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889B1 - 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889B1
KR101319889B1 KR1020070014232A KR20070014232A KR101319889B1 KR 101319889 B1 KR101319889 B1 KR 101319889B1 KR 1020070014232 A KR1020070014232 A KR 1020070014232A KR 20070014232 A KR20070014232 A KR 20070014232A KR 101319889 B1 KR101319889 B1 KR 101319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rate
scene change
frame
imag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75281A (en
Inventor
박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889B1/en
Publication of KR2008007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2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히 영상 프레임들 중, 장면 변화율이 큰 프레임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프레임부터 영상을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reproduc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for reproducing an image from the searched frame by searching for a frame having a large scene change rate among video frame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장면 변화율 기준 값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키입력부, 다수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입력부,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장면변화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해당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재생시점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재생되는 프레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an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a scene change rate of the received frames.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playback time point to the corresponding frame when the reference value is larg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frames to be played back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MPEG4, 객체, object ID, 되감기/빨리감기, 이동통신 단말기 MPEG4, Object, Object ID, Rewind / Fast Forward,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Method for playing video of mobile terminal {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재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장면변화율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cene change rate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도. 5 is a fram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scene change rate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6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scene change rate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producing an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통화뿐 아니 라, 문자메시지, 멀티미디어, 방송시청 등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제공한다. 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ext messages, multimedia, broadcast viewing, as well as simple voice calls.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한 부가기능들 중 멀티미디어 혹은 방송시청을 위한 콘텐츠 재생중, 되감기 및 빨리감기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원하는 부분까지 전부 재생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onvenient to play all of the above additional functions up to a desired portion in order to use the rewinding and fast-forwarding functions while playing contents for multimedia or broadcasting.

또한, 상기 원하는 부분으로 되감기 및 빨리감기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하므로, 느리고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must directly manipulate the rewind and fast forward to the desired por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slow and inaccurat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들 중, 장면 변화율이 큰 프레임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프레임부터 영상을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reproduc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producing an image from the searched frame by searching for a frame having a large scene change rate among video frames of cont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특징은, 장면 변화율 기준 값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키입력부, 다수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입력부,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장면변화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해당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재생시점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재생되는 프레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One fea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an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the scene of the received frames A display for controlling the playback time to change the playback time to the corresponding frame if the measured scene change rate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controlling playback to start from the changed playback tim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ealth.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의 일 특징은, 장면 변화율 기준 값을 설정하는 단계, 다수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장면 변화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해당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재생시점부터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In addition, one feature of the image stora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etting a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receiving an imag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received frames In the measuring step, when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fram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playback time is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frame, and the playback starts from the changed playback tim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의 장면 변화율은 상기 영상 재생 시 측정되는 것이다. More preferably,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image is measured when the image is reproduced.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은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압축 영상을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image includes a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MPEG4) compressed imag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면 변화율은 상기 영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객체(object)의 개수 및 종류 변화율에 따라 결정된다. More preferably, the scene change r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ype change rate of objects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imag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객체의 개수 및 종류는 상기 객체 고유의 ID(identification)로 구별된다. More preferably, the number and type of the objects are distinguished by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의 장면 변화율은 프레임 단위로 측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고자하는 현재 프레임의 객체 개수를 상기 현재 프레임 이전 프레임의 객체 개수와 비교하여 결정한다. More preferably,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image is measured in units of frames. The scene change rate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objects of the current frame to be measured with the number of objects of the frame before the current fr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nd described by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action are not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재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110), 영상수신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key input unit 110, an image receiving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nd a display unit 140.

키입력부(110)를 통해 장면 변화율 기준 값 설정신호를 입력하여 장면 변화율 기준 값을 설정한다[S210]. The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to set the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S210].

영상입력부(110)는 다수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영상을 수신한다[S220]. 상기 영상은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압축 영상을 포함한다. The image input unit 110 receives an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S220]. The image includes a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MPEG4) compressed image.

그러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들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한다[S230].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객체(object)의 개수 및 종류의 변화율에 따라 장면 변화율을 결정하는데, 상기 객체 고유의 ID(identification)로 객체의 개수 및 종류를 구분한다. 따라서, 상기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고자하는 현재 프레임의 객체 ID 변화율과 상기 현재 프레임 이전 프레임의 객체 ID 변화율을 비교하여 상기 장면 변화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Then, the controller 130 measures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frames of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20 [S23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scene change rate according to the change rate of the number and type of objects constituting the image frame, and distinguishes the number and type of objects by the unique ID. Accordingly, the scene change rate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object ID change rate of the current frame to which the scene change rate is to be measured with the object ID change rate of the frame before the current fram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프레임의 장면 변화율이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된 장면 변화율과 상기 기설정된 장면 변화율 기준 값을 비교한다[S240]. When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frame is measured in the above manner, the controller 130 compares the measured scene change rate with the preset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S240].

상기 비교결과, 상기 측정된 프레임의 변화율이 상기 기설정된 변화율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한다[S250].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measured change rate of the fram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change rat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playback time point to the corresponding frame [S250].

이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변경된 재생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부터 재생한다[S260].Thereafter, the controller 130 plays back from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layback time point [S26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장면변화율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ene change rate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영상 재생중, 되감기 및 빨리감기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되감기 및 빨리감기 기능은 장면이 갑자기 변경된 부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여 재생을 시작함으로써, 내용의 손실 없이 영상의 재생시점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다. First, the rewind and fast forward functions are executed during video playback. The rewind and fast-forward function is a function that can change the playback time of the video without losing content by starting playback by changing the playback time to the part where the scene is suddenly changed.

상기 되감기 및 빨리감기 기능을 실행하면, 도 3과 같은 메뉴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메뉴는 장면 변화율 선택 메뉴로서, 상기 되감기 및 빨리감기 기능의 재생시점이 되는 프레임을 추출하는 기준이 된다. When the rewind and fast forward functions are executed, a menu as shown in FIG. 3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enu is a scene change rate selection menu, which serves as a reference for extracting a frame which is a playback point of the rewind and fast-forward functions.

예를 들어, 장면 변화율 선택 메뉴에서 50%의 장면 변화율을 선택한다. For example, a scene change rate of 50% is selected from the scene change rate selection menu.

이후,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50% 장면 변화율을 기준 값으로 하여 입력 영상의 장면 변화율을 프레임 단위로 비교한다. 이때, 상기 장면 변화율은 영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객체의 개수 및 종류의 변화율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객체의 개수 및 종류는 객체 ID에 의해 정의되므로, 상기 장면 변화율은 곧, 객체 ID 변화율이 된다. 따라서, 상기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고자하는 현재 프레임의 객체 ID 변화율과 상기 현재 프레임 이전 프레임의 객체 ID 변화율을 비교하여 상기 장면 변화율을 결정한다. Thereafter, when an image is input,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input image is compared in units of frames based on the selected 50% scene change rate. In this case, the scene change r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ge rate of the number and type of objects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image. Since the number and type of the objects are defined by the object ID, the scene change rate is the object ID change rate. Accordingly, the scene change rate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object ID change rate of the current frame to which the scene change rate is to be measured with the object ID change rate of the frame before the current frame.

그러면, 상기 결정된 프레임의 장면 변화율을 상기 기설정된 50% 장면 변화율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측정된 변화율이 상기 기설정된 50% 이상이 면, 해당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고, 이후 상기 변경된 재생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부터 재생한다. Then,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determined frame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50% scene change rat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measured change rate is 50% or more, the playback time is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frame, and then playback is performed from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layback tim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am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scene change rate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들은 각각 헤더(header)와 데이터(data)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4, the frames constituting the image data each include a header and data.

상기 각각의 프레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 헤더는 상기 객체를 구분하기 위한 객체 ID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 ID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의 개수 및 종류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Each frame data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bject, and each frame header includes an object ID for identifying the object. The object ID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and type of objects included in the frame.

도 5에 따르면, 다수의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가 있다. According to FIG. 5, there is image data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프레임별로 장면 변화율을 측정한다. 상기 프레임의 장면 변화율은 상기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고자하는 프레임의 바로 전 프레임과 객체의 종류 및 개수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객체 ID 변화율이다. The scene change rate is measured for each frame in the image data.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frame is an object ID change rate that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ype and number of objects with a frame immediately before the frame for which the scene change rate is to be measured.

상기 측정된 프레임의 장면 변화율을 기설정된 장면 변화율 기준 값보다 크면, 해당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시점부터 영상을 재생한다. If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measured frame is greater than a preset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the playback time is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frame to play an image from the changed time point.

예를 들어, 현재 제2프레임(frame2) 재생중, 빨리감기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빨리감기의 장면 변화율 기준 값이 50%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6프레임(frame6)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여 상기 제6프레임부터 재생을 시작한다. For example, while the second frame (frame2) is currently playing, the fast forward function is executed. At this time, if the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for fast forwarding is set to 50%, the playback time is changed to the sixth frame (frame6) and playback starts from the sixth frame.

한편, 상기 장면 변화율 기준 값이 30%로 설정되어 있으면, 장면 변화율이 30% 이상인 프레임 중에서 현재 재생시점(frame2)에 가장 근접한 제5프레임(frame5)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여 상기 제5프레임부터 재생을 시작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is set to 30%, the playback time is changed to the fifth frame (frame5) closest to the current playback time (frame2) among the frames having the scene change rate of 30% or more, and played back from the fifth frame. To start.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6 is a screen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scene change rate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의 (a)영상 프레임과 (b)영상 프레임을 비교하면, 상기 두 프레임은 모두 5개의 객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두 프레임의 객체의 ID를 비교하면, 5번 객체가 서로 다른 ID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영상 프레임과 상기 (b)영상 프레임은 20%의 장면 변화율을 갖는다. 6A and 6B, the two frames are composed of five objects. However, when the IDs of the objects of the two frames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the object 5 has different IDs. Therefore, the (a) video frame and the (b) video frame have a scene change rate of 20%.

한편, (b)영상 프레임과 (c)영상 프레임을 비교하면, 상기 (b) 프레임은 5개의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c) 프레임은 2개의 객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두 프레임의 객체 ID를 비교하면, 1번 및 5번의 객체는 동일한 객체 ID를 갖지만, 상기 (b) 프레임의 3, 4, 5번 객체는 상기 (c) 프레임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b)영상 프레임과 상기 (c)영상 프레임의 장면 변화율은 60%가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b) the image frame and (c) the image frame, the frame (b) is composed of five objects, the frame (c) is composed of two objects. In this case, when the object IDs of the two frames are compared, objects 1 and 5 have the same object ID, but objects 3, 4, and 5 of the frame (b) are not present in the frame (c). Therefore,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b) video frame and the (c) video frame is 60%.

또한, (a)영상 프레임과 (c)영상 프레임을 비교하면, 상기 (a) 프레임은 5개의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b) 프레임은 두 개의 객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객체의 ID를 비교하면, 1번 객체 외에는 동일한 ID를 갖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a)영상 프레임과 상기 (b)영상 프레임의 장면 변화율은 80%가 된다. In addition, when comparing (a) the image frame and (c) the image frame, the frame (a) is composed of five objects, and the frame (b) is composed of two objects. However, when comparing the IDs of the objects, there is no object having the same ID other than the first object. Therefore,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a) video frame and the (b) video frame is 80%.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의 장면변화율에 따라 프레임을 추출하여 재생시점을 변경하고, 이후, 상기 변경된 재생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부터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되감기 및 빨리감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 frame according to a scene change rate of an image to change a playback time point, and then replays and fast forwards a function by playing back an image from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layback time point. It works.

또한, 장면 변화율이 큰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시킴으로써, 되감기 및 빨리감기 기능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hanging the playback time to a frame having a large scene change ra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wind and fast forward function can be implement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Claims (12)

장면 변화율 기준 값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receiving a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다수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입력부; An image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여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 중 상기 측정된 장면변화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재생시점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measure a scene change rate of the received frames to change a playback time point to a frame in which the measured scene change rat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mong the received frames, and to control playback from the changed playback time point;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재생되는 프레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rames reproduc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의 장면 변화율은 상기 재생 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cene change rate of the video is measured during the playbac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은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압축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video includes a moving picture expert group 4 (MPEG4) compressed video.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객체(object)의 개수 및 종류 변화율에 따라 장면 변화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a scene change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ype change rate of objects constituting the image frame. 제 4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객체의 개수 및 종류는 상기 객체 고유의 ID(identification)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number and type of the objec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tinguished by the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장면 변화율을 프레임 단위로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고자하는 현재 프레임의 객체 개수를 상기 현재 프레임 이전 프레임의 객체 개수와 비교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controller measures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image in units of frames,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objects of the current frame for which the scene change rate is to be compared with the number of objects of the frame before the current frame. 장면 변화율 기준 값을 설정하는 단계; Setting a scene change rate reference value; 다수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n imag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의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scene change rate of the received frames;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 중 상기 측정된 장면 변화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프레임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재생시점부터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재생 방법. Changing a playback time point to a frame in which the measured scene change rat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mong the received frames, and playing back from the changed playback time point.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영상의 장면 변화율은 상기 재생 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방법.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image is measured during the playback.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영상은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압축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방법. And the video comprises moving picture expert group 4 (MPEG4) compressed video.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장면 변화율은 상기 영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객체(object)의 개수 및 종류 변화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방법.The scene change r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ype change rate of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image. 제 10 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객체의 개수 및 종류는 상기 객체 고유의 ID(identification)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방법. The number and type of the object is distinguished by the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영상의 장면 변화율은 프레임 단위로 측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면 변화율을 측정하고자하는 현재 프레임의 객체 개수를 상기 현재 프레임 이전 프레임의 객체 개수와 비교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방법. The scene change rate of the image is measured in units of frames, and the number of objects of the current frame for which the scene change rate is to be measured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objects of the frame before the current frame.
KR1020070014232A 2007-02-12 2007-02-12 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KR1013198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32A KR101319889B1 (en) 2007-02-12 2007-02-12 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32A KR101319889B1 (en) 2007-02-12 2007-02-12 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281A KR20080075281A (en) 2008-08-18
KR101319889B1 true KR101319889B1 (en) 2013-10-18

Family

ID=3987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232A KR101319889B1 (en) 2007-02-12 2007-02-12 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88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607A (en) * 2001-08-21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equipment having image capture func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R20050087406A (en) * 2004-02-26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media 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607A (en) * 2001-08-21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equipment having image capture func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R20050087406A (en) * 2004-02-26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media 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281A (en) 200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41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edia
JP4325071B2 (en) Digital video playback method and digital video playback apparatus
JP6266109B2 (en) Movie scre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7796857B2 (en) Video playback apparatus
US8472779B2 (en) Concurrently displaying multiple trick streams for video
US8249423B2 (en)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that insert addressable chapter marks relative to advertising content in video streams
US88379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60104609A1 (en)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KR20110081262A (en) Delete viewed portions of recorded programs
JP61503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2137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44561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content in a personal video recorder
JP4900246B2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that prioritizes broadcast that should be provided immediately when viewing time-shift
KR1022200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ntercut time bucket in audio or video
JPWO2007086408A1 (en) Image reproduction system,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image reproduction program
KR101319889B1 (en) Method for Playing of videogram in Mobile Terminal
JP4399865B2 (en) Recorded program playback device, recorded program playback method, and recorded program playback program
JP2002354406A (en) Dynamic image reproducing equipment
EP1959450A1 (en) Reproduction device
JP5002227B2 (en) Playback device
JP2009239322A (en) Video reproducing device, video reproducing method, and video reproducing program
JP2008312066A (en) Closed-captioned video reproducer and program
US90437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impaired sequences of an audiovisual document
KR101319888B1 (en) Method for Capturing of Picture in Mobile Terminal
JP2000333117A (en) Moving 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