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462B1 -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462B1
KR101323462B1 KR1020060051430A KR20060051430A KR101323462B1 KR 101323462 B1 KR101323462 B1 KR 101323462B1 KR 1020060051430 A KR1020060051430 A KR 1020060051430A KR 20060051430 A KR20060051430 A KR 20060051430A KR 101323462 B1 KR101323462 B1 KR 10132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glass tube
pattern
light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317A (ko
Inventor
최정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46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6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 H01J61/78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with cold cathode; with cathode heated only by discharge, e.g. high-tension lamp for advert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로부터 출사되어 시트를 통해 액정패널 쪽으로 반사되는 빛의 양을 높일 수 있도록, 램프의 하단부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밀하게 밀봉되는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 내부의 일측면에 상기 유리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빛을 전반사시키는 반사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LAMP PRINTED BY A PATTERN AND BACK LIGHT UNIT USING IT}
도 1은 일반적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일반적인 냉음극형광램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에 적용되는 패턴의 일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빛 방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빛 방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패턴 인쇄형 램프(100) 130, 131 :리드 와이어
132 : 유리관 137 : 패턴
134 : 형광막 135 : 혼합가스
136, 138 : 전극 217 : 램프 하우징
212 : 도광판 211 : 반사판
219 : 패턴 213 : 확산시트
214, 215 : 프리즘시트 321 : 커버 보텀
322 : 반사판 329 : 광학시트부
324 : 확산 플레이트 325 : 확산 시트
326 : 프리즘 시트 327 : 반사형 편광필름
본 발명은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해왔다.
이로 인해,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device)가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Ray Tube : CRT)을 대체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패널과, 화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으 로 구분될 수 있다.
액정패널은 각각의 일면에 전계생성 전극이 형성된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이 마주보도록 대향하게 배열된 후, 그 사이로 액정층이 개재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액정은 분자구조가 가늘고 길며 배열에 방향성을 갖는 광학적 이방성과, 인위적으로 전기장을 인가할 경우 배열방향이 변하는 분극성질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액정패널은 상, 하부기판 및 이들 각각에 설치된 전계생성 전극 사이로 개재되는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액정의 배열방향을 변화시키고, 이때 변화되는 빛의 굴절률로 화상을 표현한다. 그러나, 액정패널로만 구현되는 화상의 휘도는 매우 낮아 사용자가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액정패널 배면으로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되어 액정패널로 빛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비로소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광원의 배열방식에 따라 에지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광원을 설치하고, 그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도광판과 다수의 광학시트를 통해 액정표시패널에 조사하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바로 아래에 다수의 광원을 배치하고, 그 광원들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 플레이트와 다수의 광학시트를 통해 액정패널에 조사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18)와 램프 하우징(17)으로 구성된 발광부와, 액정패널에 균일한 광분포를 생성하기 위한 도광판(LGP, Light Guide Panel)(12) 및 반사판(1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광판(12)을 통해 출사되는 광의 방향을 조절하고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확산시트(13, 16)와 프리즘시트(14, 15) 등의 광학시트부가 상기 도광판(12)과 액정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8)로부터 출사된 빛이 도광판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19)에 부딪히면서 산란되어 상단 시트를 통해 액정패널 쪽으로 나오게 되는데, 상기 산란에 의해 액정패널 쪽으로 향하는 빛의 양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램프(18)로부터 출사된 빛이 도광판(12)의 패턴(19)에 의해 부딪히면서 산란되는 것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램프(18)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는 도광판의 반대방향(a)으로 출사되어 산란되었다가 램프 하우징(17)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12)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램프(18)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총 양 중 도광판(12)으로 입사되는 양 자체가 줄어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커버 보텀(Cover Bottom)(21), 커버 보텀 상에 안착되며 백색 또는 은색을 띠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반사판(reflector)(22), 반사판 상에 다수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램프(23) 및 다수의 램프 상에 안착되는 광학시트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버보텀(21)의 내부 표면은 높은 광학 반사율을 갖는 물질(반사판)로 코팅됨으로써 램프 로부터 후방으로 방출되는 빛이 전방(액정패널 쪽)으로 반사되어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속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효율(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속에 대한 발광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속의 비로 표현되는 효율)을 증가시킨다.
상기 광학시트부(29)는 상기 램프(23)의 수직 상단에 안착되는 확산 플레이트(24), 상기 확산 플레이트 상단에 안착되는 확산 시트(25), 상기 확산 시트 상단에 안착되는 프리즘 시트(26) 및 상기 프리즘 시트 상단에 안착되는 다층구조의 반사형 편광필름(MOF)(2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의 확산 플레이트와 확산시트는 형광램프로부터의 직사광과 반사광이 전방으로 확산되도록 하는데 이용되어 발광면 전체에서 균일한 휘도가 확보되도록 한다.
한편, 광학시트부(29)의 상단에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액정패널(미도시)이 안착되며, 상기 액정패널이 탑프레임(top frame)(미도시)을 통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결합됨으로써, 액정표시장치가 완성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반적인 직하영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의 램프를 병렬로 연결하여 고휘도를 구현하지만 램프가 선 광원이기 때문에 반사판을 통해 산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는 램프하단의 반사판(22) 쪽(b)을 향하여 출사되었다가 상기 반사판(2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램프 상단의 액정패널 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램프(23)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총 양 중 액정패널 쪽으로 향하는 양 자체가 줄어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에지형 백라이트 및 직하형 백라이트에서 광원으로 이용되는 램프(18, 23)로는 일반적으로 냉음극형광램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냉음극형광램프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일반적인 냉음극형광램의 일실시예 단면도로서, 램프(39)의 길이를 따라 절단한 종방향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냉음극형광램프(39)는 횡단면이 대략 원형이고, 양단에서 리드 와이어(30, 31)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되는 유리관(32)을 포함하고 있다.
유리관(32)의 내부에는 대략 3㎎의 수은을 포함한 혼합가스(35)로 채워지며, 유리관(32)의 내부면 위에는 형광막(34)이 형성된다.
리드 와이어(30, 31)는 텅스텐 재질의 내부 리드 와이어(30A, 31A)와 니켈 재질의 외부 리드 와이어(30B, 31B)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내부 리드 와이어(30A, 30A)는 각각 유리관(32)의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전극(36, 38)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유리관(32) 내부에 위치한 내부 리드 와이어(30A, 31A)의 단부에 결합된다.
한편, 냉음극형광램프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라멘트 코일이 없어 작은 직경으로 얇게 만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얇은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LCD)의 고화질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이 고휘도를 갖는 것이 더 요구되고 있는데, 백라이트 유닛에서 고휘도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증가된 램프전류로 냉음극형광램프를 구동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냉음극형광램프의 광속이 어느 정도 증가하지만, 냉음극형광램프의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최냉점 온도가 증가하고 최적범위를 초과함으로써 냉음극형광램프 발광효율(램프효율이라 함)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램프전류의 증가와 함께 열방출을 개선하기 위하여 더 두꺼운 램프가 사용된다면, 최냉점 온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은 방지될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특히 내경이 증가하는 경우, 관 내부벽과 양광주 플라즈마 공간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며, 이는 발광효율을 감소시키고 램프전류의 증가에 대응하여 기대되는 만큼 광속이 증가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를 수용하기 위한 제한된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더 두꺼운 램프가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된다면, 램프에 더 인접한 발광면의 부분이 더 높은 휘도를 가지고 램프로부터 더 떨어진 부분이 더 낮은 휘도를 갖는 소위 "불균일한 휘도"가 발생한다(이하, 이러한 불균일한 휘도는 "불안정하고 불균일한 휘도"라 한다). 이러한 문제는 수용공간을 더 두껍게 하고 램프들은 발광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정렬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얇은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요구가 강하기 때문에 실용적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로부터 출사되어 시트를 통해 액정패널 쪽으로 반사되는 빛의 양을 높일 수 있도록, 램프의 하단부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 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는, 기밀하게 밀봉되는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 내부의 일측면에 상기 유리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빛을 전반사시키는 반사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기밀하게 밀봉되는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 내부의 일측면에 상기 유리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사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인쇄형 램프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에서 나온 빛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만들기 위하여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과, 상기 도광판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켜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도광판과 접하는 상기 유리관의 일측면의 반대쪽 일측면의 내면에 형성되어 빛을 전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커버 보텀과, 상기 커버 보텀 상에 안착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다수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램프들과, 상기 다수의 램프들 상단에 안착되는 광학시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램프들 각각은, 기밀하게 밀봉되는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 내부의 일측면에 상기 유리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반사판과 접하는 상기 유리관의 일측면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인쇄형 램프이며,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반사판과 접하는 상기 유리관의 일측면의 내면에 형성되어 빛을 광학시트들을 향해 전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패턴은 상기 유리관의 사이드로 갈 수로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관은 냉음극형광램프의 유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의 일실시예 단면도로서, 특히 냉음극형광램프(이하, 간단히 '램프'라 함)(100)의 길이를 따라 절단한 종방향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에 적용되는 패턴의 일예시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100)는, 횡단면이 대략 원형이고, 양단에서 리드 와이어(130, 131)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되는 유리관(132)을 포함한다.
먼저, 유리관(132)은 단단한 보로실리케이트 유리로 구성되며, 전체 길이는 450㎜, 외경은 4.0㎜그리고 내경은 3.0㎜이다. 이때, 유리관(132)의 하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13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패턴(137)의 모양 및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램프의 센터(Center)와 사이드(Side) 간의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관(132)의 사이드로 갈 수록 패턴의 도트 간격을 넓게 하거나 또는 패턴의 도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램프의 센터(Center)에 비하여 사이드(Side)의 휘도가 낮은 점을 감안하여, 램프의 센터와 사이드의 패턴 도트 사이즈 및 도트 간격에 편차를 둠으로써, 센터와 사이드의 휘도 편차를 줄여, 전체적으로 램프의 휘도를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리관(132)의 내부면 위에는 형광막(134)이 형성되며, 형광막(134)은 3가지의 희토류 형광물질을 포함한다. 즉, 상기 형광막(134)은 적색형광물질(Y2O3: Eu3+), 녹색형광물질(LaPO4: Ce3+, Tb3+) 및 청색형광물질(BaMg2Al16O27: Eu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리관(132)은 대략 3㎎의 수은을 포함한 혼합가스(135)로 채워진다.
또한, 리드 와이어(130, 131)는 텅스텐 재질의 내부 리드 와이어(130A, 131A)와 니켈 재질의 외부 리드 와이어(130B, 131B)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유리관(132)은 양단에서 내부 리드 와이어(128A, 130A)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된다. 이때, 내부 리드 와이어(130A, 131A) 및 외부 리드 와이어(130B, 131B)의 횡단면은 원형이며, 내부 리드 와이어(130A, 131A)는 각각 유리관(132)의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내부 리드 와이어(130A, 131A)의 직경은 각각 1㎜이고, 전체 길이는 3㎜이며, 외부 리드 와이어(130B, 131B)의 직경은 각각 0.8㎜이고, 전체 길이는 10㎜이다.
또한, 전극(136, 138)은 중공형으로 밑바닥을 구비한 실린더 형상으로서 니오븀 바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유리관(132) 내부에 위치한 내부 리드 와이어(130A, 131A)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 극(136, 138)에 대해 중공형이 채택되는 이유는 램프가 점등될 때 방전에 의해 생기는 전극에서의 스퍼터링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중공형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전극은 전극 길이 5.2㎜, 외경 2.7㎜, 두께 0.2㎜(내경 2.3㎜)의 치수를 가지고 있고, 그 중심이 유리관(132)의 관축이도록 배치되며, 램프가 점등될 때에는 방전이 중공형 전극(136, 138) 내부에서만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는, 상기 전극(136, 138)에 의한 방전에 의해 발생된 빛을 상기 패턴(137)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만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빛 방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빛 방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발광부, 도파부 및 광학시트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발광부는 램프(100)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램프 하우징(2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램프(100)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가 이용된다.
또한, 도파부는 램프(100)에서 나온 빛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만드는 도광판(light guide panel)(212) 및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여 램프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켜 액정패널 쪽(전면)으로 집중시켜주고 도광판의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빛의 손실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판(2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도광판의 후면(아랫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219)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램프(100)로부터 방출된 빛이 액정패널 쪽(전면)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반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부는 상기 도광판 상부에 위치하여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켜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확산시트(diffuser sheet)(213), 상기 확산시트 상부에 위치하여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집광시켜 시야각을 향상시키는 프리즘시트(prism sheet)(214, 215) 및 백라이트 유닛의 최상부 층에 위치하여 상기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보호시트(protector sheet)(216)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100)로부터 출사된 빛이 램프의 유리관(132)에 형성된 패턴(137)에 의해 도광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보다 많은 빛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보다 많은 빛을 액정패널 쪽(전면)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빛 방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빛 방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커버 보텀(Cover Bottom)(321), 커버 보텀 상에 안착되며 백색 또는 은색을 띠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반사판(reflector)(322), 반사판 상에 다수가 평행하게 배열 되는 램프(100) 및 다수의 램프 상에 안착되는 광학시트부(32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램프(100)로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광학시트부(329)는 상기 램프의 수직 상단에 안착되는 확산 플레이트(324), 상기 확산 플레이트 상단에 안착되는 확산 시트(325), 상기 확산 시트 상단에 안착되는 프리즘 시트(326) 및 상기 프리즘 시트 상단에 안착되는 다층구조의 반사형 편광필름(MOF)(32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광학시트부(329)의 상단에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액정패널(미도시)이 안착되며, 상기 액정패널이 탑프레임(top frame)(미도시)을 통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결합됨으로써, 액정표시장치가 완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100)로부터 출사된 빛이 램프의 유리관(134)에 형성된 패턴(137)에 의해, 반사판에 의하지 않고서도 직접 액정패널 쪽(전면)으로 반사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빛을 액정패널 쪽(전면)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100)의 센터와 사이드에는 도트 간격 또는 도트 사이즈를 달리하는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램프(100)의 사이드와 센터 간의 휘도차가 줄어들게 되어, 보다 균일한 휘도의 빛을 방출 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냉음극형광램프를 일예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램프 내부의 일측면에,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특정 방향으로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 유리관 하단부에 패턴을 인쇄함으로써 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이 유리관의 인쇄 패턴에 의해 산란되도록 함으로써, 액정패널 쪽으로 나가는 빛의 양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의 도트 크기 또는 도트 간격을 램프의 센터와 사이드별로 다양하게 배치함으로써, 램프의 센터와 사이드 간의 휘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기밀하게 밀봉되는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 내부의 일측면에 상기 유리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반사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인쇄형 램프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에서 나온 빛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만들기 위하여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 및
    상기 도광판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켜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도광판과 접하는 상기 유리관의 일측면의 반대쪽 일측면의 내면에 형성되어 빛을 전반사시키며,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는 램프로부터 발생된 빛을 액정패널을 향해 반사시키는 제2 반사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학시트들은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프리즘시트와, 상기 프리즘 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5. 삭제
  6. 커버 보텀과;
    상기 커버 보텀 상에 안착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다수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램프들; 및
    상기 다수의 램프들 상단에 안착되는 광학시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램프들 각각은, 기밀하게 밀봉되는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 내부의 일측면에 상기 유리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반사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인쇄형 램프이며,
    상기 제1 반사 패턴은 상기 반사판과 접하는 상기 유리관의 일측면의 내면에 형성되어 빛을 광학시트들을 향해 전반사시키고,
    상기 광학시트들은 램프의 수직 상단에 안착되는 확산 플레이트와, 상기 확산 플레이트 상단에 안착되는 확산 시트와, 상기 확산 시트의 상단에 안착되는 프리즘 시트 및 상기 프리즘 시트의 상단에 안착되는 반사형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7. 삭제
  8.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패턴은 상기 유리관의 사이드로 갈 수록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9.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은 냉음극형광램프의 유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쇄형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20060051430A 2006-06-08 2006-06-08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32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430A KR101323462B1 (ko) 2006-06-08 2006-06-08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430A KR101323462B1 (ko) 2006-06-08 2006-06-08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317A KR20070117317A (ko) 2007-12-12
KR101323462B1 true KR101323462B1 (ko) 2013-10-29

Family

ID=3914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430A KR101323462B1 (ko) 2006-06-08 2006-06-08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175A (ja) * 1994-06-07 1995-12-22 Sharp Corp 放電ラ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19980041084A (ko) * 1996-11-30 1998-08-17 엄길용 냉음극선 램프
KR200361393Y1 (ko) * 2004-06-25 2004-09-13 주식회사 메카테크 균일 혹은 불균일 패턴이나 양각 혹은 음각 요철을구비한 반사시트
KR20060001423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175A (ja) * 1994-06-07 1995-12-22 Sharp Corp 放電ラ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19980041084A (ko) * 1996-11-30 1998-08-17 엄길용 냉음극선 램프
KR200361393Y1 (ko) * 2004-06-25 2004-09-13 주식회사 메카테크 균일 혹은 불균일 패턴이나 양각 혹은 음각 요철을구비한 반사시트
KR20060001423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317A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77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01227A (ko)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 고정장치
KR101808525B1 (ko) 액정표시장치
US7334928B2 (en) Flat light-emitting lamp,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070026178A (ko) 면상 광원 장치
KR20060047404A (ko) 구부러진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및 이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20671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US7374314B2 (e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70034947A (ko) 백라이트 시스템
US2008003064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27856B1 (ko)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의 반사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US6639352B2 (en) Flat lamp for emitting lights to a surface area and liquid crystal using the same
KR101323462B1 (ko) 패턴 인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05019400A (ja) 光源アセンブリ、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JP5148085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JPH11242219A (ja) 直下式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70118796A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US79032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14853B1 (ko) 액정표시장치용 외부전극형광램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84588B1 (ko) 평판형 형광램프
KR20050055099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2109941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平面表示装置
KR20050092178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653473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KR20080041493A (ko) 면광원과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