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394B1 -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394B1
KR101325394B1 KR1020110032266A KR20110032266A KR101325394B1 KR 101325394 B1 KR101325394 B1 KR 101325394B1 KR 1020110032266 A KR1020110032266 A KR 1020110032266A KR 20110032266 A KR20110032266 A KR 20110032266A KR 101325394 B1 KR101325394 B1 KR 10132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ion
suspended
microorganism
ion
particl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628A (ko
Inventor
황정호
박철우
김철
조윤행
정의경
박형호
이장우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3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은,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입자 포집장치에 포집하는 미생물포집단계;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양이온을 발생시켜, 입자 포집장치에 포집된 미생물에 부착시키는 양이온부착단계;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양이온이 부착된 미생물상에 부착시키는 음이온부착단계; 및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간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쇼크(electric shock)로 상기 부유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세포용해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removing method and apparatue of floating particle and microorganism using ion-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류 인플루엔자, 신종 인플루엔자 등이 이슈화되면서 공기감염 문제가 대두되어 부유 미생물 항균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항균 물질을 코팅한 필터(이하 '항균필터'라 함)가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향균 물질로서 천연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낮아, 대부분 금속 나노(예를 들어, 은나노 등) 입자가 항균필터에 사용되고 있으나, 금속 나노 입자에 대한 독성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코팅된 입자가 재비산될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자와의 접촉면적에 비례하여 향균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포집효율(filteration efficiency)과 항균 효율(antimicrobial efficiency) 중 일측에 치중되거나, 그 중간 성능을 구현하는 것은 가능하나, 우수한 포집효율과 항균 효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근래에는 입자 집진필터와 이온 발생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입자 집진필터에서는 포집 성능을 구현하고, 상기 이온 발생장치에서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거나, 양(+)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발생시켜 공기중 살균대상(부유 미생물)에 공급함으로써 항균 성능을 구현하고 있다.
상기 이온 발생장치에서 양이온 또는 음이온만을 발생시키는 경우, 양이온 또는 음이온에 의해 생성된 수산기(OH), 과산화수소(H2O2) 등의 물질에 의해 산화반응을 일으켜 세균을 제거할 수 있고, 양이온, 음이온 각각이 인체에 끼치는 효능을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온간의 척력에 의해 이온과 부유 미생물을 접촉, 반응시키는데 장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장치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킬 경우, 양이온과 음이온이 공기중 부유 입자나 미생물 표면에 접촉되어 반응을 하기 전에 서로 결합되어 급속히 중화됨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 발생에 의해 세포 표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감소될 수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단시간에 미생물 용해에 의한 항균 효과를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공기 중 부유 미생물(1)을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하는 미생물포집단계(S1);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양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에 부착시키는 양이온부착단계(S2);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양이온이 부착된 미생물(1)상에 부착시키는 음이온부착단계(S3); 및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간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쇼크(electric shock)로 상기 부유 미생물(1)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세포용해단계(S4);를 포함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생물포집단계(S1)는,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측으로 유동 중인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상기 입자 포집장치(10) 전단에 설치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양이온(또는 음이온)으로 하전하고,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을 전압인가장치(15)에 의해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반대되는 음이온(또는 양이온)으로 하전하여,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는, 확산,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양이온과 음이온을 미생물(1)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부착단계(S3)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에서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양이온에 의해,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와 비교해 보다 큰 정전기적 인력으로 상기 미생물(1)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와 음이온부착단계(S3)는, 상호 교대로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용해단계(S4)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에서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이온 무리와 상기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 미생물(1)측으로 유동 중인 이온 무리 간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가능한 정도의 전기쇼크(electric shock)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상 중 부유 미생물(1)이 포집되는 입자 포집장치(10); 양이온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핀이 구비되며, 상기 이온발생핀에 의해 생성된 양이온과 음이온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표면에 부착되게 상기 입자 포집장치(10) 전단에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이온 발생장치(20); 및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의 이온발생핀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키며, 상기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이온 무리와 상기 미생물(1)측으로 유동 중인 이온 무리 간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가능한 정도의 전기쇼크(electric shock)를 발생시키는 전압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하도록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을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반대되는 종류의 이온으로 하전하는 전압인가장치(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는, 공기 중의 입자를 고체 포집방법, 또는 액체 포집방법에 의해 포집할 수 있는 포집판 또는 포집공간이 구비되는 입자 포집장치;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는,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icipitator), 관성충돌장치(inertial impactor), 사이클론(cyclone), 원심분리기(centrifuge), 필터(filt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로 상기 필터가 적용되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가 설치되는 공기 유동경로상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공압차를 생성하는 유동 발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는,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발생기(21);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상기 양이온 발생기(21)와 교대로 작동되는 음이온 발생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는, 양이온과 음이온 모두를 발생시키되, 상호 교대로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이온 발생장치와 전압인가장치를 이용하여 양전하와 음전하간의 인력에 의해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을 입자 포집장치상에 신속하고 명확하게 포집하면서도,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포집한 후에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켜 미생물에 반응시킴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쇼크로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파괴, 용해시킬 수 있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쇼크에 의해 미생물의 세포 표면에 전기적, 물리적 파괴력을 끼침으로써, 하나의 이온에 의해 미생물에 영향을 끼치는 것에 비해 보다 단시간에 미생물 용해에 의한 항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양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에 비해 미생물과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다.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발생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쇼크로 세포 표면에 물리적 파괴력을 가하는 이외에, 세포 구성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세포의 단백질 분자를 파괴시킬 수 있는 라디칼의 발생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어, 향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 - 입자 포집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 - 이온 발생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 - 양이온부착단계, 음이온부착단계, 세포용해단계에서 양이온, 음이온과 미생물간의 반응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는, 기상 중 부유 입자와 부유 미생물을 지정위치에 포집(부착, 수용)하고 포집된 부유 미생물은 양이온, 음이온과 교대로 반응시키며 용해(파괴)하며 포집 기능과 항균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상 중 부유 미생물(1)이 포집되는 입자 포집장치(10)와,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표면에 교대로 부착시키는 이온 발생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는, 도 1에 납작한 판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와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서 발생된 이온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측으로 확산, 유동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포집판(이하 설명)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만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형상, 구조를 특정하게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는 이하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가능하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는,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icipitator), 관성충돌장치(inertial impactor), 사이클론(cyclone), 원심분리기(centrifuge), 필터(filter) 등과 같이, 공기 중의 입자를 고체 포집방법, 또는 액체 포집방법에 의해 포집할 수 있는 포집판 또는 포집공간을 가지는 집진장치 내지 필터시스템을 통칭한다.
도 2의 (a), (b), (c)는 각각 상기 전기집진기, 관성충돌장치, 사이클론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전기집진기는, 직류고압전압에 의하여 방전극에 (-)전압(또는 (+)전압)을 인가시키면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되는 음(-)이온(또는 양(+)이온)은 가스 중의 더스트 입자와 대전되어, (+)전압(또는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집진극(포집판)으로 전기력에 의하여 이동되어 포집되는 정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하는 집진장치이다.
도 2의 (a)는 다양한 전기집진기 구조 중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wire to plate type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충전선(charging wire)과 포집판(collecting plate)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충전선과 포집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하전된 입자는 포집판에 포집된다.
관성충돌장치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노즐(acceleration nozzle, impaction nozzle) 아래에 충돌판(impaction plate) 또는 수집관(receiving tube)(이하,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상에서 입자 포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집판'으로 통칭한다)이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가속노즐 또는 분출구(jet)를 통과한 공기는 포집판에 의해 그 유동 방향을 90°전환하게 되며, 공기에 포함된 입자 중 일정 이상의 질량을 가지는 입자는 관성에 의해 유동 방향이 완전히 전환되지 않고 포집판에 충돌, 포집된다.
사이클론은, 유체 중의 고체 입자를 분리하거나 액체 방울을 기체와 분리하는 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장치의 하나로서, 다양한 종류와 사양을 가진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를 포함한 공기는 원형 사이클론 내부에 접선방향으로 유입된 후, 원통형의 내벽을 따라 돌며 선회 유동을 형성하게 되며, 이 선회 유동은 사이클론 하부의 콘(cone)영역까지 계속 유지되면서 입자들을 원심력에 의해 내벽측으로 밀어내며 유동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입자가 제거된 유동(공기)은 콘 하단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분리된 입자들은 콘 내벽을 타고 하강하여 더스트 호퍼(dust hopper)(이하, '포집판'으로 통칭한다) 등에 집진된다.
원심분리기는 빠른 속도로 계속 회전시킬 때 생기는 지속적인 원심력을 응용한 장치로, 사이클론 또한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장치이나, 사이클론과 비교해 고속회전하는 회전용기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입자를 회전용기 외측벽측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전기집진기는 압력손실이 낮아 대용량 또는 고유량제 적용하기 적합하며, 나노사이즈(100㎚ 이하)의 미세입자에 대해서도 높은 집진효율을 가진다. 이에 대해, 관성충돌장치, 싸이클론 등은 간단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고체 포집방법은 시료공기를 고체의 입자층을 통과시켜 흡인하는 것 등에 의하여 흡착, 반응 등에 의하여 고체에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포집하는 방법으로,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구비된 포집판 또는 포집공간상에 포집시키는 과정에서 적용가능하다.
액체 포집방법은 시료공기를 액체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액체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용해, 반응, 침전, 현탁 등에 의하여 액체에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포집하는 방법으로, 흡수액의 종류는 포집대상 물질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 또는 포집공간상에 액체를 도포하거나 수용하며, 상기 액체 포집방법을 적용하여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포집할 수도 있다.
그 외,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를 이용해, 시료공기를 여과재에 통과시켜 여과재에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포집하는 여과 포집방법, 시료공기를 냉각한 관 등에 접촉시켜 응축시킨 후에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포집하는 냉각 응축 포집방법, 시료공기를 용해, 반응, 흡착시키지 않고 직접 포집포대, 포집병, 진공포집병, 주사통(syringe) 등에 포집하는 직접 포집방법, 분자확산의 원리를 이용하여 포집한 후에 분석하는 확산포집방법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로 필터가 적용되면, 대기 중에 부유되어 있는 미생물들이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상에 걸러져 포집되며, 대기 중 부유미생물을 상기 필터에 포집함에 있어서는, 송풍기, 펌프와 같은 유동 발생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를 기준으로 일측의 대기를 타측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공압차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에는 상기 포집판에 양전압 또는 음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15)가 설치되며, 상기 전압인가장치(15)는,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함께 작동이 이루어지되,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반대되는 이온으로 상기 포집판을 하전시킨다.
상기 전압인가장치(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공기 유동을 저해하지 않는 매쉬(mesh)형상, 와이어(wire) 형상 등으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의 전, 후단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측으로 유동 중인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양이온(또는 음이온)으로 하전하고, 상기 이온 발생장치(20) 후단 위치하는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을 상기 전압인가장치(15)에 의해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반대되는 음이온(또는 양이온)으로 하전한다.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의 포집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전압인가장치(15)에 반대되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서 양이온(또는 음이온)으로 하전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음이온(또는 양이온)으로 하전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에 명확하고 신속하게 포집, 부착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 부유 입자를 포집함에 있어서, 헤파급 또는 미디엄급 필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헤파급 필터의 경우 나노 입자에 대한 집진 효율은 높으나 차압이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미디엄급 필터의 경우 나노 입자에 대한 그 집진 효율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로써 미디엄급 필터 또는 헤파급 보다 포집 성능이 더 낮은 필터를 사용하더라도, 헤파급 필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포집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인가장치(15)의 이용에 소요되는 소비전력에 비해 현격히 우수한 포집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핀(이하,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구비되어 고전압, 또는 저전압을 인가받게 되는 핀, 브러쉬, 톱니형상 등의 전극을 '이온발생핀'으로 통칭하기로 한다.)(미도시)을 구비하여, 대기가 상기 입자 포집장치(10)까지 유동되는 경로, 즉,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전단에 설치된다.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측으로의 공기 유동상에서 상기 이온발생핀에 의해 생성된 양이온과 음이온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표면에 명확하게 부착되도록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키도록,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의 이온발생핀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 조정하는 전압제어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전압제어장치는,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의 이온발생핀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키되, 상기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이온 무리와 상기 미생물(1)측으로 유동 중인 이온 무리 간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가능한 정도의 전기쇼크(electric shock)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 범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가능한 정도의 전기쇼크(electric shock)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 범위, 시간 간격 등은, 본 발명의 상기 입자 포집장치(10), 이온 발생장치(20)의 사양, 공기 유동량 등의 조건에 따라 실험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미생물을 용해시킨다는 것은 미생물을 녹여 액체상태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 손상시키거나 다수의 요소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유 미생물(1)의 항균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 전압제어장치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 사이에 발생되는 전류에 의한 전기쇼크(electric shock)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에 포집, 고정된 상태의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의 (a), (b)는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는,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발생기(21)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22) 다수가 하나의 챔버(chamber)에 분산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양이온 발생기(21)와 음이온 발생기(22)를 교대로 작동시킴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는, 양이온과 음이온 모두를 발생가능한 이온발생기(23) 다수를 챔버(chamber)에 분산 설치한 구조를 가지며, 양이온과 음이온을 지정주기(예를 들어, 0.01초~30초 범위 내에서)를 두고 교대로 발생시키도록 상기 이온발생기(23)를 제어함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킬 수 있다.
양이온 발생기와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이온 발생장치의 구조, 양이온과 음이온 모두를 교대로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한 이온 발생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0-69923호의 음이온/양이온 발생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내의공기정화장치 등을 포함한 공지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챔버상에 다수의 음이온 발생기(22), 양이온 발생기(22), 또는 이온발생기(23)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음이온, 양이온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 전반에 걸쳐 고르게 확산,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측으로의 공기 유동경로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균일한 범위에 걸쳐 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를 형성, 배치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기(22), 양이온 발생기(22), 또는 이온발생기(23)를 상호 정간격을 두고 상기 챔버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부유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 상기 포집판상에서 미생물이 번식되어 실내로 다시 유입되거나 번식된 미생물에서 MVOC(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가 발생하여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에 의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을 항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공기청정기에 적용하는 경우, 항균 기능을 주기능으로 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전압인가장치(15)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만을 이용하고,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양이온,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키다가, 황사 등으로 인해 공기 중에 부유 입자의 비율이 높거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경우,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양이온 또는 음이온만을 택일하여 발생시키고 상기 전압인가장치(15)를 이와 반대되는 전하로 하전시켜 항균 기능을 주요하게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의 (a), (b), (c)는 각각 양이온부착단계, 음이온부착단계, 세포용해단계에서 양이온, 음이온과 미생물간의 반응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은, 상기 입자 포집장치(10), 이온 발생장치(20)를 이용하여, 기상 중 부유 미생물을 포집하고 양이온, 음이온과 교대로 반응시키며 미생물을 용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크게 미생물포집단계(S1),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 세포용해단계(S4)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생물포집단계(S1)에서는, 공기 중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한다.
상기 미생물포집단계(S1)에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포집함에 있어서는, 상기 이온 발생장치(20)가 양이온(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이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반대되는 음이온(또는 양이온)으로 하전되도록 상기 전압인가장치(15)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측으로 유동 중인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은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를 통과하면서 양이온(또는 음이온)으로 하전되고,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음이온(또는 양이온)으로 하전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상에 신속하고 명확하게 부착, 포집된다.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와 전압제어장치에 의해 양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에 부착시키며, 상기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와 전압제어장치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양이온이 부착된 미생물(1)상에 부착시킨다.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 생성된 양이온과 음이온은, 확산(diffusion), 정전기적 인력(attractive coulomb force)에 의해, 상기 미생물(1) 표면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이후에 이루어지는 상기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에서 상기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양이온에 의해,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와 비교해 보다 큰 정전기적 인력으로 상기 미생물(1)측으로 음이온이 이동, 부착된다.
상기 세포용해단계(S4)에서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 사이에 발생되는 전류에 의한 전기쇼크(electric shock)로 상기 부유 미생물(1)의 세포벽을 파괴한다.
상기 세포용해단계(S4)에서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에서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이온 무리와 상기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 미생물(1)측으로 유동 중인 이온 무리 간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가능한 정도의 전기쇼크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용화하여 적용할 시, 상기 세포용해단계(S4)에서 전기쇼크를 명확하게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인가되는 전압,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의 소요시간, 시간주기 등의 최적범위를, 장치 사양, 공기 유동량 등의 조건에 따른 실험에 의해, 미리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공기 유동량, 부유 입자 비율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세포용해단계(S4)에서 전기쇼크가 명확하게 발생되지 않아 미생물 항균 성능이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인가되는 전압, 시간 등을 기준치를 만족하는 범위로 자동 제어하여 항균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압조정단계가 추가로 필요하다.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가능한 정도의 전기쇼크(electric shock)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 범위, 시간 간격 등은, 본 발명의 상기 입자 포집장치(10), 이온 발생장치(20)의 사양, 공기 유동량 등의 조건에 따라 실험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다.
상기 부유 미생물(1)과 부유 입자가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상에 극소량 포집된 경우에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 고전압, 저전압이 인가되더라도 미생물(1) 표면에 이온이 부착되는 형성되는 이온 무리의 하전량 또한 미약하여 전기쇼크를 발생시키기 어려우므로, 상기 미생물포집단계(S1)에서의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포집 성능, 포집 정도 또한 확인하며,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포집단계(S1),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 세포용해단계(S4)는, 공기 중에 부유된 상태에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상에 포집된 하나 또는 동시에 포집된 다수의 미생물(1)을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반응을 시간적 순서로 기재한 것으로, 상기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의 음이온의 미생물(1)측 이동, 부착과 상기 세포용해단게(S4)는 실제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양이온과 음이온이 교대로 생성, 미생물(1)에 부착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므로,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는, 양이온을 선발생시키고, 음이온을 후발생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음이온을 선발생시킨 후, 양이온을 후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양이온 발생과, 음이온 발생이 상호 교대로 반복하여 다수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방전(放電)은 일반적으로는 충전되어 있는 전지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하는데, 좁은 의미의 방전 현상의 예로써,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는 겨울철에 문 등의 손잡이와 손 사이에서 튀는 불꽃(스파크)을 기체 방전의 한 종류로 들 수 있으며, 금속 용접에 사용되는 아크 방전, 번개와 오로라 같은 자연현상 등도 일종의 방전 현상이다.
본 발명은,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포집한 후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켜 미생물에 반응시킴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쇼크로 세포 표면에 전기적, 물리적 파괴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이온에 의해 미생물에 영향을 끼치는 것에 비해 보다 단시간에 미생물 용해에 의한 항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양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에 비해 미생물과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다.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발생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쇼크로 세포 표면에 물리적 파괴력을 가하는 이외에, 세포 구성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세포의 단백질 분자를 파괴시킬 수 있는 라디칼의 발생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어, 향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라디칼(radical)은 화학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전자를 포함한 분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분자들은 짝수 개의 전자를 갖고 있고, 일반적으로 분자 내에 원자들을 결합시키는 공유결합은 원자들이 전자쌍을 공유함으로써 결합을 형성하는데, 대부분의 라디칼은 이러한 정상적인 전자쌍 결합이 쪼개짐으로써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라디칼은 상기와 같은 전자쌍 결합의 쪼개짐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홀전자와, 정상적인 전자쌍을 이루고 있는 원자들로 이루어지며, 홀전자를 가지나 전기적으로는 중성이고, 홀전자를 가지므로 반응성이 커진다.
A 라는 원소와 B 라는 원소가 공유결합하고 있는 경우에 이것이 쪼개지는 방법에는 다음의 3가지 경우가 있다.
① A : B ─→ A . + . B,
② A : B ─→ A :^- + B^+
③ A : B ─→ A^+ + : B^-
라디칼은 유기화합물의 반응에서 생성되는 화학종의 일종으로, ①에서와 같이 공유한 전자를 공평하게 나누면서 쪼개지는 경우를 균형분해라고 하며, 이 경우에 쪼개진 조각들은 홀전자를 가지므로 전하를 띠지 않는다.
②와 ③의 경우처럼 공유한 전자를 어느 한 쪽에서 차지하면서 쪼개지는 경우를 불균형분해라고 하며, 이 경우에 쪼개진 조각들은 한쪽에서는 전자쌍을 모두 가지므로 -하전을 띠는 음이온이 되고, 다른 쪽에서는 전자를 빼앗긴 결과가 되어 +하전을 띠는 음이온이 된다.
양(+) 이온과 음(-) 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키면 단극성 이온만 발생시키는 경우에 비해 항균에 큰 영향을 주는 라디칼 발생량이 높아지며 그림 2와 같은 물리적 효과가 기대되어지기에 단극성 이온을 이용한 시스템에 비해 더욱 큰 항균 성능을 보이게 된다.
양이온 및 음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경우, 라디칼은 생성될 수 있으나 세포벽에 붙기 전에 중화될 수 있어 세포표면에 미치는 물리적 효과는 감소될 수 있는데, 본 발명품은 양(+) 이온과 음(-) 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키면서 세포표면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라디칼의 발생 농도도 높이기에 더욱 큰 항균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미생물 10 : 입자 포집장치
15 : 전압인가장치 20 : 이온 발생장치
21 : 양이온 발생기 22 : 음이온 발생기
23 : 이온발생기 S1 : 미생물포집단계
S2 : 양이온부착단계 S3 : 음이온부착단계
S4 : 세포용해단계

Claims (13)

  1. 공기 중 부유 미생물(1)을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하는 미생물포집단계(S1);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양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에 부착시키는 양이온부착단계(S2);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양이온이 부착된 미생물(1)상에 부착시키는 음이온부착단계(S3); 및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간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쇼크(electric shock)로 상기 부유 미생물(1)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세포용해단계(S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포집단계(S1)는,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측으로 유동 중인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상기 입자 포집장치(10) 전단에 설치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에 의해 양이온(또는 음이온)으로 하전하고,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을 전압인가장치(15)에 의해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반대되는 음이온(또는 양이온)으로 하전하여,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 음이온부착단계(S3)는,
    확산,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양이온과 음이온을 미생물(1)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부착단계(S3)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에서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양이온에 의해,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와 비교해 보다 큰 정전기적 인력으로 상기 미생물(1)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와 음이온부착단계(S3)는,
    상호 교대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용해단계(S4)는,
    상기 양이온부착단계(S2)에서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이온 무리와 상기 음이온부착단계(S3)에서 미생물(1)측으로 유동 중인 이온 무리 간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가능한 정도의 전기쇼크(electric shock)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7. 기상 중 부유 미생물(1)이 포집되는 입자 포집장치(10); 및
    양이온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핀이 구비되며, 상기 이온발생핀에 의해 생성된 양이온과 음이온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표면에 부착되게 상기 입자 포집장치(10) 전단에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이온 발생장치(20);
    상기 이온 발생장치(20)의 이온발생핀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키며, 상기 미생물(1) 표면에 기부착된 이온 무리와 상기 미생물(1)측으로 유동 중인 이온 무리 간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된 미생물(1)의 세포벽을 용해가능한 정도의 전기쇼크(electric shock)를 발생시키는 전압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공기 중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1)을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에 포집하도록 상기 입자 포집장치(10)의 포집판을 상기 이온발생장치(20)와 반대되는 종류의 이온으로 하전하는 전압인가장치(1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는,
    공기 중의 입자를 고체 포집방법, 또는 액체 포집방법에 의해 포집할 수 있는 포집판 또는 포집공간이 구비되는 입자 포집장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는,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icipitator), 관성충돌장치(inertial impactor), 사이클론(cyclone), 원심분리기(centrifuge), 필터(filt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포집장치(10)로 상기 필터가 적용되면,
    상기 입자 포집장치(10)가 설치되는 공기 유동경로상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공압차를 생성하는 유동 발생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는,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발생기(21);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상기 양이온 발생기(21)와 교대로 작동되는 음이온 발생기(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장치(20)는,
    양이온과 음이온 모두를 발생시키되, 상호 교대로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장치.
KR1020110032266A 2011-04-07 2011-04-07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32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266A KR101325394B1 (ko) 2011-04-07 2011-04-07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266A KR101325394B1 (ko) 2011-04-07 2011-04-07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628A KR20120114628A (ko) 2012-10-17
KR101325394B1 true KR101325394B1 (ko) 2013-11-08

Family

ID=4728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266A KR101325394B1 (ko) 2011-04-07 2011-04-07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9182A (zh) * 2015-02-12 2015-07-08 济南信邦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净化室外大气中细颗粒物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76B1 (ko) 2006-12-07 2008-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858912B1 (ko) 2000-12-27 2008-09-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저장고 및 냉장고
KR20110094809A (ko) * 2010-02-18 2011-08-24 한국기계연구원 다량의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12B1 (ko) 2000-12-27 2008-09-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저장고 및 냉장고
KR100808876B1 (ko) 2006-12-07 2008-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20110094809A (ko) * 2010-02-18 2011-08-24 한국기계연구원 다량의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9182A (zh) * 2015-02-12 2015-07-08 济南信邦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净化室外大气中细颗粒物的方法及装置
CN104759182B (zh) * 2015-02-12 2016-05-18 济南信邦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净化室外大气中细颗粒物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628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9376A (en) Method of cleaning dust-loaded gas
EP1892044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WI710405B (zh) 空氣除塵系統
JP4687595B2 (ja) 電気集塵装置
JP4897142B2 (ja) 気体流から粒子および/または液滴形態の物質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3313795A (zh) 使用多交叉针离子产生器的感应式静电集尘器
US20100011960A1 (en) Electrostatic Air Filter
Sambudi et al. Capture of ultrafine particles using a film-type electret filter with a unipolar charger
US20160144380A1 (en) Composite dust collector
US9259742B2 (en) Electrostatic collecting system for suspended particles in a gaseous medium
KR101325394B1 (ko) 이온 발생장치를 이용한 부유 입자 및 부유 미생물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793376B1 (ko) 하이브리드 스크러버 시스템
KR101942658B1 (ko) 입자를 대전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기
KR101310652B1 (ko) 스파크 방전장치와 하전장치를 이용한 나노입자 생성장치 및 입자 크기 제어방법
US5149339A (en) Rotary device for removing particulates from a gas stream
CN102600998A (zh) 一种荷电辅助促进颗粒物相互作用的装置及方法
JP2007330898A (ja) 集塵装置
KR20120064890A (ko) 무동력 싸이클론 방식과 전기집진 방식이 결합된 공기정화장치
KR20040101806A (ko) 교류 고전압을 이용한 먼지 제거방법 및 장치
CN105079854B (zh) 非均匀交变离子场空气净化装置及空气净化方法
GB2409991A (en) Electrostatic air filter
CN110369136A (zh) 一种用于皮带运输的智能化电除尘系统
KR20220099441A (ko)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
KR20210123595A (ko) 회전형 전기집진기
JPH01299647A (ja) 多重極電界型静電凝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