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638B1 - 건조기 덕트 - Google Patents

건조기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638B1
KR101317638B1 KR1020070139520A KR20070139520A KR101317638B1 KR 101317638 B1 KR101317638 B1 KR 101317638B1 KR 1020070139520 A KR1020070139520 A KR 1020070139520A KR 20070139520 A KR20070139520 A KR 20070139520A KR 101317638 B1 KR101317638 B1 KR 10131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ryer
discharge
duct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279A (ko
Inventor
이주동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638B1/ko
Priority to US12/343,525 priority patent/US8601719B2/en
Publication of KR2009007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덕트에 관한 것으로, 드럼에 일단이 연통되며 고온의 공기를 드럼으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및 흡기덕트의 일단에 구비되며 공기 배출을 위한 배출홀 및 의류와 접촉되도록 돌출된 방지턱이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덕트는 방지턱에 의해 의류가 배출홀에 접촉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방지한다.
건조기, 의류, 덕트, 플라스틱

Description

건조기 덕트{DUCT OF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공기가 토출되는 배출홀에 의류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건조기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가열된 공기가 드럼 내부로 토출되어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도 1은 일반적인 건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건조기에 가열된 공기를 토출하는 흡기덕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조기(10)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피건조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드럼(12)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8)와, 상기 히터(18)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12)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흡기덕트(20)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혼탁해진 공기를 상기 케이스(2)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15)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한 후, 도어(미도시)를 닫고 건조기(10)를 작동시키면, 모터(미도시)가 구동됨에 따라 드럼(12) 및 송풍팬(미도시)이 회전하게 되고, 히터(18)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12)이 회전됨에 따라 드럼 내의 피건조물은 리프트(미도시)에 의해 들어 올려 졌다가 낙하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는 송풍팬의 회전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히터(18)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고온 저습 공기로 가열되고, 이후 흡기덕트(20)를 통해 드럼(12)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공급된 고온 저습의 공기는 낙하되는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되면서 피건조물의 건조작용을 하고 저온 고습의 공기로 변하면서 드럼(12)의 선단측으로 이동된 후, 배기 덕트(27)를 통해 건조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흡기덕트(20)의 내부에는 히터(18)가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시키고, 상부에는 도 1의 드럼(12)으로 공기 토출을 위한 배출부(21)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부(21)는 고온의 공기를 견딜 수 있는 금속재질로 성형되고, 다수의 배출홀(22)이 형성되어 공기의 토출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인 건조기는 흡기덕트를 통해 고온의 공기가 토출되므로, 장시간 사용과정에서 배출부가 가열된다.
이와 같이 배출부가 가열되면, 드럼의 회전에 의해 의류가 낙하하면서 배출부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옷감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보푸라기들이 배출부와 접촉되면서 탄화되어 배출부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류가 가열된 배출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여, 배출부와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건조기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럼에 일단이 연통되며 고온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및 상기 흡기덕트의 일단에 구비되며 공기 배출을 위한 배출홀 및 상기 의류와 접촉되도록 돌출된 방지턱이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덕트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의류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턱은 다수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턱에는 상기 의류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덕트는 배출부에 방지턱이 돌출되어 의류가 고온의 배출홀과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덕트는 배출부가 의류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설계되어 의류가 배출부가 접근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덕트는 방지턱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의류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덕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가 드럼과 연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건조기에는 드럼(50)의 회전에 위해 드럼(50) 내부에 저장된 의류가 회전하면서 낙하하게 되고, 흡기덕트(30)가 히터(35)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드럼(50)으로 토출하여 의류를 건조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건조기 덕트에 관한 것이므로, 건조기의 전반적인 구성은 배경기술을 참고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흡기덕트(30)는 일단이 드럼(50)과 연통되어 고온의 공기를 드럼(50)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흡기덕트(30)의 일단에는 배출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40)는 금속재질로 성형되어 장기간의 고온 토출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배출부(40)에는 공기 토출을 위한 배출홀(41)이 다수 형성된다. 한편, 흡기덕트(30)의 일단면 일부에 배출부(40)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부(40)에는 방지턱(42)이 구비된다. 상기 방지턱(42)은 배출홀(41) 보다 돌출되어, 의류는 배출홀(41)에 앞서 방지턱(42)과 접촉된다.
한편, 배출부(40)는 의류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를 갖는다. 즉, 도 4의 좌측에서 드럼(50)을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드럼(5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의류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도 3의 배출부(40)는 좌측이 우측부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를 갖는다. 이와 같이 배출부(40)가 경사를 가지면, 의류가 회전되면서 배출홀(41)과 접촉되는 확률이 줄어든다.
상기 방지턱(42)은 다수가 이격되어 배열된다. 즉, 방지턱(42)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방지턱(42)이 형성되지 않는 배출부(40)에 다수의 배출홀(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지턱(42)은 의류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면(4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43)은 의류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방지턱(42)에 걸리지 않고 원활히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경사면(43)은 단면이 직선 또는 곡선이 될 수 있고, 의류가 경사면(43)에 접촉되더라도 회전 이동에 제약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한편, 상기 방지턱(42)은 배출부(40)에 일체로 성형가능하나 별도의 부품으로써 배출부(4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방지턱(42)이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경우, 내열 및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덕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50) 내부에 저장된 의류는 드럼(50)의 회전에 따라 회전 및 낙하하게 되고, 드럼(50) 내부로 토출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이때, 드럼(50)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덕트(30)에는 배출부(40)가 형성되어 드럼(50)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배출부(40)에는 방지턱(42)이 돌출되며, 이러한 방지턱(42)은 의류가 회전하면서 고온의 배출홀(41)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의류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배출부(40)는 의류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설계됨으로써, 의류가 회전되더라도 배출홀(41)과 접촉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방지턱(42)에는 경사면(43)이 형성되어, 의류가 방지턱(42)에 부딪히더라도 원활한 회전이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건조기에 가열된 공기를 토출하는 흡기덕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가 드럼과 연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흡기덕트 40 : 배출부
41 : 배출홀 42 : 방지턱
43 : 경사면

Claims (4)

  1. 드럼에 일단이 연통되며 고온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및
    상기 흡기덕트의 일단에 구비되며 공기 배출을 위한 배출홀 및 의류와 접촉되도록 돌출된 방지턱이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의류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상기 방지턱에는 상기 의류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덕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다수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덕트.
  4. 삭제
KR1020070139520A 2007-12-27 2007-12-27 건조기 덕트 KR10131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20A KR101317638B1 (ko) 2007-12-27 2007-12-27 건조기 덕트
US12/343,525 US8601719B2 (en) 2007-12-27 2008-12-24 Duct for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20A KR101317638B1 (ko) 2007-12-27 2007-12-27 건조기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279A KR20090071279A (ko) 2009-07-01
KR101317638B1 true KR101317638B1 (ko) 2013-10-11

Family

ID=4132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520A KR101317638B1 (ko) 2007-12-27 2007-12-27 건조기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877B1 (ko) * 2012-07-04 2013-08-08 주식회사 포스코 건조기용 에어덕트 및 이를 포함한 건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267A (ko) * 2004-10-2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0651865B1 (ko) * 2005-12-28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267A (ko) * 2004-10-2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0651865B1 (ko) * 2005-12-28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279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641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038180B2 (ja) ドアと、これを利用したドラム洗濯機及び衣類乾燥機
JP5101809B2 (ja) 乾燥兼用洗濯機
EP2591162B1 (en) Method for operating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640789B1 (ko) 의류건조기
ES2377034T3 (es) Método para controlar una secadora de ropa por volteo
KR20120080947A (ko)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KR101253151B1 (ko) 건조기의 화재감지 방법
US8272144B2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100474915B1 (ko) 의류건조기
US20060137208A1 (en) Complex type drying apparatus
KR101317638B1 (ko) 건조기 덕트
US8668765B2 (en) Dryer having structure for enhanced drying efficiency and method of use
KR100568521B1 (ko) 의류건조기
JP5567978B2 (ja)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KR101308511B1 (ko) 건조기 덕트
KR100739202B1 (ko) 방향제가 장착된 의류 건조기
KR101234074B1 (ko) 건조겸용 세탁기의 건조방법
KR20100094686A (ko) 건조기
KR100641418B1 (ko) 의류 건조기의 온도 센서 장착 구조
KR20120005868A (ko)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JP2009101206A (ja) 洗濯乾燥機
KR100762333B1 (ko)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와 그 제어방법
KR101431437B1 (ko) 건조기
KR100480718B1 (ko)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