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993B1 - 음향 센서 - Google Patents

음향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993B1
KR101321993B1 KR1020130054146A KR20130054146A KR101321993B1 KR 101321993 B1 KR101321993 B1 KR 101321993B1 KR 1020130054146 A KR1020130054146 A KR 1020130054146A KR 20130054146 A KR20130054146 A KR 20130054146A KR 101321993 B1 KR101321993 B1 KR 10132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rum
path
acoustic
match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영
박종범
권휴상
조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피아
Priority to KR102013005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781Aspects relating to microreactors
    • B01J2219/0095Control aspects
    • B01J2219/00952Sensing operations
    • B01J2219/00968Type of sensors
    • B01J2219/00979Acoustic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향 센서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프루브, 프루브에 연결되고,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매칭 블록, 상기 매칭 블록에 연결되고,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경로를 내부에 형성한 제 1 튜브 드럼, 매칭 블록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들을 상호 연결하고, 제 1 튜브 드럼에 감기는 제 1 튜브, 제 1 튜브 드럼에 연결되고, 제 1 경로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경로를 내부에 형성한 제 2 튜브 드럼, 및 매칭 블록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제 2 경로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상호 연결하고, 제 2 튜브 드럼에 감기는 제 2 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 센서{ACOUSTIC SENSOR}
본 발명은 음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 신호의 감지를 위해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음향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기업청의 2011년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연구과제고유번호: SD122991, 연구과제명: 환경소음 무선측정용 이식형 저가 어레이 마이크로폰 모듈 개발].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로 음향 센서가 있다. 음향 센서는 마이크로폰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마이크로폰으로 전달한다. 음향 센서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실내 또는 야외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든 음향 신호를 감지한다.
음향 신호는 대기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로서 작은 요소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는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음향 센서는 이러한 음향 신호를 최대한 왜곡되지 않는 형태로 마이크로폰으로 전달해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폰에 연결되는 음향 센서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으로 구조적으로 최적화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음향 신호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음향 신호 감지에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형태의 음향 센서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 신호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킨 음향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향 신호의 감지에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형태의 음향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센서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프루브, 상기 프루브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매칭 블록, 상기 매칭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경로를 내부에 형성한 제 1 튜브 드럼, 상기 매칭 블록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들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 1 튜브 드럼에 감기는 제 1 튜브, 상기 제 1 튜브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경로를 내부에 형성한 제 2 튜브 드럼, 및 상기 매칭 블록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 2 튜브 드럼에 감기는 제 2 튜브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루브는 상기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자들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프루브 내부에 형성된 입력부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칭 블록은 상기 음향 신호를 전달받는 마이크로폰이 인입되기 위한 마이크로폰 인입부, 및 상기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복수개의 출력단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드럼은 제 1 튜브를 감기 위한 릴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제 2 튜브 드럼은 상기 제 2 튜브를 감기 위한 릴 형태로 구현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들 중 두 개를 상호 간에 연결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들 중 나머지 한 개와 상기 제 2 경로를 상호 간에 연결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는 상기 제 1 튜브에 비해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에 의해 형성된 길이만큼 감소된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음향 센서는 음향 신호의 감지를 위해 출력단을 튜브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마이크로폰으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향 센서는 튜브를 감기 위한 튜브 드럼의 구조를 제안하고, 튜브 드럼 내부에 주파수 감쇄를 위한 튜브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튜브 길이로 인한 최적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향 센서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프루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칭 블록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음향 센서의 결합 구조에 따른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튜브에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튜브에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튜브와 제 2 튜브의 길이를 예시적으로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음향 신호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고,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음향 센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향 센서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향 센서(100)는 프루브(110), 매칭 블록(120), 제 1 튜브(130), 제 2 튜브(140), 제 1 튜브 드럼(150), 및 제 2 튜브 드럼(160)을 포함한다.
프루브(11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다. 프루브(110)는 입력된 음향 신호를 매칭 블록(120)으로 출력한다.
매칭 블록(120)은 프루브(110)에 연결되고, 프루브(110)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매칭 블록(120)에 입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이 인입될 수 있다. 매칭 블록(120)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출력단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튜브(130)는 매칭 블록(120)에 연결된다.
제 2 튜브(140)는 매칭 블록(120)과 제 2 튜브 드럼(16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튜브(130)와 제 2 튜브(140)는 주파수 응답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프루브의 내부 형상에 따라서 고유의 공진 주파수가 발생되며, 공진 주파수는 마이크로폰으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에 불필요한 주파수 응답의 피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1 튜브(130)와 제 2 튜브(140)는 주파수 응답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튜브(130)와 제 2 튜브(140)는 음향 센서(100)의 내부와 외부의 저항을 맞추어 신호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튜브(130)와 제 2 튜브(140)는 매칭 블록(120)의 출력단들을 외부와 차폐시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불필요한 신호로부터 음향 신호를 보호할 수 있다.
제 1 튜브(130)와 제 2 튜브(140) 각각은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두 개의 출력단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튜브(130)와 제 2 튜브(140)는 일예로,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고탄성 재질로 형성(자유롭게 감거나 뭉칠 수 있음)될 수 있다. 또한, 제 1 튜브(130)와 제 2 튜브(140) 각각은 두 개의 출력단들을 상호 간에 차폐시킴으로서 외부 환경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 1 튜브 드럼(150)은 매칭 블록(120)에 연결된다. 제 1 튜브 드럼(150)은 제 1 튜브(130)를 감긴 형태 등으로 보관하기 위해 일예로, 릴(reel)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튜브 드럼(160)은 제 1 튜브 드럼(150)에 연결된다. 제 2 튜브 드럼(160)은 제 2 튜브(140)를 감긴 형태 등으로 보관하기 위해 일예로, 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튜브 드럼(150)과 제 2 튜브 드럼(160)은 내부에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음향 센서(100)는 튜브들(130, 140)포함한다. 이와 같이, 음향 센서(100)는 튜브들(130, 140)를 통해 주파수 응답 특성을 향상시켜 음향 신호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들(130, 140) 각각은 음향 신호의 감지 성능 향상을 위해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들(130, 140) 각각의 길이가 증가되면 음향 센서(100)의 크기가 증가된다. 이를 위해, 튜브들을 보관하기 위한 튜브 드럼들(150, 160)을 이용한다. 또한, 튜브 드럼들(150, 160) 내부에 튜브의 기능을 갖는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튜브(일예로, 제 2 튜브)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센서(100)는 튜브의 기능을 포함한 튜브 드럼(150, 160)의 구조를 통해서 음향 센서(100)의 구조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루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루브(110)는 복수개의 입력단들(111, 112, 113, 114), 입력부(115), 매칭 블록 결합 홈(116), 및 지지홀(117)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입력단들(111, 112, 113, 114)은 프루브(11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 1 입력단(111)과 제 3 입력단(113)이 마주하고 있으며, 제 2 입력단(112)과 제 4 입력단(114)이 마주하고 있다. 또한, 제 1 및 제 3 입력단(111, 113)과, 제 2 및 제 4 입력단(112, 114)은 상호 간에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복수개의 입력단들(111, 112, 113, 114)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의 경로를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프루브(110)에 형성된 입력단들(111, 112, 113, 114)은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며, 프루브(110)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단을 포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루브(110)의 입력단들(111, 112, 113, 114)은 상술한 구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15)는 복수개의 입력단들(111, 112, 113, 114)을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가 지나가는 경로이다. 여기서, 입력부(115)는 프루브(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프루브(1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매칭 블록 결합 홈(116)은 매칭 블록(120)이 결합되기 위한 홈이다.
지지홀(117)은 방풍망의 방풍망 홀더 와이어(미도시, 방풍망의 외형 형성과 프로브에 연결을 위한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이다. 여기서, 방풍망이 결합된 음향 센서(100)의 구조는 하기의 도 4를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칭 블록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칭 블록(120)은 마이크로폰(10)이 인입되고, 프루브(11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마이크로폰(10)으로 전달한다.
매칭 블록(120)은 마이크로폰 인입부(121), 제 1 출력단(122), 제 1 튜브 인입부(1221), 제 2 출력단(123), 제 2 튜브 인입부(1231), 제 3 출력단(124), 제 3 튜브 인입부(1241), 제 4 출력단(125), 및 튜브 드럼 결합 홈(1251)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폰 인입부(121)는 마이크로폰(10)이 인입되고, 마이크로폰 인입부(121)에 인입된 마이크로폰(10)으로 음향 신호가 전달된다.
제 1 출력단(122), 제 2 출력단(123), 제 3 출력단(124), 및 제 4 출력단(125)은 프루브(110)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제 1 튜브 인입부(1221)는 제 1 출력단(122)에 연결되는 튜브가 인입된다. 제 2 튜브 인입부(1231)는 제 2 출력단(123)에 연결되는 튜브가 인입된다. 또한, 제 3 튜브 인입부(1241)는 제 3 출력단(124)에 연결되는 튜브가 인입된다.
여기서, 제 1 출력단(122), 제 2 출력단(123), 및 제 3 출력단(124) 중 적어도 두 개는 제 1 튜브(13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나머지 하나의 출력단은 제 2 튜브(140)에 연결된다.
튜브 드럼 결합 홈(1251)은 제 1 튜브 드럼(150)이 결합되기 위한 홈이고, 제 4 출력단(125)을 통해 출력된 음향 신호가 제 1 튜브 드럼(150)으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향 센서의 결합 구조에 따른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향 센서(100)는 프루브(110), 매칭 블록(120), 제 1 튜브 드럼(150), 제 2 튜브 드럼(160), 방풍망(170), 하우징(180), 및 베이스(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향 센서(100)는 방풍망(170), 하우징(180), 및 베이스(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루브(110), 매칭 블록(120), 제 1 튜브(130), 제 2 튜브(140), 제 1 튜브 드럼(150), 제 2 튜브 드럼(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방풍망(170)은 음향 신호에 포함되는 바람소리를 방지할 수 있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프루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풍망(170)은 와이어 형태의 방풍망 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방풍망 홀더는 방풍망(17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때, 방풍망(170)은 방풍망 홀더를 통해 프루브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80)은 매칭 블록(120), 제 1 튜브 드럼(150), 제 2 튜브 드럼(16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튜브 드럼들(150, 160)에 감긴 튜브들(130, 140)도 하우징(180)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하우징(1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베이스(190)는 하우징(180) 내부에 위치한 제 1 튜브 드럼(150)과 제 2 튜브 드럼(160)을 고정한다. 또한, 베이스(190)는 하우징(180) 내부의 습기 등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제 등이 포함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튜브 드럼(150)은 매칭 블록(120)의 제 4 출력단(12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4 출력단(125)을 통해 출력된 음향 신호는 제 1 튜브 드럼(150)으로 전달된다. 제 1 튜브 드럼(150)은 형성된 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내부에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경로(152)를 형성한다.
제 2 튜브 드럼(160)은 제 1 튜브 드럼(150)에 연결된다. 제 2 튜브 드럼(160)은 형성된 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내부에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경로(161)를 형성한다.
또한, 제 2 튜브 드럼(160)에서, 제 1 튜브 드럼(150)이 연결되지 않는 쪽에 제 4 튜브 인입부(162)가 형성된다. 제 4 튜브 인입부(162)는 제 2 경로(161)에 연결되는 제 2 튜브(140)가 인입된다.
이때, 제 1 튜브 드럼(150)과 제 2 튜브 드럼(160)은 제 1 경로(151)와 제 2 경로(161)가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중심축이 일치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경로(151)와 제 2 경로(16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명된 것으로, 매칭 블록(120)을 통해 분기된 음향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제 1 경로(151)는 길이(d1)를 갖고, 제 2 경로(161)는 길이(d2)를 갖는다. 이때, 길이들(d1과 d2)에 의해 형성된 경로들(151, 161)의 전체 길이(d)는 d1+d2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길이 d1과 길이 d2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음향 센서(100)는 튜브 드럼들(150, 152)의 내부에 튜브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음향 신호의 출력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제 2 경로(161)에 연결된 제 2 튜브(140)의 길이를 경로들(151, 161)에 의해 형성된 전체 길이(d)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튜브에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튜브(130)는 제 1 튜브 드럼(150)에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튜브(130)는 제 1 출력단(122)과 제 3 출력단(124)을 연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1 튜브(130)의 일단은 제 1 튜브 인입부(1221)에 인입되고, 제 1 튜브(130)의 나머지 일단은 제 3 튜브 인입부(1223)에 인입된다.
따라서, 제 1 튜브(130)에 연결된 출력단들(122, 124)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마이크로폰에 두 번 이상 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제 1 튜브(130)로의 음향 신호의 출력 경로(210)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튜브에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튜브(140)는 제 2 튜브 드럼(160)에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튜브(140)는 제 2 출력단(123)과 제 2 경로(161)를 연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2 튜브(140)의 일단은 제 2 튜브 인입부(1231)에 인입되고, 제 2 튜브(140)의 나머지 일단은 제 4 튜브 인입부(162)에 인입된다.
따라서, 제 2 튜브(140)에 연결된 제 2 출력단(123)과 제 2 경로(161)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마이크로폰에 두 번 이상 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제 2 튜브(140)로의 음향 신호의 출력 경로(220)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튜브 드럼(150)과 제 2 튜브 드럼(160)은 내부에 튜브의 기능을 갖는 경로들(151, 161)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튜브(140)는 제 1 튜브(130)에 비해 전체 무반사 종단의 길이(d)만큼 감소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튜브와 제 2 튜브의 길이를 예시적으로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 감쇄를 위한 미리 결정된 튜브의 전체 길이를 D로 결정될 때, 제 1 튜브(130)의 길이는 D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튜브(140)는 제 1 튜브(130)에 비해 경로들(151, 161)의 전체 길이만큼 감소된 길이 즉, D-d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가 400cm라고 가정하고, 제 1 경로(151)의 길이가 8cm, 제 2 경로(161)의 길이가 9.5cm라고 가정한다. 전체 경로의 길이는 17.5cm가 된다. 이때, 제 1 튜브(130)의 길이는 400cm이고, 제 2 튜브(140)의 길이는 382.5cm(400cm-17.5cm)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향 센서(100)는 두 개의 튜브들(130, 140) 중에서 하나의 튜브에 대해서 튜브 드럼들(150, 160)에 의해 형성된 경로들(151, 161)의 길이를 튜브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음향 센서는 음향 신호를 마이크로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출력단들을 상호 연결하는 튜브 구조를 제안함에 따라 음향 주파수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향 센서는 튜브를 보관하기 위한 튜브 드럼의 구조를 통해 음향 센서의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고, 튜브 드럼 내부에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를 통해 튜브의 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튜브의 길이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된 음향 센서는 실내 환경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외 환경에서 음향 신호를 마이크로폰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향 센서는 단독으로 사용 또는 다른 다양한 기기와의 결합을 통해 사용됨으로써,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다양한 분야에 확장하여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음향 센서 120: 매칭 블록
130: 제 1 튜브 140: 제 2 튜브
150: 제 1 튜브 드럼 160: 제 2 튜브 드럼
170: 방풍망 180: 하우징
190: 베이스

Claims (7)

  1.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프루브;
    상기 프루브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매칭 블록;
    상기 매칭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경로를 내부에 형성한 제 1 튜브 드럼;
    상기 매칭 블록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들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 1 튜브 드럼에 감기는 제 1 튜브;
    상기 제 1 튜브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경로를 내부에 형성한 제 2 튜브 드럼; 및
    상기 매칭 블록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 2 튜브 드럼에 감기는 제 2 튜브를 포함한 음향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루브는
    상기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자들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프루브 내부에 형성된 입력부을 포함하는 음향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블록은
    상기 음향 신호를 전달받는 마이크로폰이 인입되기 위한 마이크로폰 인입부; 및
    상기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복수개의 출력단들을 포함하는 음향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드럼은 제 1 튜브를 감기 위한 릴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제 2 튜브 드럼은 상기 제 2 튜브를 감기 위한 릴 형태로 구현되는 음향 센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들 중 두 개를 상호 간에 연결하는 음향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들 중 나머지 한 개와 상기 제 2 경로를 상호 간에 연결하는 음향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는 상기 제 1 튜브에 비해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에 의해 형성된 길이만큼 감소된 길이를 갖는 음향 센서.
KR1020130054146A 2013-05-14 2013-05-14 음향 센서 KR10132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46A KR101321993B1 (ko) 2013-05-14 2013-05-14 음향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46A KR101321993B1 (ko) 2013-05-14 2013-05-14 음향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993B1 true KR101321993B1 (ko) 2013-10-28

Family

ID=4963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146A KR101321993B1 (ko) 2013-05-14 2013-05-14 음향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9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149A (ko) * 2003-08-27 2005-03-09 주식회사 한화 고출력 수중 음향 트랜스듀서
JP2009194889A (ja) 2008-01-15 2009-08-27 Nec Corp 水中送波器とその駆動方法および複合水中送波器
KR101173937B1 (ko) 2011-06-30 2012-08-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음향 트랜스듀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149A (ko) * 2003-08-27 2005-03-09 주식회사 한화 고출력 수중 음향 트랜스듀서
JP2009194889A (ja) 2008-01-15 2009-08-27 Nec Corp 水中送波器とその駆動方法および複合水中送波器
KR101173937B1 (ko) 2011-06-30 2012-08-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음향 트랜스듀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5809B (zh) 一种传声器校准方法
US20110050515A1 (en) Calculating antenna performance
CN106921928A (zh) 对麦克风的测量、校准方法和装置
US20120224169A1 (en) Optical fiber vibration sensor
CN110100178A (zh) 流体流测量装置和相关方法
US20090316927A1 (en) Sound reinforc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instruments
KR20150025314A (ko) 오디오 액세서리의 탄성체와 오디오 액세서리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300507B (zh) 光纤振动传感器及其m-z传感臂光路结构
CN105890661A (zh) 一种基于多通道声表面波的多物理量传感器
CN209247158U (zh) 一种集成式声矢量传感器
US8280694B2 (en) Constant current power source electronics for a sensor
US9078061B2 (en) Stereo ribbon microphone
KR101321993B1 (ko) 음향 센서
CN205491155U (zh) 一种麦克风测试装置
CN210075580U (zh) 一种声矢量传感器灵敏度测量装置及系统
KR20150054252A (ko) 공기조화기의 배관 통신 장치
EP3223541A1 (en) An outdoor multi-microphone system with an integrated remote acoustic calibration
CN113740438B (zh) 声学系数测试装置及测试方法
US3363450A (en) Probe for testing cables for leaks
US20180239397A1 (en) Acoustic means for detecting if the casing of a communication device constitutes a closed space
US20220397451A1 (en) Acoustic sensor
JP2011085551A (ja) 光ファイバ振動センサ
CN205719094U (zh) 一种基于多通道声表面波的多物理量传感器
KR101316766B1 (ko) 마이크로폰 프루브
KR101247143B1 (ko)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성능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