베이스연결부재(145a)의 타단은 힌지연결부재(145b, 145c)에 연결된다. 여기서, 힌지연결부재(145b, 145c)는 베이스연결부재(145a)와 프레임연결부재(145d)를 힌지방식으로 연결한다.
힌지연결부재(145b, 145c)는 제 1 프레임부재(144)가 이동할 때, 베이스연결부재(145a)와 프레임연결부재(145d) 사이에서 힌지 운동하면서 베이스연결부재(145a)와 프레임연결부재(145d)가 상호 간에 접혀지거나, 또는 베이스연결부재(145a)와 프레임연결부재(145d)가 힌지연결부재(145b, 145c)를 사이에 두고 펼쳐진다.
프레임연결부재(145d)의 일단은 힌지연결부재(145b, 145c)에 연결되고, 프레임연결부재(145d)의 타단은 제 1 프레임부재(144)에 결합된 이동바퀴(144b)에 결합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부(141)의 제 1 프레임부재(144)가 베이스부(112)의 하부에 위치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부(145)는 베이스연결부재(145a)와 프레임연결부재(145d)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접혀진 상태로 베이스부(112)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제 1 프레임부재(144)에 설치된 이동바퀴(144b)는 등받이(111)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한다.
다음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부재(144)의 이동바퀴(144a)가 제 1 가이드레일(143)을 따라 등받이(111)와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베이스부(112)의 하부에서 벗어나 베이스부(112)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 1 프레임부재(144)에 결합된 프레임연결부재(145d)가 상기 제 1 프레임부재(144)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베이스연결부재(145a)와 프레임연결부재(145d)는 힌지연결부재(145b, 145c)와 함께 힌지운동하여 베이스연결부재(145a)와 프레임연결부재(145d) 사이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작동되어, 제 1 프레임부재(144)가 베이스부(1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제 1 프레임부재(144)가 베이스부(112)의 상부에 위치되면, 제 1 프레임부재(144)에 연결된 이동바퀴(144a)는 베이스부(112)의 상부면에 마련된 베이스홈에 안착되도록 베이스부(112)에 위치된다. 이때, 베이스홈(112a)은 등받이(111)에 인접하게 베이스부(112)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이다. 이때, 프레임연결부재(145d)는 베이스부(112)의 두께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에서, 연결부(14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라바 타입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의 (a)와 (b)는 기능성 침대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c)와 (d)는 기능성 침대의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7)의 일단은 베이스부(112)에 연결되고, 연결부(147)의 타단은 제 1 프레임부재(144)에 연결된 연결바(148)에 연결된다. 커버부(141)가 베이스부의 하부에 위치될 때, 연결부(147)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 베이스부(112)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부(141)가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될 때, 연결부(147)는 펼쳐진 상태로 베이스부(112)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부재(146)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커버부재(146)는 제 1 커버부(141)가 베이스부(112)의 상부에 위치될 때, 베이스부(112)의 상부의 일부 공간을 덮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부재(146)는 내부에 한약재 및 열선이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부재(146)는 매트커버(147), 하부충진층(148d), 열선층(149)가 상부충진층(148a)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커버(147)는 상부커버(147a)와 하부커버(147b)로 이루어지며, 상부커버(147a)와 하부커버(147b)는 테두리 부분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봉제되어 마련된 것이다.
매트커버(147)는 상부커버(147a)와 하부커버(147b)의 테두리 부분의 어느 일측에 지퍼 등으로 구성하여, 상부충진층(148a), 열선층(149), 하부충진층(148d)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147b)의 상부에는 하부충진층(148d)이 위치된다. 여기서, 하부충진층(148d)은 상하부가 서로 겹쳐서 이루어진 하부덮개천(148e) 내에 제 1 충진물질(148f)이 충진되어 마련된다. 하부덮개천(148e)으로는 광목과 같은 다양한 원단이 사용될 수 잇다.
여기서, 제 1 충진물질(148f)은, 예컨대 게르마늄, 황토, 참숯 또는 편백나무 톱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시된 물질에 대한 특성은 상술하였는 바, 이에 대해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충진층(148d)의 상부에는 열선층(149)이 위치된다. 열선층(149)은 상하부가 서로 겹쳐 배치된 중간덮개천(149a) 내에 전열선(149b)이 사(蛇)형으로 구불 구불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중간덮개천(149a)은 상술한 하부덮개천(148e)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 및 동일한 원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간덮개천(149a)에는 전열선(149b)의 배치를 위한 복수의 봉제라인(149c)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게 상기 봉제라인(149c) 사이에 전열선(149b)을 배치함으로써, 전열선(149b)을 안정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이탈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열선층(149)의 상부에는 상부충진층(148a)이 위치된다. 상부충진층(148a)은 상하부에 서로 겹쳐 배치된 상부덮개천(148b)은 서로 봉제되며, 상술한 하부덮개천(148e) 및/또는 중간덮개천(149a)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덮개천(148b) 내부에는 제 2 충진물질(148c)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제 2 충진물질(148c)은 다양한 종류의 한약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 2 충진물질(148c)로 사용되는 한약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제 2 커버부(142)는 제 1 커버부(14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 1 커버부(141)와 인접하게 베이스부(112)의 타측에 설치되어 베이스부(112)의 상부의 나머지 일부 공간을 덮도록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커버부(142)는 제 1 커버부(141)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커버부(142)에 대한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기능성 침대 110: 본체하우징
120: 약재부 130: 가열부
140: 커버부 141: 제 1 커버부
142: 제 2 커버부 143: 제 1 가이드레일
144: 제 1 프레임부재 145: 제 1 연결부
146: 제 1 커버부재

Claims (6)

  1. 등받이, 상기 등받이에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 구조를 가진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된 본체하우징;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공간에 서랍방식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약재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약재부;
    상기 약재부로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된 가열부; 및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공간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호 간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W)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종단에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부재;
    상기 한쌍의 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아치형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한약재 및 열선이 구비된 커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프레임연결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연결부재와, 상기 프레임연결부재와 상기 베이스연결부재를 힌지 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부재가 구비된 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연결부재와 상기 베이스연결부재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접혀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벗어나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바퀴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연결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부재에 대해 힌지운동하여 상기 베이스연결부재와 펼쳐지게 작동되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아치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의 일부 공간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1 커버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커버부와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의 나머지 일부 공간을 덮도록 제공된 제 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테두리 부분이 서로 봉제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지는 매트커버;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봉제되는 하부덮개천 내에 제 1 충진물질이 충진된 하부충진층; 및
    상기 하부충진층 상부에 배치되며 중간덮개천 내에 전열선이 배치되는 열선층; 및
    상기 열선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봉제되는 상부덮개천 내에 제 2 충진물질이 충진된 상부충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진물질은 게르마늄, 황토, 참숯 또는 편백나무 톱밥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 2 충진물질은 한약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전열선 또는 온수파이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가열부는 사(蛇)형으로 구불 구불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된 상기 약재부 전반에 걸쳐 열을 고르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KR1020120092780A 2012-08-24 2012-08-24 기능성 침대 KR101327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80A KR101327450B1 (ko) 2012-08-24 2012-08-24 기능성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80A KR101327450B1 (ko) 2012-08-24 2012-08-24 기능성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450B1 true KR101327450B1 (ko) 2013-11-13

Family

ID=4985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780A KR101327450B1 (ko) 2012-08-24 2012-08-24 기능성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4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966B1 (ko) 2016-11-14 2018-02-02 김경순 훈증 베드
KR101820705B1 (ko) * 2016-07-18 2018-03-08 김기용 조립식 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CN112891189A (zh) * 2021-01-21 2021-06-04 河北医科大学第二医院 一种生殖科辅助治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13Y1 (ko) 2000-12-05 2002-02-19 이윤연 찜질 물침대
KR20040044070A (ko) * 2003-01-16 2004-05-27 서형호 훈증용 침대
KR20110051926A (ko) * 2009-11-11 2011-05-18 주식회사 아바톤 온열매트
KR20110087506A (ko) * 2010-01-26 2011-08-03 박교신 찜질이 가능한 이동형 황토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13Y1 (ko) 2000-12-05 2002-02-19 이윤연 찜질 물침대
KR20040044070A (ko) * 2003-01-16 2004-05-27 서형호 훈증용 침대
KR20110051926A (ko) * 2009-11-11 2011-05-18 주식회사 아바톤 온열매트
KR20110087506A (ko) * 2010-01-26 2011-08-03 박교신 찜질이 가능한 이동형 황토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705B1 (ko) * 2016-07-18 2018-03-08 김기용 조립식 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KR101824966B1 (ko) 2016-11-14 2018-02-02 김경순 훈증 베드
CN112891189A (zh) * 2021-01-21 2021-06-04 河北医科大学第二医院 一种生殖科辅助治疗装置
CN112891189B (zh) * 2021-01-21 2022-07-12 河北医科大学第二医院 一种生殖科辅助治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8644B9 (zh) 滑式温热治疗仪
CN104203188B (zh) 治疗垫系统和方法
JP2020171726A (ja) 治療的クッ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
EP2946697B1 (en) Ergonomic mattress pad with polyester fill
RU2577448C2 (ru) Складное масс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его тела
KR200452501Y1 (ko) 훈증기가 구비된 침대
KR101327450B1 (ko) 기능성 침대
CN205306487U (zh) 智能电动沙发床
CN202950408U (zh) 一种保健枕头
WO2015168248A1 (en) Modular pod mattress
KR200247324Y1 (ko) 침대 매트리스
CN205306482U (zh) 智能触控多功能电动沙发
US20150047124A1 (en) Bed Sheet with Compartment for Feet
KR200438116Y1 (ko) 기능성 온열 침대
CN105433643A (zh) 智能电动沙发床
KR20090009035U (ko) 기능성 매트리스
CN107374160A (zh) 一种多功能用休闲保健榻榻米
KR200434962Y1 (ko) 기능성 절첩식 침대
KR20110087506A (ko) 찜질이 가능한 이동형 황토침대
CN106726307A (zh) 一种方便收纳的按摩床
KR200439848Y1 (ko) 찜질 침대
KR20050015522A (ko) 다기능 매트리스
KR200185900Y1 (ko) 매트
KR100887717B1 (ko) 독립된 분획격실을 갖는 기초 원단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209713466U (zh) 具有防滑舒适枕的医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