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386B1 - 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386B1
KR101323386B1 KR1020120088168A KR20120088168A KR101323386B1 KR 101323386 B1 KR101323386 B1 KR 101323386B1 KR 1020120088168 A KR1020120088168 A KR 1020120088168A KR 20120088168 A KR20120088168 A KR 20120088168A KR 101323386 B1 KR101323386 B1 KR 10132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audio signal
microphone
reference audio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준수
김종열
김근호
김영민
김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3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3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PURPOSE: A voice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the information of a vocal volume are provided to record an audio signal in a desired-sized range with properl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 microphone and a mouth, and to synchronize and store the audio signal and the measured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CONSTITUTION: A voice recording device includes a distance adjusting part (130), a signal generating part (140), a control part (150), and a voice receiving part (160). The distance adjusting part adjusts a first distance between a microphone and a speaker. The signal generating part generates a referential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The control part analyzes the size of the referential audio signal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nalyzed size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critical value range. The voice receiving part receives an audio signal through the mouth of a subject from the position of the speaker when the referential audio signal is not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critical value range. [Reference numerals] (110) Volume control part; (120) Distance measuring part; (130) Distance adjusting part; (140) Signal generating part; (150) Control part; (160) Voice receiving part; (170) Synchronizing part

Description

발성 크기 정보 획득을 위한 음성 녹음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Voic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vocal size information {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음성 녹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voic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현대 사회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실시간 데이터 수집에 의한 데이터 분석 방식 및 툴(tool)이 고도화되는 등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개인화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As the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day by day in modern society, as technology has developed so rapidly as data analysis method and tool by real-time data collection are advanced, health status is monitored and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It became possible to receive it.

또한, 소비자의 의식 변화에 따른 고객 요구의 다양화와 기대수준의 향상으로 건강 서비스 및 관련 시스템 이용의 편리성 및 맞춤화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축적된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 습관병 예방이나 체중관리 등의 개인화(personalized) 건강관리 사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In addition, convenience and customization of health services and related systems are being strengthened due to diversification of customers 'demands and improvement of expecta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consumers' consciousness. Based on accumulated personal health data, prevention of lifestyle- Personalized health care projects such as weight management are rapidly growing.

이는 과거 건강관리 서비스가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질병 치료에만 국한되는 헬스케어(Healthcare)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관리 니즈(needs)는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질병의 사전예방 및 건강유지로 선회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결과이다.If the past health care services were centered on healthcare, which is limited to the treatment of illnesses in hospitals and medical institutions, patients' health care needs in recent years have been limited to the prevention of disease And health maintenance.

다시 말해,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삶의 질(Quality of Life)과 웰빙/wellness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소비자들은 차츰 건강상태 측정, 적정 운동량 관리 등의 사전 예방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In other words, consumers' interest in quality of life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 wellness is increasing with preference for proactive health management such as health status measurement and proper exercise management .

한방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서 건강 상태와 체질 종류 등을 진단할 수 있다.In oriental medicine, the user's voice can diagnose the state of health and constitution.

오늘날, 음성 인식이나 화자 인식 등의 목적으로 많은 음성 녹음 장치와 음성 인식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나, 상기 장치나 방법에는 대부분 사람의 음성 신호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고 있지 않다.Today, many voice recording apparatuses and speech recogni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peech recognition, speaker recognition, and the like, but most of the apparatuses and methods do not utilize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human voice signals.

녹음된 음성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실제 발성의 크기뿐 만 아니라 녹음 당시의 볼륨 설정 및 녹음 감도가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며, 마이크와 입 사이의 거리도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recorded voice signal is not only the size of the actual vocalization, but also the volume setting and the recording sensitivity at the time of recording are important factor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is also an important factor.

따라서, 실제 사람의 발성크기 정보 획득을 위해서는 고정된 볼륨 설정뿐만 아니라, 마이크와 입의 거리가 중요하다.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as well as the fixed volume setting is important for obtaining the actual voice siz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음성 신호가 원하는 크기 구간에서 녹음될 수 있도록 적정한 마이크와 입의 거리를 제공하며, 음성 신호와 측정된 입과 마이크 사이의 거리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so that the voice signal can be recorded in a desired size interval,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ynchronize and store the distance between the voice signal and the measured mouth and microphon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발성 크기의 개인 차이를 분석할 수 있고, 상기 분석 결과를 체질 분석 등의 목적으로 활용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speech size using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and use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purpose of constitution analys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 대한 제1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 조정부,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가 있던 위치로부터 피험자의 입을 통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tanc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first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by analyzing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included in a preset threshold range and a voic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signal through a mouth of a subject from a location where the speaker is located when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included in the threshold range. .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녹음 볼륨 및 재생 볼륨을 고정시키는 볼륨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control unit for fixing the recording volume and the playback volume.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과의 거리에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ynchronization unit configured to synchronize and store the voice signal at a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of the test subject.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 사이에 대한 제2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first distance and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of the test subject.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하나 이상의 얼굴 부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3 거리를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각각의 제3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measuring unit measures one or more third distances of the microphone and one or more face parts of the subject in two or three dimensions, and adds each of the third distances to add the first and second distances. 2 You can estimate the distance.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사이의 거리를 다시 조정하도록 상기 거리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를 다시 발생하도록 상기 신호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tance adjusting unit to re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if it is not included 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by analyzing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the speaker The signal generator may be controlled to regenerate the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거리 조정부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의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거리를 가깝게 조정하고,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거리를 멀게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istance adjusting unit when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reshold, adjust the first distance closer, and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reshold The first distance may be adjusted far.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거리 조정부는 상기 피험자의 입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adjusting unit may automatically move the microphone in consideration of the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th of the subject.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거리 조정부는 상기 음성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adjusting unit may automatically move the microphone in consideration of the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ice sig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법은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 대한 제1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가 있던 위치로부터 피험자의 입을 통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recording method includes adjusting a first distance between a microphone and a speaker, generating a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and analyzing a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to set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it is included in a range,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through a mouth of a subject from a location where the speaker was when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included in the threshold ran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신호가 원하는 크기 구간에서 녹음될 수 있도록 적정한 마이크와 입의 거리를 제공하며, 음성 신호와 측정된 입과 마이크 사이의 거리를 동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may be provided so that the voice signal may be recorded in a desired size section, and the voice signal and the measured distance between the mouth and the microphone may be synchronized and sto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발성 크기의 개인 차이를 분석할 수 있고, 상기 분석 결과를 체질 분석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vocalization size may be analyzed using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and the analysis result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stitution analysi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1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2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2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a first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a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a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term used for appropriately expres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거리 조정부(130), 신호 발생부(140), 제어부(150) 및 음성 수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tance adjuster 130, a signal generator 140, a controller 150, and a voice receiver 16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녹음 볼륨 및 재생 볼륨을 고정시키는 볼륨 제어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control unit 110 for fixing the recording volume and the playback volume.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볼륨 제어부(110)는 녹음 및 재생을 위해서 각각의 볼륨을 적정한 값, 예를 들어, 일반인들이 인지하기 좋은 볼륨으로 고정시켜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volum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each volume to be fixed to an appropriate value, for example, a volume that is easily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so as not to be chang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볼륨 제어부(110)는 마이크 감도를 조정하여 녹음 볼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스피커 소리 크기를 조정하여 재생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olum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recording volume by adjusting the microphone sensitivity, and adjust the playback volume by adjusting the speaker sound volume.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조정부(130)는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 대한 제1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조정부(130)는 모터 등의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마이크를 스피커로부터 멀게 또는 가깝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distance adjust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first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For example, the distance adjuster 130 may move the microphone away from or close to the speaker us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motor.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제1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unit 120 measuring the first distan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1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a first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측정부(120)는 스피커(210)와 마이크(230) 사이의 거리인 상기 제1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230)의 일측 끝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레이저, 적외선 또는 초음파 등의 거리 측정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istance measuring unit 120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at one end of the microphone 230 to measure the first distance,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210 and the microphone 230. In addition, a distance measuring device such as a laser, an infrared ray, or an ultrasonic wave may be applied.

예를 들어, 거리 측정부(120)는 마이크(230)와 일체화 되어 고정되며, 마이크(230)로부터 가까이에 있는 장애물, 예를 들어, 스피커(2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tance measuring unit 120 may be fixedly integrated with the microphone 230 and measure a distance from the microphone 230 to an obstacle near the microphone 230, for example, the speaker 21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신호 발생부(140)는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기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사람의 음성 녹음시 크기를 비교할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or 140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reference audio signal and use it as a reference for comparing the sizes of voice recordings of a perso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N개 주파수의 사인파 중첩 형태로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y(t))를 발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he reference audio signal y (t) in the form of sine wave overlap of N frequencie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2064406119-pat00001
Figure 112012064406119-pat00001

이때, 상기 An는 진폭의 크기이며, 상기 wn는 주파수이며, 상기

Figure 112012064406119-pat00002
는 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진폭의 크기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예로 16bit 신호일 경우 -215 ~ 215 사이의 값일 수 있다.In this case, A n is the magnitude of the amplitude, w n is the frequency,
Figure 112012064406119-pat00002
May mean phase. The magnitude of the amplitude may be a value between -2 15 and 2 15 in the case of a 16-bit signal as an example of a digital audio signal.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by using the controller 150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cluded in a preset threshold range.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음성 수신부(160)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가 있던 위치로부터 피험자의 입을 통한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included in the threshold range,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voice signal through the mouth of the subjec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speaker is located through the voice receiver 16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어부(150)는 음성 신호를 녹음한 후, 음성 신호 크기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분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voice signal magnitude after recording the voice signal.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어부(150)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사이의 거리를 다시 조정하도록 거리 조정부(130)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를 다시 발생하도록 신호 발생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stance adjuster 130 to re-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when the ampl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threshold range. The signal generator 140 may be controlled to regenerate the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거리 측정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 사이에 대한 제2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of the subject using the distance measuring unit 120.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2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a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측정부(320)는 마이크(330)에 고정 설치되어, 레이저, 적외선 또는 초음파 등의 거리 측정 신호를 피험자의 입(310)까지 발생하여 상기 제2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stance measuring unit 320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icrophone 330 to generate a distance measuring signal such as a laser, an infrared ray, or an ultrasonic wave to the subject 310 of the subject. 2 The distance can be measured.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측정부(120)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하나 이상의 얼굴 부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3 거리를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각각의 제3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distance measuring unit 120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one or more third distances of the microphone and one or more face parts of the subject in two or three dimensions, respectively. The second distance may be estimated by summing third distances of.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2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a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측정부(420)는 마이크(4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험자의 코부터 턱까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3 거리를 합산하여 마이크(430)와 상기 피험자의 입(410) 사이에 대한 상기 제2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istance measuring unit 420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the third distance while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nose of the subject to the chin in a state fixed to the microphone 430. The third distance may be summed to estimate the second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430 and the mouth 410 of the subject.

이때,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측정부(420)는 피험자 입을 벌렸을 경우 하나의 축 방향 거리만 활용하는 경우, 입(410)의 안쪽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tance measuring unit 420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clude a case in which the situation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inside of the mouth 410 occurs when only one axial distance is used when the subject's mouth is opened. have.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측정부는 3차원적 측정, 예를 들어, 키넥트(Kinect) 센서 등의 깊이 측정 카메라(depth camera)를 활용하여 3차원적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The distanc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the distance in three dimensions by using a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for example, a depth camera such as a Kinect sensor.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조정부(130)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의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거리를 가깝게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거리를 멀게 조정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when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reshold, the distance adjuster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first distance to be close to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f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reshold, the first distance can be adjusted far.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조정부(130)는 상기 피험자의 입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음성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The distance adjust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move the microphone in consideration of the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th of the subject, and adjust the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ice signal. In consideration, the microphone may be moved automatically.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동기화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동기화부(17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과의 거리에 동기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ynchronization unit 170, and the synchronization unit 170 may store the voice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of the subject.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피험자의 음성 신호를 녹음하고, 마이크와 입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후,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거리를 동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recording apparatus may record a voice signal of a subject, measure a distance between a microphone and a mouth, and synchronize the voice signal and the distance and store the same.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파라메터 값과 상기 녹음된 음성 신호를 각각 저장하여, 추후 사람 발성 크기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the parameter valu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and the recorded voice signal, respectively, and use it later as a reference for the size of human speech.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사람이 발성하는 과정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여 마이크와 입과의 거리가 바뀔 수 있으므로, 동기화된 거리값 정보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In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movement occurs during a person's speech,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may be changed, the synchronized distance value information may be important information.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a voice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녹음 볼륨 및 재생 볼륨을 고정시키고(51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 대한 제1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520).Referring to FIG. 5,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recording volume and the playback volume (510), and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a first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52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530).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53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 크기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분석할 수 있으며(540),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50).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recording apparatus may analyze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size (540), and determine whether it is included in a preset threshold range by analyzing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55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가 있던 위치로부터 피험자의 입을 통한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560).When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within the threshold range, 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voice signal through the mouth of the subject from the location where the speaker is located (56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음성 녹음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과의 거리에 동기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570).The voi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the voice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of the subject (570).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10: 볼륨 제어부
120: 거리 측정부
130: 거리 조정부
140: 신호 발생부
150: 제어부
160: 음성 수신부
170: 동기화부
110: volume control unit
120: distance measuring unit
130: distance adjustment unit
140: signal generator
150:
160: voice receiver
170: synchronization unit

Claims (17)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 대한 제1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 조정부;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가 있던 위치로부터 피험자의 입을 통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
를 포함하는 음성 녹음 장치.
A distance adjuster for adjusting a first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A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and determine whether the reference audio signal falls within a preset threshold range; And
When the siz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included in the threshold range, the voice receiver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mouth of the subject from the location where the speaker was located
Voice record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녹음 볼륨 및 재생 볼륨을 고정시키는 볼륨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Volume control to fix recording volume and playback volume
Voice recor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과의 거리에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ynchronization unit for synchronizing and storing the voice signal at a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of the test subject;
Voice recor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 사이에 대한 제2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Distan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of the subject
Voice recor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하나 이상의 얼굴 부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3 거리를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각각의 제3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거리를 추정하는 음성 녹음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tance measuring unit may measure,
And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of the microphone and one or more third distances with respect to one or more face parts of the subject, and adding the respective third distances to estimate the secon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사이의 거리를 다시 조정하도록 상기 거리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를 다시 발생하도록 상기 신호 발생부를 제어하는 음성 녹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analyzed and not included in a preset threshold range,
And controlling the distance adjusting unit to re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nd controlling the signal generator to regenerate the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정부는,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의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거리를 가깝게 조정하고,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거리를 멀게 조정하는 음성 녹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nce adjusting unit,
If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reshold, adjust the first distance closer,
And the first distance is adjusted farther when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reshol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정부는,
상기 피험자의 입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음성 녹음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tance adjusting unit,
And the microphone is automatically moved in consideration of the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th of the subjec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정부는,
상기 음성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음성 녹음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tance adjusting unit,
And a voice recording device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microphone in consideration of the second distanc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ice signal.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 대한 제1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기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가 있던 위치로부터 피험자의 입을 통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녹음 방법.
Adjusting a first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Generating a referenc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Analyzing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cluded in a preset threshold range;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within the threshold range, receiving a voice signal through a mouth of a subject from a location where the speaker was located
Voice recording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녹음 볼륨 및 재생 볼륨을 고정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Steps to Freeze Recording Volume and Playback Volume
Voice recor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과의 거리에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Storing the voice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mouth of the subject;
Voice recor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입 사이에 대한 제2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Measuring the first distance and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ubject's mouth
Voice recor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와 상기 피험자의 하나 이상의 얼굴 부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3 거리를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제3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2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Measuring at least one third distance two-dimensionally or three-dimensionally with respect to the microphone and at least one face portion of the subject; And
Estimating the second distance by summing each third distance
Voice recor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사이의 거리를 다시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를 다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analyzed and not included in a preset threshold range,
Controlling to re-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nd
Controlling to generate the reference audio signal again through the speaker
Voice recor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의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거리를 가깝게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거리를 멀게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녹음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f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reshold, adjusting the first distance closer; And
If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audio signal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reshold, adjusting the first distance away
Voice recor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0 to 16.
KR1020120088168A 2012-08-13 2012-08-13 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 KR101323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168A KR101323386B1 (en) 2012-08-13 2012-08-13 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168A KR101323386B1 (en) 2012-08-13 2012-08-13 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386B1 true KR101323386B1 (en) 2013-10-29

Family

ID=4963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168A KR101323386B1 (en) 2012-08-13 2012-08-13 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38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0139B1 (en) * 2019-04-06 2020-01-21 Clayton Janes Distance-applied level and effects emulation for improved lip synchronized performance
CN110769318A (en) * 2019-09-30 2020-02-07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ideo network recording equipment
CN111601198A (en) * 2020-04-24 2020-08-28 达闼科技成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speaker by using microphone and computing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3898A (en) 2004-04-15 2005-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icrophone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JP2007110357A (en) 2005-10-13 2007-04-26 Sony Corp Judgement method of test tone and sound field correction apparatus
JP2010204260A (en) 2009-03-02 2010-09-16 Brother Ind Ltd Interactiv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3898A (en) 2004-04-15 2005-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icrophone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JP2007110357A (en) 2005-10-13 2007-04-26 Sony Corp Judgement method of test tone and sound field correction apparatus
JP2010204260A (en) 2009-03-02 2010-09-16 Brother Ind Ltd Interactiv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0139B1 (en) * 2019-04-06 2020-01-21 Clayton Janes Distance-applied level and effects emulation for improved lip synchronized performance
US10871937B2 (en) 2019-04-06 2020-12-22 Clayton Janes Distance-applied level and effects emulation for improved lip synchronized performance
CN110769318A (en) * 2019-09-30 2020-02-07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ideo network recording equipment
CN111601198A (en) * 2020-04-24 2020-08-28 达闼科技成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speaker by using microphone and comput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867B2 (en) Identifying an acoustic signal for a user based on a feature of an aural signal
Švec et al. Estimation of sound pressure levels of voiced speech from skin vibration of the neck
JP61063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peaker identification verification
JP2014153663A (en) Voice recognition device, voice recognition method and program
KR101323386B1 (en) Apparatus of recording voice for acquiring speaking siz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thereof
Proctor et al. Direct estimation of articulatory kinematics from real-time magnetic resonance image sequences
Tasko et al. Acoustic and articulatory features of diphthong production: A speech clarity study
US20200170570A1 (en) Non-invasive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respiratory disturbances experienced by a subject
JP6922603B2 (en) Signal processing equipment, signal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US20170086779A1 (en) Eating and drinking action detection apparatus and eating and drinking action detection method
US201401220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phonation
Maruri et al. V-speech: Noise-robust speech capturing glasses using vibration sensors
US10021505B2 (en) Control apparatus, measurement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lico et al. Real-time estimation of aerodynamic features for ambulatory voice biofeedback
Weerathunge et al. Accuracy of acoustic measures of voice via telepractice videoconferencing platforms
Hagedorn et al. Automatic Analysis of Singleton and Geminate Consonant Articulation Using Real-Time Magnetic Resonance Imaging.
Uloza et al. Accuracy of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captured with a smartphone–measurements with added ambient noise
JP2007068847A (en) Glottal closure region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Mik et al. Fusing the electromagnetic articulograph, high-speed video cameras and a 16-channel microphone array for speech analysis
Meng et al. Lateralized cerebral processing of abstract linguistic structure in clear and degraded speech
US11343612B2 (en) Activity detection on devices with multi-modal sensing
EP4078995A1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stress evaluator
EP38326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coustic system
Saikachi et al. Development and perceptual evaluation of amplitude-based F0 control in electrolarynx speech
US7988629B2 (en) Cerebrum evalu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