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815B1 -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815B1
KR101319815B1 KR1020110060495A KR20110060495A KR101319815B1 KR 101319815 B1 KR101319815 B1 KR 101319815B1 KR 1020110060495 A KR1020110060495 A KR 1020110060495A KR 20110060495 A KR20110060495 A KR 20110060495A KR 101319815 B1 KR101319815 B1 KR 10131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app
client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045A (ko
Inventor
김강수
고광일
조상현
Original Assignee
김강수
조상현
고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수, 조상현, 고광일 filed Critical 김강수
Priority to KR102011006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8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중앙 집중화된 웹 인프라의 대안으로서 제한된 컴퓨터 자원을 가지고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이종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서버-클라이언트 형태의 가상 시스템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네트워크 환경하의 앱 구동 체계에 있어서, 각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들이 앱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상호 연결한 하나 이상의 분산된 단말장치로 구성되며 소규모로 그룹화된 사용자 네트워크를 구성하되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역할 분담을 시켜 사용자 네트워크 내에서 앱 서버(App Server) 역할을 수행하게끔 앱이 구비되는 서버(Server) 단말을 지정하고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메인 서버 기능을 대행시킴으로써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수용된 다기능의 인터넷 접속장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I Block)이 구비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과 상호 연동되는 앱 구동 체계로서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이다.

Description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Cloud computing-based App implementing system using distributed multi-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종래 중앙 집중화된 웹 인프라의 대안으로서 제한된 컴퓨터 자원을 가지고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이종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서버-클라이언트 형태의 가상 시스템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네트워크 환경하의 앱 구동 방법에 있어서,
각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들이 앱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상호 연결한 하나 이상의 분산된 단말장치로 구성되며 소규모로 그룹화된 사용자 네트워크를 구성하되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역할 분담을 시켜 사용자 네트워크 내에서 앱 서버(App Server) 역할을 수행하게끔 앱이 구비되는 서버(Server) 단말을 지정하고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메인 서버 기능을 대행시킴으로써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수용된 다기능의 인터넷 접속장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I Block)이 구비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과 상호 연동되는 앱 구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에서 실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편리하며 또한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가진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화되어 다양해진 앱 서비스(컨텐츠, 게임 등)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이다.
종래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화된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서는 소정의 정보를 요구하는 다수의 컴퓨터 단말장치(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서버) 그리고 이들 간의 정보 전달 경로를 구성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해야 한다. 이 중 서버와 네트워크는 하나의 클라이언트에게만 서비스되는 자원이 아니므로, 복수의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들의 요구에 응답할 때 과중한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수가 제한되어 있음은 물론 모바일 단말의 성능 한계로 단말의 컴퓨팅 파워 이상의 작업 수행 및 프로그램 실행 등에 대한 활용도는 극히 떨어져서 서버에 모든 데이터와 리소스를 집중하는 방식으론 급증하는 트래픽 비용과 컴퓨팅 파워를 감당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발전에 따라, 각 단말의 독립적인 하드웨어 성능에 의존하던 기존의 컴퓨팅 환경이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든 데이터든, 모두 네트워크상에 저장해 두고 인터넷을 통해 그때그때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서비스 제공자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센터를 가상화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토리지(Storage),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보안(Security) 등의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각 사용자 소유의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공간상의 서비스를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 골라서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들은 어떠한 장소에서든 네트워크 접속과 기본적인 연산기능만을 수행하는 단말을 통해 클라우드 망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저장장치와 고성능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고, 고도화된 서비스들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삭제
이렇게 단말 기반 서비스 분야의 시장은 최근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단말 기반의 서비스 형태는 멀티 사용자의 수용을 위한 서비스 환경적 진화와 멀티 단말 간의 유/무선 상호연동성(Interoperability)의 극대화를 함께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시장의 흐름에 부응하는 앱 서비스가 더 다양하게 나올 수 있으려면 현 서비스 앱 구동 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체계 개발이 주요 관심사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의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체계는 문제점이 많은바,
종래 중앙 집중화된 웹 인프라의 대안으로서 제한된 컴퓨터 자원을 가지므로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이종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서버-클라이언트 형태의 가상 시스템 형태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하의 앱 구동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소그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환경을 최적화시켜 동일한 사용자 환경으로 분산된 다수의 단말장치 어떠한 단말기를 사용하든지 간에 동일한 사용자 환경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화된 다양해진 앱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가상 서버 환경으로 한 개의 운용체계에서 작동하는 것처럼 분산 그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환경을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툴(TOOL)로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동작하는 Client 단말 그룹에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차별화된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제한된 컴퓨터 자원을 가지고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이종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서버-클라이언트 형태의 가상 시스템 형태로 제공하는 앱 구동 체계에 있어서,
각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들이 앱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상호 연결한 하나 이상의 분산된 단말장치로 구성되며 소규모로 그룹화된 사용자 네트워크를 구성하되 이종의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역할 분담을 시켜 사용자 네트워크 내에서 앱 서버(App Server) 역할을 수행하게끔 앱이 구비되는 서버(Server) 단말을 지정하고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메인 서버 기능을 대행시킴으로써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수용된 다기능의 인터넷 접속장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I Block)이 구비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과 상호 연동되는 앱 구동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에서 실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편리하며 또한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가진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화되어 다양해진 앱 서비스(컨텐츠, 게임 등)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사용자 네트워크 구성을 설계하였으며 UI Block은 Library로 구현되며, 앱 개발자 편의를 위해서 API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멀티 사용자의 수용을 위한 서비스 환경적 진화와 멀티 단말 간의 유/무선 상호연동성(Interoperability)의 극대화 요구사항이 충족되는 스마트 단말 기반의 서비스 형태로서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새로운 앱 구동 체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높은 컴퓨팅 파워와 향상된 네트워크 성능에 의한 다양한 콘텐츠와 소프트웨어의 상호 운용성과 데이터 이동성으로 사용자 편의성(Usability)과 수용성(Acceptability)이 탁월하게 되므로, 결국 다음의 두 가지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① 앱 개발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앱 개발 시, 다수 이종의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에서 실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편리하게 개발하기 위해서 Library가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용 인터페이스로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앱 개발에 대한 편의 및 생산성 향상 효과가 있게 된다.
② 앱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단말의 성능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화된 다양해진 앱 서비스(컨텐츠, 게임 등)의 용이한 공급이 가능하므로, 인터넷을 이용한 주문형 아웃소싱으로 서비스 공유, 콘텐츠 공유, 컴퓨팅 자원 공유를 통하여 종래의 단말장치에서 동작시킬 수 없었던 프로그램들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 골라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들은 이전의 단조롭던 서비스 환경에서보다 흥미 요소가 더 극대화된 다양한 서비스를 풍성하게 접할 기회가 늘어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를 그룹화하는 단계로서 사용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단말 장치 배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단말 장치 소프트 웨어(Software, 앱과 UI Block) 설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룹화된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각 단말 장치 상호 간에 연동되는 소프트 웨어(Software) 실행 상태도(메타 데이터 전송 이전)
도 4는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각 단말 장치 상호 간에 연동되는 소프트 웨어(Software) 실행 상태도(메타 데이터 전송 이후)
도 5는 본 발명의 앱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I Block)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종래 중앙 집중화된 웹 인프라의 대안으로서 제한된 컴퓨터 자원을 가지고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이종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서버-클라이언트 형태의 가상 시스템 형태로 제공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으로서,
각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들이 앱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상호 연결한 하나 이상의 분산된 단말장치로 구성되며 소규모로 그룹화된 사용자 네트워크를 구성하되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Server-Client) 역할 분담을 시켜 사용자 네트워크 내에서 앱 서버(App Server) 역할을 수행하게끔 앱이 구비되는 서버(Server) 단말을 지정하고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메인 서버 기능을 대행시킴으로써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수용된 다기능의 인터넷 접속장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I Block)이 구비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과 상호 연동되는 앱 구동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를 그룹화하는 단계로서 사용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단말 장치 배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단말 장치 소프트 웨어(Software, 앱과 UI Block) 설치 세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룹화된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각 단말 장치 상호 간에 연동되는 소프트 웨어(Software) 실행 상태도(메타 데이터 전송 이전)이고, 도 4는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각 단말 장치 상호 간에 연동되는 소프트 웨어(Software) 실행 상태도(메타 데이터 전송 이후), 도 5는 본 발명의 앱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I Block)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은 분산된 다수의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가상시스템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구조로서 이렇게 인터넷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On Demand) 아웃소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에 적용되는 사용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
도 1과 같이 참여할 단말들을 배치하고, 도 2에서처럼 서버(Server) 단말을 결정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500)를 각 단말에 장착하고 각 단말에 필요한 소프트 웨어(Software)를 서버(Server)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아 설치한다. 그 다음, 도 3과 같이 사용자 네트워크 내의 모든 단말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500)을 실행하고 각자의 소프트 웨어(Software)를 구현시키게 되는데, 이때, 서버(Server) 단말은 내장하고 있었던 메타 데이터(Metadata)를 세션(Session) 연결된 모든 클라이언트(Client) 단말들에게 도 4와 같이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I Block) 구조를 도 5에 표시했다.
상기와 같은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 간 연동을 통해서 구동되는 서비스 앱 구동 체계는,
서버(100)와 사용자 네트워크(600)가 인터넷과 같은 통신 회선인 클라우드 네트워크(또는 공유기)(200)를 통하여 상호 연결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네트워크(600)는 소그룹으로서 멤버가 다수개의 단말 장치(Terminal)(310, 320, 330, 340, 350, 360)로 무리지어 구성되는데, 여기서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 단말 장치(Terminal)(310)는 앱을,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는(320, 330, 340, 350, 3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을 수용 탑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500)은 통신모듈(Rx/Tx Managing Module, RxMM/TxMM)(510), 메타 데이터 분석 모듈(Metadata Parsing Module,MDPM)(520),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 모듈(UI Implementing Module, UIM)(530),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전이 모듈(UI State-Transition Managing Module, USTMM)(540), 세션 관리 모듈(Session Management Module, SMM)(550), 시스템 압축 계층 모듈(System Abstraction Layered Module, SALM)(5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장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인 런타임 임베디드 O/S(Run-time Embedded O/S)(570) 및 단말장치 HW(Terminal Equipment HW)(280)와 상호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서버(100)는 앱 서비스를 관리하며, 사용자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Software (앱, UI Block)를 업로드(Upload)하게 되며,
인터넷과 같은 통신 회선인 클라우드 네트워크(또는 공유기)(200)는 기지국, 라우터 등으로 연결된 Intermediate Network이고, 사용자 네트워크(600)는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들이 앱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상호 연결한 소규모 네트워크로 정의된다.
또한 사용자 네트워크(600)를 구축하는 멤버로서 단말장치(Terminal Equipment)는 PC, 스마트단말(스마트 TV,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을 통칭하며, 단말장치 간에 역할을 구분할 때 서버 단말 장치(Terminal)(310)는 사용자 네트워크 내에서 앱 서버(Server) 역할을 대행하는 단말, 즉, 앱이 실행되는 단말이고,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는(320, 330, 340, 350, 360)는 사용자 네트워크 내에서 서버(Server) 단말장치에 연결된 나머지 단말들인데, 서버 단말 장치(Terminal)(310)는 앱,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는(320, 330, 340, 350, 3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500)을 단말 유형에 맞춰 각각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 단말 장치(Terminal)(310)와 이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는(320, 330, 340, 350, 360)는 어느 정도의 자치를 유지하면서, 통신 및 정보 교환을 할 수 있게 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500)을 구성하는 핵심 구성요소로서 통신모듈(Rx/Tx Managing Module, RxMM/TxMM)(510)은 서버 단말장치(310)의 앱(400)으로부터 Data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신모듈(RxMM)과 UI(User Interface Block)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데이터(Event Data)를 서버 단말장치(310)의 앱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 모듈(TxMM)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 분석 모듈(Metadata Parsing Module,MDPM)(520)은 상기 RxMM에서 처리되어 전달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해석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 모듈(UI Implementing Module, UIM)(530)은 Meta data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UI(User Interface Block)이 장착된 단말의 기능(그래픽 지원 기능, 다양한 센서 기능 등)을 이용하여 실제 UI를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전이 모듈(UI State-Transition Managing Module, USTMM)(540)은 앱의 수행에 있어서 동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는 UI의 상태 전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세션 관리 모듈(Session Management Module, SMM)(550) 앱이 실행되는 Server 단말장치(310)와 UI Block(500)이 실행되는 Client 단말 장치들간의 통신 상태를 관리하는 역할. 즉, 앱과의 통신 Session 생성/종료하는 기능, 앱과의 접속 상태를 감시하여 계획되지 않은 세션(Session) 종료 시 Session을 복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시스템 압축 계층 모듈(System Abstraction Layered Module, SALM)(560)은 멀티 기종의 클라이언트 단말장치 플랫폼(Client 단말 플랫폼, Platform)에 독립적인 UI(User Interface Block)실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런타임 임베디드 오에스(운영체제, Run-time Embedded O/S)와의 호환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삽입된(embeded) 제어 시스템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에 구축되고 획득된 바인딩(Binding)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런타임 임베디드 오에스(운영체제, Run-time Embedded O/S)와 단말 장치 기능군인 단말장치 HW(Terminal Equipment HW)(280)는 통상의 임베디드 인터넷 다기능 접속장치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네트워크(600)를 구축하는 멤버로서 이종 다수의 단말장치 간에 역할을 구분하여 사용자 네트워크(600) 내에서 앱 서버 Server 역할을 대행하는 서버 단말 장치(Terminal)(310)는 앱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서버(Server) 단말장치(310)에 연결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는(320, 330, 340, 350, 360)는 UI(User Interface Block)를 장착하여,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장치(320-360)에서 실현(Implementing)되어야 할 UI의 일부분을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가 아닌 서버(Server) 단말장치(310)상에서 돌아가는 앱에 포함시켜 상호 연동되는 앱 구동 체계를 구성하여 메인 서버(100)가 한정된 회선 등 컴퓨팅 자원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사용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종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320-340)에게 양질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장치(320-360)에서 실현(Implementing)되어야 할 UI(User Interface Block)(500)의 일부분을 서버(Server) 단말장치(310)가 수행함에 있어서 UI(User Interface Block)(500)의 일부분을 Meta data 형태(예: XML 형태)로 구현하게 되는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메타 데이터(Meta data)로 정보를 표현하게 되면 사용자가 자기가 원하는 특정 데이터(정보)를 메타데이터의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검색엔진 등으로 쉽게 찾아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해당되는 객체(Object)를 용도에 따라 정확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영상파일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태그로서 메타 데이터(metadata)의 속성을 유효 활용하여,
① UI 구성 요소를 버튼, 문자입력창, 체크박스, 이미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② Size(크기), Position(좌표), Shape(모양), Display Ordering(배치 순서), Data 간 상관 관계 등을 조합 활용하여 개개의 UI 구성 요소들이 화면에 보여지는 세부적인 방식이 다양화되어 UI 구성 요소의 형태적 속성을 다변화할 수 있으며,
③ 애니메이션(Event 발생 시, Server 단말 측에 전송할 Data Type/Value를 단말에 등록/명시), 콜백(Call back) 등 이벤트(event)에 따라서 객체(Object)의 동작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응용프로그램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 등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사용하고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구성 요소(자원)의 단말장치 사용환경을 사용자 환경정보에 대응시켜 객체 지향형으로 다양하게 구축하고 다양한 종류의 단말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응용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지원하여 빠른 검색과 간략하고 체계적인 내용으로 서비스의 차별화를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를 지원하지 않거나, 지원하더라도 제작사별로 서로 다른 포맷으로 지원되고 있어 제작사가 다른 기기 사이에서는 호환이 되지 못하는 종래의 단말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앱(400)이 장착된 상기 서버(Server) 단말장치(310)에서 사용자 네트워크(600)를 통해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장치(320-360)로의 메타 데이터의 전송을 원활하기 위하여 앱에는 UI(User Interface Block)(500)를 대신하는 대체 기능으로서, 앱 실행 초기 단계에 서비스를 위해서는 단말 사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공지하고 사용자에게 단말 준비 여부를 물어서 가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하며, 또한 TV 리모컨 혹은 Client 단말 사용 여부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에게 물어 UI(User Interface Block)처리 방식을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기능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320, 330, 340, 350, 3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500)은 통신모듈(Rx/Tx Managing Module, RxMM/TxMM)(510), 메타 데이터 분석 모듈(Metadata Parsing Module,MDPM)(520),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 모듈(UI Implementing Module, UIM)(530),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전이 모듈(UI State-Transition Managing Module, USTMM)(540), 세션 관리 모듈(Session Management Module, SMM)(550), 시스템 압축 계층 모듈(System Abstraction Layered Module, SALM)(5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장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인 런타임 임베디드 O/S(Run-time Embedded O/S)(570) 및 단말장치 HW(Terminal Equipment HW)(280)와 상호 작용하는 구성으로,
Client 단말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실현(implementing)을 위하여 Server 단말의 앱으로부터 Metadata를 수신하고 해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UI Block을 실행시키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은,
소그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환경을 최적화시켜 동일한 사용자 환경으로 분산된 다수의 단말장치 어떠한 단말기를 사용하든지 간에 동일한 사용자 환경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화된 다양해진 앱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상호 연결을 위한 일대 다 모델(single instance, multi-tenant)의 가상 서버 환경으로 한 개의 운용체계에서 작동하는 것처럼 분산 그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환경을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툴(TOOL)로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그룹에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종래 기술과 차별화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모든 것을 웹에서 해결하는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체계로서 본 발명은 상기 모든 기술 내용들을 반영하여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체계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UI Block이 장착되어야 할 단말 플랫폼(Platform)의 유형과는 다르게 독립적으로 앱 개발자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앱 개발자가 개발단계에서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앱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 툴(TOOL)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는데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100: 서버
200: 클라우드 네트워크(또는 공유기)
310, 320, 330, 340, 350, 360:단말 장치(Terminal)
400:서비스 앱(Service Application)
500: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510:통신모듈(Rx/Tx Managing Module, RxMM/TxMM)
520:메타 데이터 분석 모듈(Metadata Parsing Module,MDPM)
530: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 모듈(UI Implementing Module, UIM)
540: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전이 모듈(UI State-Transition Managing Module, USTMM)
550:세션 관리 모듈(Session Management Module, SMM)
560:시스템 압축 계층 모듈(System Abstraction Layered Module, SALM)
570:런타임 임베디드 O/S(Run-time Embedded O/S)
580:단말장치 HW(Terminal Equipment HW)

Claims (9)

  1. 서버(100)와 소그룹으로서 멤버가 다수개의 단말 장치(Terminal)(310, 320, 330, 340, 350, 360)로 무리지어 구성되는 사용자 네트워크(600)가 인터넷과 같은 통신 회선인 클라우드 네트워크(또는 공유기)(200)를 통하여 상호 연결 구성되어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시스템적으로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 단말 장치(Terminal)(310)는 앱을,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320, 330, 340, 350, 3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을 수용 탑재하여 구성되어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장치(320-360)에서 실현(Implementing)되어야 할 UI의 일부분을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가 아닌 서버(Server) 단말장치(310)상에서 구현되는 앱에 포함시켜 UI(User Interface Block)(500)의 일부분을 Meta data 형태로 구현하되,
    앱(400)이 장착된 서버(Server) 단말장치(310)는 UI(User Interface Block)(500)이 장착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장치(320-360)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 네트워크(600) 상의 세션(Session) 생성 패턴(Pattern)을 제어 및 관리하여 서버(Server) 단말장치(310)에서 구동되는 앱(400)이 세션(Session) 연결되어 실행중인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장치(320-360)를 향해서 메타 데이터(Metadata)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앱(400)이 장착된 상기 서버(Server) 단말장치(310)에서 사용자 네트워크(600)를 통해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장치(320-360)로의 메타 데이터의 전송을 원활하기 위하여 앱에는 UI(User Interface Block)(500)를 대신하는 대체 기능으로서, 앱 실행 초기 단계에 서비스를 위해서는 단말 사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공지하고 사용자에게 단말 준비 여부를 물어서 가부를 체크하는 기능과 TV 리모컨 혹은 Client 단말 사용 여부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에게 물어 UI(User Interface Block)처리 방식을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320, 330, 340, 350, 3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500)은 Client 단말 상의 UI 실현(implementing)을 위하여 Server 단말의 앱으로부터 Metadata를 수신하고 해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UI Block을 실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320, 330, 340, 350, 3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User Interface Block, UI)(500)은 통신모듈(Rx/Tx Managing Module, RxMM/TxMM)(510), 메타 데이터 분석 모듈(Metadata Parsing Module,MDPM)(520),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 모듈(UI Implementing Module, UIM)(5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전이 모듈(UI State-Transition Managing Module, USTMM)(540), 세션 관리 모듈(Session Management Module, SMM)(550), 시스템 압축 계층 모듈(System Abstraction Layered Module, SALM)(5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장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인 런타임 임베디드 O/S(Run-time Embedded O/S)(570) 및 단말장치 HW(Terminal Equipment HW)(280)와 상호 작용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 UI Block이 장착되어야 할 단말 플랫폼(Platform)의 유형과는 다르게 독립적으로 앱 개발자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앱 개발자가 앱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 툴(TOOL)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은 버튼, 문자입력창, 체크박스, 이미지로 구성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구성 요소를 Size(크기), Position(좌표), Shape(모양), Display Ordering(배치 순서), Data 간 상관 관계로 구성되어 개개의 UI 구성 요소들이 화면에 보여지는 방식 결정의 형태적 속성과 애니메이션(Event 발생 시, Server 단말 측에 전송할 Data Type/Value를 단말에 등록/명시), 콜백(Call back)의 Event에 따라서 Object들의 동작 수행을 결정하는 동적 속성을 이용 서버, 사용자 네트워크 상의 서버 단말장치에 구비된 앱과 클라이언트(client) 단말 장치(320, 330, 340, 350, 36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등 네트워크상의 모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에 메타데이터를 생성, 저장, 이용하는 메타데이터 기반의 시스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KR1020110060495A 2011-06-22 2011-06-22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KR10131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95A KR101319815B1 (ko) 2011-06-22 2011-06-22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95A KR101319815B1 (ko) 2011-06-22 2011-06-22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45A KR20130000045A (ko) 2013-01-02
KR101319815B1 true KR101319815B1 (ko) 2013-10-21

Family

ID=4783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495A KR101319815B1 (ko) 2011-06-22 2011-06-22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249B1 (ko) * 2013-01-17 2014-07-04 (주)보아스씨엠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 및 실행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70407B1 (ko) * 2013-02-18 2014-03-10 (주)에스시큐리티 시큐리티 앱 구동 시스템 및 시큐리티 앱 구동 방법
KR20160000911A (ko) * 2014-06-25 2016-01-06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지원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따른 장치
KR102436523B1 (ko) * 2022-05-19 2022-08-25 한화시스템(주) 유, 무인 복합체계를 위한 통합 운영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3306A1 (en) * 2002-08-26 2004-06-2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OS) abstraction layer
KR20050051200A (ko) * 2003-11-27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및 장치
KR20100136801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10062689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운영체제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3306A1 (en) * 2002-08-26 2004-06-2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OS) abstraction layer
KR20050051200A (ko) * 2003-11-27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및 장치
KR20100136801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10062689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운영체제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45A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21B1 (ko) 서버 리소스 할당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US9503310B1 (en) Methods and systems of dynamic management of resources in a virtualized environment
CA2848747C (en) Remote process execution management
CN108388460B (zh) 基于图形集群的远程实时渲染平台构建方法
US8832181B2 (en)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mobile and desktop applications within a flexible markup-based distributed architecture
CN102752369B (zh) 电视应用服务的提供方法及虚拟化内容服务平台
CN105487882A (zh) 应用软件试用系统、方法及其服务器与使用者装置
US77476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pplications for remote terminal devices
JP2019537158A (ja) リソース共有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110083067A1 (en) Web browsing environment provider system for multiple use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073601A1 (en) Remote process execution management
KR101340371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 분배 장치 및 방법
KR101319815B1 (ko) 멀티 단말 장치 간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앱 구동 방법
CN103677970A (zh) 实现终端本地桌面和远端虚拟桌面合并显示的系统和方法
WO2024066828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N114117190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1155174A (zh) 基于公用协议的远程用户界面服务实现方法
CN105208123A (zh) 一种虚拟桌面的实现方法及其系统
CN104991769B (zh) 一种无主机的电脑
CN104038511A (zh) 一种资源管理方法及装置
CN113617020A (zh) 游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服务器以及终端
CN109981793B (zh) 一种远程输入的方法
Hu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Web2. 0 QoS‐based home appliance control service platform
CN107209674B (zh) 管理资产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资产管理系统与机器
KR20240003882A (ko) 데스크탑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