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927B1 - 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927B1
KR101325927B1 KR1020120004955A KR20120004955A KR101325927B1 KR 101325927 B1 KR101325927 B1 KR 101325927B1 KR 1020120004955 A KR1020120004955 A KR 1020120004955A KR 20120004955 A KR20120004955 A KR 20120004955A KR 101325927 B1 KR101325927 B1 KR 10132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creen
button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4150A (en
Inventor
백상엽
신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전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전소프트
Priority to KR1020120004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927B1/en
Publication of KR2013008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제작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소스에 상기 데이터를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빌드 서버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타 스마트폰과 동기화시키기 위한 데이터 서버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에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출력되는 메인 화면에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회원의 수가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메인 화면에는 상기 회원들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 1 버튼 또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게시글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을 확인하기 위한 제 2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제 1 버튼 또는 제 2 버튼의 선택시에 회원정보 또는 게시글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으로 페이지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의 페이지 이동 후, 상기 회원과의 연락을 위한 방법이 표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에 대한 게시글 확인을 위한 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n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in which a first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receiving data on a second application produced by the smart phone are configured to generate an application file by applying the data to a pre-stored source. A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using a system comprising a build server and a data server for synchronizing data of the second application with other smartphones, the method comprising: at the time of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on a smartphone on which the second application is installed; Displaying, on the outputted main screen, the number of members who have installed the second application on the screen; On the main screen, a first button for confirming the information of the members or a second button for confirming a menu item for each post category provided by the second application is displayed, and when the first button or the second button is selected. Moving to a page of a menu item for each member information or a post category; And after moving to the page, displaying a method for contacting the member or moving to a page for confirming a post on a menu item for each category selected by a user.

Figure R1020120004955
Figure R1020120004955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은 스마트폰의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에 가능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phone, and in more detail, the productio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for an app maker application of a smartphone, Disclosed is a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using an application.

이미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까지도 급속도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인터넷을 통한 유무선 컨텐츠 시장은 그 이용자 수에 있어서도 폭발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방대한 정보의 소통을 창출하고 있는 인터넷을 비롯한 네트워크에는 이제 그 크기와 양을 짐작할 수 없을 만큼 수많은 종류와 양의 정보가 업로드, 다운로드되고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한 사용자들에 의하여 활용되고 있다. As is well known, the wired / wireless contents market over the Internet, which has been showing rapid growth until recently, shows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Networks, including the Internet, which create vast amounts of information, are now being uploaded and downloaded, and are being utilized by users connected to the network.

최근 일종의 개인용 소형 컴퓨터라고도 불리는 소위 "스마트폰(smartphone)"은 휴대폰과 개인휴대 단말기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시킨 개인용 휴대 장치이다. In recent years, the so-called "smartphone", also called a personal small computer,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mobile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is a personal handheld device that integrates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calendaring, fax transmission and Internet access into a mobile phone function. .

이러한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된 상태에서 휴대폰 제조업체들(예컨대, 애플, 노키아, HTC)에 의하여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마치 PC와 같이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smartphones is that they are hundreds of different applications, such as PCs, unlike traditional mobile phones, which were released as complete products and used only functions given by mobile phone manufacturers (e.g. Apple, Nokia, HTC). Is that you can install and add or delete as you wish.

스마트폰은 PC와 케이블 등으로 연결해서 접속하는 방식의 유선 인터넷은 물론이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 등이 기존 휴대폰이 갖지 못한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Smartphones can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Internet using a wireless Internet, as well as wired Internet via a PC and cable connection, and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in various ways using various browsing programs. The fact that the user can implement an interface suitable for them is considered as an advantage that existing mobile phones do not have.

한국의 경우, LG 정보통신과 삼성전자가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디지털 휴대폰에 초소형 컴퓨터를 결합한 스마트폰을 개발한바 있으며, 이것은 일종의 휴대형 컴퓨터로도 사용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사용자의 이동중에도 무선으로 인터넷 및 PC 통신, 팩스 전송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스마트폰은 아날로그 방식, 유럽의 GSM 방식, 일본의 PHS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도 있는바, 이제 무선통신의 방식을 불문하고 스마트폰은 그 편의성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거의 무제한의 다양한 기능 구현의 가능성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그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In Korea, LG Telecom and Samsung Electronics have developed a smartphone that combines a compact computer with a CDMA digital mobile phone, which can be used as a portable computer. It is desig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Internet, PC communication, fax transmission, etc. wirelessly. Smartphones have been develop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alog, European GSM, and Japanese PHS methods. Now, regardless of the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martphones have almost unlimited variety of functions and conveniences. Due to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its spread is rapidly spreading around the world.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폰에 비해서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넓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보다 수배 가량은 큰 사이즈의 LCD(액정 디스플레이)를 채택하고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과 수천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mformation Management: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춘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스마트폰 중에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인터넷 화면을 보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영한·한영사전, 공학 계산기, 게임 기능까지 내장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인명부와 스케줄, 메모 등과 같은 부가 기능을 통합 관리하는 상술한 개인정보관리 기능을 갖추고 있는 제품 또한 출시되고 있다. 물론, 소위 도킹(Docking)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도 지원되며, 전자우편, 인터넷 열람, 전자책 읽기, 내장형 키보드나 외장 USB 키보드 지원 기능, VGA 단자를 갖춘 고급형 모바일폰으로서의 기능도 지원하고 있다.Since a smartphone typically requires a wider interface to a user tha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a large-sized LCD (liquid crystal display) is used several times larger than a screen of a general portable phone, and data transmission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that can manage the address of the mobile phone. For example, among smartphones, products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hile watching the Internet screen on a touch screen basis while connected to a network, products including Korean English, Korean dictionary, engineering calculator, and game function are being launched. A product having the above-describe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that integrally manage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memo, etc. is also being released. Of course, the so-called docking station can be used to charge and send data stored in the computer. It also supports e-mail, Internet browsing, e-book reading, built-in keyboard or external USB keyboard, It also supports functions as a mobile phone.

스마트폰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일반 휴대폰과 비슷하다. 그러나 손가락으로 누르는 키패드 방식과 터치형 전자펜 입력 방식을 모두 지원하여 문자입력이 한층 편리한 스마트폰이 속속 개발되고 있고, 휴대폰에 비해 대용량 메모리를 채택하고 소정의 운영체제를 별도로 탑재함으로써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사용을 지원한다.The basic usage of a smartphone is similar to that of a normal mobile phone. However, smart phones are being developed one after the other by supporting both the finger-pad keypad method and the touch-type electronic pen input method. Supports the use of.

최근 스마트폰 활용의 핵심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있다. 어플리케이션 마켓은 게임, e북, 음악, 동영상 등 사용자들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를 쉽게 다운로드 받게 해주는 서비스로 미국 애플사의 '앱스토어' 출시 이후 활성화되었는데, 이후 노키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세계적인 회사에 이어 한국의 KT나 SK TELECOM과 같은 통신 사업자, 한국의 NAVER나 DAUM, 미국의 GOOGLE, YAHOO 등과 같은 인터넷 포털과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기업들도 스마트폰과 연계된 사업 진출을 시도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the key to using smartphones is in the 'application market' wher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used. The application market is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easily download applications and contents such as games, e-books, music, and videos, and has been activated since the launch of Apple's 'App Store,' followed by global companies such as Nokia, Google, and Microsoft. Telecom operators such as Korea's KT and SK TELECOM, Internet portals and mobile software developers such as NAVER and DAUM in Korea and GOOGLE and YAHOO in the US are also attempting to enter the smartphone-related business.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며,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공유하는 것과 함께, 다양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using an application for a smartphone, and the user can directly create an application, share the produced application together, and transmi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t aims to make the experience more diverse.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제작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소스에 상기 데이터를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빌드 서버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타 스마트폰과 동기화시키기 위한 데이터 서버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에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출력되는 메인 화면에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회원의 수가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메인 화면에는 상기 회원들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 1 버튼 또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게시글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을 확인하기 위한 제 2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제 1 버튼 또는 제 2 버튼의 선택시에 회원정보 또는 게시글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으로 페이지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의 페이지 이동 후, 상기 회원과의 연락을 위한 방법이 표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에 대한 게시글 확인을 위한 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n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in which a first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receiving data on a second application produced by the smart phone are configured to generate an application file by applying the data to a pre-stored source. A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using a system comprising a build server and a data server for synchronizing data of the second application with other smartphones, the method comprising: at the time of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on a smartphone on which the second application is installed; Displaying, on the outputted main screen, the number of members who have installed the second application on the screen; On the main screen, a first button for confirming the information of the members or a second button for confirming a menu item for each post category provided by the second application is displayed, and when the first button or the second button is selected. Moving to a page of a menu item for each member information or a post category; And after moving to the page, displaying a method for contacting the member or moving to a page for confirming a post on a menu item for each category selected by a user.

그리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출력되는 메인 화면은 적어도 2이상이고, 상기 메인 화면들 사이의 이동은 사용자의 플리킹 제스처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화면들에는, 상기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 1 스마트폰과, 제 2 스마트폰 사이의 데이터 동기화는 상기 데이터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main screen output when the second application is executed is at least two, the movement between the main screen is made by the user's flicking gesture, the main screen, the first button and the first The two button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nd the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first smartphone and the second smartphone on which the second application is installed is performed by the data server.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직접 자신의 취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마켓에 등록함으로써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공통으로 설치한 사용자들 사이에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에 맞게 공통 관심사의 정보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the user can create an applic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own preferences on his smartphone and share it with other users by registering in the market, and users who have installed the application in comm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share information of common interest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applica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19는 스마트폰에서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텍스트 기반으로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n application in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ducing a new application based on text using an app maker application in a smartphone.
20 to 3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addition, Variations.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ord " comprising "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elements or steps than those list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n application in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생성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이 설치된 스마트폰(100)은 어플리케이션용 파일 생성과 마켓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등록 시스템과 연결된다. The smartphone 100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capable of generat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 maker application” or “first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registered to enable file generation and market registration for an application. Is connected to the system.

상기 자동 등록 시스템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한 컴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일 생성을 위한 빌드 서버(210)와, 유료 또는 무료의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마켓(220)을 포함한다. The automatic registration system includes a build server 210 for compiling data transmitted from a smartphone and generating an application file, and an application market 220 for trading paid or free applications.

그리고, 상기 자동 등록 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만을 전달받고, 상기 빌드 서버(210)가 가지고 있는 소스에 자동으로 데이터를 적용하여 빌드시켜서, 어플리케이션 파일(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경우에, APK파일)을 생성한다. And, the automatic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only the data for the application generated from the smart phone 100, builds by applying the data automatically to the source that the build server 210 has, Create an application file (in the case of the Android platform, an APK file).

즉, 본 발명에 따른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소스의 전달없이 데이터만을 상기 빌드 서버(210)로 전달하여, 상기 빌드 서버(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스에 전달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빌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100)에서 생성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마켓(220)에 등록되기까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종래의 경우에는, PC등으로 작업하여 생성한 어플리케이션은 소스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빌드 서버로 전달되고, 빌드 서버를 통하여 소스에 대한 데이터의 빌드가 이루어지고, 그 다음 마켓에 등록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으로부터 데어터만이 전달되므로, 빌드 서버에 의한 신속한 컴파일 및 어플리케이션 파일 생성이 가능해진다. That is, only the data is delivered to the build server 210 from the smartphone 100 in which the app make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out delivering the source, and is transferred to the source stored in advance in the build server 210. To build the application data. Through this process, it is quickly performed until another application generated by the user in his smartphone 100 is registered in the market 220. In the conventional case, an application created by working with a PC or the like, application data is delivered to a build server together with a source, builds data for the source through the build server, and is then registered in the market. According to this, since only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quickly compile and generate an application file by the build ser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는 소스 전달 형태 등에 대한 기술적인 개발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할 필요가 없으며, 데이터만을 전달하기 때문에 빠르고 간단히 마켓까지의 등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빌드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a user who has installed the app make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perform technical development for the source delivery form, etc., and because only data is delivered, registration to the market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imply, and at the time of build.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possible errors.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220)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으로 다운로드 가능하며, 스마트폰들사이의 데이터 동기화는 데이터 서버(300)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데이터의 동기화가 신속히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market 220 can be downloaded to the user's smartphone 100,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martphone is made through the data server 300, the applic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ynchronization of data takes place quickly.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PC 등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 뿐만 아니라 PC(400) 등에서 제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빌드 서버(210)로 데이터만이 전달되고, 빌드 서버(210)에서는 미리 저장된 소스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빌드시켜 어플리케이션 파일인 APK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duced as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on a PC, etc.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application produced on the PC 400 as well as the smartphone 100 may be a build server 210. Only data is transmitted to the build server 210, and the build server 210 may generate corresponding data according to a pre-stored source to generate an APK file that is an application file.

위와 같은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다. In the above system configura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new application using an app maker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9.

도 3 내지 도 19는 스마트폰에서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텍스트 기반으로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3 to 19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creating a new application based on text using an app maker application in a smartphone.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본격적인 1단계로서, 자신이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새로이 제작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104)과, 아이콘(105)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되며, 어플리케이션 이름의 글자수는 제한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기본 아이콘이 제공되도록 하며, 해당 아이콘을 변경하는 것이 역시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as a full-scale first step for producing a new application in an application, a screen for setting a name 104 and an icon 105 of an application to be newly produced using an app maker application is output.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application name may be limited, the application icon may be provided with a basic icon, and the icon may be changed.

도 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제작의 2단계로서, 제작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된다. 이러한 스타일은, 예를 들면, 동호회 관리를 위한 스타일, 영업점 관리 또는 운영을 위한 스타일, 친구 관리를 위한 스타일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일종의 템플릿으로서, 사용자가 텍스트 형식으로 간단히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이 제공될 수 있다. 그 중에서, 동호회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템플릿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4, a screen for setting a style of an application to be produced is output as a second step of producing an application. These styles can be selected, for example, a style for managing a group, a style for managing or operating a branch, a style for managing a friend, and the like. As a template, various styles can be used to easily create an application in a text format. A template of may be provided. Among them, a case in which the user selects a template for managing and operating a fellowship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제작의 3단계로서, 사용자의 프로필을 간단히 등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SNS와의 연동을 설정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Facebook, twitter 등의 계정을 등록하면 해당 SNS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전화번호, 이름 등의 기본정보를 읽어들여 정보 입력하는 화면에서 사용자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 as a third step of producing an application, a screen for setting interworking with SNS is output in order to easily register a user profile. If you register your account such as Facebook, Twitter, etc., it will connect to the SNS server and read the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phone number and name so that the user's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entered on the screen.

그리고, 계정 등록시에 흑백톤의 아이콘이 컬러톤으로 변경되며, 아래에 계정명이 보여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account is registered, the icon of the black and white tone is changed to the color tone, and the account name is shown below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도 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제작의 4단계로서, 제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동호회 이름, 동호회 소개, 홈페이지, 동호회장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전술한 관리 메뉴를 통하여 수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6, as a fourth step of producing an application, a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to be produced is output. For example, a group name, a group introduction, a homepage, a club leader, and the like may be input. And,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through the above-described management menu.

도 7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제작의 5단계로서, 제작하는 어플리케이션(동호회 앱)의 메인 이미지와 공지 사항 등 필요사항을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출력되는 화면 중 개별화면들을 선택하게 되면, 사진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Referring to FIG. 7, as a fifth step of application production, a screen for inputting necessary matters such as a main image and a notice of an application to be produced (club app) is output. If individual screens are selected from the screens to be displayed, the screen moves to a screen where a picture or text can be input.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출력 화면에서 메인 이미지 클릭시에 나오는 화면으로서, 자신의 제작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팝업이 출력되며, 사진촬영을 하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8, a popup for selecting a main image of an own production application is output as a screen which appears when a main image is clicked on the output screen of FIG. 7, and takes a picture or selects a picture already stored. It is possible.

도 9를 참조하면, 도 7의 출력 화면에서 공지사항을 선택하는 때에 출력되는 화면(110)으로서, 최초 진입시에 가상 키보드가 나오며, 글자 입력 후 아래의 이모티콘을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이 완료되면서 공지사항 리스트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9, a screen 110 that is output when a notice is selected in the output screen of FIG. 7 is displayed. When a virtual keyboard is first entered, a character is selected after inputting a letter and clicks a save button. Upon completion, you will be redirected to the announcement list screen.

도 10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제작의 6단계로서, 제작하고자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게시판들의 설정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동호회 활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이므로, 제공되는 템플릿 내에 제공되는 자유게시판(111)과, 모임게시판(112) 등을 입력하는 화면이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10, as a sixth step of application production, setting of bulletin boards for sharing information in an application to be made is ma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for a group activity is selected within an app maker application. The screen for inputting the free board 111 and the meeting board 112 provided in the provided template is provided.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의 출력 화면에서 자유게시판을 선택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이 도시되며, 최초 진입시에 내용 입력폼이 출력되며, 하단의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제목, 사진, URL 등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 도 16에서는, 내용 버튼(113)을 선택하고, 자유게시판에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바(114)가 출력된다. Referring to FIG. 11, a screen that is output when a free board is selected in the output screen of FIG. 10 is shown, and a content input form is output when the first entry is made. There is provided a screen where you can enter additional. In Fig. 16, the content button 113 is selected, and an input bar 114 for inputting content on the free board is output.

도 12을 참조하면, 도 10 및 도 11에서 자유게시판의 입력폼이 더 도시되어 있으며, 사진 오른쪽 상단의 빨간색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추가한 사진을 삭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input form of the free board is further illustrated in FIGS. 10 and 11, and the added picture can be deleted by clicking the red icon on the upper right of the picture.

도 13을 참조하면, 도 10의 출력 화면에서 모임게시판을 선택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이 도시되며, 제공되는 템플릿 내에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게시판 내용 기재를 완료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screen that is output when a meeting board is selected in the output screen of FIG. 10 is illustrated, and a description of a bulletin board for producing an application may be completed by inputting text into a provided template.

도 1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제작의 7단계로서, 자신의 제작 어플리케이션에 사진을 함께 공유할 게시판이 제공되는 경우에, 다양한 사진들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그리고, 사진을 업로드하기 위한 사진 앨범란(120) 아래에는, 등록되어 있는 SNS의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서 글을 가져와 보여주는 SNS 정보란(121)이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4, as a seventh step of producing an application, when a bulletin board for sharing a picture is provided in an own production application, an interface for uploading various pictures is provided. Then, under the photo album column 120 for uploading a picture, the SNS information column 121 is displayed along with a post from a Facebook or Twitter of the registered SNS.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의 출력 화면에서 사진 업로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나오는 화면으로서, 사진촬영을 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5, when the picture upload is selected from the output screen of FIG. 14, an interface for displaying a picture or selecting a pre-stored picture is provided.

도 16을 참조하면, 도 15의 출력 화면에서 사진을 촬영하거나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팝업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그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내용 기재란(123)이 사진 아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에 대한 글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6, a pop-up image of a selected image is output when a picture is taken or selected on the output screen of FIG. 15. In addition, the content description field 123 for inputting a text thereof is displayed under the picture so that the user can write an article about the uploaded picture.

도 17을 참조하면, 도 14의 출력 화면에서 SNS 정보란을 선택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으로서, 등록된 계정의 SNS에 업로드된 글의 리스트가 출력되며, 해당 리스트를 클릭하는 경우에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된다. Referring to FIG. 17, a screen is displayed when the SNS information field is selected on the output screen of FIG. 14, and a list of posts uploaded to the SNS of a registered account is output. You'll be taken to a page where you can check.

도 1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제작의 8단계로서, 제작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배색에 대한 컬러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들이 출력된다. 제공된 템플릿 내에서 제공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색채에 대한 정보(131)를 표시하고, 그 옆에는 선택되는 색채에 따른 템플릿의 변경사항을 사용자가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리보기 화면(130)이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18, as an eight step of producing an application, menus for changing a color of screen coloration of an application being produced are output. A preview screen 130 is provided to display information 131 about various kinds of colors that can be provided in the provided template, and to allow the user to check in advance the change of the template according to the selected color. .

그리고, 화면 색채를 선택한 다음, 하단의 어플리케이션 제작 완료 버튼(나의 앱 만들기)(132)을 선택하게 되면, 도 19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상기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입력된 데이터가 빌드 서버(210)로 전달되고, 상기 빌드 서버(210)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소스에 데이터를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마켓이 등록한다. Then, when the screen color is selected, and then the application production completion button (create my app) 132 is selected at the bottom, as shown in Figure 19, a message that the application creation is completed, the smart phone installed the app maker application In the data set and input by the user is delivered to the build server 210, since the build server 210 has a source for the application, by applying the data to the source to generate an application file, and market This registers.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제공된 다양한 템플릿들을 이용해서 간단히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하고, 마켓까지의 등록이 간편히 이루어진다.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an easily create an application using various templates provided in the app maker application provided by the op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gistration to the market is easily perfo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들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by an application produced using an app maker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은,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일방에서 타방으로 일방적인 정보 전달이 아닌, 상호간에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상대방의 참여까지 유도할 수 있는 정보 공유에 그 특징이 있다. The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etween users of a smart phone on which an application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is installed, and the information is not unilaterally transmitt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but together with each other.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information sharing that can share and induce the participation of the other party.

도 20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20 to 37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0, 도 26, 도 33 및 도 37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은, 메인 메뉴로서, 상호간의 이동은 좌우로 플리킹하는 것에 의하여 그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작된 동호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 도 20의 메인 화면이 나타나게 되며, 도 20의 화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플리킹하게 되면, 도 26, 33 및 37에 도시된 메인 화면들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플리킹은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페이지 전환방법으로서, 화면을 터치하여 끌듯이 좌우로 이동시키면 페이지가 전환되는 방법이다. First, the application menu screens shown in FIGS. 20, 26, 33, and 37 are main menus, and the movement of the application menu screens is possible by flicking each other from side to side. For example, when the group application produced by the app maker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ain screen of FIG. 20 is displayed, and when flickering to the left or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of FIG. 20, as illustrated in FIGS. 26, 33, and 37. You will be taken to the main screen. Here, flicking is a page switching method used in a smart phone, and is a method of switching pages by moving left and right as if dragging the screen.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가 되는 동호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나타나는 제 1 메인 화면으로서, 메인 이미지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공지사항와 같은 함께 공유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타이틀바는 어플리케이션 이름이 중앙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단 우측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전체회원수 대비 오늘 증가 또는 감소한 회원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회원수의 증감(501)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as a first main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group application is executed, information for sharing together, such as a main image and an announcement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upper title bar may display an application name in the center, and an increase or decrease 501 of the number of members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side so that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grasp the increased or decreased number of members today.

새로운 공지글에 대해서는 NEW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플리킹하는 것에 의하여 제 2 내지 제 4 메인 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A NEW icon may be displayed for the new bulletin, an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move to the second to fourth main screens by flicking left or right.

그리고, 제 1 메인 화면 하측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회원들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회원연락 버튼(507)이 표시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각종 메뉴를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가기 버튼(509)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ember contact button 507 is displayed below the first main screen to check contact information for member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a shortcut button 509 for entering various menus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도 21을 참조하면, 도 20의 제 1 메인 화면에서 공지사항을 선택하는 때에 나타나는 화면으로서, 단일 리스트 구성은 상태 이모티콘 뒤에 3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글자수가 길어지면 말줄임표가 생기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a screen that appears when a notice is selected on the first main screen of FIG. 20 may include three lines after a state emoticon, and a ellipsis may be generated when the number of characters is long.

그리고, 공지사항 글 리스트 중에서 특정의 글을 선택하게 되면 도 22와 같이, 해당 글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좌우로 플리킹하게 되면 공지글의 이전글과 다음글로 이동할 수 있다. And, if you select a particular post from the list of announcements, as shown in Figure 22, you can check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detail, and even if flicking left and right, you can move to the previous post and the next post.

도 23을 참조하면, 도 21 및 도 22에서와 같이 메인 화면에서 특정 항목 선택으로 세부 항목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단 우측에 각종 메뉴를 신속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퀵 메뉴(503)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퀵 메뉴(503)를 선택하는 때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각종 데이터의 카테고리별로 팝업된다. 예를 들면, 공지사항에 대한 메뉴(504)와, 자유게시판 또는 모임게시판에 대한 메뉴(505)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의 계정에 연동된 SNS에 대한 메뉴(506)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as shown in FIGS. 21 and 22, when a specific item is entered by selecting a specific item from the main screen, a quick menu 503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to quickly select various menus. . When the quick menu 503 is selected, the popup pops up for each category of data provided by the application. For example, a menu 504 for the announcement, a menu 505 for the free board or a meeting board, and a menu 506 for the SNS linked to the account of the user who installed the application.

도 24를 참조하면, 도 20의 제 1 메인 화면에서 좌측 하단의 회원연락 버튼(507)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사용중인 사용자들의 프로필 정보(508)가 리스트업된다. Referring to FIG. 24, when the member contact button 507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first main screen of FIG. 20 is selected, profile information 508 of users who are installing and us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listed.

회원들의 리스트구성은, 회원사진, 이름, 전화번호로 구성되며, 우측에는 연락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전화, 1:1대화, 문자가 있다. 이러한 데이터 연동은,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데이터 서버(300)를 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중인 사용자들간에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앱 메이커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이다. The list of members consists of a member's photo, name, and phone number, and on the right side, there is a telephone, 1: 1 conversation, and tex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data interworking may be performed to transmit data between users who install and use a corresponding application through the data serv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produced by the app make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도 20의 제 1 메인 화면에서 우측 하단의 바로가기 버튼(509)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들에 대한 카테고리별 항목이 리스트업된다. Referring to FIG. 25, when selecting the shortcut button 509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irst main screen of FIG. 20, items for each category of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re listed.

도 26을 참조하면, 도 20의 제 1 메인 화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플리킹한 경우에 출력되는 제 2 메인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2 메인 화면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각종 세부메뉴들 중에서 특정의 메뉴들에 대한 항목과 그들 각각의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호회 회원 관리 및 동호회 활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자유게시판(501)과, 모임게시판(511)이 카테고리 항목으로 출력되고, 각각의 항목 아래에는 게시된 글의 요약이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a second main screen output when the first main screen of FIG. 20 is flickered to the left or the right is shown. In the second main screen, items for specific menus and their respective lists may be output from various detailed menus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pplication for the group member management and the club activity, the free board 501 and the meeting board 511 may be output as category items, and a summary of posted articles may be output below each item. .

도 27을 참조하면, 도 26의 제 2 메인 화면에서 특정의 카테고리(자유게시판)를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카테고리 내에 속해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시글들이 리스트업된다. 그리고, 리스트업된 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글을 상세히 볼 수 있도록 상세 페이지로 이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when a specific category (free bulletin board) is selected on the second main screen of FIG. 26, at least one or more posts belonging to the category are listed. If one of the listed articles is selected, the detailed page can be moved to view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detail.

그리고, 사용자가 추가로 글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단의 글쓰기 버튼(512)을 선택하면 신규 글 작성을 위한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write an article additionally, selecting a writing button 512 at the bottom moves to a page for writing a new article.

도 28을 참조하면, 도 27의 화면에서 특정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때에 출력되는 화면이다. 전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좌우플리킹을 통하여 이전, 다음 리스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8, it is a screen output when a specific list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27. You can check the entire contents. You can check the previous and next leases through left and right flicking.

도 29를 참조하면, 도 27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글쓰기 버튼(512)를 선택하는 경우에, 출력될 수 있는 글쓰기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다. 최초 진입시에 내용 입력폼이 나오게 되며, 하단의 버튼을 클릭하면, 제목, 사진, URL 등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사진 우측 상단의 붉은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추가한 사진을 삭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when a user selects a writing button 512 on the screen of FIG. 27, a writing page that may be output is illustrated. When you first enter the content form will appear, click the button at the bottom, you can additionally enter the title, photo, URL, and more. If you click the red icon on the top right of the photo, you can delete the added photo.

도 30을 참조하면, 도 26의 화면에서 다른 카테고리 항목인 모임게시판을 선택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리스트 화면이다. Referring to FIG. 30, a list screen output when a meeting board which is another category item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26.

도 31을 참조하면, 도 30의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의 글을 선택하는 때에 출력되는 내용 읽기 화면이고, 게시된 글에 대한 댓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글쓰기 버튼(515)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1, a content reading screen output when a specific post is selected on the list screen of FIG. 30, and a writing button 515 may be formed to input a comment on a posted post.

그리고, 본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 공통 화제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항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오프라인에서 만남의 약속의 정할 수 있는 게시판이 있으며, 예를 들어, 모임게시판의 리스트중 특정 글을 선택하게 되면, 상측부터 제목, 일시, 장소, 신청기간, 주관자, 내용, 댓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면 상에 지도(MAP) 버튼을 형성하여, 해당 맵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글 게시자가 업로드한 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is application is made for the purpose of sharing information of a common topic among a plurality of users, there is a bulletin board that can determine the appointment of meetings offline, for example, select a specific post from the list of meeting boards If you do, the title, date and time, place, application period, organizer, content, comments can be configured from the top side, and by forming a map (MAP) button on the screen, when the post publisher selects the corresponding map button You can check the map.

도 32를 참조하면, 도 31의 화면에 모임에 신청한 사용자들을 확인할 수 있는 신청자리스트 버튼이 있으며, 이 신청자리스트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신청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전체에서 알리기 위하여 전체공지하기 버튼(5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들에게 푸쉬-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there is an applicant list button on the screen of FIG. 31 to confirm users who have applied for a meeting. In the case where the applicant list button is selected, a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users who have applied for is shown. . In addition, a lower notification button 516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to notify all user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when selecting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push-notif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registered as the application user.

도 33을 참조하면, 도 26의 제 2 메인 화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플리킹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제 3 메인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3 메인 화면은 앨범 게시판(517)과 SNS(518)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앨범은 날짜순으로 출력되며, SNS는 등록되어 있는 계정과 연동된 페이스북, 트위터의 게시글이 출력된다. Referring to FIG. 33, a third main screen which appears when the second main screen of FIG. 26 flickers to the left or the right is shown. The third main screen may be composed of an album bulletin board 517 and SNS 518, the album is output in chronological order, the SNS is a post of Facebook, Twitter linked to the registered account is output.

그리고, 앞선 제 1 메인 화면과 제 2 메인 화면에서와 같이, 제 3 메인 화면 하단에는 회원연락버튼(507)과, 바로가기버튼(509)이 형성된다. As in the first main screen and the second main screen, the member contact button 507 and the shortcut button 509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hird main screen.

도 34를 참조하면, 도 33의 제 3 메인 화면에서 앨범 게시판(517)을 선택하는 경우에 앨범리스트로서 출력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단일 리스트 구성은 축소된 이미지와 하단에 내용, 날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 이미지의 좌우 플리킹을 통해 이전과 다음 앨범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클릭시에는 전체화면으로 해당 이미지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34, a screen output as an album list when selecting the album bulletin board 517 in the third main screen of FIG. 33 is illustrated. A single list can consist of a reduced image, content and date at the bottom, and the previous and next albums can be checked by flicking left and right of the top image. When the image is clicked, the corresponding image is output to the full screen.

도 35를 참조하면, 도 33의 제 3 메인 화면에서 SNS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SNS 리스트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선택한 리스트 클릭시에는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며, SNS 내용 확인을 위한 리스트 클릭시 출력되는 화면은 도 36에 예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5, when the SNS category is selected in the third main screen of FIG. 33, an output SNS list screen is shown. When the selected list is clicked, the user moves to a page for checking the corresponding contents. A screen output when a list is clicked for checking contents is illustrated in FIG. 36.

그 다음, 도 37을 참조하면, 정보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제 4 메인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521)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호회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동호회 소개, 홈페이지, 총회원수, 동호회장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홈페이지 주소와 바로가기버튼(509)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37, a fourth main screen of an application for sharing information is illustrated, and information 521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be check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a group, it may be composed of a group introduction, a homepage, a total number of members, a group leader, and the like, and when a homepage address and a shortcut button 509 are selected, a corresponding page may be mov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직접 자신의 취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마켓에 등록함으로써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공통으로 설치한 사용자들 사이에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에 맞게 공통 관심사의 정보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user can create an applic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own preferences in his smart phone and share it with other users by registering in the market, and users who have install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comm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share information of common interest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application.

Claims (2)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제작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소스에 상기 데이터를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는 빌드 서버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타 스마트폰과 동기화시키기 위한 데이터 서버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에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출력되는 메인 화면에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회원의 수가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메인 화면에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회원들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 1 버튼 또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게시글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을 확인하기 위한 제 2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제 1 버튼 또는 제 2 버튼의 선택시에 회원정보 또는 게시글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으로 페이지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의 페이지 이동 후,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회원과의 연락을 위한 방법이 표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카테고리별 메뉴항목에 대한 게시글 확인을 위한 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A smart phone on which a first application is installed, a build server that receives data about a second application produced by the smart phone, and applies the data to a prestored source to generate an application file; and a data of the second application. As a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using a system consisting of a data server for synchronizing with a smartphone,
Displaying, on a screen, the number of members who have installed the second application on a main screen, which is output when the second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smartphone on which the second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main screen, a first button for confirming information of members who have installed the second application or a second button for confirming a menu item for each post category provided by the second application is displayed, and the first button or Moving to a page item of a member information or a post category by selecting a second button; And
After moving to the page, a method for contacting a member who has installed the second application is displayed or moving to a page for confirming a post on a menu item for each category selected by a user; Information sha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출력되는 메인 화면은 적어도 2이상이고, 상기 메인 화면들 사이의 이동은 사용자의 플리킹 제스처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화면들에는, 상기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 1 스마트폰과, 제 2 스마트폰 사이의 데이터 동기화는 상기 데이터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two main screens are displayed when the second application is executed, and movement between the main screens is performed by a user's flicking gesture.
In the main screens,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he data sharing method using an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first smart phone and the second smart phone is installed, the second application is performed by the data server.
KR1020120004955A 2012-01-16 2012-01-16 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KR101325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955A KR101325927B1 (en) 2012-01-16 2012-01-16 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955A KR101325927B1 (en) 2012-01-16 2012-01-16 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150A KR20130084150A (en) 2013-07-24
KR101325927B1 true KR101325927B1 (en) 2013-11-07

Family

ID=4899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955A KR101325927B1 (en) 2012-01-16 2012-01-16 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9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819A (en) * 2006-03-29 2007-10-05 (주)닥터소프트 Application joint service system, client process module for application joint service providers, and client process module for application joint service users
KR20130004719A (en) * 2011-07-04 2013-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819A (en) * 2006-03-29 2007-10-05 (주)닥터소프트 Application joint service system, client process module for application joint service providers, and client process module for application joint service users
KR20130004719A (en) * 2011-07-04 2013-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150A (en)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2863B2 (en)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 management
Firtman Programming the mobile web
Deitel et al. Android for programmers: an app-driven approach
Lal Digital design essentials: 100 ways to design better desktop, web, and mobile interfaces
WO20090393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ollaborating, and presenting software demonstrations, and methods of marketing of the same
WO2015112623A1 (en) Authoring, sharing and consumption of online courses
CN103049169A (en) Content authoring application
CN104516674A (en) Wor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130084146A (en) Method for making an application in smartphone
Stolley How to design and write web pages today
CN114528816B (en) Collaborative edit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medium
Zamri et al. 10 user interface elements for mobile learning application development
US201402579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arketing services in a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JP2012198592A (en) Menu information synchronization system
KR101325927B1 (en) 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KR1012617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KR1012428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item having annotation on electronic book
TWI473020B (en)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application program for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7507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tory board, an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bject selected in story board
Weston Learn Microsoft PowerApps: Build customized business applications without writing any code
Eriksson et al. Designing User Interfaces for Mobile Web
Camden et al. jQuery Mobile Web Development Essentials
KR102625036B1 (en) An electronic mobile wallet apparatus for providing coupon or membership sharing, method for the same
US2020041060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 digital business card
Anderson et al. Assemble the Social Web with z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