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270B1 -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270B1
KR101326270B1 KR1020120089095A KR20120089095A KR101326270B1 KR 101326270 B1 KR101326270 B1 KR 101326270B1 KR 1020120089095 A KR1020120089095 A KR 1020120089095A KR 20120089095 A KR20120089095 A KR 20120089095A KR 101326270 B1 KR101326270 B1 KR 10132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branch
measuring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승진
박순웅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filed Critical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Priority to KR102012008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7Metabolic gas from microbes, cell cultures or plant tiss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306Housings, cabinets, control panels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지 호흡과정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에 대한 농도 측정이 장기간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가지가 배치된 챔버 내의 환경 조건은 늘 자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가지 호흡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인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식물의 가지 호흡에 따른 공기를 수집하여 그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내보내는 식물의 가지 호흡 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 있어서, 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1몸체에 밀착되어 둘레면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는 제2몸체로 구성되되 양측이 관통되게 형성된 챔버;상기 챔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챔버의 양단부를 각각 차폐시키되, 줄기가 출입되는 출입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차폐부재;상기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상기 구동부와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챔버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링커;상기 챔버 내의 공기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배출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공기배출튜브;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며, 챔버 내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공기순환펌프;상기 공기순환펌프를 통해 외기가 챔버 내로 흡입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공기흡입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Automatic air collection chamber for the measurement of branch respiration rate of plants}
본 발명은 식물의 가지호흡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가지 호흡을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장기간 동안 관측자 없이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녹색식물에 의한 대기권의 탄소를 생물권으로 가져오는 독립영양 고정(fixation)과 탄소를 다시 대기권으로 돌려보내는 호흡(respiration) 사이의 균형을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구상에서의 대부분 호흡활동은 토양 및 식물에서 일어나는데, 토양호흡은 유기잔류물의 분해, 뿌리호흡 및 토양유기물(soilorganic matter)의 느린 분해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호흡은 광합성에 의해서 저장된 에너지를 회수하고 세포의 생장과 유지에 사용되는 탄소 골격을 얻기 위해서 탄수화물이나 기타물질이 산화되는 일련의 경로를 말한다.
특히, 고등 식물은 정상적인 대사를 위해서 산소를 필요로 하는 산소성 생물로서, 이들은 생장과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와 탄소를 광합성 산물을 산화함으로써 획득한다.
즉, 광합성은 물과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빛에너지를 사용하여 생명체가 요구하는 탄수화물을 만들게 되는데 이 탄수화물을 생물체의 생활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호흡이라 하며, 이런 호흡은 세포의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고 있다.
한편,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보내는 광합성만을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실제로는 식물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하루 24시간 내내 호흡을 한다.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을 통해 양분을 분해함으로써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으며, 이 과정에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낮에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도 호흡은 일어나는데, 이때 호흡 과정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는 광합성에 바로 사용되므로 밖으로 나오지 않고 또 광합성의 결과 생성된 산소를 호흡에 바로 이용하기 때문에 산소가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
즉, 낮에는 광합성이 호흡보다 더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외관상 이산화탄소가 흡수되고 산소가 방출되므로 낮에는 호흡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낮에도 식물들은 호흡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밤에는 광합성은 일어나지 않고 호흡만 일어나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게 되므로, 식물의 호흡은 쉽게 확인된다.
물론 낮이더라도 빛을 계속 쬐지 못하거나 빛이 약하면 호흡이 광합성보다 우세해져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게 되므로 식물의 호흡은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식물에서 광합성은 엽록체를 가진 세포가 있는 녹색 부위(주로 잎)에서만 일어나지만, 호흡은 잎, 줄기, 가지, 뿌리, 꽃 등을 가리지 않고 식물체의 모든 살아 있는 세포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식물의 호흡작용을 통해, 식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여 삼림 전체의 이산화탄소 수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식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수지에 대한 연구 및 측정은 대부분 식물체의 뿌리나 잎의 호흡에 집중되어 있고, 가지 호흡에 대한 측정은 매우 드물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식물의 가지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수지를 측정하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의 가지 둘레레 투명 커버(10)를 씰링하여 설치시킨다.
이는, 가지의 호흡을 면밀히 관찰하기 위함으로써, 가지가 호흡하는 동안 외부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투명 커버(10)의 일측에는 공기 유입부(20)가 설치되고, 투명커버(10)의 타측에는 공기 배출부(30)가 설치된다.
이후, 공기 배출부(3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분석기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측정되어 식물의 가지호흡 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 속도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가지의 일측이 밀폐된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오래 시간이 지난 후에는 투명 커버(10) 내의 밀폐된 공간에 습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 습기가 차면, 밀폐된 공간 내의 가지 표면 세포가 뿌리화가 진행되므로 가지 호흡이 아닌 뿌리 호흡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식물의 가지 호흡 측정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둘째, 측정 시간이 일정 시간 지나게 되면, 가지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로 인해 밀폐된 공간 내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짙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밀폐된 공간은 자연 상태의 환경과 다른 조건으로 제공되므로, 가지 호흡 측정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가지 호흡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은 상관없으나, 장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가지 호흡 측정에 대한 정확도는 밀폐된 공간의 한계로 인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밀폐된 공간에 습기가 발생하면 측정자가 투명커버(10)를 가지로부터 떼어내어 측정 부위의 환경 조건을 자연 상태로 만들어준 후 재측정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측정자는 측정 장소에 계속 상주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투명 커버(10)에 대한 분리 및 재설치 작업을 계속해서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193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지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수집 위치에 대한 환경 조건이 자연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측자 없이도 이산화탄소 수집이 장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물의 가지 호흡에 따른 공기를 수집하여 그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내보내는 식물의 가지 호흡 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 있어서, 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1몸체에 밀착되어 둘레면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는 제2몸체로 구성되되 양측이 관통되게 형성된 챔버;상기 챔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챔버의 양단부를 각각 차폐시키되, 줄기가 출입되는 출입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차폐부재;상기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상기 구동부와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챔버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링커;상기 챔버 내의 공기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배출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공기배출튜브;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며, 챔버 내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공기순환펌프;상기 공기순환펌프를 통해 외기가 챔버 내로 흡입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공기흡입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챔버는 다각형 또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각각 'L'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커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에 재절곡되어 결합된 결합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맞닿는 단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와 차폐부재가 맞닿는 단부에는 씰링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튜브 및 상기 공기흡입튜브는 식물의 가지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공기배출튜브 및 공기흡입튜브에는 각각 복수의 배출공 및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챔버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튜브를 통해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혼합팬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에는 가지와 출입공의 직경차에 따른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밀폐부재는 차폐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가지를 가지의 일측에서 수용시키는 가지 수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정시간마다, 챔버 내부에 대한 개폐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챔버 내의 환경은 늘 자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지호흡에 의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량 측정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계절 기후 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구동부 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챔버의 내부가 자동으로 개폐됨에 따라, 관측자는 측정 식물 주변에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장시간동안 무인 관측이 가능하게 되므로, 맨아워를 줄일 수 있어 측정식물의 이산화탄소 수집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공기 수집 챔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내부에 가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의 내부가 개폐되기 전,후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이하, '공기 수집 챔버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가지 호흡을 통해 가지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량을 측정하여 식물의 가지 호흡 속도를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식물의 가지 호흡 속도 측정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식물의 가지 호흡 속도 측정 시스템은 가지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와, 식물의 가지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내보내는 공기 수집 챔버장치로 구성된다.
이 중 본 발명은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공기 수집 챔버장치를 설명하기 전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서 수집된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펌프와, 흡입한 공기의 일부만 샘플링하는 가스샘플러와, 샘플링된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유량계와,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공기필터와, 샘플링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분석기와, 샘플링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일정 시간마다 저장하고, 측정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공기 수집 챔버장치는 나무의 가지 호흡을 통해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수집하여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보내는 역할을 하며,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0)와, 차폐부재(200)와, 구동부(300)와, 링커(400)와, 공기배출튜브(500)와, 공기순환펌프(600)와, 공기흡입튜브(700)와, 혼합팬(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100)는 가지의 호흡을 통해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나무의 가지 둘레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챔버(100)와 나무의 가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 줄기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모이게 된다.
챔버(100)는 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몸체(110)와, 둘레면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는 제2몸체(120)로 구성된다.
즉, 챔버(100)는 한 쌍의 몸체(110,120)로 제공되며, 한 쌍의 몸체(110,120)가 서로 밀착됨으로써 양측이 관통된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챔버(100)의 형태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각 형태로 이루어지되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직육면체의 챔버(100)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각각 'L'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몸체(110)의 단부와 제2몸체(120)의 단부가 서로 밀착되었을 때, 단면의 형태는 사각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챔버(10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씰링부재(130)가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몸체(110)의 단부에 씰링부재(130)가 설치된 것을 예로 한다.
한편, 상기 챔버(100)의 재질은 챔버(10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측자가 챔버(100) 내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함과 더불어, 줄기로 전해지는 햇빛의 차단을 방지하여 챔버(100) 내의 상태를 자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차폐부재(200)는 양측이 관통된 챔버(100)의 양단부를 폐쇄하여 챔버(100) 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한 쌍으로 제공된다.
즉, 차폐부재(200)는 챔버(100)의 양측에 한 개씩 설치되는 것이다.
차폐부재(200)는 챔버(100)의 사각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차폐부재(200)의 일측에는 식물의 가지가 챔버(100)로 드나들기 위한 출입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출입공(210)은 일측이 개구된 장공(長空)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지가 출입공(210)의 일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차폐부재(200)의 단부에도 씰링부재(22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몸체(110)의 단부에 설치된 씰링부재(130)와 더불어 챔버(100) 내부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차폐부재(200)의 외측면에는 밀폐부재(230)가 더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230)는 장공의 출입공(210)에 배치된 가지와 상기 출입공(210)의 직경차에 따른 틈새를 막아 챔버(100) 내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밀폐부재(230)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출입공(210)의 개구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가지 수용홈(231)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출입공(210)에 배치된 가지는 출입공(210) 및 가지 수용홈(231)에 의해 양측이 밀착됨은 물론, 가지와 출입공(210)의 직경차에 따른 틈새가 밀폐되므로 챔버(100) 내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구동부(300)는 동력을 발생하여 후술하는 링커(400)로 하여금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어느 하나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챔버(100)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300)는 챔버(100)를 구성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동부(300)가 제1몸체(110)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부(300)는 모터(310)와, 회전축(320)을 포함한다.
이때, 구동부(300)는 제1몸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회전축(320)은 챔버(100)의 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링커(400)는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2몸체(12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챔버(100)의 내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링커(400)는 구동부(300)의 회전축(320)과 제2몸체(120) 사이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링커(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20)에 결합된 회전부(410)와, 상기 회전부(410)로부터 절곡되어 제2몸체(120)까지 연장된 연장부(420)와, 상기 연장부(42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2몸체(120)에 결합된 결합부(430)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공기배출튜브(500)는 챔버(100) 내의 공기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빠져나가는 관로 역할을 하며, 챔버(100) 내에 배치된 나무 가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공기배출튜브(500) 중 나무 가지를 향한 부분에는 챔버(100)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기 위한 복수의 배출공(510)이 형성된다.
이때, 챔버(100)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빠져나는 힘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에 설치된 에어펌프에 의해 발생된다.
즉, 에어펌프는 공기배출튜브(500)를 통해 챔버(100) 내의 공기를 빨아들여 가스 샘플러로 보내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배출튜브(500)는 나무의 가지를 감싼 후, 챔버(100)를 관통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의 가스샘플러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공기순환펌프(600)는 나무 가지의 호흡을 위해 챔버(100) 내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하며, 챔버(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공기순환펌프(600)는 공기배출튜브(500)가 설치된 곳의 반대 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챔버(100)에 설치된 공기배출튜브(500)와의 공기 유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공기흡입튜브(700)는 공기순환펌프(6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챔버(100) 내로 유입되기 위한 관로이다.
공기흡입튜브(700)는 챔버(100) 내에 배치된 나무 가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공기배출튜브(500)가 설치된 곳의 반대 측에 설치된다.
이때, 공기흡입튜브(700) 중 챔버(100) 내에 배치된 나무 가지를 향한 부분에는 공기가 챔버(100) 내로 흡입되기 위한 복수의 흡입공(7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혼합팬(800)은 공기흡입튜브(700)를 통해 챔버(100) 내로 흡입된 공기를 챔버(100) 내에서 골고루 순환되도록 하여 챔버(100) 내에 배치된 나무의 가지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챔버(100) 내로 흡입된 공기가 챔버(100)에 설치된 공기배출튜브(50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혼합팬(800)은 챔버(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공기순환펌프(600)의 반대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혼합팬(80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나무 가지 호흡속도에 대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챔버(100)의 외부에는 자연광 상태를 측정하는 광센서가 설치되고, 챔버(100)의 내부에는 온도계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자연상태의 환경 조건과 가지 호흡 속도 간에 상관 관계를 더욱 세밀하고 면밀하게 연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 수집 챔버장치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부(300)의 모터(310)를 회전하여 링커(400)의 회전부(410)를 상방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부(410)에 연결된 연장부(420)와 결합부(430)는 상기 회전부(410)와 연동되면서 제2몸체(12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챔버(100)의 내부는 나무 가지가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후, 측정하고자 하는 나무의 가지를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시킨 후, 구동부(300)의 모터(310)를 역회전하여 링커(400)의 회전부(410)를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부(410)에 연결된 연장부(420)와 결합부(430)는 상기 회전부(410)와 연동되면서 제2몸체(120)를 하방으로 내려놓게 된다.
이때, 제2몸체(120)의 단부는 제1몸체(110)의 단부에 설치된 씰링부재(130)에 밀착이 된다.
다음으로, 차폐부재(200)를 챔버(100)의 양측에 설치하여 챔버(100)의 내부를 폐쇄시킨다.
이때, 차폐부재(200)는 챔버(100)의 양측에 실리콘 등을 이용해 고정시키는데,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된 가지는 각 차폐부재(200)의 출입공(210)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후, 차폐부재(200)의 단부에 씰링부재(220)를 설치하여 출입공(210)의 개구된 일측을 폐쇄시킨다.
다음으로, 출입공(2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나무 가지의 직경과 출입공(210)의 직경차로 인해 형성된 틈새를 밀폐부재(230)를 이용하여 밀폐시킨다.
즉, 밀폐부재(230)의 가지 수용홈(231)에 나무 가지를 끼워 수용시킨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밀폐부재(230)를 차폐부재(200)의 외측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가지에 공기 수집 챔버장치의 결합이 완료되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의 제어장치를 통해 공기 수집 및 수집된 공기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을 실시한다.
공기순환펌프(600)에 의해 공기는 공기흡입튜브(700)의 흡입공(710)을 통해 챔버(100) 내로 유입이 되고, 챔버(1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혼합팬(800)에 의해 공기배출튜브(500)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에어펌프에 의해 챔버(100) 내의 공기는 공기배출튜브(500)의 배출공(510)을 통해 빨려들어가는데, 이때, 공기의 양은 대략 5 ℓmin- 1 이다.
이후 공기는 가스샘플러를 통해 가스 유량계 및 공기필터를 거친 후, 0.7 ℓmin-1 의 유량의 공기만이 샘플링되어 적외선분석기에 의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측정된다.
이때, 적외선 분석기는 1초마다 샘플링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10초 간격으로 측정된 평균값을 제어장치에 저장시킨다.
이후,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을 마친 샘플링된 공기와 샘플링되지 못한 나머지 공기는 다시 합해진 상태로 공기흡입튜브(700)를 통해 챔버(10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공기 흐름을 통해 나무 가지 호흡에 의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게 되며,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되는 속도를 분석하여 나무의 가지 호흡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챔버(10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즉,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는 시간은 120초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챔버(10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120초가 넘으면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챔버(100)의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상태가 되므로 나무의 가지 호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나무의 가지 호흡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에 대한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챔버(100)의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는 120초 동안 나무 가지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게 되며, 120초가 지나면 제2몸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0)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때, 구동부(300)의 회전축(320)이 회전됨에 따라 링커(400)의 회전부(410)가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부(410)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420)가 결합부(430)를 연동시키게 되므로 결합부(430)에 연결된 제2몸체(12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챔버(100)의 내부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후, 제2몸체(120)가 열리면, 챔버(100)의 내부는 환기되면서 다시 자연상태가 된다.
이후, 챔버(100)의 내부가 환기되어 자연 상태로 이루어지면, 제2몸체(120)는 다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0)의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며, 챔버(100)의 내부가 밀폐됨과 동시에 전술한 일련의 공기 흐름이 다시 시작된다.
이때, 제2몸체(120)가 챔버(100)의 내부를 개폐하는 시간은 대략 105초임이 바람직하다.
즉, 챔버(100)의 내부가 자연상태로 바뀌는 시간은 105초 정도이면 충분한 것이다.
한편, 제2몸체(120)에 의해 챔버(100)의 내부가 밀폐되고 개방되는 시간 조절은 이산화탄소 농도측정장치에 설치된 제어장치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구동부(300)의 모터(310)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챔버(100)에 대한 제2몸체(120)의 개폐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는 나무 가지를 둘러싸고 있는 챔버의 내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나무 가지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을 하기 위한 챔버의 내부 환경은 늘 자연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나무 가지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몸체의 개폐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야외에서 관측자 없이 무인상태로 사계절 및 연간 장기적인 연속 측정이 가능해지므로 측정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100 : 챔버 110 : 제1몸체
120 : 제2몸체 130,220 : 씰링부재
200 : 차폐부재 210 : 출입공
230 : 밀폐부재 231 : 가지 수용홈
300 : 구동부 310 : 모터
320 : 회전축 400 : 링커
410 : 회전부 420 : 연장부
430 : 결합부 500 : 공기배출튜브
510 : 배출공 600 : 공기순환펌프
700 : 공기흡입튜브 710 : 흡입공
800 : 혼합팬

Claims (8)

  1. 식물의 가지 호흡에 따른 공기를 수집하여 그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내보내는 식물의 가지 호흡 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에 있어서,
    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1몸체에 밀착되어 둘레면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는 제2몸체로 구성되되 양측이 관통되게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챔버의 양단부를 각각 차폐시키되, 줄기가 출입되는 출입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차폐부재;
    상기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챔버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링커;
    상기 챔버 내의 공기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장치로 배출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공기배출튜브;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며, 챔버 내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공기순환펌프;
    상기 공기순환펌프를 통해 외기가 챔버 내로 흡입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공기흡입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다각형 또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각각 'L'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커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챔버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에 재절곡되어 결합된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맞닿는 단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와 차폐부재가 맞닿는 단부에는 씰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튜브 및 상기 공기흡입튜브는 식물의 가지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공기배출튜브 및 공기흡입튜브에는 각각 복수의 배출공 및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챔버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튜브를 통해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혼합팬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에는 가지와 출입공의 직경차에 따른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밀폐부재는 차폐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가지를 가지의 일측에서 수용시키는 가지 수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KR1020120089095A 2012-08-14 2012-08-14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KR101326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095A KR101326270B1 (ko) 2012-08-14 2012-08-14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095A KR101326270B1 (ko) 2012-08-14 2012-08-14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270B1 true KR101326270B1 (ko) 2013-11-11

Family

ID=4985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095A KR101326270B1 (ko) 2012-08-14 2012-08-14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2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8015A (zh) * 2016-08-05 2016-10-12 福建师范大学 一种测量红树林树干甲烷传输速率的静态箱
KR101839998B1 (ko) * 2016-07-12 2018-03-20 대한민국 식물의 이산화탄소 흡수능 연속계측을 위한 오토쳄버
CN113945681A (zh) * 2020-07-17 2022-01-18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测定森林生态系统组分呼吸δ13C的装置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767A (en) 1984-06-15 1987-03-17 Tech-Line Instruments Respirometer module with replaceable sample chamber
US4947339A (en) 1988-12-01 1990-08-07 Jan Czekajewski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spiration, oxidation and similar interacting between a sample and a selected component of a fluid medium
US8325030B2 (en) 2006-09-07 2012-12-04 Lord Corporation Heat stress, plant stress and plant health monitor system
US20120310540A1 (en) 2011-05-31 2012-12-06 Li-Co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photosynthetic carbon assim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767A (en) 1984-06-15 1987-03-17 Tech-Line Instruments Respirometer module with replaceable sample chamber
US4947339A (en) 1988-12-01 1990-08-07 Jan Czekajewski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spiration, oxidation and similar interacting between a sample and a selected component of a fluid medium
US8325030B2 (en) 2006-09-07 2012-12-04 Lord Corporation Heat stress, plant stress and plant health monitor system
US20120310540A1 (en) 2011-05-31 2012-12-06 Li-Co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photosynthetic carbon assiml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998B1 (ko) * 2016-07-12 2018-03-20 대한민국 식물의 이산화탄소 흡수능 연속계측을 위한 오토쳄버
CN106018015A (zh) * 2016-08-05 2016-10-12 福建师范大学 一种测量红树林树干甲烷传输速率的静态箱
CN113945681A (zh) * 2020-07-17 2022-01-18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测定森林生态系统组分呼吸δ13C的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077B1 (ko) 식물의 잎 호흡 및 광합성량 측정용 자동 공기수집 챔버장치
KR101326269B1 (ko) 식물의 줄기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Bunce Stomatal conductance,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temperate deciduous tree seedlings grown outdoors at an elevate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KR101773981B1 (ko) 밀폐순환법 적용 챔버의 개폐감지 작동을 이용한 식물의 호흡과 광합성량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Intrieri et al. Row orientation effects on whole-canopy gas exchange of potted and field-grown grapevines
KR101326270B1 (ko) 식물의 가지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CN103197050A (zh) 一种原位测定植物根系呼吸的测定装置
Leverenz et al. Responses of two provenances of Fagus sylvatica seedlings to a combination of four temperature and two CO2 treatments during their first growing season: gas exchange of leaves and roots
KR20180043967A (ko) 식물의 연속 광합성 및 호흡 측정장치
JP2012024011A (ja) 植物の自動制御型室内栽培装置
CN113068545B (zh) 一种植物病原菌繁殖及致病力测定系统
CN208705305U (zh) 一种森林碳汇计量检测装置
KR102308389B1 (ko) 반려식물 재배장치
CN114646621B (zh) 一种用于叶绿素荧光监测的叶片原位暗适应装置及方法
KR102426011B1 (ko) 독립형 탄소 분석 멀티 유니트
CN108244058A (zh) 一种用于观察研究的养虫设备
CN115669425A (zh) 一种智慧农业用吊挂式栽培装置
CN109168790A (zh) 一种基于土地纵深利用的农业种植方法及其系统
TWI406941B (zh) 牛樟芝之培養裝置
CN212993310U (zh) 一种植物幼苗根系持续观测取样装置
Manzano-Agugliaro et al. Time study techniques applied to labor management in greenhouse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cultivation
CN203148939U (zh) 一种原位测定植物根系呼吸的测定装置
Winkler et al. Experimental setup of field lysimeters for studying effects of elevated ozone and below-ground pathogen infection on a plant-soil-system of juvenile beech (Fagus sylvatica L.)
Escamilla et al. Measuring nutrient depletion by roots of mature trees in the field
CN207904276U (zh) 一种红果参组培菌驯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