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898B1 - 골 배분기 - Google Patents

골 배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898B1
KR101325898B1 KR1020120066212A KR20120066212A KR101325898B1 KR 101325898 B1 KR101325898 B1 KR 101325898B1 KR 1020120066212 A KR1020120066212 A KR 1020120066212A KR 20120066212 A KR20120066212 A KR 20120066212A KR 101325898 B1 KR101325898 B1 KR 10132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opening
powder
contai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관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7Supplying powder or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troducing bone substitute, for implanting bone graft implants or for compacting them in the bone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75Skull or cranium
    • A61F2002/2889Maxillary, premaxillary or molar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배분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부에 안내홈부를 형성함으로써, 뼛가루를 보충하고자 하는 시술부위에 용기부 내의 뼛가루를 소량씩 채워넣을 수 있어 보충되는 뼛가루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 배분기{Bone distributor}
본 발명은 골 배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부에 안내홈부를 형성함으로써, 뼛가루를 보충하고자 하는 시술부위에 용기부 내의 뼛가루를 소량씩 채워넣을 수 있어 보충되는 뼛가루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골 배분기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란 광범위한 의미로는 '인체에 이식된 조직'을 의미하지만, 치의학에서는 턱뼈(상악골, 하악골)에 식립되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물을 의미하며, 특히 상실된 치아 혹은 치근을 대신하기 위해 잇몸뼈에 이식되어지는 인공치아를 일컫는다. 치아가 상실되었을 경우, 과거에는 브릿지라고 하여 상실된 치아의 앞, 뒤의 두개의 치아를 깎아내고 보철을 3개의 치아에 걸쳐 치료하거나 여러개의 치아가 상실되었을 경우에는 틀니를 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임플란트의 치료법의 개발로 인해 인접 치아를 깎아내거나 틀니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치아를 잇몸뼈(상악골, 하악골)에 이식하여 자기 치아와 같은 기능을 갖게 되었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부족한 뼈를 보충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 한국등록특허 10-0971145에는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는 나팔관으로 뼛가루를 집어 넣은 후 푸시바를 주입관 내부로 밀어 넣어 뼛가루를 보충하는 구조인 바, 구성물의 분실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용기부에 안내홈부를 형성함으로써, 뼛가루를 보충하고자 하는 시술부위에 용기부 내의 뼛가루를 소량씩 채워넣을 수 있어 보충되는 뼛가루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골 배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손잡이부에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골 배분기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부족한 뼛가루를 보충할 때, 손잡이부가 시술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골 배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부의 저면에 홀을 형성하고, 홀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을 용기부의 저면 바깥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시술자는 용기부 내에 채워진 뼛가루를 안내홈부를 통해 시술부위에 소량씩 채워넣을 수도 있고, 개폐판을 회전시켜 홀을 연 후, 홀을 통해 용기부 내에 채워진 뼛가루를 시술부위에 소량씩 채워넣을 수도 있어, 다양한 시술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골 배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어 분쇄된 뼛가루를 담으며, 뼛가루의 배출을 안내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용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배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저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용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배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용기부의 저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뤄지되, 상기 용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에 돌출형성된 돌출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배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배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부에 안내홈부를 형성함으로써, 뼛가루를 보충하고자 하는 시술부위에 용기부 내의 뼛가루를 소량씩 채워넣을 수 있어 보충되는 뼛가루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부에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골 배분기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부족한 뼛가루를 보충할 때, 손잡이부가 시술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부의 저면에 홀을 형성하고, 홀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을 용기부의 저면 바깥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시술자는 용기부 내에 채워진 뼛가루를 안내홈부를 통해 시술부위에 소량씩 채워넣을 수도 있고, 개폐판을 회전시켜 홀을 연 후, 홀을 통해 용기부 내에 채워진 뼛가루를 시술부위에 소량씩 채워넣을 수도 있어, 뼛가루의 보충이 필요한 다양한 시술 부위에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 배분기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 배분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폐부재의 동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 배분기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 배분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폐부재의 동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 배분기(100)는 손잡이부(110); 손잡이부(110)로부터 연장형성된 연결대(130); 및 연결대(130)에 결합되어 분쇄된 뼛가루를 담으며, 뼛가루의 배출을 안내하는 안내홈부(151)가 형성된 용기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부(110)는 시술자가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부족한 뼛가루를 보충할 때, 골 배분기(100)를 손으로 잡는 부분이며, 시술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10)에는 미끄럼방지부(113)가 형성되며,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13)는 일 예로, 손잡이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널링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널링(knurling)이란 미끄럽지 않도록 우툴두툴한 자국을 내는 가공법을 말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10)에 미끄럼방지부(11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골 배분기(110)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부족한 뼛가루를 보충할 때, 손잡이부(110)가 시술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물론,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13)는 전술한 널링부 이외에, 러버, 실리콘 등의 코팅층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연결대(130)는 손잡이부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연결대(130)는 판 형상을 가진다. 연결대(130)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130)는 손잡이부(110)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후, 하측 사선 방향으로 절곡연장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연장되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2049128810-pat00001
' 형상을 가진다.
용기부(150)는 연결대(130)에 결합되어 분쇄된 뼛가루를 담으며, 용기부(150)에는 담겨진 뼛가루의 배출을 안내하는 안내홈부(151)가 형성된다.
안내홈부(151)는 용기부(150)의 상측 가장자리 일부분을 외측으로 늘려서 주둥이 형상을 이루도록 만들어진 부분으로서, 용기부(150)에 담겨진 뼛가루는 안내홈부(151)를 통해 시술 부위에 채워진다.
이와 같이 용기부(150)에 안내홈부(151)를 형성함으로써, 뼛가루를 보충하고자 하는 시술부위에 용기부(150) 내의 뼛가루를 소량씩 채워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의 골 배분기(200)에서 용기부(150)의 저면에는 홀(153)이 형성되고, 홀(153)은 용기부(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개폐부재는 용기부(150)의 저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뤄지되, 용기부(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개폐판(155); 및 개폐판(155)에 돌출형성된 돌출손잡이부(1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판(155)은 용기부(150)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부(150)의 저면 바깥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로, 개폐판(155)은 용기부(150)에 리벳(159)으로 결합됨으로써, 리벳(159)으로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판(155)은 용기부(150)의 저면에 형성된 홀(153)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돌출손잡이부(157)는 개폐판(155)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손잡이부(157)는 개폐판(155)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돌출손잡이부(157)의 형상은 시술자가 개폐판(155)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라면 그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부(150)의 저면에 홀(153)을 형성하고, 홀(153)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155)을 용기부(150)의 저면 바깥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시술자는 용기부(150) 내에 채워진 뼛가루를 안내홈부(151)를 통해 시술부위에 소량씩 채워넣을 수도 있고, 개폐판(155)을 회전시켜 홀(153)을 연 후, 홀(153)을 통해 용기부(150) 내에 채워진 뼛가루를 시술부위에 소량씩 채워넣을 수도 있게 된다. 이 때, 개폐판(155)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개폐판(155)이 차단하는 홀(153)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홀(153)을 통해 빠져나오는 뼛가루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용기부(150)의 저면에 형성되는 홀(153)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부에 안내홈부를 형성함으로써, 뼛가루를 보충하고자 하는 시술부위에 용기부 내의 뼛가루를 소량씩 채워넣을 수 있어 보충되는 뼛가루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부에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골 배분기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부족한 뼛가루를 보충할 때, 손잡이부가 시술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부의 저면에 홀을 형성하고, 홀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을 용기부의 저면 바깥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시술자는 용기부 내에 채워진 뼛가루를 안내홈부를 통해 시술부위에 소량씩 채워넣을 수도 있고, 개폐판을 회전시켜 홀을 연 후, 홀을 통해 용기부 내에 채워진 뼛가루를 시술부위에 소량씩 채워넣을 수도 있어, 뼛가루의 보충이 필요한 다양한 시술 부위에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200 : 골 배분기 110 : 손잡이부
113 : 미끄럼방지부 130 : 연결대
150 : 용기부 151 : 안내홈부
153 : 홀 155 : 개폐판
157 : 돌출손잡이부 159 : 리벳

Claims (4)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어 분쇄된 뼛가루를 담으며, 뼛가루의 배출을 안내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용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배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저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용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배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용기부의 저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뤄지되, 상기 용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에 돌출형성된 돌출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배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배분기.
KR1020120066212A 2012-06-20 2012-06-20 골 배분기 KR10132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12A KR101325898B1 (ko) 2012-06-20 2012-06-20 골 배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12A KR101325898B1 (ko) 2012-06-20 2012-06-20 골 배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898B1 true KR101325898B1 (ko) 2013-11-07

Family

ID=4985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212A KR101325898B1 (ko) 2012-06-20 2012-06-20 골 배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6016A (zh) * 2019-01-30 2019-05-2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骨粉种植体外模拟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49B1 (ko) 2008-02-27 2008-05-29 (주)북부덴탈 초음파 골편 채취기용 끌팁
JP4327244B1 (ja) * 2009-02-19 2009-09-09 秀朗 上田 新規なソケットリフトにおける骨補填材填入用ジョウゴ
KR20100000849A (ko) * 2008-06-25 2010-01-06 주식회사 쿠보텍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KR101198082B1 (ko) 2011-08-09 2012-11-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용 인공뼈 주입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49B1 (ko) 2008-02-27 2008-05-29 (주)북부덴탈 초음파 골편 채취기용 끌팁
KR20100000849A (ko) * 2008-06-25 2010-01-06 주식회사 쿠보텍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JP4327244B1 (ja) * 2009-02-19 2009-09-09 秀朗 上田 新規なソケットリフトにおける骨補填材填入用ジョウゴ
KR101198082B1 (ko) 2011-08-09 2012-11-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용 인공뼈 주입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6016A (zh) * 2019-01-30 2019-05-2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骨粉种植体外模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0831B2 (en) Dental implant fixture capable of easily receiving blood
Zufía et al. A decade of the socket-shield technique: a step-by-step partial extraction therapy protocol.
Drago et al. Immediate Occlusal Loading of Osseotite® Implants in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Report with 18‐Month Data
Singh et al. Immediate placement of implant in fresh extraction socket with early loading
Bersani et al. Immediate loading of implants placed in fresh extraction sockets in the molar area with flapless and graftless procedures: a case series
Stimmelmayr et al. Vertical ridge augmentation using the modified shell technique—a case report
KR101325898B1 (ko) 골 배분기
Júnior et al. Aesthetic approach in single immediate implant-supported restoration
Gogna et al. Restoration of badly broken, endodontically treated posterior teeth
Ewers The incisal foramen as a means of insertion for one of three ultra-short implants to support a prosthesis for a severely atrophic maxilla–A short-term report
Patil et al. Gingival veneer: Mask the unesthetic
Pandey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to the prosthodontic management of Class III mandibular defect
Chandraker et al. Technique to assess the alveolar bone width for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n fresh extraction sockets
US20110244428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s
Joshi et al. Prosthetic rehabilitation following segmental mandibulectomy
Boeck et al. Cephalometric evaluation of surgical mandibular advancement
Goiato et al. Rehabilitation of maxillary cleft with hybrid obturator prosthesis
Gupta et al. Achieving a Desired Esthetic Outcome for a Single‐Tooth Implant Restoration with Tissue Excess Using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Approach: A Clinical Report
WO2011123638A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s
Lim et al. Periodontal ligament preloading and rapid prototyping of the donor tooth in the autotransplantation of premolars with complete root formation
Rao et al. Localized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block bone graft followed by dental implant placement
Gurung et al.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n Anterior Maxilla
Eckert Occam’s Razor Comes Against Gordian’s Knot
Kim et al. Accelerated tooth movement and temporary skeletal anchorage devices (TSADs)
Cheng et al.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nd provisionalization after staged approaches of apicoectomy and guide tissue/bone regeneration in the anterior maxilla: A clinical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