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229B1 - Security system - Google Patents

Securit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229B1
KR101324229B1 KR1020080099820A KR20080099820A KR101324229B1 KR 101324229 B1 KR101324229 B1 KR 101324229B1 KR 1020080099820 A KR1020080099820 A KR 1020080099820A KR 20080099820 A KR20080099820 A KR 20080099820A KR 101324229 B1 KR101324229 B1 KR 10132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video
data
still imag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0609A (en
Inventor
나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229B1/en
Publication of KR2010004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는 단말기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정지 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 상기 동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로부터의 정지 영상과 상기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99820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to generate image data,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camera by a network, the network camera generating still image data and video data from the image data. And analyzing the video data to detect an event occurring in the region, and transmitting the still image data, the video data, and data about the even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 surveillance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 still image and a video from the video data.

Figure R1020080099820

Description

감시 시스템{Security system}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network camera.

네크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와 이격되어 있는 컴퓨터에 전송한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영상 분석(또는 물체 검출(object detection))하여 물체가 새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urveillance system using a network camera transmits the image taken by the network camera to a computer spaced apart from the network camera via a network. Recently, an image (or object detection) of an image photographed by a network camera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s newly detected.

종래의 네크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촬영된 영상에서 새로운 물체가 검출된 경우 검출된 물체에 대해 색채를 입히거나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사라진 물체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네크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5초)동안 물체가 사라진 상태나 출현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물체의 색채를 변화시키며(예를 들면, 파랑-녹색-노랑-빨강 순으로 변화시킴), 빨간색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25초) 이상 유지되면 최종적으로 물체가 사라지거나 새로 출현했다고 확정하였다. In the conventi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a network camera, when a new object is detected in the captured image, the detected object is colored or shows an image of the object disappeared from the captured image. More specifically, 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conventional network camera changes the color of an object when the object disappears or remain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and changes the color of the object (for example, blue- Green-Yellow-Red), and when red remains for a predetermined time (e.g., 25 seconds), it is finally determined that the object has disappeared or reappear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사라지거나 출현하는 물체의 색채가 변하게 되므로 그 물체가 어떤 물체인지 판별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여러 물 체가 사라지거나 출현하는 경우 또한 물체의 구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at the object is because the color of the disappearing or appearing object change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object when several objects disappear or appear.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카메라에 연결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어떤 물체가 변화되었는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veillance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know immediately which object has changed while looking at the display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network camera.

본 발명에 관한 감시 시스템은, 소정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는 단말기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정지 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 상기 동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로부터의 정지 영상과 상기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을 표시한다.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and generating image data,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camera by a network, wherein the network camera is connected to the still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Generates video data, detects an event occurring in the region by analyzing the video data, and transmits the still image data, the video data, and data about the even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 still image from the still image data and a moving image from the moving image data are display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지 영상 생성부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영상 생성부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부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camera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for generating the image data from an imag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a still im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still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and the video data from the image data. A video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and an event determination unit for analyzing the video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event occurs, and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signals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리사이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resizer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video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저는 상기 정지 영상을 352 X 288의 CIF(Common interchange format) 해상도 또는 720 X 480의 D1 해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zer may adjust the still image to have a CIF (Common interchange format) resolution of 352 × 288 or D1 resolution of 720 × 48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 생성부는 JPEG(I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으로 상기 정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ll image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the still image in a JPEG (I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생성부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으로 상기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the video by a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촬영되는 영역에 새로운 물체가 나타나거나 물체가 사라지는 것이며,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is that a new object appears or disappears in the area to be photographe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event occurs from the video data, and generates the metadata about the event occurrence can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와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정지 영상 및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정지 영상과 상기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and signals with the network camera through the network,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ill image and the video,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still image an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video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동영상에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vent data is transmitted, the controller may display a region where the event occurs in the vide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 영상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정지 영상을 확대한 확대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ill image is click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enlarged image in which the still image is enlarged on the display unit.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정지 영상과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을 일대일로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event occurs by comparing the still image and the video in which the event occurred one to one.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nitoring system of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네트워크 카메라(100a, 100b, 100c), 네트워크(200), 및 단말기(300a, 300b, 300c)를 구비할 수 있다.1 and 2, a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etwork cameras 100a, 100b and 100c, a network 200, and terminals 300a, 300b and 300c.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영상 입력부(101), 리사이저(resizer)(102), 정지 영상 생성부(103), 동영상 생성부(104), 이벤트 판단부(105), 제어부(106), 및 송수신부(107)를 구비할 수 있다.The network camera 10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01, a resizer 102, a still image generating unit 103, a moving image generating unit 104, an event determining unit 105, a control unit 106, and transmission / reception. The unit 107 may be provided.

영상 입력부(101)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외부에서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01)는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하는 광학계(미도시), 촬상소자(미도시),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의 광은 광학계를 통해 입사되며, 촬상소자는 상기 입력된 광으로부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테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The image input unit 101 may generate image data from an image input from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6. The image input unit 101 may include an optical system (not shown)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an imaging device (not shown), and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not shown). External light is incident through the optical system, and the image pickup device generates image data related to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from the input light.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converts analog data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into digital data. Of cours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is not necess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pickup device.

리사이저(102)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할 수 있다. 리사이저(102)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352 X 288의 CIF(Common interchange format) 해상도, 720 X 480의 D1 해상도, 또는 176 X 144의 QCIF(Quarter common interchange format) 해상도로 변환시킬 수 있다.The resizer 102 may conver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6. The resizer 102 may conver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into a 352 X 288 Common Interchange Format (CIF) resolution, 720 X 480 D1 resolution, or 176 X 144 Quarter common interchange format (QCIF) resolution.

정지 영상 생성부(103)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부(101)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서 정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정지 영상 데이터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단말기(300)로 전송되며,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정지 영상 생성부(103)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로 인코딩한다. JPEG로 인코딩된 정지 영상 데이터는 단말기(300)에서 별도의 디코딩 과정이 없이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될 수 있다. 정지 영상 생성부(103)는 정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D1, CIF, 또는 QCIF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IF 해상도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till image generator 103 may generate still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input unit 10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6. The still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of the terminal 300. In particular, the still image generating unit 103 encodes the image data into a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to generate still image data. Still image data encoded in JPEG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without a separate decoding process in the terminal 300. The still image generating unit 103 may control the resolution of the still image data to be D1, CIF, or QCIF, and preferably to have a CIF resolution.

동영상 생성부(104)는 제어부(106)의 제어하에 영상 입력부(101)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단말기(300)에 전송되며,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될 수 있다. 동영상 생성부(104)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동영상 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동영상 생성부(104)는 동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D1, CIF, 또는 QCIF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video generation unit 104 may generate video data from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input unit 10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6. The video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of the terminal 300. The video generating unit 104 may encode the video data into video data by using a moving picture expert group (MPEG). The video generating unit 104 may control the resolution of the video data to be D1, CIF, or QCIF.

이벤트 판단부(105)는 제어부(106)의 제어하에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입력부(101)에 의해 촬영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라고 함은 상기 촬영된 영역에서 새로운 물체가 나타나거나 촬영시 상기 영역에 존재하던 물체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벤트 판단부(105)는 각 프레임별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벤트 판단부(105)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이벤트 판단부(105)는 이벤트 발생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단말기(300)에 전송되며, 상기 메타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300)의 제어부(320)는 전송된 동영상에 이벤트 발생 영역을 표시한다. 이에 관하여는 아하에서 상술한다.The event determiner 105 may detect the event occurring in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image input unit 101 by analyzing the video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6. An event means that a new object appears in the photographed area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area disappears when photographing. The event determiner 105 analyzes the video data of each frame to determine whether an event occurs. When an event is detected by the event determining unit 105, the event determining unit 105 generates metadata regarding event occurrence. The metadata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the control unit 320 of the terminal 300 displays an event occurrence area in the transmitted video according to the metadata. This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송수신부(107)는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메타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신호와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단말기(300)에 전송하며, 네트워크(200)를 통해 단말기(300)로부터 각종 데이터와 신호를 전송받는다.The transmitter / receiver 107 transmits the still image data, the video data, the meta data, as well as various signals and data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from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200. Receive data and signals.

단말기(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terminal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nd a display unit 330.

통신부(31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100)에서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전송받으며, 네트워크(200)를 통해 단말기(300)에서의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네트워크 카메라(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various data an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camera 1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transmits various data and signals from the terminal 300 to the network camera 100 through the network 200. Can transmit

제어부(320)는 각종 데이터와 신호가 네트워크 카메라(100)와 송수신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0)에서 전송된 정지 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되도록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카메라(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카메라(100)의 동작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20)는 네트워크 카메라(10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를 네트워크 카메라(1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어부(320)는 이벤트 판단부(105)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100)에 전달되어 이벤트 판단부(105)는 촬영되는 동영상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카메라(100)에서 이격된 단말기(300)에서 네트워크 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2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310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d signals with the network camera 100,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330 to display still image data and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camera 100. To be displayed on the unit 330. In addition, the controller 3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network camera 100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at is, when a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network camera 100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320 generates a signal for operating the network camera 10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network camera 100. To control. The controller 320 may generate a signal for operating the event determiner 105 by a user input, and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network camera 100 through the network 200 so that the event determiner 105 is photographed.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vent occurs in the video. The user may control the network camera 100 from the terminal 300 spaced apart from the network camera 100.

제어부(320)는 이벤트 발생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전송된 동 영상에 이벤트 발생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촬영된 영역에서 새로운 물체가 발견된 경우에는 새로운 물체를 둘러싸는 윈도우(도 6의 405)를 표시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역에서 기존에 존재하던 물체가 사라진 경우에는 상기 물체가 존재하는 영역에 윈도우(도 8의 505)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20 may display an event occurrence area on the transmitted video when metadata regarding event occurrence is received. That is, when a new object is found in the photographed area, a window (405 of FIG. 6) surrounding the new object may be displayed, and when the existing object disappears from the photographed area, the area in which the object exists A window (505 in FIG. 8)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제어부(320)는 이벤트 분석이 시작되는 시점의 정지 영상(도 5의 402, 도 7의 501)을 디스플레이부(330)의 일부분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이벤트 분석이 시작된 후 촬영되는 동영상(도 5의 403, 도 7의 503))을 디스플레이부(330)의 타부분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20)는 이벤트 분석 시작 시의 정지 영상과 이벤트 분석 시작 후의 동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The controller 320 controls to display a still image (402 of FIG. 5 and 501 of FIG. 7) when the event analysis starts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30, and a video captured after the event analysis starts (FIG. 5). 403 and 503 of FIG. 7)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part of the display unit 330. That is, the controller 320 may control the display 330 to simultaneously display the still image at the start of event analysis and the video after the start of event analysis on the display 33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3은 네트워크 카메라(100)에서 영상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3 illustrates a process of processing image data in the network camera 100.

도 3을 참조하면, 리사이저(102)에서, 영상 입력부(101)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복수의 해상도들(D1, CIF, QCIF)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영상 입력부(101)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단말기(300)에서 선택된 해상도로 변환될 수 있다. 물론, 단말기(300)에서 선택된 해상도는 단말기(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된다.Referring to FIG. 3, in the resizer 102,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input unit 101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resolutions D1, CIF, and QCIF. That i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input unit 101 may be converted to the resolution selected by the terminal 300. Of course, the resolution selected by the terminal 300 is determin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300.

리사이저(102)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는 352 X 288의 CIF 해상도, 720 X 480의 D1 해상도, 또는 176 X 144의 QCIF 해상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resizer 102 may be any one of a CIF resolution of 352 × 288, a D1 resolution of 720 × 480, or a QCIF resolution of 176 × 144.

이에 따라, 동영상 생성부(104)는 상기 D1 해상도, CIF 해상도, 및 QCIF 해상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해상도로 동영상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정지 영상 생성부(103)는 기 D1 해상도, CIF 해상도, 및 QCIF 해상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해상도로 정지 영상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ideo generating unit 104 may compress the video data at any one of the D1 resolution, the CIF resolution, and the QCIF resolution. In addition, the still image generating unit 103 may compress the still image data to any one of the resolution D1, the CIF, and the QCIF.

그러나, 빠른 처리 시간이 요구되는 이벤트 판단부(105)는 CIF 해상도의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한다.However,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05, which requires fast processing time, analyzes the video data of the CIF resolution.

도 4a 내지 4c, 및 5 내지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4c는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되는 제어 패널(401)을 나타낸다. 제어 패널(401)에는 이벤트 분석 버튼(401a), 리세트(reset) 버튼(401b), 팝업이미지 버튼(401c)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벤트 분석 버튼(401a)을 사용자가 클릭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이벤트 분석 개시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촬영되는 동영상에서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한다.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4C and 5-8. 4A to 4C illustrate the control panel 40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of the terminal 300. The control panel 401 may display an event analysis button 401a, a reset button 401b, a popup image button 401c, and the like. When the user clicks the event analysis button 401a, the controller 320 generates an event analysis start signal, and the network camera 10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captured video according to the signal.

또한, 제어 패널(401)에는 영상의 압축 방법(401e), 해상도(401f), 프레임 레이트(401g), 및 화질(401h) 등이 표시되며, 사용자를 압축 방법,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및 화질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401 displays an image compression method 401e, a resolution 401f, a frame rate 401g, an image quality 401h, and the like. The user controls the compression method, resolution, frame rate, and image quality. You can choose it yourself.

도 4b는 사용자가 이벤트 분석 버튼(401a)을 클릭한 경우의 제어 패널(401)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벤트 분석이 개시된 후에는 이벤트 분석이 개시된 시점에 촬영된 정지 영상(402)이 네트워크 카메라(100)에서부터 전송되어 도 4b에서와 같이 제어 패널(401)의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4B shows the control panel 401 when the user clicks the event analysis button 401a. Referring to FIG. 4B, after the event analysis is started, the still image 402 captured at the time point at which the event analysis is starte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camera 100 and displayed on a part of the control panel 401 as shown in FIG. 4B. have.

도 4c는 도 4b의 정지 영상(402)이 확대된 영상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제어 패널(401)에 디스플레이된 정지 영상(402)을 클릭함으로써 정지 영상(402)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된다. 확대된 영상(402a)은 팝업(popup) 창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확대된 영상(402a)을 동영상(403)과 일대일로 비교함으로써 용이하게 물체가 사라지거나 나타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4C illustrates an enlarged image of the still image 402 of FIG. 4B. The user clicks on the still image 402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401 to enlarge and display the still image 402 on the display unit 330. The enlarged image 402a may be displayed as a popup window. The user can easily grasp that the object disappears or appears by comparing the enlarged image 402a with the video 403 in a one-to-one manner.

도 5는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패널(401)과 동영상(403)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330)의 일부에는 정지 영상(402)이 표시되는 제어 패널(401)이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부(330)의 타부에는 동영상(403)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단말기(300)에서 이벤트 분석 버튼(401a)을 클릭하면,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이벤트 분석을 개시하며, 이벤트 분석 개시시에 촬영된 정지 영상(402)이 단말기(30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330)의 제어 패널(401)에 표시된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이벤트 분석 개시시 이후에 소정의 영역을 촬영하여 동영상(403)을 생성하며, 동영상(403)은 단말기(30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된다.5 illustrates a control panel 401 and a video 403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The control panel 401 displaying the still image 402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display 330, and the video 403 is displayed on the other part of the display 330. When the user clicks the event analysis button 401a on the terminal 300, the network camera 100 starts event analysis, and the still image 402 captured at the start of the event analysis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for display. The control panel 401 of the unit 330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network camera 100 generates a video 403 by capturing a predetermined area after the start of event analysis, and the video 403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이후, 이벤트 분석 개시시부터 존재하던 물체(액자(404))가 이벤트 분석 개시 이후 사라진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카메라(100)의 이벤트 판단부(105)는 동영상(403)을 분석하여 액자(404)가 사라진 이벤트를 판별하여, 상기 이벤트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단말기(300)의 제어부(320)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따라 동영상(403)에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에 윈도우(405)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3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정지 영상(402)과 동영상(403)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n, when the object (frame 404) that existed since the start of the event analysis disappears after the start of the event analysis, referring to Figure 6,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05 of the network camera 100 analyzes the video 403 The event in which the frame 404 disappears is determined, and metadata regarding the even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e control unit 320 of the terminal 300 controls the display unit 330 to display the window 405 in the region where the event occurs in the video 403 according to the metadata. 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check the still image 402 and the video 403 that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it is easier to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shooting area.

도 7 및 8은 물체가 새로 나타난 경우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분석 버튼(401a)을 클릭함으로써 이벤트 분석 개시시에 촬영된 정지 영상(502)이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되며, 이벤트 분석 개시 이후의 동영상(503) 또한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된다. 7 and 8 illustrat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when a new object appears. Referring to FIG. 7, the still image 502 captured at the start of event analysi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by clicking the event analysis button 401a as described above, and the video 503 after the start of event analysis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30 is displayed.

이벤트 분석 개시 이후, 도 8에서와 같이 새로운 물체(504)가 촬영 영역에 출현한 경우, 이벤트 판단부(105)는 촬영된 동영상(503)을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단말기(300)에 전송되어 제어부(320)에 의해 새로 검출된 물체(504)의 영역에 윈도우(505)를 표시된다.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의 정지 영상(502)와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에 윈도우(505)가 표시되는 동영상(503)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촬영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After the start of the event analysis, when a new object 504 appears in the shooting area as shown in FIG. 8, the event determiner 105 analyzes the captured video 503 and generates metadata regarding event occurrence. The metadata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o display the window 505 in the area of the object 504 newly detected by the controller 320. Since the still image 502 before the event and the video 503 in which the window 505 is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event occur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the user can more easily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shooting area. I can figure it out.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확인한 후 다시 리세트 버튼(401b)을 누름으로써 리세트 버튼(401b)을 누를 당시의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후 촬영된 동영상에 대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fter confirm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user may press the reset button 401b again to display a still image of the video at the time of pressing the reset button 401b on the display unit 330. The network camera 100 may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not be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rather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onitoring system of FIG. 1.

도 3은 도 1의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영상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image data in the network camera of FIG. 1.

도 4a 내지 4c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패널을 나타낸다.4A to 4C illustrate a control pan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shown in FIG. 1.

도 5 내지 8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패널과 동영상을 나타낸다.5 to 8 illustrate a control panel and a video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shown in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a, 100b, 100c: 네트워크 카메라 100, 100a, 100b, 100c: network camera

300, 300a, 300b, 300c: 단말기300, 300a, 300b, 300c: terminal

101: 영상 입력부 102: 리사이저101: video input unit 102: resizer

103: 동영상 생성부 104: 정지 영상 생성부103: moving image generation unit 104: still image generation unit

105: 이벤트 판단부 106: 제어부105: event determination unit 106: control unit

107: 송수신부 200: 네트워크107: transceiver 200: network

300: 단말기300: terminal

Claims (10)

소정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A network camera which captures an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and generates image data; And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는 단말기;를 구비하며,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camera by a network.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정지 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 상기 동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The network camera generates still image data and moving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analyzes the moving image data, detects an event occurring in the area, and transmits to the still image data, the moving image data, and the event through the network. Sends data about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로부터의 정지 영상과 상기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을 표시하며,The terminal displays a still image from the still image data and a video from the video data,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제1 해상도라 할 때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해상도 이하의 제2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며,When the resolution of the still image data and the video data is a first resolution, the network camera uses image data having a second resolution less than the first resolution to detect an event.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신호가 수신된 때의 정지 영상 및 수신된 때로부터 녹화된 동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And the terminal displays a still image when an analysis signal is received from a user and a video recorded from the received time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The network camera,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An image input unit which generates the image data from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지 영상 생성부;A still image generating unit generating the still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영상 생성부;A video generating unit generating the video data from the image data;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부; 및An event determination unit analyzing the video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event has occurred; And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And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a signal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리사이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The network camera further comprises a resizer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video data.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리사이저는 상기 정지 영상을 352 X 288의 CIF(Common interchange format) 해상도 또는 720 X 480의 D1 해상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The resizer adjusts the still image to have a CIF (Common interchange format) resolution of 352 X 288 or D1 resolution of 720 X 480.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정지 영상 생성부는 JPEG(I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으로 상기 정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And the still image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still image by JPEG (I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ethod.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동영상 생성부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으로 상기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And the video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video by a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method.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벤트는 상기 촬영되는 영역에 새로운 물체가 나타나거나 물체가 사라지는 것이며, The event is that a new object appears or disappears in the area to be photographed.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감시 시스템.And the event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event occurs from the video data and generates metadata regard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는,The terminal comprises: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와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and signals with the network camera through the network; 상기 정지 영상 및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still image and the moving image; And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정지 영상과 상기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till image and the video on the display unit.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동영상에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The controller, when the event data is transmitted, th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area where the event occurred in the video.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KR1020080099820A 2008-10-10 2008-10-10 Security system KR101324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820A KR101324229B1 (en) 2008-10-10 2008-10-10 Securit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820A KR101324229B1 (en) 2008-10-10 2008-10-10 Securit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609A KR20100040609A (en) 2010-04-20
KR101324229B1 true KR101324229B1 (en) 2013-11-06

Family

ID=4221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820A KR101324229B1 (en) 2008-10-10 2008-10-10 Securit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22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7922A (en) * 1994-09-29 1996-04-12 Kyocera Corp Monitor system
JP2003163914A (en) * 2001-11-26 2003-06-06 Kubota Corp Monitor system and picture transmission unit
KR20040079164A (en) * 2003-03-06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CCTV system capable of control monitoring and recording in relates with event occurrence and control method thererof
KR20050002280A (en) * 2003-06-30 2005-01-07 (주)크립토텔레콤 A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 of Realtime Remote Im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7922A (en) * 1994-09-29 1996-04-12 Kyocera Corp Monitor system
JP2003163914A (en) * 2001-11-26 2003-06-06 Kubota Corp Monitor system and picture transmission unit
KR20040079164A (en) * 2003-03-06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CCTV system capable of control monitoring and recording in relates with event occurrence and control method thererof
KR20050002280A (en) * 2003-06-30 2005-01-07 (주)크립토텔레콤 A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 of Realtime Remot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609A (en)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06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of image capturing apparatus
KR20110118540A (en) Image capture module and image capture method for avoiding shutter lag
JP2004266317A (en) Monitoring apparatus
KR100741721B1 (en) Security system for displaying of still image
JP2011087253A (en)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70026573A1 (en) High-resolution cctv panoramic camera device
US20150116489A1 (en) Imaging apparatus
JP2013013086A (en) Quality checking in video monitoring system
US9204028B2 (e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images from a first, local, imaging unit and from a second imaging unit in a remote device
US20140340526A1 (e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20160037049A1 (en) Imaging apparatus, client apparatus, imag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li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system
KR1019316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 image in camera device
JP6456039B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JP2006033380A (en) Monitoring system
KR20100114748A (en) System for monitoring network camera
KR101280443B1 (en) apparatus of processing regional image and method thereof
JP2009100259A (en) Monitoring camera and image monitoring system
KR101324229B1 (en) Security system
JP2007096412A (en)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6543214B2 (en) Motion monitoring device
KR20120046509A (en) Method and for apparatus for adjusting camera focus
JP4172352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imaging system, and program
KR102268596B1 (en) Apparatus for changing transmission condition of video data based on metedata and method thereof
JP2007019759A (en) Monitoring camera
KR100407838B1 (en) A set-top box which has the function of a security and the securing method using the set-top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