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695B1 -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695B1
KR101323695B1 KR1020120041369A KR20120041369A KR101323695B1 KR 101323695 B1 KR101323695 B1 KR 101323695B1 KR 1020120041369 A KR1020120041369 A KR 1020120041369A KR 20120041369 A KR20120041369 A KR 20120041369A KR 101323695 B1 KR101323695 B1 KR 101323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water
plate
riv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795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20041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6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에 관한 발명으로서,
건조지역이나 농경지역 등에서 흐르는 하천물을 저장시켜 주도록, 하천의 저수통에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장치에서 용수를 포집시켜 주기 위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흐르는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지형에 보 등의 물막이 등을 구축하여서 물을 저장으로서 식생하는데 필요한 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하천에서 증발시켜 주는 수증기에 대한 포집으로 응축수를 저장하여 주는 필요가 대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하천(11)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도록 저수통(33)의 상측에 구비되는 도로(41)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난간(42)에서 돌출되는 지주대(69)에 형성된 태양광발전판(62)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62)의 그늘에 응축수포집판(63)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에 냉각관(65)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의 하측 가장자리에 유도관(71)을 설치하여 주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을 연속 반복적으로 냉각봉(74)과 연결호오스(75)를 조립되는 응축수 포집부(72)을 설치하여서 응축수 포집면을 확대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 포집부(72)는 상,하측으로 각각의 급,배수구가 형성되는 상,하측의 호오스(71')(75")에다, 소정의 간격으로 냉각봉(74)의 양측 단부를 연결로 구성하여 주고,
상기 냉각봉(74)의 하측에다 냉동기(66)에서부터 공급관으로 연결되는 분출대(77)를 구비하여서 냉온도의 기류 또는 드라이아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분출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의 하측에 구비된 온열기(48)에서부터 공급관(70)으로 연결되는 분무대(64)를 구비하여서 따뜻한 온도의 기류를 분출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부(72)의 하측 자리에 응축수 유도판(78)을 설치하여서 응축수가 유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omitted}
본 발명은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건조지역이나 농경지역 등에서 흐르는 하천물을 저장시켜 주도록, 하천의 저수통에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장치에서 용수를 포집시켜 주기 위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흐르는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지형에 보 등의 물막이 등을 구축하여서 물을 저장으로서 식생하는데 필요한 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하천에서 증발시켜 주는 수증기에 대한 포집으로 응축수를 저장하여 주는 필요가 대두되는 것이다.
또한 하천을 흐르는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고온이면서 수증기 함유량이 높은 공기는 낮은 냉온도의 기류와 같이 접촉을 하면, 이에 따라 함유된 수증기의 알갱이가 서로 서로 응축이 되어서 빗물로 형성이 되어서 비가 내려오기 되는 것이다.
산간이나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구릉지에 내려오는 빗물은 대부분 흘러 내려서 하천이나 들판 등을 흐르는 강으로 흘러가도록 되어 있는데,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기후의 변화 등으로 가뭄이 발생으로 인하여, 물의 부족이 심화되는 현상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또한 고온이면서 수증기 함유량이 높은 공기는 낮은 냉온도의 기류와 같이 접촉을 하면, 이에 따라 함유된 수증기의 알갱이가 서로 서로 응축이 되어서 빗물로 형성이 되어서 비가 내려오기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하천에서 기온에 의하여 증발을 하여주는 수증기에 대한 응축수 포집량을 증대되도록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즉 고온이면서 수증기 함유량이 높은 공기는 낮은 냉온도의 기류와 같이 접촉을 하면, 이에 따라 함유된 수증기의 알갱이가 서로 서로 응축이 되어서 빗물로 형성이 되어서 비가 내려오기 되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또한 지형에 따라 형성되는 하천에 대한 친환경적이면서 폭우에 의한 빗물을 저장하여서 장기적으로 생활용수에 대한 장기적인 물을 공급하고, 또한 저수에 필요한 면적을 경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천 물을 저장하기 위하는 대용량의 저수지는 대부분의 산골자기의 협곡 등의 지중을 굴착시켜 주면서, 이를 가로 막는 보나 댐 등으로 구축시켜서 하천수를 저장하는 구간을 확대시켜서 사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구간에서 발생을 하는 안개 등을 응축수로 포집을 최대한도로 증가시켜 주도록 제공을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천에서 공기 중에 증발되는 수증기를 포집하여 형성되는 응축수로 용수를 제공하기 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천에서 공기 중에 증발되는 수증기를 포집하여 형성되는 응축수로 용수를 제공하기 위하는 것이다.
하천(11)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도록 저수통(33)의 상측에 구비되는 도로(41)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난간(42)에서 돌출되는 지주대(69)에 형성된 태양광발전판(62)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62)의 그늘에 응축수포집판(63)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에 냉각관(65)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의 하측 가장자리에 유도관(71)을 설치하여 주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을 연속 반복적으로 냉각봉(74)과 연결호오스(75)를 조립되는 응축수포집부(72)을 설치하여서 응축수 포집면을 확대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부(72)는 상,하측으로 각각의 급,배수구가 형성되는 상,하측의 호오스(71')(75")에다, 소정의 간격으로 냉각봉(74)의 양측 단부를 연결로 구성하여 주고,
상기 냉각봉(74)의 하측에다 냉동기(66)에서부터 공급관으로 연결되는 분출대(77)를 구비하여서 냉온도의 기류 또는 드라이아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 를 분출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의 하측에 구비된 온열기(48)에서부터 공급관(70)으로 연결되는 분무대(64)를 구비하여서 따뜻한 온도의 기류를 분출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부(72)의 하측 자리에 응축수유도판(78)을 설치하여서 응축수가 유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흘러내리는 하천 물에서 증발로 발생을 하는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응축으로 저장을 하면서, 하천 등의 저수용 댐을 대체하는 용량으로 제공하여서, 용수에 필요한 물을 장기적으로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은 저수공간에 대한 지중 저장량의 확대로 지하수의 효과를 증대 하면서 장기적인 포집력을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친환경적인 장치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2는 도1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5는 도4에서 B-B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7은 도6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8은 도6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은 현장 시공을 위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도1은 본 발명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4는 도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에서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7은 도6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8은 도6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설명하는 저수하는 하천수의 용량을 확대하여 주면서, 이에 따른 동력이나 저수 능력을 보강하여 주기 위하는 구조로서
즉 대부분의 하천은 일측이 경사면이 접하는 평야지역이나 양측이 들판지역을 지나게 되는데, 이의 가장자리에는 하천수의 물에 대한 통제를 위하여 제방을 쌓아서 구비하여 주는 것이다.
이는 대부분 대지에 노출이 되는 구조로서, 실제로 하천에 대한 면적을 추론을 하여 보면 실로 넓은 면적의 대지라 할 것이다.
고로 태양광이 비추는 경우, 이에 대한 발전과 응축수를 일으켜서 가뭄에 대한 물 부족을 해소를 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또한 하천을 흐르는 물은 대지를 지나면서, 비춰주는 햇볕을 받아서 가능한 수온으로 오른 상태라 할 것입니다.
고로 밤중에 낮은 공기가 부는 경우, 이에 대한 수증기의 발생이 높은 여건이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 응축수를 포집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즉 하천에서 소정의 구간에다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다수개의 저수조(3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저수통(33)의 상측에 구비되는 도로(4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각각의 난간(42)에서, 도로(41)의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을 유지하여 주도록 다수개가 돌출되는 지주대(69)에 따라 상기 도로(41)의 폭보다 더 양측으로 돌출되면서, 태양이 비추어 주는 방향으로 맞추어 주도록 경사면을 구비하여 주도록, 서로 연결되는 태양광 발전판(62)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태양광 발전판(62)의 아래측의 그늘에다 소정의 크기와 폭을 구비하는 응축수포집판(63)을 구비하여 주어서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응축수포집판(63)를 태양광 발전판(62)의 경사도에 맞추어 주어서 표면에 응축되는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흘러서 하천(11)으로 공급되도록 구성시켜 준다.
즉 태양광 발전판(62)의 크기는 많은 량의 발전을 위하여 하천(11)의 길이방향에 따라 구비되는 도로(41)에 따라 소정의 구간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주며,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62)에서 발전되는 동력은 축전기(66)와 냉동기(67)의 가동으로 응축수포집판(63)에 내장된 냉각관(65)에 펌프(44) 등으로 냉매를 공급하여서, 온도의 차이에 따른 응축수를 포집시켜서 물을 포집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의 구비는 주로 야간 등에 하천(11)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포집하기 위함이며, 또한 태양광발전판(62)의 넓은 면적에 대한 그늘을 이용하여 주도록 구비하면, 주간에서도 효과적인 응축수 포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즉 상기 설명되는 응축수포집판(63)에서 응축수 포집량을 증대되도록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즉 고온이면서 수증기 함유량이 높은 공기는 낮은 냉온도의 기류와 같이 접촉을 하면, 이에 따라 함유된 수증기의 알갱이가 서로 서로 응축이 되어서 빗물로 형성이 되어서 비가 내려오기 되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따라서 하천(11)이나 호수 및 연안지역 등과 같이, 물이 저장이 되면서 수분의 증발이 많은 여건에서는 수증기가 많이 함유하면서 더워진 동기는 찬공기와 접촉을 하면, 상기 수증기가 서로 응축이 되어서 비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를 응축으로 물을 포집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응축수포집판(63)에 응축수의 응축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제공하는 방치로서, 주로 하천(11)에서 하천수가 증발을 하여 주는 하절기 또는 환절기에서 기온과 수온의 온도 차이가 높은 저녁시간 부터 새벽시간 동안에, 상기 축전기(68)에서 축전된 동력으로 가동되는 냉동기(66)로부터 공급관(70)으로 공급되는 냉온도의 기류를 상기 공급관(70)에 설치되는 분무대(64)로 분사를 시켜주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수증기로 분산되면서 수분함량이 높은 하천(11)의 가장자리의 공기가, 상기 냉각되면서 분사된 냉각공기에 의하여 응축수로 형성되면서 응축수포집판(63)의 하측에 설치된 유도관(71)으로 유도되어서 저수통(33)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발명이다.
즉 상기 설명되는 공급관(70)은 응축수포집판(63)의 길이방향에 따라 구비하여 주며, 상기 공급관(70)에 구비되는 분사대(64)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여 주되, 분사되는 냉각된 공기가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의 저면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하여 주며, 또한 상기 하천(11)에서 증발된 수증기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여 주도록 제공하여 주도록 구비하여서, 응축수의 응축효과를 보강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포집판(63)의 하측에다 냉동기(66)에서부터 공급관(70)으로 연결되는 분무대(64)를 구비하여서 냉온도의 기류를 분출하여 주어서 수분이 함유된 공기 중에서 응축수의 형성을 보강시켜 준다.
또한 상기 응축수 형성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분무대(64)에서 드라이아이스를 분출하여 주어도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한 보강을 위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분무대(64)에서 분출되는 기류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혹한기의 추운 날씨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온열기(48)를 이용하여 상기 분무대(64)에서 따뜻한 온도의 온풍을 불어주면, 응축수포집판(63)의 내측구간에 내장된 냉각관(65)과, 상기 냉각관에 연결되는 펌프(44)에 의하여 냉각된 응축수 포집판(63)의 표면에 응축수의 응축을 촉진하여 주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구조와 비교하여, 더 많은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하여 하천(1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다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응축수 포집판(63)의 하측 가장자리에 맞추어 주는 유도관(71)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응축수포집판(63)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26 내지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응축수포집판(63)을 연속 반복적으로 냉각봉(74)과 연결호오스(75)를 조립하여 주되,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입체형 구조로 중첩시켜주는, 즉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그 재그형으로 감아주어서 형성되는 응축수 포집부(72)로,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이 형성되는 면적과 같게 확대하여 주어서, 응축수의 포집을 하는 상기 냉각봉(74)이 소정의 공간(간격)을 형성하면서 중첩으로 구비되는 면적에 맞추어 주는, 즉 도로(41)의 상측 둘레의 공간에 설치하면서 포집하여 주도록, 상기 냉각봉(74)의 길이와 이에 따라 중첩되는 사이사이의 공간을 확대하여서 습한 공기의 유동 공간에서 냉각봉(74)의 표면에 접촉을 하는 면적을 확대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을 연속 반복적으로 냉각봉(74)과 연결호오스(75)를 조립하여 주는 구조는, 상,하측으로 각각의 급,배수구가 형성되는 상,하측의 호오스(71')(75")에다, 소정의 간격으로 냉각봉(74)의 양측 단부를 연결로 구성하여 주며, 또한 상기 상,하측의 호오스(71')(75")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그재그형으로 감아주어서 형성되는 응축수 포집부(72)를 구성하여 주어서, 상측의 호오스(71')에 공급된 냉각 기류는 열 전도성이 좋으면서 내구성이 양호하는 스텐 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냉각봉(74)의 표면에 접촉으로 냉각시켜서 응축수가 응축되도록 제공한 다음, 상측의 호오스(71")로 배출되도록 구성시켜 준다.
또한 하천(11) 등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함유하는 습한 공기의 기온을 올려주기 위하여, 온열기(48)에서 가열된 공기를, 분무대(64)로 분출하여 주어서 수중기가 함유된 공기의 온도를 따뜻하게 상승시켜 주고,
상기 냉각봉(74)에 냉각공기 분출대(77)를 구비하여 주어서, 상기 따뜻한 공기에 혼류로 공급하게 함으로서, 수분 알갱이가 서로 응집으로서 응축수로의 확대를 제공하여 주며, 상기 응축수포집부(72)의 하측에 응축수가 흘러서 내려가는 응축수포집판(78)을 구비하여서, 용이하게 저수통(33) 등으로 저장이 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설명되는 응축수포집부(72)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기 태양광 발전판(62)의 하측 그늘진 지역이면서, 수분 함유가 높은 지역에서 구비하여서 사용하여 주면 많은 량의 물을 포집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뿐만 아니라 호수, 연안지역 등에서 선박 등과 같은 부유구조에 설치하여서, 공기 중의 높은 비율의 수증기를 포집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11. 하천 12. 비탈면 14. 하상 20.수중보
30, 저수조 33. 저수통 40. 내측벽 41. 도로
42. 난간 43. 유입구 62. 태양광발전판
63. 응축수포집판 64. 분무대 65. 냉각관 66. 냉동기
68. 축전기 69. 지주대 70. 공급관
72. 응축수포집부 74. 냉각부 75. 연결호오스

Claims (2)

  1. 하천(11)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도록 저수통(33)의 상측에 구비되는 도로(41)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난간(42)에서 돌출되는 지주대(69)에 형성된 태양광발전판(62)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62)의 그늘에 응축수포집판(63)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에 냉각관(65)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의 하측 가장자리에 유도관(71)을 설치하여 주는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을 연속 반복적으로 냉각봉(74)과 연결호오스(75)를 조립되는 응축수포집부(72)을 설치하여서 응축수 포집면을 확대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부(72)는 급,배수구가 형성되는 상,하측의 호오스(71')(75")에다, 냉각봉(74)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여 주고,
    상기 냉각봉(74)의 하측에다 공급관(70)으로 연결되는 분출대(77)를 구비하여서 냉온도의 기류를 분출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판(63)의 하측에 공급관(70)으로 연결되는 분무대(64)를 구비하여서 따뜻한 온도의 기류를 분출하여 주고,
    상기 응축수포집부(72)의 하측 자리에 응축수유도판(78)을 설치하여서 응축수가 유도되도록 구성시켜 주는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KR1020120041369A 2012-04-20 2012-04-20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KR101323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369A KR101323695B1 (ko) 2012-04-20 2012-04-20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369A KR101323695B1 (ko) 2012-04-20 2012-04-20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100A Division KR101345988B1 (ko) 2009-04-06 2009-04-20 하천의 저수조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795A KR20120060795A (ko) 2012-06-12
KR101323695B1 true KR101323695B1 (ko) 2013-10-31

Family

ID=4661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369A KR101323695B1 (ko) 2012-04-20 2012-04-20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971B1 (ko) * 2013-01-10 2014-01-10 (주)칠칠공사 건물 옥상의 난간용 방수 및 배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734A (ja) * 2002-01-25 2003-07-30 Toyo Denki Industrial Co Ltd 雨水利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734A (ja) * 2002-01-25 2003-07-30 Toyo Denki Industrial Co Ltd 雨水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795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3197B2 (en) Diagonal solar chimney
CN106351203B (zh) 光伏沙漠防治一体化装置
KR101145104B1 (ko) 저수 가능한 태양광 발전용 블럭
CN102630468A (zh) 一种利用浅层地热能的坪床建造方法
CN206909328U (zh) 一种可改良土壤盐碱化的节水灌溉系统
TWM624383U (zh) 光電型透水鋪面地下儲水自動化系統
KR101323695B1 (ko) 하천의 저수통용 태양광발전장치
KR101191712B1 (ko) 건조 지역에서의 집수장치
CN107347551B (zh) 一种干旱沙漠区游荡型河流生态护岸
JP2011024548A (ja) 人工降雨等発生方法
KR101131549B1 (ko) 친환경적인 옹벽용 블럭
CN110565768B (zh) 一种市政排水系统
KR102464775B1 (ko) 용수공급을 위한 태양광 및 풍력발전장치
KR101067237B1 (ko) 응축수용 흡수장치
KR101061465B1 (ko) 농업용 친환경 온실구조물
KR20100111217A (ko) 하천의 저수조용 블럭
KR20190013304A (ko) 원예단지용 신재생발전블럭
KR101014755B1 (ko) 풍해방지 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KR20230110428A (ko) 초지조성용 신재생발전장치가 구비된 구릉지지역
CN202617764U (zh) 一种利用浅层地热能的草坪保绿控温装置
KR101069358B1 (ko) 건조지역의 친환경적인 급수를 위한 시공장치
KR20100081697A (ko) 응축수 포집판
KR20220169487A (ko) 구릉지에서 친환경 도로용 신재생발전모듈
NL1018558C2 (nl)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zoet water uit (niet drinkbaar) water.
KR20200048403A (ko) 해수면에서 용수 및 소금생산을 위한 태양광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