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840B1 - Terminal block for relays - Google Patents

Terminal block for relay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840B1
KR101317840B1 KR1020120050779A KR20120050779A KR101317840B1 KR 101317840 B1 KR101317840 B1 KR 101317840B1 KR 1020120050779 A KR1020120050779 A KR 1020120050779A KR 20120050779 A KR20120050779 A KR 20120050779A KR 101317840 B1 KR101317840 B1 KR 10131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erminal block
fixing part
socket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환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시스
Priority to KR102012005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8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PURPOSE: A relay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veniently manage a tool by easily replacing a relay with a separating unit which is embedded in the really terminal. CONSTITUTION: A relay separating unit is installed on a relay socket and separates a relay from the relay socket. A base (60) is combined with a top housing with a snap mode. A terminal fixing unit is installed on the base and fixes the relay terminal to the outside.

Description

릴레이 단자대{TERMINAL BLOCK FOR RELAYS}Relay terminal block {TERMINAL BLOCK FOR RELAYS}

본 발명은 릴레이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LC 등과 같은 제어시스템에서 나오는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부하 등을 구동하거나, 그 밖에 소형 제어장치에서의 소형 부하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릴레이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terminal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y terminal block suitable for driving various loads or the like using an output signal from a control system such as a PLC, or else for driving a small load in a small control device.

일반적으로, 릴레이 단자대는, PLC 등에서 나오는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전압이 다르거나 절연을 요하거나 전류가 큰 특정 부하를 구동할 때 그 온, 오프 동작을 위해 사용하는 릴레이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릴레이를 장착한 단자대를 함께 집단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단자대를 집단으로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자대를 함께 결합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그 대표적인 것이 딘레일(Din Rail)이다. 즉, 딘레일이라는 표준화 된 결합수단에 단자대를 복수로 조합할 수 있도록 단자대 제조업자들은 딘레일의 규격에 맞추어 단자대의 장착수단도 규격화하게 된다.In general, a relay terminal block is used to mount a relay used for on / off operation when driving a specific load that requires a different voltage, requires insulation, or has a large current by using an output signal from a PLC. In many cases, the terminal blocks equipped with s are combined and used together. In order to use a combination of several terminal blocks in a group, a means for joining the terminal blocks together is required, and a representative one is a DIN rail. That is, the terminal block manufacturers standardize the mounting means of the terminal block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DIN rail so that the terminal block can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standard coupling means called DIN rail.

도 1a 는 표준 딘 레일(70)에 릴레이 단자대가 취부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1b는 딘 레일(70)에 단자대가 끼워지기 위해 형성된 레일장착용 홈(171)이 형성된 종래 릴레이 단자대의 일예이다. 딘 레일(70)에 끼워져 고정되기 위해서 종래의 릴레이 단자대의 경우 기본적으로 끼워진 딘 레일(70)의 레일에지(71)(도 10 참조)와 홈(171)의 고정결합을 위해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스프링 조절수단(172)을 가지고 있다. 딘레일(70)의 레일에지(71)와 단자대의 홈 좌우측면이 끼워지면 스프링 조절수단(172)은 탄성력에 의해 딘레일(70)의 에지가 단자대 홈 끝단부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홈을 향해 가압된다. 반대로 딘레일(70)에서 단자대를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조절수단(172)을 단자대 외측, 즉 단자대 홈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손으로 스프링 조절수단(172) 끝부분을 잡아당겨 딘레일(70)과 홈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여 빼내면 된다. 도 2a는 종래 단자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홈(171) 쪽으로 가압되는 스프링조절수단(172)에는 스프링(173)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relay terminal block is mounted on a standard DIN rail 70, and FIG. 1B is a conventional relay terminal block having a rail mounting groove 171 formed to fit the terminal block on the DIN rail 70. It is an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lay terminal block to be fixed to the din rail 70 is pressed by a spring for the fixed coupling of the rail edge 71 (see Fig. 10) and the groove 171 of the din rail 70 is basically fitted It has a spring adjusting means (172). When the rail edge 71 of the DIN rail 70 and the groov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block are fitted, the spring adjusting means 172 is pressed toward the groove so that the edge of the DIN rail 70 does not escape from the terminal end of the terminal block by the elastic force. do. On the contrary, in order to exit the terminal block from the DIN rail 70, the spring adjusting means 172 is pulled by the end of the spring adjusting means 172 by the han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terminal block, that is, away from the terminal block groove. You can unlock the groove and pull it out.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erminal block disassembled, it can be seen that the spring 173 is coupled to the spring control means 172 is pressed toward the groove 171.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종래 릴레이 단자대는 단자대 하부에 위치한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베이스(174), 릴레이(110), 그리고 릴레이와 고정결합된 회로기판(175), 그리고 회로기판(175)에 접속되어 하우징(178) 외부에서 릴레이(110)의 스위치 개폐 상태를 외부적으로 표시하는 LED(176)로 되어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모두 하우징(178)에 내장되어 밀봉되며, 릴레이(110)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78) 외부에 도출된 입력단자(181)를 통해 예를 들면 PLC 신호 단자와 접속되고, 출력단자(182)를 통해 예를 들면 부하를 구동하게 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2A, a conventional relay terminal block is connected to a base 174, a relay 110, and a circuit board 175 fixedly coupled to a relay, and a circuit board 175 serving as a pedestal positioned below the terminal block. And an LED 176 that externally indicates the switch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relay 110 outside the housing 178, all of which are embedded in the housing 178 and sealed, and the relay 110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B, an input terminal 181 derived outside the housing 178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 PLC signal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182 is used to drive a load, for example.

다른 예로 도 2c에 보는 바와 같이 릴레이(110)는 도 2a와 달리 릴레이 소켓(160)에 릴레이(110)의 핀을 릴레이 소켓(160)의 핀에 끼움결합하고 릴레이 소켓(160)의 핀을 회로기판(175)에 장착한 상태에서 베이스(174)와 하우징(178)으로 밀봉하기도 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C, unlike the FIG. 2A, the relay 110 fits the pins of the relay 110 to the pins of the relay socket 160 and relays the pins of the relay socket 160 to the relay socket 160. The base 174 and the housing 178 may be seal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substrate 175.

이와 같은 종래 슬림형 릴레이 단자대는 다수개를 밀착 취부할 경우 릴레이와 릴레이간에 틈이 없어 릴레이 탈착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슬림형의 구조상 단독으로 고정용 홀을 두는 것도 어렵다. Such conventional slim relay terminal blocks have a problem in that the relay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becaus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relay and the relay when the plurality of slim relay terminal blocks are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종래 릴레이 단자대는 표준 딘레일(70)이 없으면 취부가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함께 조합을 이루어 일군의 릴레이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도 없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lay terminal block can not be mounted without the standard DIN rail 70, and can not be combined together to form a group of relay assemblies.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 릴레이 단자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표준 딘레일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딘레일이 없어도 어디서나 릴레이 단자대와 릴레이 단자대를 다단 결합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군집화하여 장착할 수 있고 릴레이가 고장났을 때 단자대에서 별도의 외부에서 관리하는 도구의 필요 없이, 단자대 자체에 내장된 분리기구의 도움으로 매우 편리하게 릴레이를 쉽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relay terminal block, and can be mounted in a simple manner by combining the relay terminal block and the relay terminal block in a simple manner anywhere without the DIN rail, even if the standard DIN rail can be used. And with the help of a disconnect mechanism built into the terminal block itself, without the need for an externally managed tool in the terminal block when a relay fail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ay terminal block in which a relay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릴레이 단자대는, 제어시스템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특정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출력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의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스위칭변환을 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출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점등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릴레이를 장착하는 릴레이 소켓과, 상기 릴레이 소켓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릴레이의 장착상태를 변경시켜 상기 릴레이 소켓으로부터 릴레이를 이탈시키는 릴레이 분리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릴레이 단자대를 외부에 고정시키는 단자대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 측면에 볼록라인과 형상적으로 상보적인 모양의 오목라인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y termina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housing for receiving a relay for driving a specific load through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system, the input input the input, the input exposed outside the upper housing A relay terminal block comprising a terminal, an on-off switching conversion in response to a signal of the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a lighting unit displaying an on-off state of the output terminal. A relay socket formed therein to mount the relay, a relay separating par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socket and installed inside the upper housing to change the mounting state of the relay to separate the relay from the relay socket,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A base that snaps to the upper housing and snaps on; It is provided on the base having a terminal block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relay terminal block to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line of the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vex line shap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릴레이 분리부는 릴레이 소켓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승부재와 상기 상승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액추에이터와 이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선회이동에 의해 상기 상승부재가 상승하여 릴레이가 소켓으로부터 상승하면서 이탈된다.Preferably, the relay dis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lift member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lay socket,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lift memb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a handle coupled to the actuator, by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actuator. The lifting member is lifted up and the relay is lifted away from the socket.

상기 릴레이 분리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는, 릴레이 소켓의 상면에 형성된 대피 홈에 위치하는 상승부재와, 상기 상승부재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타측 끝단에 체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승부재를 회전시켜 승하강시키는 누름레버와, 상기 누름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결합측벽에 형성되는 레버가이드로 이루어져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lay separating portion, the rising member positioned in the evacua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socket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sing member to rotate the lifting member about the rotation axis It consists of a push lever to be lowered, and a lever guide formed on the engaging side wall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ush le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대 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딘레일과 결합할 수 있는 동시에 딘레일이 아닌 판넬에 직접 취부도 가능하며, 상기 단자대 고정부는 상기 딘레일 또는 판넬에 직접 취부할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는 서로 다가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딘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판넬에 직접 취부할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베이스 외부로 빠져나와서 외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체결수단은 구멍이다. Preferably, the terminal block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and a second fixing part,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DIN rail and can be directly mounted on a panel other than the DIN rail, and the terminal block fixing part can be directly mounted on the panel. In the case of direct mounting on the first fixing station and the second fixing unit,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are moved with each other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nd the DIN rail, and when directly mounted on the panel,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ar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outside by exiting the base outside, the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a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일측 외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볼록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타측 외부면에는 상기 볼록라인에 형상적으로 상보적인 모양의 하나 이상의 오목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릴레이 단자대를 서로 결합할 때, 상기 볼록라인과 상기 오목라인이 서로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작용하는 것과. 상기 볼록라인이 아래에서 위로 상기 오목라인과 서로 결합시 일정 이상 삽입이 되지 않도록 상부 하우징이 막는 구조를 갖는다.Preferably, at least one convex line is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at least one concave line is form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base, the concave lin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vex line, and coupled to the relay terminal block. When the convex line and the concave lin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act so as not to escape. The convex lin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housing is blocked so as not to be inser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when coupled with the concave line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인 상기 릴레이 단자대를 상기 볼록라인 및 오목라인을 이용하여 서로 군집화할 때, 군집된 단자들 중 최외측으로 존재하는 2개의 단자대 각각의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군집화된 릴레이 단자대를 판넬에 직접 취부 고정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individual relay terminal blocks are clustered with each other using the convex lines and the concave lines, the relay terminal blocks are the outermost ones of the clustered terminals. The clustered relay terminal blocks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panel by using the first fixing section and the second fixing section of each of the two terminal blocks.

이상과 같은 구성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릴레이가 고장이나, 기타 다른 용도변경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언제라도 별도의 도구 없이 릴레이를 간단한 방법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릴레이 단자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용물품의 절약과, 유지비용 절감 및 도구 관리의 편리성을 얻을 수 있다.First, if the relay breaks down or any other change of use occurs, the relay can be replaced at any time without any tools, so the relay terminal block can be used semi-permanently. In addition,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and tool management convenience can be achieved.

둘째, 제조자의 입장에서는 리무버와 같은 별도의 분리기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 부분에서 제조비용의 감소를 얻을 수 있다. Secondly, from a manufacturer's point of view, a separate separation mechanism such as a remover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셋째, 릴레이 단자대를 표준 딘레일 뿐만 아니라 딘레일이 없는 경우에도 판넬에 직접 취부 장착이 가능하므로 설치의 유연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구간별 스냅 걸림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아 스프링 장착 및 설치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Third, the relay terminal block can be mounted directly on the panel even when there is no DIN rail as well as the standard DIN rail, thereby providing flexibility and convenience of installation.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ixing section and the second fixing section can be moved by the snap-locking section, the spring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ccording to the spring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록라인과 오목라인을 활용한 스냅식 결합 방식의 경우 다수의 릴레이 단자대를 집단 조합하는 것이 용이하고 집단 조합시 릴레이 단자대와 릴레이 단자대가 스냅식으로 결합하고 집단으로 조합된 릴레이 단자대들 중 최외측으로 존재하는 2개의 릴레이 단자대만 고정하면 중간에 위치한 릴레이 단자대는 고정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snap coupling method using the convex line and the concav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llectively combine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 blocks, and the relay terminal block and the relay terminal block are snap-coupled and collectively combined in a collective combination. The outermost of the terminal blocks If only two relay terminal blocks are fixed, the relay terminal block located in the middle can be used without fixing, which increases productivity.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가 딘레일에 취부된 예를 나타낸 예시적 평면도, 도 1b는 종래 릴레이 단자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릴레이 단자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그 분해도. (b)는 그 조립평면도, (c)는 종래 릴레이 단자대의 다른 예로써 릴레이가 릴레이소켓에 결합되는 구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의 외관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릴레이 단자대의 상부 하우징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 도 4b는 릴레이 단자대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릴레이 단자대에서 상부 하우징과 베이스를 제외하고 그 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서 릴레이 소켓에 탑재된 릴레이가 릴레이 소켓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릴레이 단자대의 내부 사시도.
도 5c는 도 5b에서 릴레이 소켓에서 릴레이가 탈거된 상태의 릴레이 단자대의 내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릴레이가 릴레이 소켓에 탑재된 이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릴레이 단자대의 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릴레이가 릴레이 소켓에 탑재된 이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릴레이 단자대의 외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릴레이 단자대의 베이스 부분에 연결된 단자대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밑에서 위로 올려다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단자대 고정부가 외부로 돌출된 경우의 예를 보여주는 릴레이 단자대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가 딘레일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개별 릴레이 단자대를 다수 결합하여 블록화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개별 릴레이 단자대 간을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b)는 결합이 완료되어 레일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단자대의 오목라인과 볼록라인을 이용하여 단자대를 군집화하고, 최외측 단자대에 있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만을 이용하여 군집화된 단자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
1A is an exemplary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elay terminal block is mounted on a DIN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relay terminal block.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lay terminal block, (a) is an exploded view thereof. (b) is an assembly plan view thereof, (c) is an exploded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a relay is coupled to a relay socket a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terminal block.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the appearance of a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housing of the relay terminal block from the botto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of the relay terminal block.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relay terminal block except for the upper housing and the bas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relay terminal block for showing a state that the relay mounted on the relay socket in Figure 5a is separated from the relay socket.
Figure 5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relay terminal block with the relay removed from the relay socket in Figure 5b.
6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lay terminal block for showing a state after a relay is mounted in a relay so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lay terminal block for showing a state after a relay is mounted in a relay so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block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of the relay terminal block as view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relay terminal block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block fixing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DIN rail.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individual relay terminal blocks are combined to block, (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upling between individual relay terminal blocks, (b) is an example of the coupling is completed and coupled to the rail Drawing shown
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erminal blocks are clustered using concave lines and convex lines of terminal blocks, and the clustered terminal blocks may be fixed using only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n the outermost terminal block.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의 외관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릴레이 단자대의 외피는 크게 상부 하우징(50)과, 상부 하우징(50) 밑에서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베이스(60)로 나눌 수 있다. 상부 하우징(50)은 릴레이를 입출하는 통로가 되는 입출개구(55)가 가운데 형성되어 있고 입출개구 양쪽으로는 입력단자(1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입력단자개구(53)와 출력단자(1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단자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입출개구(55) 외부로는 분리부(30)가 노출되어 있는데, 이 분리부(30)는 릴레이가 입출개구(55)를 통해 장착된 이후 다시 릴레이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예를 들면, 고장 등으로 교체시) 도면에서 볼 때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켜 릴레이의 고정장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릴레이 이탈 또는 교체수단이 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the appearance of a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hell of the relay termina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n upper housing 50 and a base 60 snap-fitting under the upper housing 50. The upper housing 50 has an entry and exit opening 55 serving as a passag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relay, and an input terminal opening 53 and an output terminal 12 for exposing the input terminal 11 to the outside on both sides of the entry and exit opening. An output terminal opening 54 for exposing the outside to the outside is formed. The separating part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opening 55, which is necessary to replace the relay again after the relay is mounted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pening 55 (for example, , When replacing it with a fault, etc.) As seen from the drawing, the relay moves away from the left or the right to release or replace the relay for releasing the fixed mounting state.

상부 하우징(50)과 베이스(60)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부분은 도 4a 및 도 4b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릴레이 단자대의 상부 하우징을 위에서 올려다본 사시도, 도 4b는 릴레이 단자대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도 4a를 보면 상부 하우징(50)에는 결합구멍(57a, 57b, 57c, 57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60)에 결합돌기(65a, 65b, 65c, 65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구멍(57a, 57b, 57c, 57d)과 결합돌기(65a, 65b, 65c, 65d)가 서로 스냅식으로 결합하여 상부 하우징(50)과 베이스(60)가 서로 고정결합된다. 그러나 이 부분은 하나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50)과 베이스(60)가 결합이 가능하다면 적절한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upper housing 50 and the base 60 are comprised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are possible. This portion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through FIGS. 4A and 4B. Figure 4a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the upper housing of the relay terminal block,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relay terminal block. That is, referring to FIG. 4A,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holes 57a, 57b, 57c, and 57d ar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50. As shown in FIG. 4B, coupling protrusions 65a, 65b, 65c, and 65d are formed in the base 60. The coupling holes 57a, 57b, 57c, 57d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65a, 65b, 65c, 65d are snap-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housing 50 and the base 60 are fixed to each other. However, this portion is just one example and other means may be used as long as the upper housing 50 and the base 60 can be combined.

다음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Nex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릴레이 단자대에서 상부 하우징(50)과 베이스(60)를 제거하고 그 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는 상기 상부 하우징(50)과 베이스(60) 외에도 상부 하우징(50) 하단에 위치하는 회로기판(10)과 이 회로기판 상에서 양쪽 좌우 말단부분에 입력단자(11) 및 출력단자(12)가 배치된다. 또한, 릴레이(110)의 스위치 개폐에 따라 그 상태를 표시하는 점등부(13)가 입력단자(11) 옆에 위치하며, 대략 회로기판(10) 중앙에 릴레이 소켓(20)이 위치한다. 이들 입력단자(11), 출력단자(12), 그리고 점등부(13), 그리고 릴레이 소켓(20)은 회로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도 어느 정도 일정 힘으로 고정력을 갖도록 접속된다. 점등부(13)는 예를들면 LED이다. 그리고, 이들 입력단자(11), 출력단자(12), 점등부(13), 릴레이 소켓(20), 및 회로기판(10)은 상부 하우징(50)에 위치하게 된다.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upper housing 50 and the base 60 in the relay terminal block and explaining the structure thereof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A, a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ircuit board 10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housing 50 in addition to the upper housing 50 and the base 60, and left and right sides on the circuit board. The input terminal 11 and the output terminal 12 are disposed at the end portion.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13 indicating the state of the relay 11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is located next to the input terminal 11, the relay socket 20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circuit board 10. The input terminal 11, the output terminal 12, the lighting unit 13, and the relay socket 20 are not on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 but also physically have a fixed force with a certain force. Connected. The lighting part 13 is LED, for example. The input terminal 11, the output terminal 12, the lighting unit 13, the relay socket 20, and the circuit board 10 are positioned in the upper housing 50.

상부 하우징(50)에 위치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부분은 릴레이 소켓(20)과 릴레이 분리부(30)이다. Among the components located in the upper housing 50, a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lay socket 20 and the relay disconnect portion 30.

먼저, 릴레이 소켓(20)은 상단면(25) 상에 릴레이 단자핀(111a, 111b, 111c, 111d)이 끼워지는 핀구멍(21a, 21b, 21c, 21d, 21e)이 형성되어 있다. 릴레이 단자핀은 4개인데 그에 대응하는 릴레이 소켓(20)의 핀구멍이 5개인 것은 릴레이 제조업체 마다 릴레이 단자핀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범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First, in the relay socket 20, pin holes 21a, 21b, 21c, 21d, and 21e into which the relay terminal pins 111a, 111b, 111c, and 111d are fitted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25. There are four relay terminal pins, and the corresponding five pinholes of the relay socket 20 are for general use because the positions of the relay terminal pins are different for each relay manufacturer.

릴레이 소켓(20)은 또한 도 5a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결합측벽(23a, 23b)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결합측벽(23a, 23b)과 릴레이(1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12a, 112b)가 매칭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후방향(도 5a를 기준으로 할 때 도면을 뚫고 지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The relay socket 20 also has coupling side walls 23a and 23b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ference to FIG. 5A, and coupling protrusions 112a and 11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side walls 23a and 23b and the relay 110. ) Are combined to enable matching so that they do not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drawings when referring to FIG. 5A).

도 5b는 도 5a에서 릴레이 소켓에 탑재된 릴레이가 릴레이 소켓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릴레이 단자대의 내부 사시도를 나타낸다.FIG. 5B illustrate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lay terminal block to show a state in which a relay mounted on the relay socket in FIG. 5A is separated from the relay socke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분리부(30)는 릴레이 소켓(20)의 상단면(25)에 상승부재(31)의 대피 홈(34)을 두고 그곳에 상승부재(31)가 위치하고 상승부재(31)의 회전축(35)은 상부하우징(50)에 형성된 축홈(36)과 결합 하게 되며, 상승부재(31)와 이 상승부재와 연결된 액추에이터(32)와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손잡이(33)를 포함한다. 손잡이(33)는 앞에 도 3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릴레이 입출개구(55) 밖으로 나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리부(30)의 손잡이(33)를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즉 좌에서 우 방향으로 (도 5a의 도면을 기준으로 함) 이동시키면 액추에이터(32)에 연결된 상승부재(31)가 선회하면서 들어 올려 진다. 따라서 릴레이 소켓(20)에 장착된 릴레이(110)도 역시 함께 들어 올려 지면서 릴레이 단자핀(111a, 111b, 111c, 111d)들이 소켓 핀구멍(21a, 21b, 21c, 21e)으로부터 빠져나오는 한편 릴레이 소켓(20)의 결합측벽(23a, 23b)으로부터도 다소 벗어나면서 상부 하우징(50)의 릴레이 입출개구(55) 위로 들어 올려 진다. 따라서, 장착된 릴레이(110)를 쉽게 상부 하우징(50)의 릴레이 입출개구(55)를 통해 빼낼 수 있다.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unit 30 has an evacuation groove 34 of the elevating member 31 on the upper surface 25 of the relay socket 20 and the elevating member 31 is located therein and the elevating member 31 is located therein. The rotating shaft 35 of the) is coupled to the shaft groove 36 formed in the upper housing 50, and includes a lift member 31, an actuator 32 connected to the lift member and a handle 33 coupled to the actuator. . The handle 33 extends out of the relay entrance and exit opening 55 as also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the handle 33 of the separating part 30 from the left to the right direction, that is, from the left to the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of FIG. 5A), the lifting member 31 connected to the actuator 32 is moved. Lifted while turning Accordingly, the relay 110 mounted on the relay socket 20 is also lifted up together, and the relay terminal pins 111a, 111b, 111c, and 111d come out of the socket pinholes 21a, 21b, 21c, and 21e, while the relay socket is provided. It is lifted above the relay entry / exit opening 55 of the upper housing 50 while slightly deviating from the engaging side walls 23a and 23b of the 20. Therefore, the mounted relay 110 can be easily taken out through the relay entrance / exit opening 55 of the upper housing 50.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는 분리부(30)를 통해 장착된 릴레이(11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리무버와 같은 별도로 보관된 분리기구를 따로 마련해둘 필요가 없다. 또한, 종래 리무버를 사용할 때의 분리작업의 어려움도 본 발명의 단자대의 경우 겪을 필요가 없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lay 110 mounted through the separating unit 30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storing mechanism such as a remover. In addition, the difficulty of separation when using the conventional remover does not have to suffer in the case of the termina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릴레이(110)가 릴레이 소켓(20)에 탑재된 이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릴레이 단자대의 내부 사시도이다. 릴레이(11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때는 다시 상부 하우징(50)의 릴레이 입출개구(55)를 통해 그대로 릴레이 단자핀을 소켓의 핀구멍에 맞추고, 릴레이(110)의 결합돌기(112a, 112b)를 소켓(20)의 결합측벽(23a, 23b)에 맞추어 가압하여 삽입하면 도 6과 같이 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릴레이가 릴레이 소켓에 탑재된 이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릴레이 단자대의 외부 사시도로서, 릴레이 단자대에 릴레이(110)를 삽입한 이후의 외부 모습이 된다.6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lay terminal block for showing a state after the relay 110 is mounted in the relay socket 2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lay 110 is replaced with a new one, the relay terminal pin is aligned with the pin hole of the socket as it is through the relay entrance / exit opening 55 of the upper housing 5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12a and 112b of the relay 110 are replaced. When pressed and inserted in accordance with the engaging side walls (23a, 23b) of the socket 20 is as shown in FIG. 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lay terminal block for showing a state after the relay is mounted in the relay socke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ternal view after the relay 110 is inserted into the relay terminal block.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의 경우는 릴레이(110)의 교체를 쉽게할 수 있으며, 릴레이를 교체할 때에도 종류별로 별도로 단자대 외부에서 유지 관리하는 리무버가 필요하지 않아 매우 편리하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replace the relay 110, and even when replacing the relay,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need a remover to be maintain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block for each typ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릴레이 단자대의 베이스 부분에 연결된 단자대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밑에서 위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5에도 내부 구조도로서 하부에 나타나 있지만, 도 8을 참조하면, 하부의 베이스(60)에는 릴레이 단자대 전체를 외부에 물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부(41)와 제2고정부(42)가 위치한다. 제1고정부(41)와 제2고정부(42)는 각각 체결수단(41a),(42a)과 딘레일결합부(41b),(42b)를 가지고 있으며, 릴레이 단자대를 딘레일에 결합시킬 경우에는 딘레일결합부(41b),(42b)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딘레일(70)의 레일에지(71) 밑으로 끼워져 결합된다(도 10 참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가 이와 같이 딘레일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block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of the relay terminal block as view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hown in FIG. 5 at the bottom a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referring to FIG. 8, a first fixing part 41 and a second fixing part 42 for physically fixing the entire relay terminal block to the outside are provided in the base 60 at the lower part. Is located. The first fixing part 41 and the second fixing part 42 have fastening means 41a, 42a and DIN rail coupling parts 41b, 42b, respectively, and connect the relay terminal block to the DIN rail. In this case, the DIN rail coupling parts 41b and 42b move in the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and are fitted under the rail edge 71 of the DIN rail 7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ee FIG. 10).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DIN rail.

또한, 딘레일이 아닌 일반 외부 물체에 결합시킬 경우에는 체결수단(41a),(42a)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베이스(60) 양 옆으로 돌출한다(도 9, 도 11(c) 참조). 체결수단(41a),(42a)은 구멍으로 되어 있고, 이 구멍에 볼트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적절한 외부대상물에 본 발명의 릴레이 단자대를 고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이와 같이 단자대 고정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딘레일이 아닌 다른 외부대상에 볼트로 고정된 경우의 예를 보여주는 릴레이 단자대의 평면도이다.  In addition, when coupled to a general external object other than the DIN rail, the fastening means 41a, 42a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base 60 (see FIGS. 9 and 11 (c)). . It is understood that the fastening means 41a and 42a are holes, and the bol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so that the relay termina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an appropriate external object by using the fastening means. FIG.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erminal block fixing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is fixed with bolts to an external object other than a DIN rail.

제1고정부(41)와 제2고정부(42)는 이동할 때 마다 일정구간 거리에서 스냅걸림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 없다. 스프링을 개입시킬 경우 탄성물체의 설치 및 취급에 따른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어 그 만큼 제조 공수를 절감하고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의 감소도 얻을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41 and the second fixing part 42 do not need a separate spring because they can be moved in a snapping manner at a certain distance each time they move. When the spring is intervened, the burden of installing and handling the elastic material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man-hours and conseque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단자대는 딘레일에 장착 할 수도 있고 딘레일이 없어도 외부 대상물에 볼트 등의 체결을 통해 릴레이 단자대의 고정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rela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DIN rail or the relay terminal block may be fixed by fastening bolts to an external object without the DIN rail.

도 7 및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베이스(60)의 정면(도 7을 기준으로 볼 때 앞면을 정면으로 함)과 후면(도 8을 볼 때 앞면을 후면으로 함)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다시 양쪽 중앙에는 볼록라인(62a, 62b)과 오목라인(61a, 6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라인(62a, 62b)과 오목라인(61a, 61b)은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별 릴레이 단자대를 서로 겹쳐서(즉 정면과 후면끼리 결합하는 방식으로) 블록화 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7 and 8, the base 6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bout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front face as viewed in FIG. 7) and the rear face (front face as viewed in FIG. 8). Again, convex lines 62a and 62b and concave lines 61a and 61b are formed at both centers, and the convex lines 62a and 62b and concave lines 61a and 61b are complementarily coupled to each other to be fixed. As a result, the individual relay terminal blocks can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at is, by combining the front and the rear).

도 11은 이와 같이 개별 릴레이 단자대를 다수 결합하여 블록화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개별 릴레이 단자대 간을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b)는 결합이 완료되어 딘레일(70)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1의 (a)를 보면 한 쪽 릴레이 단자대의 볼록라인(62a, 62b)을 밑에서 위로 다른 쪽 단자대의 오목라인(61a, 61b)으로 밀어 삽입시키면서 결합한다. 이와 같은 결합을 반복하면 도 11의 (b)와 같이 개별 릴레이 단자대가 집단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제어시스템에서 부하의 온 오프 구동을 위한 스위칭 제어단자의 구성을 갖출 수 있다.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individual relay terminal blocks are combined and blocked, (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upling between individual relay terminal blocks, and (b) a coupling is completed and the DIN rail 70 Is an example coupled to). That is, as shown in FIG. 11A, the convex lines 62a and 62b of one relay terminal block are pushed and inserted into the concave lines 61a and 61b of the other terminal block from the bottom. By repeating such a combination, individual relay terminal blocks can be collectively combined as shown in FIG. 11 (b), so that the control system can have a switching control terminal for on / off driving of a load in a control system.

또한, 도 12는 단자대의 오목라인(61a, 61b)과 볼록라인(62a, 62b)을 이용하여 단자대를 군집화시키고, 최외측 단자대에 있는 제1고정부(41)와 제2고정부(42)만을 이용하여 군집화된 단자대를 외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따라서, 도 12의 실시예의 경우, 단자대의 고정부를 각 단자대마다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FIG. 12 clusters the terminal blocks by using the concave lines 61a and 61b and the convex lines 62a and 62b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first fixing part 41 and the second fixing part 42 in the outermost terminal block.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fix the clustered terminal block to the outside using onl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eed to use the fixed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for each terminal block.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3의 (a)는 누름레버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의 도면을 나타내고, 도 13의 (b)는 누름레버가 눌려진 상태의 도면을 나타내며, 도 14는 분리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13 and 1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epa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ush lever is not pressed, and FIG. 1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ush lever is pressed.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unit.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부재(31)는 릴레이 소켓(20)의 상단면(25)에 형성된 대피 홈(34)에 위치하고, 상승부재(31)로부터 연장형성된 연장부(37)는 레버가이드(19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측벽(23c)을 관통하여 결합측벽(23c)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3A, the elevating member 31 is positioned in the evacuation groove 34 formed in the upper surface 25 of the relay socket 20 and extends from the elevating member 31. 37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side wall 23c through the coupling side wall 23c in which the lever guide 190 is integrally formed.

아울러 결합측벽(23c)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승부재(31)의 연장부(37) 끝단에는 누름레버(180)가 수직으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push lever 18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37 of the rising member 3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side wall (23c).

상기 누름레버(180)는 상승부재(31)로부터 연장된 연장부(37)를 누를 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부재(31)를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상향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When the pressing lever 180 presses the extension 37 extending from the raising member 31, as shown in FIG. 13B, the pressing lever 180 rotates the raising member 31 upwardly about the rotation shaft 35. do.

상승부재(31)가 상승되면 도 5a 및 도 5b에 의거 설명한 바와 같이, 릴레이 소켓(20)에 장착된 릴레이(110)도 역시 함께 들어 올려지면서 릴레이 단자핀(111a, 111b, 111c, 111d)들이 소켓 핀구멍(21a, 21b, 21c, 21e)으로부터 빠져나오는 한편 릴레이 소켓(20)의 결합측벽(23a, 23c)으로부터도 다소 벗어나면서 상부 하우징(50)의 릴레이 입출개구(55) 위로 들어 올려 진다. 따라서, 장착된 릴레이(110)를 쉽게 상부 하우징(50)의 릴레이 입출개구(55)를 통해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5A and 5B, when the rising member 31 is raised, the relay 110 mounted on the relay socket 20 is also lifted together, and the relay terminal pins 111a, 111b, 111c, and 111d are lifted up. Escape from the socket pinholes 21a, 21b, 21c, and 21e, while being slightly out of the engagement side walls 23a and 23c of the relay socket 20, and is lifted above the relay entry / exit opening 55 of the upper housing 50. . Therefore, the mounted relay 110 can be easily taken out through the relay entrance / exit opening 55 of the upper housing 50.

한편, 누름레버(180)의 가압력을 상승부재(31)의 연장부(37)에 정확하게 전달되게 하기 위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부재(31) 연장부(37)의 끝단에는 아크형의 결합홈(38)을 형성하고 또한 상승부재(31)의 연장부(37)에 접촉되는 누름레버(180)의 끝단에는 상기 결합홈(38)에 대응된 결합돌기(182)를 형성하여 체결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82)를 상기 결합홈(38)안으로 눌러 체결하면 상기 결합돌기(182)가 상기 결합홈(38)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되어 누름레버(180)를 누를 때 가압력을 정확하게 상승부재(31)의 연장부(37)에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curately transmit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lever 180 to the extension portion 37 of the elevating member 31, as shown in Figure 14 the end of the elevating member 31 extension portion 37 of the arc type The coupling groove 38 is formed, and at the end of the push lever 18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37 of the lifting member 31, a coupling protrusion 182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38 is formed to be fastened. It is preferable to. Accordingly,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82 is pressed into the coupling groove 38, the coupling protrusion 182 is rotatable without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coupling groove 38, and thus the pressing lever 180 is pressed. When the pressing force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extension portion 37 of the lifting member (31).

이와 더불어 결합측벽(23c)에는 누름레버(18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레버가이드(19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레버(180)를 누를 때 누름레버(180)가 유동되지 않으면서 가압력을 정확하게 상승부재(31)의 연장부(37)에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side wall (23c) is formed with a lever guide 19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ush lever 180 to prevent separation. Therefore, when the pressing lever 180 is pressed, the pressing force may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extension 37 of the lifting member 31 without the pressing lever 180 flow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릴레이 소켓의 핀구멍은 1개의 릴레이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동시에 2개의 릴레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고정부의 체결수단이 구멍으로 되어 있지만 스냅식으로 외부물체와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상기 언급한 변형 예와 그 밖에도 명백히 예상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 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pinhole of a relay socket can accommodate only one relay, but can also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wo relay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lthough the fastening means of the second fixing part is made of a hole, it is also possible to snap to the external object to be fitted.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modifications and other obviousl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회로기판, 11. 입력단자, 12. 출력단자, 13. 점등부,
20. 릴레이 소켓, 21a, 21b, 21c, 21d, 21e. 핀구멍,
23a, 23b. 23c. 결합측벽, 25. 상단면, 30. 분리부, 31. 상승부재,
32. 액추에이터, 33. 손잡이, 34. 대피 홈, 35. 회전축, 36. 축홈,
41. 제1고정부, 41a. 체결수단, 41b. 레일결합부,
42. 제2고정부, 42a. 체결수단, 42b. 레일결합부,
50. 상부 하우징, 53. 입력단자개구, 54. 출력단자개구, 55. 입출개구,
57a, 57b, 57c, 57d. 결합구멍, 60. 베이스, 61a, 61b. 오목라인,
62a, 62b. 볼록라인, 65a, 65b, 65c, 65d. 결합돌기, 70. 레일,
71. 레일에지, 110. 릴레이, 111a, 111b, 111c, 111d. 단자핀,
112a, 112b. 결합돌기, 171. 레일장착용 홈, 172. 스프링 조절수단,
174. 베이스, 175. 회로기판, 176. LED, 180. 누름레버, 182. 결합돌기.
10. Circuit board, 11. Input terminal, 12. Output terminal, 13. Lighting unit,
20. Relay sockets, 21a, 21b, 21c, 21d, 21e. Pinhole,
23a, 23b. 23c. Engaging side wall, 25. top surface, 30. separation part, 31. lifting member,
32. Actuator, 33. Handle, 34. Evacuation groove, 35. Rotation shaft, 36. Shaft groove,
41. First Government, 41a. Fastening means, 41b. Rail joint,
42. Second Government, 42a. Fastening means, 42b. Rail Joint,
50. Upper housing, 53. Input terminal opening, 54. Output terminal opening, 55. Entry and exit opening,
57a, 57b, 57c, 57d. Engagement hole, 60. Base, 61a, 61b. Concave Line,
62a, 62b. Convex lines, 65a, 65b, 65c, 65d. Engaging projection, 70. Rail,
71.Rail edge, 110.Relay, 111a, 111b, 111c, 111d. Terminal Pin,
112a, 112b. Engaging projection, 171. rail mounting groove, 172. spring adjustment means,
174. Base, 175. Circuit board, 176. LED, 180. Push lever, 182. Coupling protrusion.

Claims (6)

제어시스템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특정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의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스위칭변환을 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출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점등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릴레이를 장착하는 릴레이 소켓과,
상기 릴레이 소켓 위에 설치되고 릴레이의 장착상태를 변경시켜 상기 릴레이 소켓으로부터 릴레이를 이탈시키는 릴레이 분리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릴레이 단자대를 외부에 고정시키는 단자대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 측면에 볼록라인과 형상적으로 상보적인 모양의 오목라인을 구성하되,
상기 릴레이 분리부는 릴레이 소켓의 상면에 형성된 대피 홈에 위치하는 상승부재와, 상기 상승부재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타측 끝단에 체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승부재를 회전시켜 승하강시키는 누름레버와, 상기 누름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결합측벽에 형성되는 레버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
An upper housing accommodating a relay for driving a specific load through a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system, an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the sig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an on / off switching conversio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input terminal In the relay terminal block including an outpu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on-off state of the output terminal at the same time,
A relay socket formed in the upper housing to mount a relay;
A relay separating unit installed on the relay socket and chang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relay to detach the relay from the relay socket;
A base that snaps to the upper housing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A terminal block fixing part installed at the base to fix the relay terminal block to the outside;
Concave lin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vex line,
The relay separating part is a rising member which is located in the evacua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socket, the push lever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sing member to rotate the lifting member about the rotating shaft to move up and down, and Relay 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ever guide formed on the engaging side wall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ush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분리부는 릴레이 소켓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승부재와 상기 상승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액추에이터와 이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선회이동에 의해 상기 상승부재가 상승하여 릴레이가 소켓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릴레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relay separating part includes a lift member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lay socket,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lift memb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a handle coupled to the actuator, and the lift member is moved by pivoting the actuator. A relay terminal block, wherein the relay rises and is released from the relay socket while rising from the socke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재는 릴레이 소켓의 상면에 형성된 대피 홈에 설치되어, 릴레이를 릴레이 소켓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를 선회이동하거나 누름레버를 누를 때 릴레이 소켓의 상면위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is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evacua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socket, the relay 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socket when the actuator is pivoting or pressing the push lever to separate the relay into the relay sock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딘레일과 결합하며,
상기 단자대 고정부는 상기 딘레일에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는 서로 다가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딘레일 에지와 결합되고, 상기 딘레일 방식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베이스 외부로 빠져나와서 외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체결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erminal block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DIN rail, includ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When the terminal block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DIN rail,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move in an approaching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DIN rail edge, and when the terminal fixing part is not the DIN rail typ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coupl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Relay 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astened to be fixed to the outside by coming out of the bas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라인이 아래에서 위로 상기 오목라인과 서로 결합시 일정 이상 삽입이 되지 않도록 상부 하우징이 막는 구조를 갖추어. 개별적인 상기 릴레이 단자대를 상기 볼록라인 및 오목라인을 이용하여 서로 군집화할 때, 군집된 단자대들 중 최외측으로 존재는 2개의 단자대 각각의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사용하여 2개의 단자대 만을 고정하여도 중간에 위치한 릴레이 단자대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nvex line is coupled with the concave line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housing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housing is blocked. When the individual relay terminal blocks are clustered with each other using the convex line and the concave line, only the two terminal blocks are formed by us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of each of the two terminal blocks. Relay 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relay terminal block located in the middle.
KR1020120050779A 2012-05-14 2012-05-14 Terminal block for relays KR101317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79A KR101317840B1 (en) 2012-05-14 2012-05-14 Terminal block for rela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79A KR101317840B1 (en) 2012-05-14 2012-05-14 Terminal block for relay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840B1 true KR101317840B1 (en) 2013-10-15

Family

ID=4963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779A KR101317840B1 (en) 2012-05-14 2012-05-14 Terminal block for relay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84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64B1 (en) * 2013-11-14 2015-04-07 주식회사 오토닉스 Terminal assembly for relay
KR200477089Y1 (en) * 2013-11-14 2015-05-04 주식회사 오토닉스 Terminal assembly for relay
KR101533967B1 (en) * 2013-05-21 2015-07-06 배수근 Din rail mounted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individual
KR20160040857A (en) * 2014-10-06 2016-04-15 이문재 Relay socket utilizing quick terminal
KR20180110954A (en) * 2017-03-30 2018-10-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rel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171A (en) * 1993-10-22 1995-05-12 Toshiba Corp Mount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20040024101A (en) * 2002-09-13 2004-03-20 삼원액트 주식회사 Miniature relay-board
JP2006156177A (en) * 2004-11-30 2006-06-15 Idec Corp Terminal socket
KR100923028B1 (en) * 2009-04-15 2009-10-22 주식회사 대륙 The Prop unit of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171A (en) * 1993-10-22 1995-05-12 Toshiba Corp Mount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20040024101A (en) * 2002-09-13 2004-03-20 삼원액트 주식회사 Miniature relay-board
JP2006156177A (en) * 2004-11-30 2006-06-15 Idec Corp Terminal socket
KR100923028B1 (en) * 2009-04-15 2009-10-22 주식회사 대륙 The Prop unit of Circuit Break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67B1 (en) * 2013-05-21 2015-07-06 배수근 Din rail mounted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individual
KR101508764B1 (en) * 2013-11-14 2015-04-07 주식회사 오토닉스 Terminal assembly for relay
KR200477089Y1 (en) * 2013-11-14 2015-05-04 주식회사 오토닉스 Terminal assembly for relay
KR20160040857A (en) * 2014-10-06 2016-04-15 이문재 Relay socket utilizing quick terminal
KR101699239B1 (en) * 2014-10-06 2017-02-13 이문재 Relay socket utilizing quick terminal
KR20180110954A (en) * 2017-03-30 2018-10-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relay
KR102318852B1 (en) * 2017-03-30 2021-10-28 엘에스일렉트릭 (주)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re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840B1 (en) Terminal block for relays
US10950397B2 (en) Switching and operating assembly of a switch
CN104205585A (en) Electrical motor
WO2021258648A1 (en) Combined electronic switch capable of being transformed and combined
US20090079582A1 (en) Wireless switch module
EP2058829B1 (en) Wireless switch module
RU2754816C2 (en) Overhead element and overhead plate for wall-mounted modular electrical appliances
CN216850400U (en) Adapter and power distribution device
CN216850503U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CN216850650U (en) Unlocking structure of adapter, adapter and power distribution device
CN216850655U (en) Stroke structure of adapter, adapter and power distribution device
KR102038870B1 (en) electric line join device of apartment buildings
CN113937581A (en) Orbital seal structure
CN113809584A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CN113809583A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CN210325588U (en) Button box unit and modular button box thereof
CN113809573A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KR20170000324U (en) Direct Current with Assembling Guide
CN110959237B (en) Cover plate and set of parts for wall-mounted modular electrical apparatus
CN106023565A (en) Spliced remote controller
CN212485708U (en) Switch control socket
KR101511951B1 (en) Electronic device switch for outdoor
JP4136446B2 (en) Foot switch
CN105632822A (en) Key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CN205986814U (en) Touch wall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