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886B1 -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 Google Patents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886B1
KR101319886B1 KR1020120064998A KR20120064998A KR101319886B1 KR 101319886 B1 KR101319886 B1 KR 101319886B1 KR 1020120064998 A KR1020120064998 A KR 1020120064998A KR 20120064998 A KR20120064998 A KR 20120064998A KR 101319886 B1 KR101319886 B1 KR 101319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ar
flange
holde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순재
권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크텍
Priority to KR102012006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8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breaker bar of a parking controller is provided to protect the breaker bar with minimizing damage to cars when the cars collide with the breaker bar. CONSTITUTION: A breaker bar of a parking controller comprises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units. The first connection unit comprises a holder (120) and a first flange (130). The second connection unit comprises a second holder and a second flange (230). The third connection unit is closely atta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comprises a groove (312).

Description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본 발명은 하이패스차로의 차단기나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자창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의 오작동이나 진입하는 차량의 오진입에 따라 발생하는 차량과 차단바 사이의 충격에 따른 차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high-pass lane breaker or parking lot, and more specifically, malfunction of the blocking bar of the parking break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runner window or incorrect entry of the entering vehicle. It relates to a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reaker that can prevent the vehicle damage due to the impac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bar generated by.

차량의 주차 차단기에 구비되는 차단바는 일반적으로 상하로 일측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신속하고 정확한 회전을 위하여 차단바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차단바의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는 감속기를 이용하여 회전의 급정지를 유도하고 있다. 이 때 차단바의 중량은 회전축의 길이와 중량에 비례하여 큰 토크를 요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차단바의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에 따라 대부분의 기존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는 내부가 빈 관통이나 원통의 단면 형상을 가진 알루미늄재가 이용되고 있다. The blocking bar provided to the parking blocker of the vehicle is generally configured to rotate about one side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barrier bar is required to be lightweight for quick and accurate rotation. The drive motor which generat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blocking bar induces sudden stop of rotation by using a reduction gear. At this time, since the weight of the blocking bar requires a large torque in proportion to the length and weight of the rotating shaft,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locking bar. Accordingly, most bar blocks of conventional parking blockers are made of aluminum having hollow interiors or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s.

감속기의 동작에 의하여 차단바의 급정지시에 차량과의 충돌로 인하여 주차 차단기 본체나 주차 차단기가 파손될 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상당한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Due to the operation of the reducer, the collision with the vehicle at the time of sudden stop of the blocking bar causes not only the main body of the parking breaker or the parking breaker to be damaged, but also a serious damage to the vehicle.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차단바와 차량의 충돌시 차량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차단바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device that can protect the blocking bar as much as possible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vehicle when the blocking bar collides with the vehicle.

한편, 차단바와 차량의 충돌시 파손된 차단바를 수리하기 위하여 AS 직원이 매 현장을 방문하여야 하는 시간적 및 경제적 불합리한 점이 있는 바, 이를 누구나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time and economic absurdity that the AS staff have to visit every site in order to repair the broken bar when the barrier bar collides with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와 차량의 충돌시 차량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차단바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주차 차단기와 차단바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blocker and a bar bar coupling device that can protect the blocking bar as much as possible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etween the blocking bar and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easily replace the blocking bar of the parking blocker.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에 있어서, 주차단바(42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한 제1 내주면(122)을 가진 제1 홀더(120)와, 제1 홀더(1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132)을 가진 제1 플랜지(130)를 가진 제1 결합 유닛(100), 보조 차단바(43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한 제2 내주면(222)을 가진 제2 홀더(220)와, 제2 홀더(2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232)을 가진 제2 플랜지(230)를 가진 제2 결합 유닛(200), 및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와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 사이에서 제1 플랜지(130)의 관통공(132)와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며 중간에 요홈(312)을 가진 제3 결합 유닛(300)으로 이루어지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r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the first holder 120 and the first holder 120 having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for inserting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king end bar 420.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 which is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having the first flange 130 hav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13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ing bar 430 is inserted and adhered A second coupling unit 200 having a second holder 220 with 222, a second flange 230 with one or more through holes 232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holder 220, and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first flange 130 between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Closely coupled to the through-hole 232 of the parking bar blocker bar coupling device consisting of a third coupling unit 300 having a groove 312 in the middle is provided.

여기서,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홀더(120)는 일면에서 그 종축을 따라 힌지축(124h)으로 결합되는 제1 힌지결합부(124)를 구비하여 제1 힌지결합부(124)의 힌지축(124h)을 회전축으로 하여 여닫힐 수 있는 한 쌍의 홀더 부재(120a, 120b)를 구비하며, 한 쌍의 홀더 부재(120a, 120b)의 일측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12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holder 12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has a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24 having a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24 coupled to the hinge shaft 124h along its longitudinal axis on one surface thereof. It has a pair of holder members (120a, 120b)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hinge shaft (124h) of the rotation axis, the coupling hole 126 for coupling them to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members (120a, 120b) Is preferably provided.

또한,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홀더(220)는 일면에서 그 종축을 따라 힌지축(224h)으로 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224)를 구비하여 제2 힌지결합부(224)의 힌지축(124h)를 회전축으로 하여 여닫힐 수 있는 한 쌍의 홀더 부재(220a, 220b)를 구비하며, 한 쌍의 홀더 부재(220a, 220b)의 일측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22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holder 22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has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24 having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24 coupled to the hinge axis 224h along its longitudinal axis on one surface thereof. It has a pair of holder members (220a, 220b)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hinge shaft (124h) of the rotation axis, the coupling hole 226 for coupling them on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members (220a, 220b) Is preferably provided.

또한, 제3 결합 유닛(300)은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와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 사이에서 제1 플랜지(130)의 관통공(132)과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며 중간에 차단바의 횡방향으로 요홈(312)을 구비한 플레이트부(310)와, 플레이트부(310)의 양단부에 각각 동일방향의 나사산(322)을 가진 나사산 결합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a through hole of the first flange 130 between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132 and the plate portion 310 in close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232 of the second flange 230 and having a groove 31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locking bar in the middle, and both ends of the plate portion 310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ad coupling portion 320 having a thread 322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제3 결합 유닛(300)의 플레이트부(310)의 횡단면은 중간 부위의 두께가 그 양측면의 두께에 비하여 작도록 테퍼지게 형성된 요홈(31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plate portion 31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has a groove 312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both sides thereof.

또한, 요홈(312)은 그 양측의 플레이트부(310)에 비하여 연질 또는 경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oove 312 is preferably softer or lower in hardness than the plate portion 310 on both sides thereof.

또한, 제3 결합 유닛(300)의 나사산 결합부(320)의 양단은 제1 플랜지(130)와 제2 플랜지(230)의 외측에서 각각 너트(330)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thread coupling portion 32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nut 330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130 and the second flange 230,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와 차량의 충돌시 차량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차단바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를 누구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minimizing damage to the vehicle during collision between the blocking bar of the parking blocker and the vehicle, the blocking bar of the parking blocker can be easily replaced by any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a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bar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a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bar coupling device of a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는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주차 차단기 포스트(400)에 대하여 결합된 회전축(410)에 결합되는 주차단바(420)와 주차단바(420)에 대하여 분리 결합될 수 있는 보조 차단바(430)의 사이에 주차단바(420)와 보조 차단바(430)에 대하여 차량 충격시 이를 보호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block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410 coupled to the parking blocker post 400 is installed in the doorway of the parking lot The parking short bar 420 and the parking short bar 420 between the parking short bar 420 and the auxiliary short blocking bar 430 which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parking short bar 420 may be protected when the vehicle is impacted. Consists of devic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는 주차단바(42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한 제1 내주면(122)을 가진 제1 홀더(120)와, 제1 홀더(1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132)을 가진 제1 플랜지(130)를 가진 제1 결합 유닛(100), 보조 차단바(43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한 제2 내주면(222)을 가진 제2 홀더(220)와, 제2 홀더(2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232)을 가진 제2 플랜지(230)를 가진 제2 결합 유닛(200), 및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와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 사이에서 제1 플랜지(130)의 관통공(132)와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며 중간에 요홈(312)을 가진 제3 결합 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The bar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lder 120 having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for inserting and contac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king end bar 420, and a first holder (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the first coupling unit 100 having a first flange 130 hav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13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ing bar 430 is inserted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120 A second coupling unit 200 having a second holder 220 having a 222 and a second flange 230 hav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232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holder 220; And a through hole 132 and a second flange 230 of the first flange 130 between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Close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32 of the) is made of a third coupling unit 300 having a groove 312 in the middle.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홀더(120)는 주차단바(42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하여 주차단바(42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제1 내주면(122)을 가지며, 일면에서 그 종축을 따라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결합부(124)를 구비하여 제1 힌지결합부(124)를 회전축으로 하여 여닫힐 수 있는 한 쌍의 홀더 부재(120a, 120b)가 대응되도록 구비하며, 한 쌍의 홀더 부재(120a, 120b)의 일측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126)을 구비한다.The first holder 12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has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king end bar 420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king end bar 420 is inserted and adhered thereto.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24 is hinge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n the pair of holder members (120a, 120b)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24 as the rotation axi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members (120a, 120b)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126 for coupling them.

이 때,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홀더(120)는 주차단바(42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한 제1 내주면(122)을 가지는 대신에 주차단바(420)에 대하여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는 제1 홀더(1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132)을 가져도 좋다.At this time, the first holder 12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has a first inner peripheral surface 122 f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rking end bar 420 is inserted into close contact with respect to the parking end bar 420 It extends and is formed integrally,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holder 120 and may have one or more through holes 132.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는 제1 홀더(1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132)을 가진다.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holder 120 and has one or more through holes 132.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홀더(220)는 보조 차단바(43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하여 보조 차단바(43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제2 내주면(222)을 가지며, 일면에서 그 종축을 따라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224)를 구비하여 제2 힌지결합부(224)를 회전축으로 하여 여닫힐 수 있는 한 쌍의 홀더 부재(220a, 220b)가 대응되도록 구비하며, 한 쌍의 홀더 부재(220a, 220b)의 일측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226)을 구비한다.The second holder 22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has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2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ing bar 430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ing bar 430 is inserted into and adhered thereto. And a pair of holder members 220a and 220b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having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24 hing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24 as a rotation axis. On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members (220a, 220b)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226 for coupling them.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는 제2 홀더(2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232)을 가진다.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holder 220 and has one or more through holes 232.

주차단바(420) 및/또는 보조 차단바(430)의 외주면은 제1 및/또는 제2 결합 유닛(100, 200)에 대하여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사각의 단면을 가질 경우 각 모서리면이 소정의 원호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king short bar 420 and / or the auxiliary blocking bar 430 is preferably cylindrical in order to easily couple to the first and / or second coupling units 100 and 200, and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each corner surface has a predetermined arc cross section.

제3 결합 유닛(300)은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와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 사이에서 제1 플랜지(130)의 관통공(132)와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며 중간에 차단바의 횡방향으로 요홈(312)을 구비한 플레이트부(310)와, 플레이트부(310)의 양단부에 각각 동일방향의 나사산을 가진 나사산 결합부(320)로 이루어진다.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a through hole 132 of the first flange 130 between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 And a plate part 310 having a groove 31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locking bar and close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32 of the second flange 230 and both ends of the plate part 310,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thread coupling portion 320 having threads in the same direction.

제3 결합 유닛(300)의 플레이트부(310)의 횡단면은 중간 부위의 두께가 그 양측면의 두께에 비하여 작도록 테퍼지게 형성된 요홈(312)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요홈(312)은 그 양단면에 비하여 연질의 경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ross section of the plate portion 31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has a groove 312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both sides thereof. At this time, the groove 312 is more preferably to have a soft hardness as compared to both end surfaces.

한편, 제3 결합 유닛(300)의 나사산 결합부(320)의 양단에서 제1 플랜지(130)와 제2 플랜지(230)의 외측에서 각각 너트(330)로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at both ends of the thread coupling portion 32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coupled to the nut 330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130 and the second flange 230, respectively.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의 결합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4A to 4C, the coupling and operating states of the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단바(420)를 제1 홀더(120)의 제1 내주면(122)에 밀착되도록 제1 힌지결합부(124)의 힌지축(124h)을 회전축으로 하여 한 쌍의 홀더 부재(120a, 120b)를 결합시킨다. 이 때 한 쌍의 홀더 부재(120a, 120b)의 결합공(126)에 대하여 체결부재(미도시)로 결합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4A, the hinge shaft 124h of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24 is rotated so that the parking end bar 4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of the first holder 120. To couple the pair of holder members 120a and 120b. 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pair of holder members 120a and 120b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not shown).

이 후에 제3 결합 유닛(300)의 나사산 결합부(320)의 일단이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의 관통공(132)의 내부에서 나사산 결합되도록 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플랜지(130)의 관통공(132)을 관통하여 좌측으로 직진하도록 결합시킨다.After that, one end of the thread coupling portion 32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threaded to be engaged in the through hole 132 of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is coupl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132 of the first flange 130 to the left.

이후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차단바(430)를 제2 홀더(220)의 제2 내주면(222)에 밀착되도록 제2 힌지결합부(224)의 힌지축(224h)을 회전축으로 하여 한 쌍의 홀더 부재(220a, 220b)를 결합시킨다. 이 때 한 쌍의 홀더 부재(220a, 220b)의 결합공(226)에 대하여 체결부재(미도시)로 결합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B, the hinge shaft 224h of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24 is rotated so that the auxiliary blocking bar 4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2 of the second holder 220. By doing so, the pair of holder members 220a and 220b are engaged. At this time, a coupling memb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6 of the pair of holder members 220a and 220b.

이 후에 제3 결합 유닛(300)의 나사산 결합부(320)의 타단이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의 내부에서 나사산 결합되도록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을 관통하여 우측으로 직진하도록 결합시킨다. 이 때 나사산 결합부(320)의 타단부가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에 대하여 나사산 결합되는 범위 내에서 제1 플랜지(130)를 관통하여 결합된 제3 결합 유닛(300)의 나사산 결합부(320)의 일단은 좌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반시계 방향으로 플레이트부(310)를 회전한 다음에 다시 역회전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3 결합 유닛(300)은 각각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와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에 대하여 용이하게 결합된다.After that, the other end of the thread coupling part 32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may be threaded in the through hole 232 of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for example, in a clockwise direction. By rotating to the right through the through hole 232 of the second flange 230 is coupled to the right. At this time, the third coupling unit 300 coupled through the first flange 130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thread coupling portion 320 is threaded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232 of the second flange 230. Since one end of the thread coupling portion 320 of the first side is moved to the left side,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respectively rotated by rotating the plate portion 31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n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ich is reverse rotation. It is easily coupled to the first flange 130 of the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제3 결합 유닛(300)이 각각 제1 결합 유닛(100)와 제2 결합 유닛(200)에 대하여 나사 결합될 때 플레이트부(310)의 요홈(312)의 중심선이 각각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C, when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finally screw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the recesses of the plate portion 310 ( The center lines of 312 are each poi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플레이트부(310)의 요홈(312)의 중심선이 각각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차량이 차단바에 대하여 오진입할 경우 차량과 차단바의 충돌시 충격력이 플레이트부(310)의 요홈(312)의 라인에 집중됨으로써 요홈(312)이 일차적으로 절단되거나 휘어지게 되어 차량을 차단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As the center lines of the grooves 312 of the plate 310 are positioned to 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impact forc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bar is impacted when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bar collide with each other. By concentrating on the line of 312, the groove 312 is primarily cut or bent to protect the vehicle from the blocking bar.

한편, 최종적으로 제3 결합 유닛(300)이 각각 제1 결합 유닛(100)와 제2 결합 유닛(200)에 대하여 나사 결합될 때 플레이트부(310)의 요홈(312)의 중심선이 각각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켜도 좋다. 이 경우 차단바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차량의 윗면에 충돌시 충격력이 플레이트부(310)의 요홈(312)의 라인에 집중됨으로써 요홈(312)이 일차적으로 절단되거나 휘어지게 되어 차량을 차단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screw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respectively, the center line of the groove 312 of the plate portion 310 is on the ground, respectively. It may be positioned to face in a parallel direction. In this case, the impact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line of the groove 312 of the plate 310 due to a malfunction of the blocking bar, so that the groove 312 is primarily cut or bent to protect the vehicle from the blocking bar. Can be.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의 플레이트부(310)를 이용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가락으로 이 부분을 잡고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주차단바(420)와 보조 차단바(430)를 분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3 결합 유닛(300)의 플레이트부(310)는 그 중간 부위에 요홈(312)을 가지기 때문에 차단바의 오작동이나 차량의 오진출입으로 인한 충돌시 먼저 이 요홈(312)에서 파손되어 분리되거나 휘어지기 때문에 차량과 차단바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차단바의 수리를 위하여 AS 직원이 현장 방문할 필요 없이 누구든 용이하게 소모품인 제3 결합 유닛(300)을 간편하게 분리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제3 결합 유닛(300)의 플레이트부(310)가 요홈(312)을 기준으로 파손되더라도 그 양측에 남아 있는 플레이트부(310)를 이용하여 제3 결합 유닛(300)을 제1 결합 유닛(100)와 제2 결합 유닛(200)에 대하여 각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plate portion 310 of the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olding the part with a finger and rotating it clockwise / counterclockwise without a separate tool, 420 and the auxiliary blocking bar 430 may be separated and coupled, and the plate portion 31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has a recess 312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so that the blocking bar may be malfunctioned or the vehicle may be misexcited. When the collision due to the first breaks in the groove 312 is separated or bent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bar. Furthermore, anyone can easily detach and combine the third coupling unit 300, which is a consumable, without the need for an AS employee to visit the site for repair of the blocking bar. Meanwhile, even when the plate portion 31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broken based on the groove 312,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using the plate portions 310 remaining on both sides thereof. Each of the 1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may be easily separated.

100: 제1 결합 유닛
120: 제1 홀더
120a, 120b: 홀더부재
122: 제1 내주면
124: 제1 힌지결합부
124h: 힌지축
130: 제1 플랜지
132: 관통공
200: 제2 결합 유닛
220: 제2 홀더
220a, 220b: 홀더부재
222: 제2 내주면
224: 제2 힌지결합부
224h: 힌지축
300: 제3 결합 유닛
310: 플레이트부
312: 요홈
320: 나사산 결합부
322: 나사산
330: 너트
400: 주차 차단기 포스트
410: 회전축
420: 주차단바
430: 보조 차단바
100: first coupling unit
120: first holder
120a, 120b: holder member
122: first inner circumference
124: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24h: hinge shaft
130: first flange
132: through hole
200: second coupling unit
220: second holder
220a, 220b: holder member
222: second inner circumference
224: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24h: hinge shaft
300: third coupling unit
310: plate portion
312: groove
320: threaded connection
322: thread
330: nut
400: parking breaker post
410: axis of rotation
420: parking bar
430: secondary barrier bar

Claims (8)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에 있어서,
주차단바(42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한 제1 내주면(122)을 가진 제1 홀더(120)와, 제1 홀더(1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132)을 가진 제1 플랜지(130)를 가진 제1 결합 유닛(100);
보조 차단바(43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한 제2 내주면(222)을 가진 제2 홀더(220)와, 제2 홀더(2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232)을 가진 제2 플랜지(230)를 가진 제2 결합 유닛(200); 및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와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 사이에서 제1 플랜지(130)의 관통공(132)와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며 중간에 요홈(312)을 가진 제3 결합 유닛(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
In the bar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reaker,
A first holder 120 having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for inserting and contac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king end bar 420, a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hold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132. A first coupling unit 100 having a first flange 130 having an excitation;
A second holder 220 having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2 to be inserted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blocking bar 430, and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holder 220, and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232. A second coupling unit (200) having a second flange (230); And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first flange 130 between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Closely coupled to the through-hole 232 of the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hird coupling unit 300 having a groove 312 in the middle.
제1항에 있어서,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홀더(120)는 일면에서 그 종축을 따라 힌지축(124h)으로 결합되는 제1 힌지결합부(124)를 구비하여 제1 힌지결합부(124)의 힌지축(124h)을 회전축으로 하여 여닫힐 수 있는 한 쌍의 홀더 부재(120a, 120b)를 구비하며, 한 쌍의 홀더 부재(120a, 120b)의 일측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1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older 12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has a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24 having a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24 coupled to the hinge axis 124h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n one surface And a pair of holder members 120a and 120b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hinge shaft 124h of the portion 124 as a rotation axis, and for coupling the two sides to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members 120a and 120b.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hole (126). 제1항에 있어서,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홀더(120)는 주차단바(42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밀착되기 위한 제1 내주면(122)을 가지는 대신에 주차단바(420)에 대하여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는 제1 홀더(1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공(1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The parking holder bar 420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older 12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has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for inserting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king end bar 420. It extends with respect to) is formed integrally,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holder 120,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one or more through holes 132 Block bar coupler on parking blocker. 제1항에 있어서,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홀더(220)는 일면에서 그 종축을 따라 힌지축(224h)으로 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224)를 구비하여 제2 힌지결합부(224)의 힌지축(124h)를 회전축으로 하여 여닫힐 수 있는 한 쌍의 홀더 부재(220a, 220b)를 구비하며, 한 쌍의 홀더 부재(220a, 220b)의 일측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2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older 22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has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24 having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24 coupled to the hinge axis 224h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n one surface A pair of holder members 220a and 220b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hinge shaft 124h of the part 224 as a rotation axis, and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members 220a and 220b for engaging them.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hole (22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제3 결합 유닛(300)은 제1 결합 유닛(100)의 제1 플랜지(130)와 제2 결합 유닛(200)의 제2 플랜지(230) 사이에서 제1 플랜지(130)의 관통공(132)과 제2 플랜지(230)의 관통공(232)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며 중간에 차단바의 횡방향으로 요홈(312)을 구비한 플레이트부(310)와, 플레이트부(310)의 양단부에 각각 동일방향의 나사산(322)을 가진 나사산 결합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The third coupling unit 300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ncludes the first flange 130 of the first coupling unit 100 and the second flange 2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00. The plate part having a groove 312 in close contact with the through-hole 132 of the first flange 130 and the through-hole 232 of the second flange 230 betwee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locking bar ( 310 and the bar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crew thread coupling portion 320 having a thread 322 in the same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plate portion 310. 제5항에 있어서, 제3 결합 유닛(300)의 플레이트부(310)의 횡단면은 중간 부위의 두께가 그 양측면의 두께에 비하여 작도록 테퍼지게 형성된 요홈(3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6. The parking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plate portion 31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has a groove 312 formed in a tapered shape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both sides thereof. Breaker bar coupling device of the breaker. 제6항에 있어서, 요홈(312)은 그 양측의 플레이트부(310)에 비하여 연질 또는 경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The blocking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lock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rooves (312) are softer or have a lower hardness than the plate portions (310) on both sides thereof. 제6항에 있어서, 제3 결합 유닛(300)의 나사산 결합부(320)의 양단은 제1 플랜지(130)와 제2 플랜지(230)의 외측에서 각각 너트(33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단기의 차단바 결합장치.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both ends of the thread coupling portion 320 of the third coupling unit 300 is coupled to the nut 330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130 and the second flange 230, respectively. Bar bar coupling device of the parking breaker.
KR1020120064998A 2012-06-18 2012-06-18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KR101319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998A KR101319886B1 (en) 2012-06-18 2012-06-18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998A KR101319886B1 (en) 2012-06-18 2012-06-18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886B1 true KR101319886B1 (en) 2013-10-18

Family

ID=4963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998A KR101319886B1 (en) 2012-06-18 2012-06-18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8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82B1 (en) 2013-10-14 2015-03-20 주식회사 라이크텍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00A (en) * 1997-06-27 1999-01-26 Sumitomo Electric Ind Ltd Joint for crossing gate rod
JP2004232342A (en) 2003-01-30 2004-08-19 Ryobi Ltd Gate ba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4256987A (en) 2003-02-24 2004-09-16 Amano Corp Gate bar for parking garage
KR100854475B1 (en) 2007-05-10 2008-08-26 문현민 The blocking bar automatic reinstatement equipment of interrupter for vehicle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00A (en) * 1997-06-27 1999-01-26 Sumitomo Electric Ind Ltd Joint for crossing gate rod
JP2004232342A (en) 2003-01-30 2004-08-19 Ryobi Ltd Gate ba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4256987A (en) 2003-02-24 2004-09-16 Amano Corp Gate bar for parking garage
KR100854475B1 (en) 2007-05-10 2008-08-26 문현민 The blocking bar automatic reinstatement equipment of interrupter for vehicle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82B1 (en) 2013-10-14 2015-03-20 주식회사 라이크텍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886B1 (en)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KR102028616B1 (en) Steer-By-Wire Type Steering Apparatus
KR101526429B1 (en) Double Support Structure of a Front Body Structure of a Vehicle
CN207807613U (en) End face capstan nut dismantling device
US20120180279A1 (en) Blind fastener equipped with a self-breaking holding system
EP1864863A1 (en) Mounting device for batteries
US8919190B2 (en) Tire pressure sensor device
US20140314479A1 (en) Barrier system and connector
WO2013072201A2 (en) Electrical handheld tool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handheld tool machine
DE102005055544A1 (en) Cutting tool holder, especially at a milling roller, is secured by a screw bolt wholly shrouded by the holder assembly
US8529171B1 (en) Apparatus facilitating removal of broken fasteners from an engine
DE102012111132A1 (en) Electric steering lock
CN103889815A (en) Key retainer for railway car coupler
US20140356062A1 (en) Securitized assembly of two pieces via screwing process
CN108357340A (en) The collision prevention beam component and vehicle of connection component, battery flat
US20110095138A1 (en) Split Sector Gear
TWI545250B (en) Fine-tune apparatus of a barrier gate
KR20150146165A (en) Tie road with buckling guidance structure
CN207818673U (en) The collision prevention beam component and vehicle of connection component, battery flat
JP3170297U (en) Knock pin removal tool
KR101504482B1 (en) Conneter device for the breaker bar of the car breaker
BR112014001340B1 (en) set of roller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a diverter switch rail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JP6989700B2 (en) Operating device for disconnector
US11548125B2 (en) Grooved drive for ratchet tools
CN103624001A (en) Mud fen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