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411B1 - Packaging box - Google Patents

Packag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411B1
KR101320411B1 KR1020130065214A KR20130065214A KR101320411B1 KR 101320411 B1 KR101320411 B1 KR 101320411B1 KR 1020130065214 A KR1020130065214 A KR 1020130065214A KR 20130065214 A KR20130065214 A KR 20130065214A KR 101320411 B1 KR101320411 B1 KR 101320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corner
bent
end portion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순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Priority to KR102013006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4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PURPOSE: A packing box is provided to enhance rigidity and to have a reinforcement structure at the same time. CONSTITUTION: A bottom part (110) comprises a lower sheet, a reinforcing part and an upper sheet. A first side surface part (120) comprises a first bottom surface attachment unit and a first extension section extended to the first bottom surface attachment unit. A second side surface part (130) comprises a second bottom surface attachment unit and a second extension section extended to the second bottom surface attachment unit. A third side surface part (140) comprises a third bottom surface attachment unit and a third extension section extended to the third bottom surface attachment unit. A fourth side surface part (150) comprises a fourth bottom surface attachment unit and a fourth extension section extended to the fourth bottom surface attachment unit. A first corner junction (161) is adhered on an end part of the first extension section and the rear surface of a corner part which is formed by the end part of the second extension section. A second corner junction (162) is respectively adhered on end part of the second extension section and the rear surface of a corner part which is formed by the end part of the third extension section. A third corner junction (163) is respectively adhered on end part of the third extension section and the rear surface of a corner part which is formed by the end part of the fourth extension section. A fourth corner junction (164) is respectively adhered on end part of the fourth extension section and the rear surface of a corner part which is formed by the end part of the first extension section. Reinforcing members (170) are attached to the bottom plane of the bottom surface and has a form in which a reinforcing core material is built in an external skin.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Packaging box}Packing Box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충격에 취약한 물품을 운반 및 포장하기 위해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for transporting and packaging an article susceptible to impact.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는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골판지 등을 육면체의 전개 형상으로 절단 형성한 상태에서 이와 같은 전개 대지를 절곡한 후 상호 중첩부에 대하여 접착이나 스태플 고정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부의 개폐구를 갖도록 제작된다. In general, the packaging box is mad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with an empty interior, and after bending such a development site while cutting corrugated paper into a hexahedron shape, it is possible to bond or fix the staples to each other. It is firmly fixed and manufactured to have an opening on top.

이러한 포장용 상자는 내부에 단일 또는 다수의 제품을 수용하여 안전하게 운반 및 취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의 제품이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Such a packing box accommodates a single or multiple products therein to be safely transported and handled, and also serves to prevent internal products from being damaged or broken from external impacts.

또한, 포장용 상자에 작용하는 다양한 방향의 충격이나 하중으로부터 내부의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통상적으로는 내부의 제품과 포장용 상자의 사이에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완충재를 투입하여 포장용 상자에 수용되는 내부 제품이 외력이나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from impacts or loads in various directions acting on the packaging box, the inside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box by putting various types and types of cushioning materials between the product and the packaging box. It prevents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from external force or impact.

그러나, 일반적인 형태의 포장용 상자는 홑겹의 골판지를 전개 절단하여 이를 절곡 및 접착 고정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포장용 상자는 골판지 자체의 물리적 강성에만 의존하여 내부 제품을 보호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상자를 적층하거나 과도한 하중 또는 순간적인 집중 하중이나 충격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자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the packaging box of the general form is developed by cutting a single layer of corrugated cardboard, bending and adhesive fixing it to have a hexahedron shape empty inside. Since the packaging box protects the internal products only by the physical rigidity of the cardboard itself, the deformation of the box easily occurs when a large number of boxes are stacked or excessive loads or momentary concentrated or impact loads are generated. have.

또한,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자의 측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나 충격으로 인해 상자가 파손되면서 내부의 완충재가 쏟아져 나오거나 내부 제품이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side of the box in a vertically stacked state,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may pour out or the internal product may be damaged or broken while the box is broken due to external force or impact.

또한, 포장용 상자 자체에 보강 부재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상자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제조 단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reinforcing member is applied to the packaging box itself,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ox,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step is complicated.

따라서, 고가의 물품이나 충격에 취약한 물품인 경우에는 포장용 상자와는 관계없이 제품 자체에 대한 완충 포장 및 내구성 포장을 적용하여 이를 포장용 상자에 넣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물품과 포장용 상자 사이의 공간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완충재를 충전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expensive items or items susceptible to impact, it is common to apply a shock-absorbing package and a durable package to the product itself and put it in a packing box irrespective of the packing box. It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illing a more effective cushioning materi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해소 방안 역시 과도하게 완충재가 소요되는 것은 물론 제품 자체에 대한 완충 및 내구성 포장이 집중되므로 불필요한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충분한 완충작용을 위해 실제 포장되는 물품에 비하여 과도하게 큰 포장용 상자를 적용한 후 이들 사이에 많은 량의 완충재를 충전함에 따라 포장용 상자의 체적 증대로 인해 물류비 부담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solution also takes too much cushioning material, and the cushioning and durable packaging of the product itself is concentrated, which acts as a factor of unnecessary cost increase, and excessively compared to the actual packaged goods for sufficient buffering action. After applying a large packaging box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urden of increasing the logistics costs due to the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packaging box by filling a large amount of cushioning material therebetween.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2-0134398호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3439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포장용 상자 자체의 강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보강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ackaging box having an impact resistance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packaging box itself and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포장용 상자는 사각형 형상을 갖고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두께의 보강 구조를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제1 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제1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1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갖는 제1 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1 변과 대향되는 제3 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제3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3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갖는 제3 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1 변 및 상기 제3변과 연결되는 제2 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제2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2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갖는 제2 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2 변과 대향되는 제4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제4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4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4 연장부를 갖는 제4 측면부;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각각에 부착되는 제1 코너 접합부;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제3 연장부 각각에 부착되는 제2 코너 접합부;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제3 연장부와 상기 제4 연장부 각각에 부착되는 제3 코너 접합부;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제4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 각각에 부착되는 제4 코너 접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측면부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코너 접합부는 각각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갖는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ackaging box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bottom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stant thickness over the entire area; A first side surface portion having a first bottom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bent integrally with the first bottom portion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third bottom attaching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thir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bent integrally with the third bottom attaching portion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third side portion; A second bottom attaching part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and the third side of the bottom part, and the second bottom attaching part integrally bent to be “a”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side portion having a second extension; And a fourth bottom attaching portion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ourth side opposite to the second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fourth extension portion bent integrally with the fourth bottom attaching portion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fourth side portion; A first corner junction bent to "a" and attached to each of said first extension and said second extension; A second corner junction bent to “a” and attached to each of the second extension and the third extension; A third corner junction bent into a letter “a” and attached to each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and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A fourth corner junction bent to “a” and attached to each of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portions,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rner joints have a shape in which a reinforcing core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또한, 상기 제1 바닥부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2 바닥부착부의 단부, 상기 제2 바닥부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3 바닥부착부의 단부, 상기 제3 바닥부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4 바닥부착부의 단부, 상기 제4 바닥부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1 바닥부착부의 단부는 각각 상기 바닥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다.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portion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portion and the third bottom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third bottom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fourth bottom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fourth bottom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por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2 바닥부착부의 인접 단부, 상기 제2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3 바닥부착부의 인접 단부, 상기 제3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4 바닥부착부의 인접 단부, 상기 제4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1 바닥부착부의 인접 단부는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Further, adjacent ends of the first bottom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bottom mounting portion, adjacent ends of the second bottom mounting portion and the third bottom mounting portion, adjacent ends of the third bottom mounting portion and the fourth bottom mounting portion, The fourth bottom mounting portion and the adjacent ends of the first bottom mounting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coupling means.

또한, 상기 바닥부는 하부 시트, 상기 하부 시트에 부착되고 허니컴(honeycomb) 구조를 갖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에 부착되는 상부 시트로 이루어진다. The bottom portion may include a lower sheet, a reinforcement portion attached to the lower sheet and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and an upper sheet attached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또한, 상기 바닥부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바닥부의 밑면에 부착되고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갖는 보강 부재; 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cross the bottom portion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form in which the reinforcing core material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portion; .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ㄱ"자로 절곡될 수 있고,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는 "ㄱ"자로 절곡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side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a connecting part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side par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side part.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may be bent by “a”, wherein the thir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thir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are disposed between the thir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A connection part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fourth side part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third side part and the fourth side part may be bent to “a” in the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제1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 상기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4 측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 사이,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 사이, 상기 제4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사이에는 각각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에서 "ㄱ"자로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portion, the second side portion, the thir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between the second side portion and the third side portion, Connection portions are provided between the thir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and between the fourth side portion and the first side portion, respectively, and may be bent at the connection por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포장용 상자는 다각형 형태를 갖고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두께의 보강 구조를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바닥부착부와, 상기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복수의 측면부; 상기 각각의 측면부의 인접하는 단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코너 접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와, 상기 복수의 코너 접합부는 각각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ackaging box has a polygonal shape and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stant thickness over the entire area;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having a bottom attachment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each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bent integrally with the bottom attachment portion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plurality of corner junctions attached to adjacent ends of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It includes,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rner joints each has a form in which the reinforcing core material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포장용 상자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를 갖고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두께의 보강 구조를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밑면에 부착되는 바닥부착부와, 상기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측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갖는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ackaging box has a round or oval shape and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stant thickness over the entire area; A side portion having a bottom attachment portion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which is bent into a letter “A” integrally with the bottom attachment portion and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includes, the side portion has a form in which the reinforcement core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또한, 상기 바닥부는 하부 시트, 상기 하부 시트에 부착되고 허니컴(honeycomb) 구조를 갖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에 부착되는 상부 시트로 이루어진다. The bottom portion may include a lower sheet, a reinforcement portion attached to the lower sheet and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and an upper sheet attached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용 상자가 강성을 증가시킨 별개의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보강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포장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ckaging box in which the packaging box is made of a combination of separate parts having increased rigidity and at the same time has a reinforcing structure, thereby improving impact res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반대 방향에서 본 도 1의 포장용 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조립된 상태의 도 1의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반대 방향에서 본 조립된 상태의 도 1의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포장용 상자에서 하부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포장용 상자에서 하부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세트의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반대 방향에서 본 도 8의 포장용 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포장용 상자에서 측부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packing box of FIG. 1 seen in the opposite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box of FIG. 1 in an assembled stat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box of FIG. 1 in an assembled state as seen from the opposite direc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plate in the packing box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plate in the packing box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t of packing box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view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packing box of FIG. 8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plates in the packaging box of FIG. 8.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제1 1s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반대 방향에서 본 도 1의 포장용 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조립된 상태의 도 1의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반대 방향에서 본 조립된 상태의 도 1의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포장용 상자에서 하부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포장용 상자에서 하부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세트의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packing box of FIG. 1 seen in the opposite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box of FIG. 1 in an assembled stat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box of FIG. 1 in an assembled state as seen from the opposite direc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plate in the packing box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plate in the packing box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t of packing box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는 충격에 취약한 물품, 고가의 물품 등을 운반 및 포장하기 위해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100)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에서 하나의 전개도를 기준으로 절첩하여 상자의 외벽을 형성하는 것과 달리 상자의 바닥과 외벽을 별개의 부재를 구성하여 강성을 증가시키고, 추가로 보강 부재를 부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Packaging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that improves the impact resistance for transporting and packaging the goods vulnerable to shock, expensive goods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packaging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ackaging box folded on the basis of one development to form the outer wall of the box to form a separate member on the bottom and the outer wall of the box to increase the rigidity, Furthermore, the method of adding a reinforcement member is taken.

상기 포장용 상자(100)는 바닥부(110), 제1 측면부(120), 제2 측면부(130), 제3 측면부(140), 제4 측면부(150), 제1 내지 제4 코너 접합부(161, 162, 163, 164) 등을 포함한다. The packing box 100 has a bottom part 110, a first side part 120, a second side part 130, a third side part 140, a fourth side part 150, and first to fourth corner joints 161. 162, 163, 164, and the like.

바닥부(110)는 포장용 상자(100) 내에 수용되는 물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대체로 사각형 형상을 갖고 물품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두께의 보강 구조를 갖는다. The bottom 110 is a portion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article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100, it may be formed of cardboard. The bottom 110 is generally rectangular in shape and has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stant thickness over the entire area to support the load of the article.

바닥부(110)의 보강 구조는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는 하부 시트(101), 이러한 하부 시트(101)에 부착되고 허니컴(honeycomb) 구조를 갖는 보강부(112), 이러한 보강부(112)에 부착되는 상부 시트(1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112)는 허니컴 구조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바닥부(110)가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포장용 상자(100) 내에 수용되는 물품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bottom 1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bottom portion 110 is a bottom sheet 101, a reinforcement 112 attached to the bottom sheet 101 and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such as The upper sheet 103 may be attached to the reinforcement 112. The reinforcement part 11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honeycomb structure. Since the bottom part 110 has such a structure, the load of the article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10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제1 측면부(120)는 바닥부(110)의 제1 변에 부착되어 포장용 상자(100)의 제1 측면을 형성하고,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20)는 바닥부(110)의 제1 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제1 바닥부착부(121)와, 이러한 제1 바닥부착부(121)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위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2)를 갖는다. 제1 바닥부착부(121)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바닥부(110)의 제1 변의 밑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part 120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part 110 to form a first side of the packing box 100, and may be formed of cardboard.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120 is bent in a "a" integrally with the first bottom portion 121 and the first bottom portion 121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portion 110 is predetermined It has a first extension 122 extending upward by a length.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art 121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part 110 by an adhesive, for example.

제1 바닥부착부(121)는 제1 측면부(120)를 바닥부(110)에 부착하는 부분이 되고, 제1 연장부(122)는 상자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자의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ortion 121 becomes a portion attaching the first side portion 120 to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2 forms an outer wall of the box so that the artic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x. do.

종래의 포장용 상자에서는 골판지로 된 하나의 전개도를 절첩하여 상자의 외벽을 구성함에 있어서 두께가 두꺼워지면 절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자의 재료로 사용되는 골판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포장용 상자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포장용 상자에서 절첩된 부분에 보강재를 추가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제조 과정이 복잡하면서도 마찬가지로 포장용 상자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packaging box,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ardboard used as the material of the box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ld when the thickness is thick in the outer wall of the box by folding one developed view of the cardboard. Therefore, there was a limit to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packaging box. In addition, there is a case in which reinforcement is added to the folded portion of the packaging box, but in this case,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packaging box whil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1 측면부(120)는 외피부(120') 속에 보강심재(120")가 내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외피부(120') 속에 보강심재(120")가 내장되면, 절곡 지점의 내측과 외측의 치수 차이가 커지므로 이러한 치수 차이를 고려하여 제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portion 120 may have a form in which a reinforcing core 120 ″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120 ′. The reinforcing core 120 in the outer skin 120 ′. If ") is built in, the difference in dimens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ending point becomes large, and the manufacture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dimension difference.

본 발명의 제1 측면부(120)는 제1 바닥부착부(121)와 제1 연장부(122)의 경계 지점에서만 1회 절곡되므로, 외피부(120') 속에 보강심재(120")가 내장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보강심재(120")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보강심재로 인해 두께가 두꺼운 상태에서 절곡 지점의 수가 증가되면 절곡 지점의 내측과 외측의 치수의 차이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복잡하고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전개도로부터 여러 번 절곡되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에서는 재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발생된다. Since the first side par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only once at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art 121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122, the reinforcing core material 120 ″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part 120 ′.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in the form and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core material 120 "can be made thick enough. However, if the number of bending points is increased in the thick state due to the reinforcing core material, the manufacturing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mensions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ending points must be considered.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in the conventional packaging box which is bent several times from the developed view.

제3 측면부(140)는 바닥부(110)의 제1 변과 대향되는 제3 변에 부착되어 포장용 상자(100)의 제3 측면을 형성하고,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측면부(140)는 바닥부(110)의 제3 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제3 바닥부착부(141)와, 이러한 제3 바닥부착부(141)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3 연장부(142)를 갖는다. 제3 바닥부착부(141)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바닥부(110)의 제3 변의 밑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third side part 140 may be attached to a thir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part 110 to form a third side of the packing box 100, and may be formed of cardboard. The third side part 140 is bent in a “a” integrally with the third bottom attaching part 141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hird side of the bottom part 110 and the third bottom attaching part 141, and thus, a predetermined value is obtained. It has a third extension 142 extending by the length. The third bottom attachment part 141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side of the bottom part 110 by an adhesive, for example.

제3 바닥부착부(141)는 제3 측면부(140)를 바닥부(110)에 부착하는 부분이 되고, 제3 연장부(142)는 상자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자의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The third bottom attachment portion 141 becomes a portion attaching the third side portion 140 to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42 forms the outer wall of the box so that the artic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x. do.

제2 측면부(130)는 바닥부(110)의 제1 변 및 제3변과 연결되는 제2 변에 부착되어 포장용 상자(100)의 제2 측면을 형성하고,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부(130)는 바닥부(110)의 제2 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제2 바닥부착부(131)와, 이러한 제2 바닥부착부(131)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2 연장부(132)를 갖는다. 제2 바닥부착부(131)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바닥부(110)의 제2 변의 밑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second side part 130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and the third side of the bottom part 110 to form a second side of the packing box 100, and may be formed of cardboar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130 is bent in a letter "a" integrally with the second bottom surface attachment portion 131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ide of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attachment portion 131 is predetermined It has a second extension 132 extending by the length. The second bottom attachment part 131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ide of the bottom part 110 by an adhesive, for example.

제2 바닥부착부(131)는 제2 측면부(130)를 바닥부(110)에 부착하는 부분이 되고, 제2 연장부(132)는 상자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자의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The second bottom attachment portion 131 becomes a portion attaching the second side portion 130 to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2 forms an outer wall of the box so that the artic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x. do.

제4 측면부(150)는 바닥부(110)의 제1 변 및 제3변과 연결되는 제2 변에 부착되어 포장용 상자(100)의 제4 측면을 형성하고,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측면부(150)는 바닥부(110)의 제4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제4 바닥부착부(151)와, 이러한 제4 바닥부착부(151)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4 연장부(152)를 갖는다. 제4 바닥부착부(151)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바닥부(110)의 제4 변의 밑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fourth side part 150 is attached to the second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and the third side of the bottom part 110 to form a fourth side of the packaging box 100, and may be formed of cardboard. The fourth side part 150 is bent to a fourth bottom attaching part 151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ourth side of the bottom part 110 and the fourth bottom attaching part 151 integrally with " a " It has a fourth extension 152 extending by the length. The fourth bottom attachment part 151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ourth side of the bottom part 110 by an adhesive, for example.

제4 바닥부착부(151)는 제4 측면부(150)를 바닥부(110)에 부착하는 부분이 되고, 제4 연장부(152)는 상자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자의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The fourth bottom attachment portion 151 is a portion attaching the fourth side portion 150 to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152 forms the outer wall of the box so that the artic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x. do.

제2 측면부(130), 제3 측면부(140), 제4 측면부(150)는 제1 측면부(120)와 마찬가지로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내지 제4 측면부(130, 140, 150)는 충분히 증가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Like the first side part 120, the second side part 130, the third side part 140, and the fourth side part 15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reinforcing core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part. Accordingly, the second to fourth side parts 130, 140, and 150 may have sufficiently increased rigidity.

제1 코너 접합부(161)는 제1 측면부(120)의 제1 연장부(122)와 제2 측면부(130)의 제2 연장부(132)의 경계 지점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1 코너 접합부(161)는 "ㄱ"자로 절곡되어 제1 측면부(120)의 제1 연장부(122)의 단부와 제2 측면부(130)의 제2 연장부(132)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의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제1 코너 접합부(161)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고, 제1 코너 접합부(161) 위에 추가로 스태플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corner junction 161 is provid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oundary point of the first extension 122 of the first side portion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132 of the second side portion 130. For example, the first corner junction 161 may be bent to “a”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2 of the first side portion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2 of the second side portion 130 are separated.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corner portion formed by the end portion. The first corner joint 161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and may be further fixed on the first corner joint 161 using a staple.

제2 코너 접합부(162)는 제2 측면부(130)의 제2 연장부(132)와 제3 측면부(140)의 제3 연장부(142)의 경계 지점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제2 코너 접합부(162)는 "ㄱ"자로 절곡되어 제2 측면부(130)의 제2 연장부(132)의 단부와 제3 측면부(140)의 제3 연장부(142)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의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제2 코너 접합부(162)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고, 제2 코너 접합부(162) 위에 추가로 스태플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second corner junction 162 is provid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oundary point of the second extension 132 of the second side portion 130 and the third extension 142 of the third side portion 140. The second corner junction 162 is bent by "a" and formed by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132 of the second side portion 130 and the end of the third extension 142 of the third side portion 140. It is attached to the back of each corner portion. The second corner junction 162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and may be further fixed on the second corner junction 162 using a staple.

제3 코너 접합부(163)는 제3 측면부(140)의 제3 연장부(142)와 제4 측면부(150)의 제4 연장부(152)의 경계 지점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제3 코너 접합부(163)는 "ㄱ"자로 절곡되어 제3 측면부(140)의 제3 연장부(142)의 단부와 제4 측면부(150)의 제4 연장부(152)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의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제3 코너 접합부(163)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고, 제3 코너 접합부(163) 위에 추가로 스태플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third corner junction 163 is provid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oundary point of the third extension 142 of the third side portion 140 and the fourth extension 152 of the fourth side portion 150. The third corner junction 163 is bent by the letter “a” and is formed by the end of the third extension 142 of the third side portion 140 and the end of the fourth extension 152 of the fourth side portion 150. It is attached to the back of each corner portion. The third corner junction 163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and may be further fixed on the third corner junction 163 using a staple.

제4 코너 접합부(164)는 제4 측면부(150)의 제4 연장부(152)와 제1 측면부(120)의 제1 연장부(122)의 경계 지점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제4 코너 접합부(164)는 "ㄱ"자로 절곡되어 제4 측면부(150)의 제4 연장부(152)의 단부와 제1 측면부(120)의 제1 연장부(122)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의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제4 코너 접합부(164)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고, 제4 코너 접합부(164) 위에 추가로 스태플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너 접합부(161, 162, 163, 164)는 골판지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ourth corner junction 164 is provid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ourth extension 152 of the fourth side portion 150 and the first extension 122 of the first side portion 120. The fourth corner junction 164 is bent by "a" and formed by the end of the fourth extension 152 of the fourth side portion 150 and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122 of the first side portion 120. It is attached to the back of each corner portion. The fourth corner junction 164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and may be further fixed on the fourth corner junction 164 using a staple. The first to fourth corner joints 161, 162, 163, and 164 may be made of cardboard.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바닥부착부(121)의 단부와 제2 바닥부착부(131)의 단부는 바닥부(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다. 제1 바닥부착부(121)의 단부와 제2 바닥부착부(131)의 단부는 바닥부(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제1 바닥부착부(121)의 단부와 제2 바닥부착부(131)의 단부가 바닥부(110)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부착되어 포장용 상자(100)의 강성을 증가시키게 한다. 1, 2 and 4,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ortion 121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attachment portion 131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110.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ortion 121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attachment portion 131 are formed to be inclined to prevent overlapping with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110. This allows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ortion 121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attachment portion 131 to be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110 in the widest possible area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acking box 100.

제1 바닥부착부(121)의 단부와 제2 바닥부착부(131)의 단부는 바닥부(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결합수단(181)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닥부착부(121)의 단부와 제2 바닥부착부(131)의 단부는 스태플에 의해 서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포장용 상자(100)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강성을 증가시킨다. End portions of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ortion 121 and end portions of the second bottom attachment portion 13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means 181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110. For example,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ortion 121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attachment portion 131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staple. This makes the packing box 100 more rigid and increases its rigidity.

마찬가지로, 제2 바닥부착부(131)의 단부와 제3 바닥부착부(141)의 단부, 제3 바닥부착부(141)의 단부와 제4 바닥부착부(151)의 단부, 제4 바닥부착부(151)의 단부와 제1 바닥부착부(121)의 단부는 바닥부(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제2 내지 제4 바닥부착부(131, 141, 151)의 단부는 바닥부(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Similarly,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portion 131, an end portion of the third bottom portion 141, an end portion of the third bottom portion 141, an end portion of the fourth bottom portion 151, and a fourth bottom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portion 151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attachment portion 121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110. To this end, the ends of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bottom attachment parts 131, 141, and 151 are formed to be inclined to prevent overlapping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y are attached to the bottom part 110.

제2 바닥부착부(131)의 단부와 제3 바닥부착부(141)의 단부, 제3 바닥부착부(141)의 단부와 제4 바닥부착부(151)의 단부, 제4 바닥부착부(151)의 단부와 제1 바닥부착부(121)의 단부는 바닥부(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결합수단(181), 예를 들어 스태플에 의해 서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포장용 상자(100)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강성을 증가시킨다.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attachment portion 131, an end portion of the third bottom attachment portion 141, an end portion of the third bottom attachment portion 141, an end portion of the fourth bottom attachment portion 151, and a fourth bottom attachment portion ( The end of the first end portion 151 and the first bottom mounting portion 121 may b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ans 181, for example, a staple in a state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110. This makes the packing box 100 more rigid and increases its rigidity.

도 4를 참조하면, 바닥부(110)의 밑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로 보강 부재(170)가 부착될 수 있다. 보강 부재(170)는 제1 측면부(120)와 마찬가지로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강 부재(170)는 바닥부(110)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reinforcing member 170 may be additionally attach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ottom of the bottom 110. The reinforcing member 17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reinforcing core material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like the first side part 120. The reinforcing member 170 may be attached to traverse the bottom portion 110 transversely or longitudinall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100)에 따르면, 보강 구조를 갖는 바닥부(110)에 제1 내지 제4 측면부(120, 130, 140, 150)가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는 형태를 갖고, 제1 내지 제4 측면부(120, 130, 140, 150)는 보강심재에 의해 강성이 증가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 내지 제 4 코너 접합부(161, 162, 163, 164)는 제1 내지 제4 측면부(120, 130, 140, 150)의 코너부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에 따라, 포장용 상자(100)를 형성하는 부재들의 강성을 원하는 대로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물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cking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side portions 120, 130, 140, 150 are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110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first to fourth side parts 120, 130, 140, and 150 have a structure in which rigidity is increased by the reinforcing core. In addition, the first to fourth corner joints 161, 162, 163, and 164 are used to compensate for the rigidity of the corner portions of the first to fourth side parts 120, 130, 140, and 150. Accordingly, the rigidity of the members forming the packing box 100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as desired, so that the article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100)가 실제로 사용될 때는 이러한 포장용 상자(10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치수가 약간 큰 덮개용 포장용 상자(200)와 한 세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분한 강성을 갖는 포장용 상자(100, 200)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벽히 보호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packaging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used, the packaging box 100 may be used in one set with the lid packaging box 200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packaging box 100 and having a slightly larger dimension. As such, the article received therein by the packing boxes 100 and 200 having sufficient rigidity can be completely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반대 방향에서 본 도 8의 포장용 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포장용 상자에서 측부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8 is an exploded view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packing box of FIG. 8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plates in the packaging box of FIG. 8.

본 실시예의 포장용 상자(300)는 바닥부(310), 제1 측면부(320), 제2 측면부(330), 제3 측면부(340), 제4 측면부(350), 제1 내지 제4 코너 접합부(361, 362, 363, 364), 보강 부재(370) 등을 포함한다. The packing box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ottom portion 310, a first side portion 320, a second side portion 330, a third side portion 340, a fourth side portion 350, and first to fourth corner junctions. 361, 362, 363, 364, reinforcing members 370, and the like.

상기 바닥부(310), 제1 측면부(320), 제2 측면부(330), 제3 측면부(340), 제4 측면부(350), 제1 내지 제4 코너 접합부(361, 362, 363, 364), 보강 부재(370)는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바닥부(10), 제1 측면부(120), 제2 측면부(130), 제3 측면부(140), 제4 측면부(150), 제1 내지 제4 코너 접합부(161, 162, 163, 164), 보강 부재(17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bottom portion 310, the first side portion 320, the second side portion 330, the third side portion 340, the fourth side portion 350, and the first to fourth corner junctions 361, 362, 363, and 364. ), The reinforcing member 370 is the bottom portion 10, the first side portion 120, the second side portion 130, the third side portion 140, the fourth side portion 150, and the first portion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first to fourth corner joints 161, 162, 163, and 164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reinforcing members 17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 사이에는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부(325)가 구비되어 연결부에서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는 "ㄱ"자로 절곡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측면부(320)의 제1 연장부(322)와 제2 측면부(330)의 제2 연장부(332) 사이에 연결부(325)가 구비되어, 연결부(325)에서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는 "ㄱ"자로 절곡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0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0 are integrally formed. A connection portion 325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side portion 330 is provided such that the first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0 at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bent to “a”. In detail, the connection part 325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322 of the first side part 3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32 of the second side part 330, so that the connection part 325 is provided with a first part. The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0 may be bent "a".

연결부(325)가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는 보강심재에 의해 두께가 충분히 두꺼우므로, 연결부(325)가 제1 측면부(320) 및 제2 측면부(330)와 같은 두께를 갖는다면 절곡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연결부(325)의 폭은 예를 들어, 5 내지 10mm 정도가 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325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first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0 is to be easily bent. Since the first side part 320 and the second side part 330 are thick enough by the reinforcing core material, the connecting part 325 may be bent if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320 and the second side part 330. Because it is difficul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ortion 325 may be, for example, about 5 to 10mm.

마찬가지로, 제3 측면부(340)와 제4 측면부(350)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3 측면부(340)와 제4 측면부(350) 사이에는 제3 측면부(340)와 제4 측면부(35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연결부에서 제3 측면부(340)와 제4 측면부(350)는 "ㄱ"자로 절곡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3 측면부(340)의 제3 연장부(342)와 제4 측면부(350)의 제4 연장부(352) 사이에 연결부가 구비되어, 연결부에서 제3 측면부(340)와 제4 측면부(350)는 "ㄱ"자로 절곡될 수 있다.Similarly,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are integrally formed and between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than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The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in thickness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may be bent to “a” in the connecting portion. In detail, a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extension portion 342 of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352 of the fourth side portion 350, and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third side portion 340 ar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The four side portion 350 may be bent "a".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 사이에 연결부(325)가 구비되어,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측면부(340)와 제4 측면부(350) 사이에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제3 측면부(340)와 제4 측면부(3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 325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0, so that the first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a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and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may be integrally formed.

이와 같이, 제1 측면부(320), 제2 측면부(330), 제3 측면부(340), 제4 측면부(350)는 각각 별개의 부재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연결부에 의해 2개의 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측면부들을 바닥부(310)에 부착하는 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ide part 320, the second side part 330, the third side part 340, and the fourth side part 350 are not configured as separate members, respectively, but are configured as two members by the connecting part. Attaching them to the bottom 310 may be made easier.

이와 달리, 제1 측면부(320), 제2 측면부(330), 제3 측면부(340) 및 제4 측면부(350)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측면부(320)와 제2 측면부(330) 사이, 제2 측면부(330)와 제3 측면부(340) 사이, 제3 측면부(340)와 제4 측면부(350) 사이, 제4 측면부(350)와 제1 측면부(320) 사이에는 각각 연결부가 구비되어 연결부에서 "ㄱ"자로 절곡될 수도 있다. On the contrary, the first side portion 320, the second side portion 330,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are integrally formed, and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0. Connection portions ar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ide portion 330 and the third side portion 340, between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and between the fourth side portion 350 and the first side portion 320, respectively. It may be bent at the connection with the letter "a".

이는 마찬가지로, 제1 측면부(320), 제2 측면부(330), 제3 측면부(340), 제4 측면부(350)는 각각 별개의 부재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연결부에 의해 1개의 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측면부들을 바닥부(310)에 부착하는 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Similarly, the first side portion 320, the second side portion 330, the third side portion 34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350 are not configured as separate members, respectively, but are constituted by one member by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side portions are formed. The process of attaching them to the bottom 310 may be made easier.

상기에서 사각형 형상을 갖는 포장용 상자(100, 200, 30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포장용 상자는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packaging boxes 100, 200, and 300 having a rectangular shape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ackaging box may be manufactur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pentagon.

이 경우, 포장용 상자는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두께의 보강 구조를 갖는 바닥부와, 이러한 바닥부의 각각의 변의 밑면에 부착되는 바닥부착부와, 이러한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복수의 측면부와, 각각의 측면부의 인접하는 단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코너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부와, 복수의 코너 접합부는 각각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acking box is a bottom portion hav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stant thickness over the entire area, a bottom attachment portion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each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bottom attachment portion is bent in a "a" integrally and predetermined 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having an extension extending by the length of, and a plurality of corner junctions attached to adjacent ends of each side portion. The plurality of side parts and the plurality of corner joints may each have a shape in which a reinforcing core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여기서, 바닥부는 하부 시트, 이러한 하부 시트에 부착되고 허니컴(honeycomb) 구조를 갖는 보강부, 이러한 보강부에 부착되는 상부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of a lower sheet, a reinforcement portion attached to the lower sheet and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and an upper sheet attached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각각의 측면부 사이에는 이러한 측면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각각의 측면부들은 일체로 연결되고 연결부에서 각각의 측면부는 절곡될 수 있다.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is side portion is provided between each side portion so that each side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and each side portion at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bent.

이러한 포장용 상자는 원형, 타원형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장용 상자는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두께의 보강 구조를 갖는 바닥부와, 이러한 바닥부의 밑면에 부착되는 바닥부착부와, 이러한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각각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Such a packing box may be manufactured in a circle, oval,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packing box is a bottom portion hav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stant thickness over the entire area, a bottom attachment portion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bent "a" integrally with the bottom attachment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may include a side portion having an extension extending. Each of the side parts may have a shape in which a reinforcing core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여기서, 바닥부는 하부 시트, 이러한 하부 시트에 부착되고 허니컴 구조를 갖는 보강부, 이러한 보강부에 부착되는 상부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bottom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lower sheet, a reinforcing portion attached to the lower sheet and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and an upper sheet attached to the reinforcing portion.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100 : 포장용 상자
110 : 바닥부
111 : 하부 시트
112 : 보강부
113 : 상부 시트
120 : 제1 측면부
130 : 제2 측면부
140 : 제3 측면부
150 : 제4 측면부
161 : 제1 코너 접합부
162 : 제2 코너 접합부
163 : 제3 코너 접합부
164 : 제4 코너 접합부
170 : 보강 부재
181 : 결합수단
100: packing box
110:
111: lower sheet
112: reinforcement
113: top sheet
120: first side portion
130: second side part
140: third side portion
150: fourth side part
161: first corner junction
162: second corner junction
163: third corner junction
164: fourth corner junction
170: reinforcing member
181: coupling means

Claims (10)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사각형 형상을 갖고, 하부 시트, 상기 하부 시트에 접착되고 허니컴(honeycomb) 구조를 갖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에 접착되는 상부 시트로 이루어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제1 변의 밑면에 접착되는 제1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1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제1 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1 변과 대향되는 제3 변의 밑면에 접착되는 제3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3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3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제3 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1 변 및 상기 제3변과 연결되는 제2 변의 밑면에 접착되는 제2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2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2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제2 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2 변과 대향되는 제4변의 밑면에 접착되는 제4 바닥부착부와, 상기 제4 바닥부착부와 일체로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4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제4 측면부;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의 후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1 코너 접합부;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와 상기 제3 연장부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의 후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2 코너 접합부;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제3 연장부의 단부와 상기 제4 연장부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의 후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3 코너 접합부;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제4 연장부의 단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의 후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4 코너 접합부;
상기 바닥부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바닥부의 밑면에 접착되고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갖는 보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측면부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코너 접합부는 각각 외피부 속에 보강심재가 내장된 형태를 갖고,
상기 제1 바닥부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2 바닥부착부의 단부, 상기 제2 바닥부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3 바닥부착부의 단부, 상기 제3 바닥부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4 바닥부착부의 단부, 상기 제4 바닥부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1 바닥부착부의 단부는 각각 상기 바닥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고, 이러한 인접된 단부는 각각 스태플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ㄱ"자로 절곡될 수 있고,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는 "ㄱ"자로 절곡될 수 있는 포장용 상자.
In the packing box,
A bottom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having a bottom sheet, a reinforcement portion adhered to the lower sheet and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and an upper sheet adhered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A first side surface portion including a first bottom portion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bent integrally with the first bottom portion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third bottom attaching portion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thir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bent integrally with the third bottom attaching portion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third side portion;
A second bottom attaching portion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and the third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second bottom attaching portion is bent integrally with an “a”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side portion compris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fourth bottom attaching portion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fourth side opposite to the second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fourth extension portion bent integrally with the fourth bottom attaching portion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fourth side portion;
A first corner joint portion which is bent by a letter and bonded to a rear surface of a corner portion formed by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 second corner joint portion which is bent by a letter and bonded to a rear surface of a corner portion formed by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A third corner joint portion which is bent by a letter and adhered to a rear surface of a corner portion formed by an end portion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A fourth corner joint portion which is bent by a letter and adhered to a rear surface of a corner portion formed by an end portion of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 reinforcing member bond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to cross the bottom in a lateral 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hape in which a reinforcing core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Lt; / RTI >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portions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rner joints each have a shape in which a reinforcing core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portion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third bottom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third bottom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fourth bottom portion, and 4 An end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bottom portion are respectively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ate bonded to the bottom portion, and these adjacent ends are each joined to each other by a staple,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side part are integrally formed, and a connection part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side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side part, and the first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art. The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may be bent "a",
The thir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a connection portion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r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so that the thir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hird side portion. A side box and the fourth side portion is a packaging box that can be bent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65214A 2013-06-07 2013-06-07 Packaging box KR101320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14A KR101320411B1 (en) 2013-06-07 2013-06-07 Packag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14A KR101320411B1 (en) 2013-06-07 2013-06-07 Packaging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411B1 true KR101320411B1 (en) 2013-10-23

Family

ID=4963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214A KR101320411B1 (en) 2013-06-07 2013-06-07 Packag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4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10B1 (en) * 2014-01-22 2015-12-07 주식회사 상보 cover for packing box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7515U (en) * 1985-02-18 1986-08-26
JPS61144061U (en) * 1984-08-24 1986-09-05
KR200184021Y1 (en) * 1999-12-24 2000-06-01 주식회사유니콤 Pallet using cardboard
KR101252519B1 (en) * 2012-11-26 2013-04-15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Packing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061U (en) * 1984-08-24 1986-09-05
JPS61137515U (en) * 1985-02-18 1986-08-26
KR200184021Y1 (en) * 1999-12-24 2000-06-01 주식회사유니콤 Pallet using cardboard
KR101252519B1 (en) * 2012-11-26 2013-04-15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Packing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10B1 (en) * 2014-01-22 2015-12-07 주식회사 상보 cover for packing box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2850A1 (en) Flat panel cardboard packaging
KR101211934B1 (en) Packing box having buffering case
KR101252519B1 (en) Packing box
KR200390818Y1 (en) Packaging box
KR101320411B1 (en) Packaging box
JP4563345B2 (en) Corner cushioning material and packing equipment
KR100976392B1 (en) Packing box for carria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KR101505565B1 (en) Packaging box
JP6252552B2 (en) Paper pallet and packaging case with paper pallet
JP5514937B1 (en) Packing box
KR200482479Y1 (en) A handle enforced paper packaging box without a wing hanger
KR102248198B1 (en) Prefabricated paper box for loading
JP7230496B2 (en) Packing material
KR101102590B1 (en) packing shocking absorber for corrugated cardboard
KR101252522B1 (en) Packing box
KR101574610B1 (en) cover for packing boxes
JP4832472B2 (en) Packing equipment
KR101558300B1 (en) Packing box
KR101546842B1 (en) Packaging box exploded possible
JP2011143935A (en) Pallet, sleeve, and packing member
KR20180001386U (en) Packing box
KR20230112980A (en) Packaging box with reinforced internal structure to protect the contents
KR101549496B1 (en) Equipped with a packing box reinforcement
RU2483994C1 (en) Case for placement of packaged product (versions) and tray for this case
RU117410U1 (en) BOX FOR PLACING A PACKED PRODUCT (OPTIONS) AND A PALLET FOR THIS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