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836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836B1
KR101318836B1 KR1020110111566A KR20110111566A KR101318836B1 KR 101318836 B1 KR101318836 B1 KR 101318836B1 KR 1020110111566 A KR1020110111566 A KR 1020110111566A KR 20110111566 A KR20110111566 A KR 20110111566A KR 101318836 B1 KR101318836 B1 KR 10131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function block
modem function
mod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899A (ko
Inventor
오성근
이민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8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단말기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망 접속이 가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MODEM STAT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 제어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 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로 구성된 다수의 모뎀들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성을 위하여 배터리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전력 소모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들 각각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오프(off) 상태로 설정하기 전까지 항상 온(on) 상태로 동작하며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 운용은 전력 소모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특정 RAT를 이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해당 RAT로 구성된 모뎀이 온 상태로 운용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가 빠른 속도로 이동할 때 근거리 통신용 모뎀을 온 상태로 운용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고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은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RAT의 동작 주파수, 프레임 구조, 접속 방식, 전송률, 제한 속도, 이중화 방식, 제공 서비스 종류, 망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고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을 더 고려하여 기 설정된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결합하여 동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판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황 정보를 결합하는 방법은 상기 상황 정보들을 크기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하여 그 정렬 순서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순서 결합 방법, 상황 정보들의 차이 또는 비율을 계산하여 그 계산한 값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차이/비율 결합 방법, 상기 상황 정보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그 비교한 값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비교 결합 방법, 상기 상황 정보들 중 조건에 따라 일부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결과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선택 결합 방법, 상기 상황 정보들에 가중치를 부과하여 그 부과한 결과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가중 결합 방법, 상기 상황 정보들을 조건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을 판정하여 그 판정한 결과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논리 결합, 상기 상황 정보들을 하나의 파라미터로 정규화하여 그 정규화한 결과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황 정보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RAT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되, 적어도 하나의 모뎀기능블록을 포함하는 모뎀기능블록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 구분된 상기 모뎀기능블록 그룹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모두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상태는 온(on) 상태, 오프(off) 상태, 슬립(sleep) 상태, 웨이크-업(wake-up) 제어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처리하는 상황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와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고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결합하여 동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판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와 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고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은,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RAT의 동작 주파수, 프레임 구조, 접속 방식, 전송률, 제한 속도, 이중화 방식, 제공 서비스 종류, 망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고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을 더 고려하여 기 설정된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결합하여 동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판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황 정보를 결합하는 방법은 상기 상황 정보들을 크기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하여 그 정렬 순서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순서 결합 방법, 상황 정보들의 차이 또는 비율을 계산하여 그 계산한 값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차이/비율 결합 방법, 상기 상황 정보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그 비교한 값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비교 결합 방법, 상기 상황 정보들 중 조건에 따라 일부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결과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선택 결합 방법, 상기 상황 정보들에 가중치를 부과하여 그 부과한 결과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가중 결합 방법, 상기 상황 정보들을 조건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을 판정하여 그 판정한 결과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논리 결합, 상기 상황 정보들을 하나의 파라미터로 정규화하여 그 정규화한 결과에 따라 판정 변수를 생성하는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황 정보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RAT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되, 적어도 하나의 모뎀기능블록을 포함하는 모뎀기능블록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 구분된 상기 모뎀기능블록 그룹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모두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상태는 온(on) 상태, 오프(off) 상태, 슬립(sleep) 상태, 웨이크-업(wake-up) 제어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와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고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결합하여 동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판정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와 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 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단말기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빠른 망 접속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상황 정보 또는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RAT를 고려한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oS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 서비스 종류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로밍 상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모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모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상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소 모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이동 속도 정보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이용 서비스 종류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로밍 상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전력 모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시스템 상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장소 모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배터리 상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속도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운용하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그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모뎀(modem) 또는 모뎀기능블록(110), 상황 정보 처리부(120), 및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통신 장치로서 예컨대,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릴레이 장치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자신이 구비한 적어도 1개의 모뎀 또는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거나, 또 다른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1개의 모뎀 또는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칭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자신이 구비한 적어도 1개의 모뎀 또는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가정한다.
모뎀기능블록(110)은 하나의 통신 장치와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110)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해야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모뎀기능블록(110) 각각은 여러 가지 동작 상태 중 하나로 설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상태는 온(on) 상태, 오프(off) 상태, 슬립(sleep) 상태, 및 웨이크-업(wake-up) 제어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온 상태는 모뎀기능블록(110)에 전력을 공급하여 하나의 통신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온 상태는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2)오프 상태는 모뎀기능블록(11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오프 상태는 제어 명령에 따라 온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3)슬립 상태는 최소 전력 소모를 통한 단말기의 최소 기능 즉,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수신하는 기능만을 운용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슬립 상태는 일시적인 온 상태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슬립 상태로 설정된 모뎀기능블록을 일시적인 온 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슬립 상태에서 일시적인 온 상태로 전환하거나 제어 명령에 따라 슬립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슬립 상태로 설정된 모뎀기능블록이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탐색하게 되면 모뎀기능블록이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통신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립 상태는 완전 슬립 상태, 반 슬립 상태, 빠른 반응 슬립 상태, 늦은 반응 슬립 상태, 주기적 슬립 상태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슬립 상태는 제어 명령에 따라 온 상태, 오프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4)웨이크-업 제어 상태는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된 모뎀기능블록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동작 상태를 전환하거나 일정 시간마다 동작 상태를 전환하게 된다.
예컨대, 모뎀기능블록은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슬립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된 모뎀기능블록이 일시적인 온 상태에서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탐색하게 되면 모뎀기능블록이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통신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웨이크-업 제어 상태는 제어 명령에 따라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중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웨이크-업 제어 상태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RAT로 구성된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웨이크-업 제어 상태는 서로 상이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모뎀기능블록은 각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뎀기능블록들은 예컨대, 하드웨어 부분은 공통으로 사용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만 구분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한 쌍으로 구분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펌웨어를 한 쌍으로 구분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황 정보 처리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처리하여 단말기 상태 제어부(1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는 망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채널 정보,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QoE(Quality of Experience) 정보 뿐 아니라 망 상황과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는 현재 이용 중이지 않은 모뎀과 현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와 연결되어 이용 중인 모뎀들 모두에 대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채널 정보는 각각의 모뎀을 통해 형성되는 채널의 특성인 페이딩, 경로 감쇄, 쉐도잉, 지연 확산, 다중 경로, 셀 내 간섭, 도플러, 안테나 이득, 채널 할당 등에 따라 결정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to-Nois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nfiguration,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RI(Rank Information),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등 뿐 아니라 채널 특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SSI는 수신단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SNR은 신호 대 잡음비로서 잡음 전력에 대한 신호 전력의 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SINR은 신호 대 간섭-잡음비로서, 간섭과 잡음 전력에 대한 신호 전력의 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CSI는 단말 장치와 통신 장치 사이의 채널 상태를 나타낸다. MIMO configuration은 단말 장치와 통신 장치 사이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다. 예컨대, 4개의 안테나를 갖춘 통신 장치와 2개의 안테나를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는 4X2 MIMO configuration이 구성된다. CQI는 단말 장치와 통신 장치 사이의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RI는 단말 장치와 통신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행렬 채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IM는 단말 장치와 통신 장치 사이에 신호 전송을 위한 프리코딩 행렬을 나타낸다.
QoS 정보는 각각의 모뎀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경로의 특성인 지연시간, 스루풋(throughput), PER(Packe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BLER(Block Error Rate), BER(Bit Error Rate) 등 뿐 아니라 서비스 제공 경로 특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연시간은 절대 지연 시간과 상대 지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절대 지연 시간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단에서 송신한 시간부터 하나의 패킷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종단에 수신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고, 상대 지연 시간은 해당 망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음에 있어서 하나의 패킷을 수신한 후 다음 패킷을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스루풋은 단말 장치와 통신 장치 사이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 량을 나타내고 계층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물리계층 스루풋,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스루풋, 네트워크 계층 스루풋, 어플리케이션 계층 스루풋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ER, BLER, FER, PER은 신호 전송 시 발생되는 오류 확률로서 BER은 비트 단위의 오류 확률, BLER은 블록 단위의 오류 확률, FER은 프레임 단위의 오류 확률, PER은 패킷 단위의 오류 확률을 각각 나타낼 수 있다.
QoE 정보는 각각의 모뎀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측정한 체험 품질 정보로서 MOS(Mean Opinion Score), 호불능률, R-Value, 초기 버퍼링 시간, Jerkiness, 페이지 반응 시간, 데이터 전송률, 다운로드 시간 등 뿐 아니라 사용자 체험 품질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OS는 사람의 인식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값이다. 호불능률은 음성 통화의 불능 상태가 발생하는 확률이다. R-Value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구간에서 체감할 수 있는 품질을 표현하는 품질 지표이다. 초기 버퍼링 시간은 사용자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한 시간부터 일정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초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Jerkiness는 비디오 멈춤 화면이 지속되거나 동작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도록 보이는 정도에 대한 측정값이다. 페이지 반응 시간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청한 시간부터 해당 페이지를 제공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데이터 전송률은 단위 시간당 데이터 전송량이다. 다운로드 시간은 요청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데 걸리는 총 시간이다.
2)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는 이전 모뎀 상태 제어 과정에서 설정된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모뎀기능블록 각각은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하나의 동작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구비한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3)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는 현재 모뎀 상태 제어 과정에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잠정적으로 결정된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모뎀기능블록 각각은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하나로 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4)이동 속도 정보는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동 속도 정보는 절대 속도, 상대 속도, 가속도 뿐 아니라 단말 장치의 속도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속도 정보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GPS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비행기, 열차, 차량 안에서도 이용 가능한 망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 속도 또는 가속도를 이용함으로써, 모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열차 안에 위치하여 절대 속도는 높으나 열차 안에서 이용 가능한 망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상대 속도 또는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망에서의 모뎀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5)가격 프로파일 정보는 통신망별 가격 또는 선호도에 따른 통신망 또는 통신 서비스 선택 전략을 나타낼 수 있다. 가격 프로파일 정보는 망별 이용료, 사용자 선호도, 요금제 뿐 아니라 통신망별 가격 또는 선호도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가격 프로파일 정보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망별 이용료는 RAT 또는 망 사업자에 따라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나타낸다. 예컨대, 셀룰러 망은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료를 요구하고 WLAN 망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을 요구한다.
사용자 선호도는 사용자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RAT 또는 망 사업자에 따라 선호하는 순위를 나타낸다.
요금제는 사용자가 RAT 또는 망 사업자에 따라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가입한 요금 제도를 나타낸다. 예컨대, 무제한 요금제, 100분 이용 요금제, 100MB 이용 요금제 등이 있을 수 있다.
6)이용 서비스 종류는 현재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용 서비스 종류는 대용량 파일 교환,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이메일, 웹 브라우징, 게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종류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 서비스 종류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용 서비스 종류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7)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는 이용 시간, 이용 절대 시간, 이용 데이터량, 주요 서비스 뿐 아니라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이용 시간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 또는 절대적인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용 빈도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간헐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특정 시간대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용 절대 시간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일정 기간 내에 이용하는 절대적인 시간을 나타낸다. 예컨대, 제1 사용자의 이용 절대 시간은 한달에 50시간, 제2 사용자의 이용 절대 시간은 일주일에 5시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용 데이터량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데이터량을 나타낸다.
주요 서비스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 종류를 나타낸다. 이러한 주요 서비스는 예컨대, 대용량 파일 교환,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이메일, 웹 브라우징, 게임 등을 포함한다.
8)로밍 상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로밍 지역에서의 동작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해외로 이동하거나 현재 이용 중인 망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로밍을 통해 다른 망 사업자의 망과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로밍 상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로밍 상태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9)전력 모드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관리를 위해 설정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전력 모드는 성능 모드, 효율 모드, 절전 모드 뿐 아니라 전력 관리와 관련된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모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력 모드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성능 모드는 성능을 최우선으로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전력 모드로서 모뎀들을 최대로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고의 성능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력 소모가 심할 수 있다.
효율 모드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성능과 전력 소비를 절충하여 동작시키는 전력 모드로서 모뎀들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전력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절전 모드는 전력 절약을 최우선으로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전력 모드로서 모뎀들 중 꼭 필요한 최소한의 것만 이용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로 한다.
10)시스템 상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 상태는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뿐 아니라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상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상태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11)장소 모드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를 나타낼 수 있다. 장소 모드는 실내, 실외, 공연장, 상가, 사무실, 지하철, 버스, 열차, 공항 뿐 아니라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소 모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장소 모드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12)배터리 상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양을 나타낼 수 있다. 배터리 상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양에 따라 최대, 50%, 30%, 충전 필요 등과 같이 몇 개의 등급으로 구분할 뿐 아니라 배터리 상태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상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뿐 아니라 또 다른 상황 정보와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상에서 열거한 상황 정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로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위치, 및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황 정보로는 하나 즉,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나 이동 속도 정보가 각각 사용될 수 있고, 둘 이상 즉,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이동 속도 정보 등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적어도 하나의 모뎀기능블록을 포함하는 모뎀기능블록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 구분된 모뎀기능블록 그룹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모두 동일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고,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 정보를 더 고려하여 기 설정된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 정보는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RAT에 대한 동작 주파수, 프레임 구조, 접속 방식, 전송률, 제한 속도, 이중화 방식, 제공 서비스 종류, 및 망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 정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다른 형태로도 분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 정보를 상세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동작 주파수는 해당 RAT가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주파수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80km/h로 이동하는 경우, 800MHz의 동작 주파수를 갖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1.8GHz의 동작 주파수를 갖는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결정하며, 2.4GHz의 동작 주파수를 갖는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2)프레임 구조는 해당 RAT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에는 프레임 길이, 프레임 자원 이용 형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자원 이용 형태는 프레임 내 단위 자원의 구성과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단말 장치가 60km/h로 이동하는 경우, 프레임 길이가 5ms인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프레임 길이가 10ms인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결정하며, 프레임 길이가 40ms인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3)접속 방식은 해당 RAT에 접속하기 위한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접속 방식에는 랜덤 액세스 방식, 다운링크 다중 접속 방식, 업링크 다중 접속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방식과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CDMA를 이용하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CSMA/CA를 이용 하는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OFDMA를 이용하는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4)전송률은 해당 RAT가 지원하는 전송률을 나타낼 수 있다. 전송률은 최대 전송률, 평균 전송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률과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대용량 파일 교환을 요구하는 경우, 최대 전송률이 1Gbps인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평균 전송률이 100Mbps인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결정하며, 최대 전송률이 10Mbps인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5)제한 속도는 해당 RAT가 지원하는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속도는 평균 제한 속도, 최대 허용 제한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속도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120km/h로 이동하는 경우, 최대 허용 제한 속도가 160km/h인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최대 허용 제한 속도가 60km/h인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최대 허용 제한 속도가 5km/h인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6)이중화 방식은 해당 RAT가 지원하는 이중화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이중화 방식은 TDD(time division duplex),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CDD(code division duple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화 방식과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TDD 방식을 이용하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고, FDD 방식을 이용하는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CDD 방식을 이용하는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7)제공 서비스 종류는 해당 RAT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제공 서비스 종류는 대용량 파일 교환,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이메일, 웹 브라우징, 게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공 서비스 종류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음성 통화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고,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이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대용량 파일 교환,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이메일, 웹 브라우징, 게임 서비스들을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8)망 타입은 해당 RAT의 망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망 타입은 셀룰러 망, 애드혹 망, 근거리용 망, 군사용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망 타입과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무실에 위치한 경우, 셀룰러 망인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근거리용 망인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도 온 상태로 결정하며, 애드혹 망인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도 온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고속도로에 위치한 경우, 셀룰러 망인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근거리용 망인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애드혹 망인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모뎀기능블록(110), 상황 정보 처리부(120), 및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로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오 모뎀기능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합되거나 분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 위치, 개수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통합모뎀기능유닛(140), 상황 정보 처리부(120), 및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합모뎀기능유닛(140)은 N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이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모뎀기능유닛(140)은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와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기능블록들이 통합된 기능 유닛으로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모뎀기능유닛(140) 내 N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은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하나로 동작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의 동작 상태는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와 상황 정보 처리부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고, 모뎀기능블록들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의 통합모뎀기능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제1 통합모뎀기능유닛(141), 제1 통합모뎀기능유닛(142), 상황 정보 처리부(120), 및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합모뎀기능유닛(141)은 N개의 모뎀기능블록들 중 M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이 통합되어 구성되고, 제1 통합모뎀기능유닛(142)은 (N-M)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이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와 상황 정보 처리부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고, 일부 모뎀기능블록들이 하나의 통합모뎀기능유닛으로 통합되며 또 다른 일부 모뎀기능블록들이 또 다른 하나의 통합모뎀기능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모뎀기능블록들은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상황 정보 처리부(120), 및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N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의 상태를 제어할 뿐 아니라 적어도 1개의 통신 장치와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황 정보 처리부는 별도로 구성되고, 하나의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가 모뎀 상태 제어 기능과 모뎀기능블록들 일부 또는 전부의 모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상황 정보 처리부(120), 제1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1), 제2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1)는 N개의 모뎀기능블록들 중 M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단말기 모뎀 상태제어부(132)는 (N-M)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황 정보 처리부는 별도로 구성되고, 하나의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가 일부 모뎀기능블록들과 통합되고 또 다른 하나의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가 또 다른 일부 모뎀기능블록들과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상황 정보 처리부는 별도로 구성되고, 하나의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가 일부 모뎀기능블록들과 통합되고 또 다른 일부 모뎀기능블록들은 개별적으로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상황 정보 처리 기능과 N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상황 정보를 수집할 뿐 아니라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의 상태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와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가 상황 정보 처리 기능, 모뎀 상태 제어 기능 뿐 아니라 모뎀기능블록들 일부 또는 전부의 모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RAT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다양한 RAT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RAT를 고려한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모뎀기능블록(110), 상황 정보 처리부(120), 및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N개의 모뎀기능블록(110)들은 다양한 RAT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뎀기능블록(110)들 각각은 해당 RAT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와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110)들 각각은 SDR(Software-Defined Radio) 기술 등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재구성될 수도 있다.
모뎀기능블록(110)들 각각은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하나로 동작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의 동작 상태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110)들은 다양한 RAT로 구성되는데,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한 RAT로 구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RAT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는 모뎀기능블록(110), 상황 정보 처리부(120), 및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로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와 모뎀기능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합되거나 분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 위치, 개수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을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모뎀기능블록들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모뎀기능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4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구비하는 경우, 모뎀기능블록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은 온 상태로 설정되고, 제2 모뎀기능블록은 오프 상태로 설정되며, 제3 모뎀기능블록은 슬립 상태로 설정되며, 제4 모뎀기능블록은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모뎀기능블록은 웨이크-업 제어 상태의 설정으로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도 설정된다.
예컨대, 제3 모뎀기능블록의 웨이크-업 시간은 T1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은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특히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된 모뎀기능블록에서는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4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구비하는 경우, 모뎀기능블록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온 상태로 설정되고, 제3 모뎀기능블록과 제4 모뎀기능블록은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모뎀기능블록과 제4 모뎀기능블록은 웨이크-업 제어 상태의 설정으로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도 설정된다.
예컨대, 제3 모뎀기능블록의 웨이크-업 시간은 T1으로 설정되고, 제4 모뎀기능블록의 웨이크-업 시간은 T2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두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을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독립적인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4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구비하는 경우, 모뎀기능블록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은 온 상태로 설정하고, 슬립 상태가 존재하지 않는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은 오프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과 제4 RAT로 구성된 제4 모뎀기능블록은 슬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RAT들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을 RAT별 특성을 반영하여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임의의 모뎀기능블록이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RAT별 특성을 반영하여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4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구비하는 경우, 모뎀기능블록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QoS가 높은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온 상태로 설정하고, 슬립 상태가 존재하지 않는 제2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과 망 부하율이 높은 제3 RAT로 구성된 제4 모뎀기능블록은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모뎀기능블록과 제4 모뎀기능블록은 웨이크-업 제어 상태의 설정으로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도 설정된다.
예컨대, 제3 모뎀기능블록의 웨이크-업 시간은 T1으로 설정되고, 제4 모뎀기능블록의 웨이크-업 시간은 T2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RAT들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을 RAT별 특성을 반영하여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임의의 모뎀기능블록이 웨이크-업 제어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RAT별 특성을 반영하여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을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도 13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하 또는 3개 이상의 모뎀기능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20dB, 제1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10dB, 제2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5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는 3초로 설정하며, 제2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oS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50ms,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60ms,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200ms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다른 예로, SINR과 QoS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과 SINR이 각각 30ms와 15dB, 제2 RAT로 구성된 기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50ms,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5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예컨대, 채널 정보, QoS 정보 Qo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뎀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시에 이용되는 상황 정보의 집합과 그 결합 방법은 동작 상황과 시스템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운용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고속 예컨대, 60km/h으로 이동하면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저속 예컨대, 3km/h으로 이동하면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1초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차량 내에 존재하여 고속 예컨대, 60km/h으로 이동하고 차량 내부에 제2 RAT로 구성된 AP(Access Point)가 존재하면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고속 예컨대, 60km/h으로 이동하면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속도 정보 예컨대, 절대 속도, 상대 속도,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RAT는 이용료가 예컨대, 1원/kbyte로 낮고, 제2 RAT는 이용료가 예컨대, 5원/kbyte로 중간이며, 제3 RAT는 이용료가 예컨대, 10원/kbyte로 높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1초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RAT는 이용료가 예컨대, 1원/kbyte와 제2 RAT의 이용료가 예컨대, 2원/kbyte로 낮고, 제3 RAT는 이용료가 예컨대, 8원/kbyte로 높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가격 프로파일 정보 예컨대, 망별 이용료, 사용자 선호도, 요금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 서비스 종류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용량 파일 교환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3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용 서비스 종류 예컨대, 음성 통화, 대용량 파일 교환, 화상 통화,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이메일, 웹 브라우징, 게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를 빈번하게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특정 시간 예컨대, 9:00 ~ 17:00에 주로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해당 시간 예컨대 9:00 ~ 17:00에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나머지 시간대에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용하는 데이터량이 적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예컨대,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1초, 2초로 각각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용하는 데이터량이 많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예컨대, 이용 시간, 이용 데이터량, 주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 제1 모뎀기능블록의 현재 동작 상태가 온 상태, 제2 모뎀기능블록의 현재 동작 상태가 슬립 상태, 제3 모뎀기능블록의 현재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며,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의 잠정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로밍 상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외로 이동하여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3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로밍 상태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모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모드를 성능 모드로 설정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모드를 효율 모드로 설정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과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모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모드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과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력 모드 예컨대, 성능 모드, 효율 모드, 절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상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스템이 슬립 상태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시스템이 온 상태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시스템이 오프 상태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시스템 상태, 예컨대,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소 모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내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3초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버스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과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4초, 4초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장소 모드 예컨대, 실내, 실외, 공연장, 상가, 사무실, 지하철, 버스, 열차, 공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잔여 배터리 량이 매우 높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잔여 배터리 량이 매우 낮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3초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과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잔여 배터리 량이 매우 높으면 단말 장치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상태 예컨대, 최대, 50%, 30%, 충전 필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이동 속도 정보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고속 예컨대 60km/h으로 이동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20dB,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10dB,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5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저속 예컨대, 3km/h으로 이동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50ms,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60ms,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200ms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1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료가 예컨대, 1원/kbyte로 낮은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20dB, 이용료가 예컨대, 5원/kbyte로 중간인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10dB, 이용료가 예컨대, 10원/kbyte로 높은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5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이용 서비스 종류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value가 예컨대, 5로 높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value가 예컨대, 3으로 중간이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value가 예컨대, 1로 낮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용량 파일 교환 서비스를 이용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이 예컨대, 5분으로 짧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이 예컨대, 4분으로 짧으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이 예컨대, 20분으로 길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3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를 빈번하게 이용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이 예컨대, 10Mbps로 높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이 예컨대, 1Mbps로 중간이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이 예컨대, 50Kbps로 낮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용하는 데이터량이 적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18dB,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12dB,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3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1초, 2초로 각각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용하는 데이터량이 많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이 4X4,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이 2X2,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이 1X1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 제1 모뎀기능블록의 현재 동작 상태가 온 상태, 제2 모뎀기능블록의 현재 동작 상태가 슬립 상태, 제3 모뎀기능블록의 현재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15dB,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20dB,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5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변경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1s,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2s,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500ms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지연 시간이 과도하게 높은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잠정적으로 결정하고,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의 잠정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와 동일하게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 각각은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와 상이한 상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로밍 상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외로 이동하여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10dB,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5dB,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25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3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전력 모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력 모드를 성능 모드로 설정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I가 4,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I가 2,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I가 1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전력 모드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I가 4,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I가 2,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RI가 1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과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시스템 상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의 시스템이 슬립 상태이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PER이 1%,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PER이 5%,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PER이 10%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의 시스템이 온 상태이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PER이 1%,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PER이 5%,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PER이 10%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장소 모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내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이 1X1,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이 4X4,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이 2X2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3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와 배터리 상태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량이 매우 낮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24dB,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16dB,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9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3초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과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량이 매우 높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24dB,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16dB,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9dB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고속 예컨대, 60km/h으로 이동하고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20dB, 제1 RAT로 구성된 제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18dB, 제2 RAT로 구성된 제2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14dB, 제3 RAT로 구성된 제3 기지국과 접속하는 제4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NR이 3dB이며, 제1 RAT는 이용료가 예컨대, 1원/kbyte로 낮고, 제2 RAT는 이용료가 예컨대, 5원/kbyte로 중간이며, 제3 RAT는 이용료가 예컨대, 10원/kbyte로 높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4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속도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를 결합하여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고속 예컨대, 60km/h으로 이동하면서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저속 예컨대, 3km/h으로 이동하면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웨이크-업 제어 상태 그리고 웨이크-업 시간 또는 주기를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이하, 모뎀 상태 제어 장치라고 한다)는 하나의 통신 장치와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을 통한 측정, 별도의 센서들을 통한 측정, 정보 수집, 정보 획득, 요청 등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상황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S370). 여기서, 상황 정보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모뎀 상태 제어 장치는 획득한 상기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371).
다음으로, 모뎀 상태 제어 장치는 그 결정한 동작 상태 예컨대,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에 따라 해당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S372).
이하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다양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은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또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판정 기준의 수는 상황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판정 방법도 상황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판정 기준 및 판정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술한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판정 기준에 따라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예컨대, 3개의 모뎀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각각의 SINR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2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5dB인 경우, SINR 판정 기준 10dB에 따라 판정 기준보다 높은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판정 기준보다 낮은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정 기준에 따라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2개의 판정 기준에 따라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예컨대, 3개의 모뎀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0km/h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이동 속도 판정 기준 3km/h와 제2 이동 속도 판정 기준 60km/h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가 제1 이동 속도 판정 기준보다 높고 제2 이동 속도 판정 기준보다 낮으므로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정 기준에 따라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판정 방법에 따라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판정 방법은 순서화 판정 방법, 조건부 판정 방법, 그룹화 판정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은 판정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순서화 판정 방법은 상황 정보의 값들의 크기 순서에 따라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3개의 모뎀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가격 프로파일 정보로서 각각의 망 이용료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1 RAT의 망 이용료가 1원/kbyte, 제2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2 RAT의 망 이용료가 5원/kbyte, 제3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3 RAT의 망 이용료가 10원/kbyte인 경우, 순서화 판정 방법에 따라 망 이용료가 가장 낮은 제1 RAT로 구성된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결정하고, 망 이용료가 중간인 제2 RAT로 구성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결정하고, 망 이용료가 가장 높은 제3 RAT로 구성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2)조건부 판정 방법은 상황 정보의 값에 대하여 특정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3개의 모뎀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각각의 지연 시간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500m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700m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이 300ms인 경우, 조건부 판정 방법에 따라 지연 시간이 특정 조건 400ms보다 높은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오프 상태로 결정하고, 특정 조건 400ms보다 낮은 제3 모뎀기능블록은 온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3)그룹화 판정 방법은 상황 정보의 값을 일정 규칙에 따라 그룹화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4개의 모뎀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4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 별 제공 가능한 스루풋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이 5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이 3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이 500kbps, 제4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이 30kbps인 경우, Mbps급 스루풋을 갖는 모뎀기능블록들을 제1 그룹, 100kbps급 스루풋을 갖는 모뎀기능블록들을 제2 그룹으로, 10kbps급 스루풋을 갖는 모뎀기능블록들을 제3 그룹으로 지정하는 그룹화 판정 방법에 따라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을 제1 그룹으로 지정하여 온 상태로 결정하고, 제3 모뎀기능블록을 제2그룹으로 지정하여 슬립 상태로 결정하며, 제4 모뎀기능블록을 제3 그룹으로 지정하여 오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종류가 상이한 상황 정보들을 결합하거나,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상황 정보들을 결합하고, 결합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판정 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상황 정보들을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등이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130)는 결합 기능부(131), 및 결정 기능부(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N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이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이 결합 기능부(131)로 입력된다. 이때,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 정보도 상황 정보 처리부로 입력될 수 있다.
결합 기능부(131)는 N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함으로써 고려 대상인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 결정을 위한 판정 변수들을 생성하고, 결정 기능부(132)에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132)는 상황 정보 처리부로부터 획득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을 더 고려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는 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뎀기능블록들, 상황 정보 처리부,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통합되거나 분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 위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결합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의 크기에 따라 순서로 정렬함으로써 판정 변수들을 생성하는 순서 결합,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의 차이 또는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판정 변수들을 생성하는 차이/비율 결합,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함으로써 판정 변수들을 생성하는 비교 결합,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 중 조건에 따라 일부를 선택하는 선택 결합,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에 가중치를 부과하여 결합하는 가중 결합,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을 조건에 따라 참과 거짓을 판정하거나 참과 거짓 조건들을 논리적으로 결합하는 논리 결합, 서로 상이한 종류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을 하나의 파라미터로 정규화하여 결합하는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는 채널 정보, QoS 정보, Qo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순서 결합: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을 크기에 따라 순서로 정렬함으로써 판정 변수들을 생성하는 순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을 높은 순으로 정열하거나, 낮은 순으로 정열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렬함으로써 순서 결합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순서 결합된 결과를 또 다른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각각의 SINR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2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5dB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SINR들을 순서 결합함으로써 SINR이 가장 높은 제2 모뎀기능블록을 1순위, 다음으로 제1 모뎀기능블록을 2순위, 제3 모뎀기능블록을 3순위로 정렬하여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차이/비율 결합: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을 값들의 차이 또는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차이/비율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중 가장 높은 값을 기준으로 차이 또는 비율을 계산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중 가장 낮은 값을 기준으로 차이 또는 비율을 계산하거나, 모든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사이의 차이 또는 비율을 계산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차이/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차이/비율 결합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차이/비율 결합된 결과를 또 다른 차이/비율 결합, 순서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제공 가능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스루풋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5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3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1Mbps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스루풋들을 차이/비율 결합함으로써 스루풋이 가장 높은 제1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을 기준으로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스루풋 차이를 계산하고, 그 결과인 제1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는 0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는 -2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는 -4Mbps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비교 결합: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의 크기를 비교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을 특정 기준 값들과 비교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 결합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비교 결합된 결과를 또 다른 비교 결합,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기능블록들 중 일부의 제공 가능한 MOS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OS 5,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OS 3와, 모뎀기능블록들 중 일부의 SINR을 획득하여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MOS 및/또는 SINR들을 비교 결합함으로써 제1 모뎀기능블록의 MOS는 제3 모뎀기능블록의 SINR이 제공 가능한 MOS보다는 더 좋은 MOS 성능을 제공할 것이므로 이들을 비교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제1 순위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제2 순위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제3 순위로 정하여 각각의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정보와 함께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 결합: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값들 중 조건에 따라 일부를 선택하는 선택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중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중 가장 낮은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중 중간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중 특정 기준 값과 근사한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특정 범위 내의 값들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 결합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선택 결합된 결과를 또 다른 선택 결합,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제공 가능한 CQI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5,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13,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7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CQI를 선택 결합함으로써 CQI가 가장 높은 제2 모뎀기능블록을 선택하여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가중 결합: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에 가중치를 부과하여 결합하는 가중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의 평균을 계산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의 분산을 계산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각각에 상이한 가중치를 부과하여 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중 결합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중 결합된 결과를 또 다른 가중 결합,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지연 시간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500m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700m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300ms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들을 평균을 계산하여 가중 결합함으로써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의 평균인 500ms을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논리 결합: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조건에 따라 참과 거짓을 판정하거나 참과 거짓 조건들을 논리적으로 결합하는 논리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각각이 특정 기준 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각각이 특정 기준 값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 각각이 특정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논리 결합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논리 결합된 결과를 또 다른 논리 결합,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다운로드 시간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60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90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30s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을 논리 결합함으로써 기준 다운로드 시간 50s보다 낮은 다운로드 시간을 갖는 조건에 대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거짓, 제3 모뎀기능블록은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지연 시간과 스루풋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300ms과 스루풋 4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과 100ms과 스루풋 2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700ms과 스루풋 100kbps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과 스루풋을 논리 결합함으로써 400ms보다 낮은 지연 시간과, 1Mbps 보다 높은 스루풋을 갖는 조건에 대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참, 제3 모뎀기능블록은 거짓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서로 상이한 종류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하나의 파라미터로 정규화하는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상이한 종류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획득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파라미터들 중 하나의 파라미터로 정규화하거나, 서로 상이한 종류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또 다른 파라미터로 변환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된 결과를 또 다른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13,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0dB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서로 상이한 종류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SINR로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함으로써 제2 모뎀기능블록의 CQI 13를 SINR 16dB로 변환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의 SINR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의 SINR 16dB, 제3 모뎀기능블록의 SINR 10dB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상황 정보 결합 기능 블록이 제공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2)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결합하는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가격 프로파일 정보로서 망 이용료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1 RAT의 망 이용료 1원/kbyte, 제2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2 RAT의 망 이용료 5원/kbyte, 제3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3 RAT의 망 이용료 10원/kbyte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망 이용료를 순서 결합함으로써 망 이용료가 가장 낮은 제1 모뎀기능블록을 1순위, 다음으로 제2 모뎀기능블록을 2순위, 제3 모뎀기능블록을 3순위로 정렬하여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상황 정보 결합 기능 블록이 제공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3)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를 결합하는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로서 망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1 RAT의 망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5Mbyte/일, 제2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2 RAT의 망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100Kbyte/일, 제3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3 RAT의 망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10kbyte/일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망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을 비교 결합함으로써 제1 모뎀기능블록의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가장 높고, 제2 모뎀기능블록의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중간이고, 제3 모뎀기능블록의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가장 낮은 결과를 결정 기능부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정보들을 결합하는 방법은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2개를 이용할 수 있다.
1)순서 결합과 선택 결합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결합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SINR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2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5dB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SINR들을 순서 결합함으로써 SINR이 가장 높은 제2 모뎀기능블록을 1순위, 다음으로 제1 모뎀기능블록을 2순위, 제3 모뎀기능블록을 3순위로 정렬하고, 순서 결합된 결과를 선택 결합함으로써 가장 낮은 순위의 2개 모뎀기능블록을 선택하여 제3 순위의 제3 모뎀기능블록과 제2 순위의 제1 모뎀기능블록을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2)차이/비율 결합과 가중 결합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결합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스루풋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5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3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1Mbps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스루풋들을 차이/비율 결합함으로써 스루풋이 가장 높은 제1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을 기준으로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스루풋 차이를 계산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는 0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는 -2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는 -4Mbps를 도출하고, 차이/비율 결합된 결과를 평균 가중 결합함으로써 차이의 평균인 -3Mbps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3)비교 결합과 차이/비율 결합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별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결합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들 중 일부의 제공 가능한 MOS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OS 5,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OS 3와, 모뎀들 중 일부의 SINR을 획득하여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MOS 및/또는 SINR들을 비교 결합함으로써 제1 모뎀기능블록의 MOS는 제3모뎀기능블록의 SINR이 제공 가능한 MOS보다는 더 좋은 MOS 성능을 제공할 것이므로 이들을 비교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제1순위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제2순위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제3순위로 정한 결과와, MOS 및/또는 SINR들을 차이/비율 결합함으로써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의 MOS 차이 2, 제2 모뎀기능블록과 제3 모뎀기능블록의 SINR 비율 5dB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4)선택 결합과 논리 결합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결합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CQI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5,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13,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7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CQI를 선택 결합함으로써 CQI가 가장 높은 제2 모뎀기능블록을 선택한 결과와, 선택 결합된 결과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기준 CQI 10보다 높은 CQI를 갖는 조건에 대하여 제2 모뎀기능블록은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지연 시간과 스루풋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300ms과 스루풋 4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과 100ms과 스루풋 2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700ms과 스루풋 100kbps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과 스루풋을 선택 결합함으로써 지연 시간이 가장 낮은 제2 모뎀기능블록과 스루풋이 가장 높은 제1 모뎀기능블록을 선택한 결과와, 선택 결합된 결과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400ms보다 낮은 지연 시간과, 1Mbps 보다 높은 스루풋을 갖는 조건에 대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5)가중 결합과 순서 결합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결합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지연 시간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500m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700m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300ms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을 평균 가중 결합함으로써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의 평균인 500ms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을 순서 결합함으로써 지연 시간이 가장 낮은 제3 모뎀기능블록을 1순위, 다음으로 제1 모뎀기능블록을 2순위, 제2 모뎀기능블록을 3순위로 정렬한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6)논리 결합과 비교 결합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결합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들 중 일부의 제공 가능한 스루풋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5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3Mbps와, 모뎀들 중 일부의 호불능률을 획득하여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호불능률 7%,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호불능률 3%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스루풋 및/또는 호불능률들을 논리 결합함으로써 1Mbps보다 높은 스루풋을 갖거나 5%보다 낮은 호불능률을 갖는 조건에 대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 제2 모뎀기능블록, 제3 모뎀기능블록이 모두 참인 결과와,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스루풋 및/또는 호불능률들을 비교 결합함으로써 제1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이 제2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보다 높고, 제3 모뎀기능블록의 호불능률이 제2 모뎀기능블록의 호불능률보다 낮은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7)파라미터 정규화 결합과 선택 결합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결합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13,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0dB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서로 상이한 종류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SINR로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함으로써 제2 모뎀기능블록의 CQI 13를 SINR 16dB로 변환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의 SINR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의 SINR 16dB, 제3 모뎀기능블록의 SINR 10dB인 결과와,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된 결과를 선택 결합함으로써 가장 높은 SINR을 갖는 제1 모뎀기능블록을 선택하여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결합할 수도 있다.
1)이동 속도 정보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60km/h로 이동하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SINR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2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5dB와, 이동 속도 정보인 60km/h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SINR을 선택 결합함으로써 SINR이 가장 높은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선택하여 제2 모뎀기능블록 및 제1 모뎀기능블록과, 이동 속도 정보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기준 이동 속도 3km/h보다 높은 이동 속도를 갖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2)가격 프로파일 정보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스루풋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5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3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1Mbps와, 가격 프로파일 정보로서 망 이용료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1 RAT의 망 이용료 1원/kbyte, 제2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2 RAT의 망 이용료 5원/kbyte, 제3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3 RAT의 망 이용료 10원/kbyte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스루풋들을 차이/비율 결합함으로써 스루풋이 가장 높은 제1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을 기준으로 모뎀들 각각의 스루풋 차이를 계산하고, 그 결과인 제1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 0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 -2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의 스루풋 차이 -4Mbps와, 가격 프로파일 정보를 순서 결합함으로써 망 이용료가 가장 낮은 제1 모뎀기능블록을 1순위, 다음으로 제2 모뎀기능블록을 2순위, 제3 모뎀기능블록을 3순위로 정렬하여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3)요구 서비스 종류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요구하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지연 시간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500m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700m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300ms와, 요구 서비스 종류로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을 평균 가중 결합함으로써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의 평균인 500ms와, 요구 서비스 종류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요구 서비스 종류가 음성 통화 서비스라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10Mbps의 요구 스루풋을 가지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구하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스루풋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8Mbp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3Mbp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스루풋 1Mbps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스루풋을 논리 결합함으로써 모뎀 집합의 스루풋 합이 요구 스루풋 10Mbps보다 큰 모뎀 집합을 구성하는 조건에 대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을 포함하는 모뎀 집합을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4)전력 모드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전력 모드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들 중 일부의 제공 가능한 MOS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OS 5,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OS 3와, 모뎀들 중 일부의 SINR을 획득하여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와, 전력 모드로서 절전 모드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MOS 및/또는 SINR들을 비교 결합함으로써 제1 모뎀기능블록의 MOS는 제3 모뎀기능블록의 SINR이 제공 가능한 MOS보다는 더 좋은 MOS 성능을 제공할 것이므로 이들을 비교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제1 순위로, 제3 모뎀기능블록을 제2 순위로, 제2 모뎀기능블록을 제3 순위로 정한 결과와, 전력 모드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전력 모드가 절전 모드라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5)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 예컨대, 9:00 - 17:00에 주로 서비스를 이용하면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CQI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5,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13,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CQI 7과,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로서 주요 이용 시간 예컨대, 9:00 - 17:00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CQI를 선택 결합함으로써 CQI가 가장 높은 제2 모뎀기능블록을 선택하고,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현재 시각 예컨대 11:00이 주요 이용 시간 예컨대, 9:00 - 17:00이라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6)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SINR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2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5dB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인 제1 모뎀기능블록의 온 상태, 제2 모뎀기능블록의 슬립 상태, 제3 모뎀기능블록의 오프 상태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SINR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SINR이 기준 SINR 10dB보다 높고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가 아닌 조건에 대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참, 제3 모뎀기능블록은 거짓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7)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다운로드 시간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60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90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30s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을 논리 결합함으로써 기준 다운로드 시간 50s보다 낮은 다운로드 시간을 갖는 조건에 대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거짓, 제3 모뎀기능블록은 참인 결과와, 논리 결합된 결과에 따라 기준 다운로드 시간 50s보다 높은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잠정적으로 결정한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8)로밍 상태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로밍 지역에 위치한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가능한 MIMO configuration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 4 ㅧ 4,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 2 ㅧ 2,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IMO configuration 1 ㅧ 1, 로밍 상태로서 로밍 지역에서 동작 상황을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MIMO configuration을 순서 결합함으로써 MIMO configuration이 가장 좋은 제1 모뎀기능블록을 1순위, 다음으로 제2 모뎀기능블록을 2순위, 제3 모뎀기능블록을 3순위로 정렬한 결과와, 로밍 상태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로밍 상태가 로밍 지역에서 동작 상황이라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9)시스템 상태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시스템 상태가 슬립 상태로 설정된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다운로드 시간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60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90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 30s와, 시스템 상태로서 슬립 상태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다운로드 시간을 논리 결합함으로써 기준 다운로드 시간 50s보다 낮은 다운로드 시간을 갖는 조건에 대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과 제2 모뎀기능블록은 거짓, 제3 모뎀기능블록은 참인 결과와, 시스템 상태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시스템 상태가 슬립 상태라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0)장소 모드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내에 위치한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제공 가능한 지연 시간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500ms,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700ms,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지연 시간 300ms와, 장소 모드로서 실내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을 평균 가중 결합함으로써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로부터 획득한 지연 시간의 평균인 500ms와, 장소 모드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장소 모드가 실내라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1)배터리 상태와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배터리가 가득 충전된 상태인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들 중 일부의 제공 가능한 MOS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OS 5,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MOS 3와, 모뎀기능블록들 중 일부의 SINR을 획득하여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 15dB와, 배터리 상태로서 가득 충전된 상태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MOS 및/또는 SINR들을 비교 결합함으로써 제1 모뎀기능블록의 MOS가 제2 모뎀기능블록의 MOS보다 높고, 제3 모뎀기능블록의 SINR이 제2 모뎀기능블록의 SINR보다 높은 결과와, 배터리 상태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배터리 상태가 가득 충전된 상태라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1)가격 프로파일 정보와 이동 속도 정보를 결합하는 방법은 60km/h로 이동하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가격 프로파일 정보로서 망 이용료를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1 RAT의 망 이용료 1원/kbyte, 제2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2 RAT의 망 이용료 5원/kbyte, 제3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3 RAT의 망 이용료 10원/kbyte과, 이동 속도 정보인 60km/h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가격 프로파일 정보들을 순서 결합함으로써 망 이용료가 가장 낮은 제1 모뎀기능블록을 1순위, 다음으로 제2 모뎀기능블록을 2순위, 제3 모뎀기능블록을 3순위로 정렬한 결과와, 이동 속도 정보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기준 이동 속도 3km/h보다 높은 이동 속도를 갖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2)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와 요구 서비스 종류를 결합하는 방법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로서 망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1 RAT의 망 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5Mbyte/일, 제2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2 RAT의 망 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100Kbyte/일, 제3 모뎀기능블록을 구성하는 제3 RAT의 망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10kbyte/일과, 요구 서비스 종류로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결합 기능부에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기능부는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망별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을 비교 결합함으로써 제1 모뎀기능블록의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가장 높고, 제2 모뎀기능블록의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중간이고, 제3 모뎀기능블록의 이용 가능 데이터 량이 가장 낮은 결과와 요구 서비스 종류를 논리 결합함으로써 요구 서비스 종류가 음성 통화 서비스라는 조건에 대하여 참인 결과를 결정 기능부에 판정 변수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 기능부는 제공된 판정 변수들을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2개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를 더 이용할 수도 있는데, 사용자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모뎀기능블록의 동작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동작 상태를 수동으로 온 상태,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웨이크-업 제어 상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기가 3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로서 모뎀별 SINR을 획득하여 제1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15dB, 제2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20dB, 제3 모뎀기능블록이 획득한 SINR이 5dB이고, 사용자가 제1 모뎀기능블록을 오프 상태로 수동 설정한 경우, 제1 모뎀기능블록은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오프 상태로 설정하고, 제2 모뎀기능블록과 제3 모뎀기능블록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모뎀별 동작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제2 모뎀기능블록을 온 상태로 설정하며, 제3 모뎀기능블록을 슬립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모뎀기능블록
120: 상황 정보 처리부
130: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
131: 결합 기능부
132: 결정 기능부

Claims (22)

  1.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구비한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는 on 상태와 off 상태를 포함하거나,
    on 상태와 off 상태를 포함하고 sleep 상태와 wake-up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wake-up 제어 모드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on 상태 이외의 상태(off 상태 또는 sleep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Radio Access Technology) 특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은 모뎀기능블록 각각을 구성하는 RAT의 동작 주파수, 프레임 구조, 접속 방식, 전송률, 제한 속도, 이중화 방식, 제공 서비스 종류, 망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는 상기 단말기 주변에 이종망을 포함한 망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채널 정보, QoS 정보, QoE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to-Nois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nfiguration,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RI(Rank Information),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포함하며,
    상기 QoS 정보는 지연 시간, 스룻풋(throughput), PER(Packe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BLER(Block Error Rate), BER(Bit Error Rate)을 포함하고,
    상기 QoE 정보는 MOS(Mean Opinion Score), 호불능률, R-value, 초기 버퍼링 시간, jerkiness, 페이지 반응 속도, 데이터 전송률, 다운로드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구비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현재 동작 상태로서, 모뎀기능블록 각각은 on 상태, off 상태, sleep 상태, wake-up 제어 모드 중 하나의 동작 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구비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잠정적으로 결정된 동작 상태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중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은 on 상태, off 상태, sleep 상태, wake-up 제어 모드 중 하나로 잠정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이동 속도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는 속도로서, 절대 속도, 상대 속도, 가속도를 포함하며,
    상기 가격 프로파일 정보는 통신망 별 가격 또는 선호도에 따른 통신 망 또는 통신 서비스 선택 전략으로서, 망 별 이용료, 사용자 선호도, 요금제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서비스 종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로서, 대용량 파일 교환,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이메일, 웹 브라우징, 게임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로서, 이용 시간, 이용 데이터량, 이용 서비스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로밍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로밍 지역에서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며,
    상기 전력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전력 관리를 위하여 설정하는 모드로서 성능 모드, 효율 모드, 절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시스템 상태로서, 시스템 on 상태, 시스템 off 상태, 시스템 sleep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장소 모드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로서, 실내, 실외, 공연장, 상가, 사무실, 지하철, 버스, 열차, 공항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를 결합함에 있어서,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구비한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12.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을 구비한 단말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는 on 상태와 off 상태를 포함하거나,
    on 상태와 off 상태를 포함하고 sleep 상태와 wake-up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wake-up 제어 모드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on 상태 이외의 상태(off 상태 또는 sleep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 이동 속도 정보, 가격 프로파일 정보, 이용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 로밍 상태, 전력 모드, 시스템 상태, 장소 모드,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15. 제12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판정 기준 또는 판정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RAT 특성은,
    모뎀기능블록 각각을 구성하는 RAT의 동작 주파수, 프레임 구조, 접속 방식, 전송률, 제한 속도, 이중화 방식, 제공 서비스 종류, 망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망 상황 정보는 상기 단말기 주변에 이종망을 포함한 망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채널 정보, QoS 정보, QoE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는 RSSI, SNR, SINR, CSI, MIMO configuration, CQI, RI, PMI를 포함하며,
    상기 QoS 정보는 지연 시간, 스룻풋, PER, FER, BLER, BER을 포함하고,
    상기 QoE 정보는 MOS, 호불능률, R-value, 초기 버퍼링 시간, jerkiness, 페이지 반응 속도, 데이터 전송률, 다운로드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현재 동작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구비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각각의 현재 동작 상태로서, 모뎀기능블록 각각은 on 상태, off 상태, sleep 상태, wake-up 제어 모드 중 하나의 동작 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모뎀기능블록 개별 잠정 동작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구비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잠정적으로 결정된 동작 상태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중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은 on 상태, off 상태, sleep 상태, wake-up 제어 모드 중 하나로 잠정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이동 속도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는 속도로서, 절대 속도, 상대 속도, 가속도를 포함하며,
    상기 가격 프로파일 정보는 통신망 별 가격 또는 선호도에 따른 통신 망 또는 통신 서비스 선택 전략으로서, 망 별 이용료, 사용자 선호도, 요금제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서비스 종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로서, 대용량 파일 교환,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이메일, 웹 브라우징, 게임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이용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로서, 이용 시간, 이용 데이터량, 이용 서비스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로밍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로밍 지역에서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며,
    상기 전력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전력 관리를 위하여 설정하는 모드로서 성능 모드, 효율 모드, 절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시스템 상태로서, 시스템 on 상태, 시스템 off 상태, 시스템 sleep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장소 모드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로서, 실내, 실외, 공연장, 상가, 사무실, 지하철, 버스, 열차, 공항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뎀 상태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모뎀기능블록 개별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19. 삭제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를 결합하는 상황 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처리부가 상기 상황 정보를 결합함에 있어서,
    순서 결합, 차이/비율 결합, 비교 결합, 선택 결합, 가중 결합, 논리 결합, 파라미터 정규화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처리부가 상기 상황 정보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을 구비한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모뎀기능블록들 개별 망 상황 정보들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KR1020110111566A 2011-10-28 2011-10-28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318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566A KR101318836B1 (ko) 2011-10-28 2011-10-28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566A KR101318836B1 (ko) 2011-10-28 2011-10-28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899A KR20130046899A (ko) 2013-05-08
KR101318836B1 true KR101318836B1 (ko) 2013-10-16

Family

ID=4865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566A KR101318836B1 (ko) 2011-10-28 2011-10-28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9916B2 (en) 2018-08-13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for adaptively adjusting allocation of memory area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822B1 (ko) * 2015-06-04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738A (ja) * 1996-10-03 1998-04-28 Nec Telecom Syst Ltd 無線データ通信可能なデータ端末装置
KR20100071672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통신 환경에서의 rat 탐색 및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24855A (ko) * 2009-09-03 2011-03-09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통신망을 지원하는 멀티밴드 멀티모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처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단말 장치
KR20110068619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738A (ja) * 1996-10-03 1998-04-28 Nec Telecom Syst Ltd 無線データ通信可能なデータ端末装置
KR20100071672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통신 환경에서의 rat 탐색 및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24855A (ko) * 2009-09-03 2011-03-09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통신망을 지원하는 멀티밴드 멀티모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처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단말 장치
KR20110068619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9916B2 (en) 2018-08-13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for adaptively adjusting allocation of memory area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899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021B2 (en) Service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3493388B (zh) 无线通信系统的多个小区中的协同传输方法
KR101740446B1 (ko) 협력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9634939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networks
CN101563858B (zh) 用于在移动电信网络中选择天线模式的方法和装置
EP2140573B1 (en) Recommending a transmission mode for a mimo -supporting ue
EP2858455B1 (en)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and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CN101778114B (zh) 一种基于负载均衡的流媒体业务多路并行传输方法
WO2009038368A1 (en) Method of performing cell reselect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01243A1 (zh) 负载均衡的方法和网络控制节点
CN106105379A (zh) 异构通信方法和装置
CN114731577A (zh) 一种策略确定的方法、系统及装置
CN105379370A (zh) 有效传输参数选择
CN115278789A (zh) 一种通信处理方法、通信装置以及通信系统
Sanusi et al. Handover in hybrid lifi and wifi networks
CN108370537B (zh) 集线器设备搜索的系统和方法
KR10131883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뎀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GB2414365A (en) Selecting a downlink transmit diversity technique (DTDT) on basis of link characteristic
US9351218B2 (en) Inter-region handover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9848432B2 (en) Offload determination system for multiple wireless network, server and method thereof
US117117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network resources
Gao et al. A load balancing scheme for supporting safety applications in heterogeneous software defined LTE-V networks
US118123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verage access
CN112996057A (zh) 一种基于分布式无线网络的负载均衡方法及系统
KR102102060B1 (ko) 무허가 다중 접속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