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146B1 -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146B1
KR101324146B1 KR1020120129985A KR20120129985A KR101324146B1 KR 101324146 B1 KR101324146 B1 KR 101324146B1 KR 1020120129985 A KR1020120129985 A KR 1020120129985A KR 20120129985 A KR20120129985 A KR 20120129985A KR 101324146 B1 KR101324146 B1 KR 10132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elastomer
power
fixing
generator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호
김수현
이종현
이민구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129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용 전력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인체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 상태에서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생성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전극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 및 상기 외부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인출하여 충전회로로 공급하기 위한 전극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력으로 많은 양의 전력을 신속하게 수집함으로써 많은 양의 전력이 필요한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Emergency electr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the dielectric elastomer generator}
본 발명은 비상용 전력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투능력 향상을 위해서 병사 개개인마다 첨단 장비와 무기를 소지하여 중앙관제소로부터 즉각적인 정보를 주고받으며 전략적이고 즉각적인 전투를 가능하게 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수반되어 각종 전자장비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병사 개개인이 휴대하며 발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 중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발전기가 있다.
도 8은 종래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발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전식 엘라스토머 필름(1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전극(10,12)을 통해 충전회로(20)로 전달되고, 충전회로(20)는 전달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지(3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발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및 도표이다. 도 9 및 도 10의 '1'상태와 같이 기계에너지와 전기 에너지가 전혀 가해지지 않은 초기상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잡아당기거나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기계적인 에너지를 인가하여 두께가 줄어든 상태로 만든다. 도 9 및 도 10의 '2'상태와 같이 두께가 줄어든 상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에 전기를 인가하여 전기에너지가 인가된 상태를 만든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의 '3'상태와 같이 기계에너지를 제거하면, 제거된 기계에너지가 유전식 엘라스토머의 두 전극 사이를 떨어뜨려 전기에너지가 높아진 상태(103)가 된다. 도 9 및 도 10의 '4'상태와 같이 전기 에너지가 높아진 상태를 다시 처음 상태로 돌리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충전지(30)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발전기는 유전식 엘라스토머의 재료적 특성에 의해 단위 면적당 생성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에 제한이 있어, 병사 개개인이 휴대하면서 생산할 수 있는 전력의 양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전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적절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KR 10-1146564 B, 2012. 05. 25, 도면 6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병사 개개인이 휴대하던 착용형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함으로써 비상시 많은 양의 전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용 전력생성장치는 인체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 상태에서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생성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전극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 및 상기 외부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인출하여 충전회로로 공급하기 위한 전극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는 착용 시에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형상의 변형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전극으로 공급하는 착용체와, 상기 착용체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체를 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와, 상기 착용체를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체는 신장, 수축 또는 굴곡 변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젤 상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체는 인체의 관절에 착용되고, 상기 관절의 운동에 의해 상기 형상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비상용 전력생성장치는 비 착용 상태인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상기 외부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인출하여 충전회로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착용체를 상하방향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착용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판 및 하판은 상기 탄성체들의 각각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홈이 'T'자 형상인 경우, 상기 탄성체는 상기 'T'자 형상의 수평영역에 걸쳐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극연결부는, 상기 외부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전력을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충전회로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비상용 전력생성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가 전력을 생성하도록,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한 사용자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들의 형상들을 동시에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구동부는 크랭크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판을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형상을 신축 변형시키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를 통해 다수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를 취합할 수 있고, 사용자구동부를 통해 고정부에 고정된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형상을 동시에 변경시킬 수 있어 자력으로 많은 양의 전력을 신속하게 발생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전력이 필요한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구동부를 통해 회전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전력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가 인체에 착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의해 도 2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슬라이드홈에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탄성체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외부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발전기의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발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및 도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전력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상용 전력생성장치(1)은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 고정부(200), 전극연결부(300), 사용자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는 인체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 상태에서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생성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는 착용 시에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되고 이 형상의 변형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착용체(110)와, 착용체(110)에서 생성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전극(120)과, 착용체(110)에 배치되어 이를 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130)와, 착용체(110)를 고정부(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탄성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체(110)는 신장, 수축 또는 굴곡 변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젤 상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dielectric elastomer)를 포함하여 일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체(110)는 다우코닝사 등의 액체형 실리콘을 스핀 코팅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고 착용체(110)의 두께는 약 30㎛ 내지 50㎛로 정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가 인체에 착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착용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관절에 착용되고, 관절의 운동에 의해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전력을 발생할 수 있다.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착용시에 탄성체(140)에 의해 고정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8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가 탄성체(140)에 의해 고정부(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일 예로서, 탄성체(140)는 금속와이어로 마련되어 착용체(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의해 도 2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슬라이드홈에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탄성체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정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체(110)를 상하방향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상판(210) 및 하판(2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판(210) 및 하판(220)은 탄성체(140)들의 각각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홈(215)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고정부(200)의 상판(210)에 형성된 'T'자 형상의 슬라이드홈(215)에 탄성체(140)인 금속와이어가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전력생성장치(1)는 비 착용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를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비 착용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를 복수 개 취합함으로써 많은 전력을 생성하도록 준비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외부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극연결부(300)는 외부몸체(310)와 외부전극(120)을 연결하기 위해 외부몸체(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소켓(320)과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의 전력을 병렬로 연결하기 충전회로로 전달하기 위한 인출선(33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극연결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의 외부전극(12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부(2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구동부(400)는 고정부(200)에 고정된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가 전력을 생성하도록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의 형상을 도 4와 같이 신축 변형시킬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구동부(400)의 회동에 따라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가 상하로 신축 변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구동부(400)는 크랭크(410), 손잡이(420), 크랭크축(430) 및 캠(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손잡이(420)는 크랭크(410)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잡이(420)를 회전시키면 크랭크(410)가 회전하며, 크랭크(410)의 회전운동은 크랭크축(430)을 통해 캠(4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캠(440)은 크랭크축(430)을 통해 전달된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고정부(200)의 상판(210)을 상하 운동시킨다.
사용자구동부(4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고정부(200)에 고정된 다수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의 형상을 동시에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100)는 동시에 전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생성된 전력은 전극연결부(300)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어 충전회로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전력생성장치(1)는 자력으로 많은 양의 전력을 신속하게 발생시킬 수 있어, 많은 양의 전력이 필요한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구동부(400)를 통해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100: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
110: 착용체
120: 외부전극
130: 고정밴드
140: 탄성체
200: 고정부
210: 상판
215: 슬라이드홈
220: 하판
300: 전극연결부
310: 외부몸체
320: 소켓
330: 인출선
400: 사용자구동부
410: 크랭크
420: 손잡이
430: 크랭크축
440: 캠

Claims (11)

  1. 인체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 상태에서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생성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전극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
    상기 외부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인출하여 충전회로로 공급하기 위한 전극연결부; 및
    비 착용 상태인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는 착용 시에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형상의 변형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전극으로 공급하는 착용체와, 상기 착용체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체를 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와, 상기 착용체를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체는 신장, 수축 또는 굴곡 변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젤 상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체는 인체의 관절에 착용되고, 상기 관절의 운동에 의해 상기 형상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상기 외부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인출하여 충전회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착용체를 상하방향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착용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판 및 하판은 상기 탄성체들의 각각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이 'T'자 형상인 경우, 상기 탄성체는 상기 'T'자 형상의 수평영역에 걸쳐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연결부는, 상기 외부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전력을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충전회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가 전력을 생성하도록,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한 사용자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들의 형상들을 동시에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구동부는 크랭크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판을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부의 형상을 신축 변형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KR1020120129985A 2012-11-16 2012-11-16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KR10132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985A KR101324146B1 (ko) 2012-11-16 2012-11-16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985A KR101324146B1 (ko) 2012-11-16 2012-11-16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146B1 true KR101324146B1 (ko) 2013-11-01

Family

ID=4985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985A KR101324146B1 (ko) 2012-11-16 2012-11-16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0263A (zh) * 2017-04-05 2017-06-20 浙江师范大学 一种基于多层叠堆式‑介电弹性体的海洋能发电机结构设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769A (ja) * 2001-01-19 2002-08-02 Seiko Epson Corp 圧電発電装置を備えた衣類または衣類用発電装置
JP2006230033A (ja) * 2005-02-15 2006-08-31 Casio Comput Co Ltd 電源システム
KR20110127334A (ko) * 2010-05-19 2011-11-25 이수민 보행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769A (ja) * 2001-01-19 2002-08-02 Seiko Epson Corp 圧電発電装置を備えた衣類または衣類用発電装置
JP2006230033A (ja) * 2005-02-15 2006-08-31 Casio Comput Co Ltd 電源システム
KR20110127334A (ko) * 2010-05-19 2011-11-25 이수민 보행 발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0263A (zh) * 2017-04-05 2017-06-20 浙江师范大学 一种基于多层叠堆式‑介电弹性体的海洋能发电机结构设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78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Yun et al. Exo-sho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oward high-performance wearable biomechanical energy harvester
Cho et al. Universal biomechanical energy harvesting from joint movements using a direction-switch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Rahman et al. A highly miniaturized freestanding kinetic-impact-based non-resonant hybridized electromagnetic-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uman induced vibrations harvesting
US10105839B2 (en) Electrolaminate clutches for an exosuit system
Kuang et al. Characterisation of a knee-joint energy harvester pow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nsing node
EA035005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енсации тремора
Ali et al. Recent progress in energy harvesting systems for wearable technology
Cai et al. Design, modeling, and experiments of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er embedded in smart watch and wristband as power source
CN104423429B (zh) 一种穿戴式移动终端
Jeong et al. A sustainable and flexible microbrush‐faced triboelectric generator for portable/wearable applications
WO2016056874A1 (ko) 자체동력 무선마우스
KR101324146B1 (ko) 유전식 엘라스토머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용 전력생성장치
Wang et al. Overview of human kinetic energy harvesting and application
CN102805900A (zh) 用于产生人工电触觉的电刺激系统
CN113452284A (zh) 能量采集器和可穿戴设备
Beyaz et al. Hybrid magnetic-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power generation around waistline during gait
Bassani et al. Nonresonant kinetic energy harvesting using macrofiber composite patch
Purwadi et al. Development of biomechanical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heel strike
CN216672882U (zh) 微发电机、集成发电模组以及植入式微型器械
CN108736555A (zh) 一种发电装置和智能穿戴设备
KR20180014469A (ko) 자가 발전 전원 공급 장치
KR101634056B1 (ko)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Abdal-Kadhim et al. Piezoelectric impact-driven energy harvester
CN206401972U (zh) 一种膝关节自发电及储能一体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