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562B1 - Multipurpose Supporter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562B1
KR101317562B1 KR1020100083788A KR20100083788A KR101317562B1 KR 101317562 B1 KR101317562 B1 KR 101317562B1 KR 1020100083788 A KR1020100083788 A KR 1020100083788A KR 20100083788 A KR20100083788 A KR 20100083788A KR 101317562 B1 KR101317562 B1 KR 10131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lete delete
main plate
insertion hol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0273A (en
Inventor
박문성
Original Assignee
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성 filed Critical 박문성
Priority to KR102010008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562B1/en
Publication of KR2012002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2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023/049Desk stand for laptop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삽입홀에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경사지게 하는 서브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삽입홀에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에 각각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끼움홀이 형성된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의 끼움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일단에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삽입홀에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휴대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older, in particular a main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insertion hole; A sub plat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ate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ground to incline the main plate; A pedestal plat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so as to be fit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sub-plate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main plate; An auxiliary plate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pedestal plate; One or more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ate is formed at one end, but a support plate spaced apart from the pedestal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portability.

Description

다용도 거치대{Multipurpose Supporter}Multipurpose Supporter

본 발명은 물건을 올려 놓는 거치대로서, 특히 조립과 분해가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placing an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cradle capable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독서를 위해 서적을 사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세워서 안정되고 바른 자세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a reading stand stands for the reading at the same height as the user's gaze for reading so that the reading can be done in a stable and correct posture.

최근에는 이러한 독서대가 서적뿐만 아니라 핸드폰, 노트북 등 다양한 물건을 거치하는 거치대 역할을 수행한다.Recently, such a reading stand serves as a cradle for mounting various objects such as mobile phones and laptops as well as books.

그러나 종래의 독서대는 나무, 철재 등으로 제작되어 부피가 비교적 크고 무게가 나가서 휴대와 파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ading desk is made of wood, steel, etc.,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grip due to its relatively large volume and weight.

이러한 독서대와 같은 거치대는 노트북이나 부피가 큰 서적을 거치하기 위해 거치대의 크기와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고 용이하게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A cradle such as a reading stand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size and volume of the cradle can be increased to mount a notebook or a bulky book,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and use it easil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 형태의 플레이트를 조립 및 분해하여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plate-shaped plate to make a cradle of various form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거치대는 복수의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삽입홀에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경사지게 하는 서브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삽입홀에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에 각각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끼움홀이 형성된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의 끼움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일단에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삽입홀에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삽입홀에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끼움홀이 일측에 형성된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의 끼움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삽입홀에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일단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main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insertion hole; A sub plat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ate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ground to incline the main plate; A pedestal plat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so as to be fit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sub-plate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main plate; An auxiliary plate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pedestal plate; One or more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ate is formed at one end, the support plate spaced apart from the pedestal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main plate and the insertion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destal plat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ate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at least one fitting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 auxiliary plate formed at one end of th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pedestal plate,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ground; And a sub plat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pedestal plate may be inser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pedestal plate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ate.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다용도 거치대가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휴대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xcellent portability as the multi-purpose holder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거치대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a variety of cradles through a combination of plat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인 플레이트 110: 삽입홀
200: 받침대 플레이트 210: 좌측 돌출부
220: 우측 돌출부 230: 끼움홀
300: 지지 플레이트 310: 돌출부
400: 서브 플레이트 410: 돌출부
500: 보조 플레이트 510: 돌출부
1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main plate 110: insertion hole
200: pedestal plate 210: left projection
220: right protrusion 230: fitting hole
300: support plate 310: protrusion
400: subplate 410: protrusion
500: auxiliary plate 510: protrus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는 메인 플레이트(100)와, 받침대 플레이트(200)와, 지지 플레이트(300)와, 서브 플레이트(400) 및 보조 플레이트(5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는 편평한 편상 형태로 복수개의 삽입홀(110)이 복수의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홀(110)은 메인 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형성한다.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와 대응되는 크기로 편평한 판상 형태이고, 좌우의 끝단부에 좌측 돌출부(210)와 우측 돌출부(220)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 플레이트(200)는 좌측 돌출부(210) 또는 우측 돌출부(220) 중 어느 일측에 가깝게 길이 방향의 끼움홀(23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좌측 돌출부(210) 또는 우측 돌출부(220)는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워져 삽입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편평한 편상 형태로 메인 플레이트(100)와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폭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긴 형태로 구성되고, 일단에 돌출부(310)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부(310)는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 또는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끼움홀(230)에 끼워져 삽입된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400)는 편평한 편상 형태로 메인 플레이트(10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으며, 일단에 돌출부(410)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10)는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 또는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끼움홀(230)에 끼워져 삽입된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500)는 편평한 편상 형태로 메인 플레이트(10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고 상기 서브 플레이트(40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고 있으며, 일단에 돌출부(510)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500)의 돌출부(510)는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 또는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끼움홀(230)에 끼워져 삽입된다.
상기한 메인 플레이트(100), 받침대 플레이트(200), 지지 플레이트(300), 서브 플레이트(400) 및 보조 플레이트(500)는 휴대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판상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재질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다용도 거치대를 조립하면 다름과 같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하부면에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10)를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워 삽입하고, 상부면에서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돌출부(210)를 삽입홀(110)에 끼워 삽입한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400)의 타단은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를 경사지게 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는 서브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10)가 삽입되는 삽입홀(110)의 위치에 따라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끼움홀(230)에는 보조 플레이트(500)의 돌출부(510)를 끼워 삽입한다. 이렇게 받침대 플레이트(200)에 설치되는 보조 플레이트(500)는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플레이트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10)가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돌출부(210)가 끼움된다.
이와 같은 메인 플레이트(100), 받침대 플레이트(200), 서브 플레이트(400) 및 보조 플레이트(500)의 조립에 의해 간단하게 다용도 거치대를 완성하게 되며, 보조 플레이트(500)에 책, 핸드폰 등 물건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좀 더 부연하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부(310)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즉 메인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에서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부(310)를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우되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다용도 거치대를 조립하면 다름과 같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하부면에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500)의 돌출부(510)를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워 삽입하고, 상부면에서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돌출부(210)를 삽입홀(110)에 끼워 삽입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500)의 돌출부(510)가 삽입되는 삽입홀(110)의 위치에 따라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부(31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에서 삽입홀(110)에 끼워져 삽입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와 소정거리를 두고 메인 플레이트(1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메인 플레이트(100), 받침대 플레이트(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보조 플레이트(500)의 조립에 의해 간단하게 다용도 거치대를 완성하게 되며, 받침대 플레이트(200)와 지지 플레이트(300) 사이에 책, 핸드폰 등 물건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다용도 거치대를 조립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는 2개로 구성하고, 각각의 메인 플레이트(100)의 하부면에서 각 삽입홀(110)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부(310)를 끼워 삽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은 다른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받침대 플레이트(200), 지지 플레이트(300), 서브 플레이트(400), 보조 플레이트(500) 중 하나 이상 또는 혼합하여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100)는 거치할 대상의 크기에 따라 무제한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메인 플레이트(100)와 지지 플레이트(300)의 조립에 의해 간단하게 다용도 거치대를 완성하게 되며, 메인 플레이트(100)에 책, 핸드폰 등 물건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다용도 거치대를 조립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삽입홀(110)에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일단에 형성된 우측 돌출부(220)가 끼워져 삽입되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타단에 형성된 좌측 돌출부(210)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경사지게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 플레이트(500)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510)를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끼움홀(230)에 끼우되,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하부면에서 끼워 보조 플레이트(500)의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돌출부(210)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서브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10)를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운다.
이와 같은 메인 플레이트(100), 받침대 플레이트(200), 보조 플레이트(500) 및 서브 플레이트(400)의 조립에 의해 간단하게 다용도 거치대를 완성하게 되며, 받침대 플레이트(200)와 서브 플레이트(400)에 책, 핸드폰 등 물건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다용도 거치대를 조립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삽입홀(110)에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일단에 형성된 우측 돌출부(220)가 끼워져 삽입되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타단에 형성된 좌측 돌출부(210)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경사지게 배치한다.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우측 돌출부(220)가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부(310)를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워 삽입한다.
이와 같은 메인 플레이트(100), 받침대 플레이트(200), 지지 플레이트(300)의 조립에 의해 간단하게 다용도 거치대를 완성하게 되며, 지지 플레이트(300)에 책, 핸드폰 등 물건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다용도 거치대를 조립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는 하측에 형성된 각 삽입홀(110)에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부(310)를 끼워 삽입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110)에는 보조 플레이트(500)의 돌출부(510)를 끼워 삽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할 대상의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메인 플레이트(100)를 가로 방향으로 하여 다용도 거치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late 100, a pedestal plate 200, a support plate 300, a sub plate 400, and an auxiliary plate 500.
The main plate 10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10 at regular intervals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Here,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10 are formed through the main plate 100.
The pedestal plate 200 has a flat plate shape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main plate 100, and a plurality of left protrusions 210 and right protrusions 220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ends thereof,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edestal plate 200 is formed with one or more fitting holes 2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lose to any one of the left protrusion 210 or the right protrusion 220.
The left protrusion 210 or the right protrusion 220 of the pedestal plate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The support plate 300 has a flat shape and is formed in a shap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main plate 100 and the pedestal plate 20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310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The protrusion 310 of the support plate 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or the fitting hole 230 of the pedestal plate 200.
The sub plate 400 has a flat shape and has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main plate 10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0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The protrusion 410 of the sub plate 4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or the fitting hole 230 of the pedestal plate 200.
The auxiliary plate 500 has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main plate 100 in a flat plate shape and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ub plate 40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510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
The protrusion 510 of the auxiliary plate 5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or the fitting hole 230 of the pedestal plate 200.
The main plate 100, the pedestal plate 200, the support plate 300, the sub plate 40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is formed in a plate-lik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ease of carrying, the material is plastic It consists of,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ing the multi-purpose cradle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is as follows.
The protrusion 410 of the sub plate 4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late 100, and the protrusion of the pedestal plate 20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late 100.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The other end of the sub plate 400 is supported on the ground to incline the main plate 100.
The main plate 100 is inclined by adjusting the height and ang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hole 110 into which the protrusion 410 of the sub plate 400 is inserted.
The protrusion 510 of the auxiliary plate 50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230 of the pedestal plate 200. The auxiliary plate 500 installed on the pedestal plate 200 is a plate on which an object can be placed. In more detail, the pedestal plate 200 has the protrusion 2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410 of the sub plate 400 is fitted. do.
By assembling the main plate 100, the pedestal plate 200, the sub-plate 40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such a multipurpose holder can be completed simply, and an object such as a book or a mobile phone can be placed on the auxiliary plate 500. Put it on and use it.
More specific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sion 310 of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That is, the protrusion 310 of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at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plate 100, but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edestal plate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ing the multi-purpose cradle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is as follows.
The protrusion 510 of the auxiliary plate 5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late 100, and the protrusion of the pedestal plate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late 100.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The main plate 100 is inclined by adjusting the height and ang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hole 110 into which the protrusion 510 of the auxiliary plate 500 is inserted.
The protrusion 310 of the support plate 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late 100.
The support plate 300 is coupled to the main plat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edestal plate 200.
By assembling the main plate 100, the pedestal plate 200, the support plate 30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a multipurpose holder can be completed simply, and between the pedestal plate 200 and the support plate 300. Books, mobile phones, etc. put things 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ing the multi-purpose cradle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as follows.
The main plate 100 is composed of two, and the projection 310 of the support plate 300 is inserted into each insertion hole 110 in the lower surface of each main plate 100 is inserted.
As shown in FIG. 4,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late 100 is not provided with any other device, but is one of the pedestal plate 200, the support plate 300, the sub plate 40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You may install more than one or mixed.
In addition, the main plate 100 may be connected indefinite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mounted.
By assembling the plurality of main plates 100 and the support plate 300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holder can be completed simply, and a book, a mobile phone,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main plate 100 and us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ing the multi-purpose cradle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as follows.
The right protrusion 220 formed at one end of the pedestal plate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formed in the main plate 100, and the left protrusion 21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edestal plate 200 is grounded. Place it inclined so that it is supported by.
In this state, the protrusion 510 formed at one end of the auxiliary plate 50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230 formed in the pedestal plate 200, and is inser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edestal plate 200 to Ensure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In addition, the protrusion 410 of the sub plate 40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210 of the pedestal plate 20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Insert into the insertion hole (110).
By assembling the main plate 100, the pedestal plate 200, the auxiliary plate 500 and the sub-plate 400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holder can be completed simply, and the pedestal plate 200 and the sub-plate 400 Books, mobile phones, etc. put things 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ing the multi-purpose cradle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as follows.
The right protrusion 220 formed at one end of the pedestal plate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formed in the main plate 100, and the left protrusion 21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edestal plate 200 is grounded. Place it inclined so that it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plate 310 of the support plate 300 is inserted into the main plate 1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ight protrusion 220 of the pedestal plate 20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Insert into the hole (110).
By assembling the main plate 100, the pedestal plate 200, the support plate 300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holder can be completed simply, and a book, a mobile phone,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300 to be used.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hold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ing the multi-purpose cradle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as follows.
The main plate 10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310 of the support plate 300 in each insertion hole 110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protrusion hole 510 of the auxiliary plate 5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main plate 100.
As shown in FIG. 7, when the area of the object to be mounted is large, the multipurpose holder may be configured with the main plate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like. Such implementations may be read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Claims (13)

복수의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삽입홀(110)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10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410)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를 경사지게 하는 서브 플레이트(40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상기 서브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10)가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210,220)가 형성된 받침대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A main plate 10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110 formed therein;
A sub plate 400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4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ground to incline the main plate 100;
Pedestal plat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210 and 220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so that the protrusion 410 of the sub plate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 protrusion 410 of the sub plate 400 is fitted. Multi-purpos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20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홀(2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purpos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plate 200 is formed with one or more fitting holes 2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10)가 삽입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각 삽입홀(110)의 위치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100)의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Versatil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nd angle of the main plate 1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into which the protrusion 410 of the sub plate 400 is inser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끼움홀(23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510)가 일단에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Multi-purpos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late (500) formed at one end of one or more protrusions (510)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230 of the pedestal plate (2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310)가 일단에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3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와 지지 플레이트(300)는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upport plate 300 is formed at one end of one or more protrusions 310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further comprising the pedestal plate 200 and the support plate 300 Multi-purpos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복수의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삽입홀(110)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10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10,220)가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끼움홀(230)이 일측에 형성된 받침대 플레이트(200)와;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끼움홀(230)에 삽입되는 돌출부(510)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 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A main plate 10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110 formed therein;
A pedestal plate 200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210 and 220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fitting hole 230 formed at one side thereof;
Multi-purpose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ding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230 of the pedestal plate 200 is formed at one end, the auxiliary plate 500 is supported on the other en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삽입홀(110)에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200)의 돌출부(210,220)가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일단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410)가 형성된 서브 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2,
Sub plate 400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410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protrusions 210 and 220 of the pedestal plate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main plate 1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protrusions 210 and 220. Versatil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KR1020100083788A 2010-08-30 2010-08-30 Multipurpose Supporter KR101317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88A KR101317562B1 (en) 2010-08-30 2010-08-30 Multipurpose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88A KR101317562B1 (en) 2010-08-30 2010-08-30 Multipurpose Suppo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273A KR20120020273A (en) 2012-03-08
KR101317562B1 true KR101317562B1 (en) 2013-10-11

Family

ID=4612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788A KR101317562B1 (en) 2010-08-30 2010-08-30 Multipurpose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56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9413B2 (en) * 1995-08-31 1999-09-1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Display holder for books, etc.
KR200167405Y1 (en) * 1999-07-28 2000-02-15 박현 Bookstand with drawing board
JP2004216017A (en) * 2003-01-17 2004-08-05 Tetsuya Miyake Book-rest
JP3141153U (en) * 2008-02-12 2008-04-24 東森全球股▲ふん▼有限公司 Notebook computer support b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9413B2 (en) * 1995-08-31 1999-09-1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Display holder for books, etc.
KR200167405Y1 (en) * 1999-07-28 2000-02-15 박현 Bookstand with drawing board
JP2004216017A (en) * 2003-01-17 2004-08-05 Tetsuya Miyake Book-rest
JP3141153U (en) * 2008-02-12 2008-04-24 東森全球股▲ふん▼有限公司 Notebook computer support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273A (en)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50B1 (en) Portable and collapsible bookstand
KR200493314Y1 (en) Mobile device and computer device stand
US7988113B2 (en) Display device
TWI557532B (en) Holder
TWI511564B (en) Flat support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KR20130003288U (en) Monitorshelf support
US20130119227A1 (en) Hand-held support for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KR101317562B1 (en) Multipurpose Supporter
CN202160207U (en) Cell phone support
KR20130002875U (en) Cellphone Case
JP5229754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older and desk phone
US9256248B2 (en) Protecting device for tablet device
KR20140003190U (en) Suppor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CN101461607A (en) Multifunction desk
CN204387594U (en) For the support of electronic equipment
JP2013046075A (en) Form variable electronic apparatus holder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316841Y1 (en) Foldable Book Stand attached Clamp
KR101333922B1 (en) Sectional multipurpose receiving shelf
CN212029010U (en) Multifunctional support
KR200477484Y1 (en) Folding Chair installed in Cellphone Holder
KR20130000691U (en) Roly-poly pen fixing device
CN216651673U (en) Assembled desk
KR200393416Y1 (en) Length adjustable book rack
CN212565077U (en) Novel intelligent terminal auxiliary st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