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728B1 - 철도선로구간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선로구간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728B1
KR101316728B1 KR1020120142011A KR20120142011A KR101316728B1 KR 101316728 B1 KR101316728 B1 KR 101316728B1 KR 1020120142011 A KR1020120142011 A KR 1020120142011A KR 20120142011 A KR20120142011 A KR 20120142011A KR 101316728 B1 KR101316728 B1 KR 10131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ls
aging
evaluation
maximum
deteri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찬용
나희승
엄기영
이진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등과 같은 각종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자료포락 분석모델에 기초한 각종 수학식을 통해 연산하여, 기존 요소시설별 평가 가중 값의 평가자별 편차 한계를 극복한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새로이 산출하고, 이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이 반영된 고 신뢰도의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 연산/제공함으로써, 해당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좀더 효과적인 선로 노후도 평가/관리/유지보수 절차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선로구간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The device which manages a deterioration condition data of a railway line segment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해주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등과 같은 각종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자료포락 분석모델에 기초한 각종 수학식을 통해 연산하여, 기존 요소시설별 평가 가중 값의 평가자(예컨대, 철도 전문가)별 편차 한계를 극복한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새로이 산출하고, 이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이 반영된 고 신뢰도의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 연산/제공함으로써, 해당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좀더 효과적인 선로 노후도 평가/관리/유지보수 절차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선로에는 열차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선로의 노후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 에서는 선로 노후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선로의 관리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통적인 선로 노후도 평가 방법은 단순히 시간 경과와 미리 정해진 관리 기준치에 따라, 선로에 구비된 각 요소시설(예컨대, 선형, 궤도, 교량, 터널, 노반 등)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는데 치중하였기 때문에, 해당 요소시설을 전체적으로 세세하게 고려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철도 관련 분야에 장기간 종사하고 있던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누구보다도 심각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물로, 선로에 구비된 각 요소시설에 대하여 일련의 평가 가중 값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각 요소시설을 정량적으로 세세하게 고려/평가할 수 있도록 한 국내특허출원 제10-2011-135374호(명칭: 선로 노후도 평가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를 개발/출원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특허출원 제10-2011-135374호에 제시된 평가 가중 값은 해당 평가 가중 값을 제시한 평가자(예컨대, 철도 전문가)에 따라, 그 높고 낮음의 편차가 매우 심하였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신뢰도가 낮아지는 한계를 불가피하게 나타낼 수밖에 없었으며, 결국, 이 평가 가중 값을 기초로 최종 산출되는 선로 노후도 평가 데이터 역시 높은 신뢰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없었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11-135374호(명칭: 선로 노후도 평가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등과 같은 각종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자료포락 분석모델에 기초한 각종 수학식을 통해 연산하여, 기존 요소시설별 평가 가중 값의 평가자별 편차 한계를 극복한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새로이 산출하고, 이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이 반영된 고 신뢰도의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 연산/제공함으로써, 해당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좀더 효과적인 선로 노후도 평가/관리/유지보수 절차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수학식 {Wp1Yp1+Wp2Yp2+Wp3Yp3+‥‥+WpnYp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p=1,2,3‥‥n), {Wp1Yq1+Wp2Yq2+Wp3Yq3+‥‥+WpnYq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Wpn+A·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Wpn-B·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에 대입하여, 각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산출하는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과; 상기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Wpi(여기서, i=1,2,3‥‥n)를 판독한 후, 판독된 Wpi(여기서, i=1,2,3‥‥n)를 수학식{Dp=Wp1Yp1+Wp2Yp2+Wp3Yp3+‥‥+WpiYpn}(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에 대입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산출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수학식 {Wp1Yq1+Wp2Yq2+Wp3Yq3+‥‥+WpnYq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Wpn+A·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Wpn-B·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에 대입하여, 각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산출하는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과; 상기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Wpi(여기서, i=1,2,3‥‥n)를 판독한 후, 판독된 Wpi(여기서, i=1,2,3‥‥n)를 수학식{Dp=Wp1Yp1+Wp2Yp2+Wp3Yp3+‥‥+WpiYpn}(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에 대입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산출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수학식 {Wp1Yp1+Wp2Yp2+Wp3Yp3+‥‥+WpnYp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p=1,2,3‥‥n), {Wp1Yq1+Wp2Yq2+Wp3Yq3+‥‥+WpnYq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Wpn+A·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Wpn-B·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에 대입하여, 각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Wpi(여기서, i=1,2,3‥‥n)를 수학식{Dp=Wp1Yp1+Wp2Yp2+Wp3Yp3+‥‥+WpiYpn}(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에 대입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수학식 {Wp1Yq1+Wp2Yq2+Wp3Yq3+‥‥+WpnYq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Wpn+A·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Wpn-B·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에 대입하여, 각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Wpi(여기서, i=1,2,3‥‥n)를 수학식{Dp=Wp1Yp1+Wp2Yp2+Wp3Yp3+‥‥+WpiYpn}(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에 대입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등과 같은 각종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자료포락 분석모델에 기초한 각종 수학식을 통해 연산하여, 기존 요소시설별 평가 가중 값의 평가자별 편차 한계를 극복한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새로이 산출하고, 이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이 반영된 고 신뢰도의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 연산/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좀더 효과적인 선로 노후도 평가/관리/유지보수 절차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의 기재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 및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의 세부적인 수학식 연산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의 기재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 및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의 세부적인 수학식 연산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노후도 정보 관리대상 RLS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릉-운산을 시/종점으로 하는 RLS-Ⅰ>, <운산-단촌을 시/종점으로 하는 RLS-Ⅱ>, <단촌-업동을 시/종점으로 하는 RLS-Ⅲ>를 임의로 상정하기로 하며, 해당 RLS-Ⅰ, RLS-Ⅱ, RLS-Ⅲ 등에 설치된 요소시설로써, 선형, 궤도, 교량, 터널, 노반 등을 임의로 상정하기로 한다(물론, 이러한 각 RLS, 요소시설 등의 개수, 종류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100)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을 매개로 하여,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에 의해 관리되는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Ⅰ, RLS-Ⅱ, RLS-Ⅲ 등의 노후도 정보 관리에 필요한 각종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를 장치(100) 측에 제공하는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과 통신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의 취득 및 저장절차,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산출하는 절차,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절차,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절차 등을 전체적으로 총괄 제어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101)과, 이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4),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105),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107),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모듈(108), RLS별 평가데이터 처리모듈(10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RLS 노후도 관리장치(100)는 상황에 따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의 프로그램 블록 내에 종속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는 서버 급,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을 위시하여, 각종 모바일 기기(예컨대,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등이 상황에 따라 폭 넓게 선택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측에서는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RLS 노후도 정보 관리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의 등록정보,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의 등록정보,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의 등록정보, 통신 세션 연결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 프레임(200)의 생성을 위한 문자/그래픽/폰트/프로그램/설정/링크 정보, RLS별 평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소스정보, RLS별 평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문자/그래픽/폰트/프로그램/설정/링크 정보, RLS별 평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관리자 설정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기능수행을 보조하기 위한 명령어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4) 측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를 전산 조작하여, 이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측으로부터 일련의 프로그램 호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103)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던 운영정보(예컨대, 가이드 프레임(200)의 생성을 위한 문자/그래픽/폰트/프로그램/설정/링크 정보 등)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일련의 가이드 프레임(200)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0)을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측으로 전송/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200)의 전송/제공 상황에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200)에 포함된 각종 메뉴들을 전산 조작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각종 작업(예컨대,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입력하는 작업,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조회하는 작업, RLS별 평가데이터를 조회하는 작업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1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부터 일련의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예컨대, 각 RLS의 시/종점 정보, 각 RLS의 소속선 정보, 각 RLS의 길이정보 등),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이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때,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부터 일련의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예컨대, 각 RLS의 시/종점 정보, 각 RLS의 소속선 정보, 각 RLS의 길이정보 등),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이 전송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105) 측에서는 해당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접수/취득한 후, 접수/취득 완료된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RLS 노후도 정보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에 기재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RLS-Ⅰ, RLS-Ⅱ, RLS-Ⅲ에 설치된 각 요소시설(예컨대, 선형, 궤도, 교량, 터널, 노반)별로 다양한 값을 가지게 된다(물론, 이러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 국내특허출원 제10-2011-135374호를 위시한 다양한 공지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RLS-Ⅰ에 설치된 선형이라고 하는 요소시설은 55.1의 노후도 정규점수를 가지게 되며, RLS-Ⅱ에 설치된 궤도라고 하는 요소시설은 62.1의 노후도 정규점수를 가지게 되고, RLS-Ⅲ에 설치된 교량이라고 하는 요소시설은 25.5의 노후도 정규점수를 가지게 된다(물론, 이러한 각 값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에 기재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역시, 다양한 값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예컨대, 각 RLS-Ⅰ, RLS-Ⅱ, RLS-Ⅲ에 설치된 선형이라고 하는 요소시설은 자신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으로써, 0.024라는 값을, 그리고, 자신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으로써, 0.426이라는 값을 가지게 되며, 다른 예로, 각 RLS-Ⅰ, RLS-Ⅱ, RLS-Ⅲ에 설치된 교량이라고 하는 요소시설은 자신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으로써, 0.068이라는 값을, 그리고, 자신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으로써, 0.581이라는 값을 가지게 된다(물론, 이러한 각 값들 역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다).
이때, 노후도 평가 가중 값은 다수의 평가자(예컨대, 철도 전문가)가 <각 요소시설(즉, 선형, 궤도, 교량, 터널, 노반 등) 중에서, 어떠한 요소시설이 각 RLS의 노후도 측정/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판단한 후, 그에 상응하도록 부여한 가중 값>으로써, 상기 국내특허출원 제10-2011-135374호에는 쌍체비교행렬 등의 방식을 통해, 각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가중 값을 획득/산출하는 과정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0-2011-135374호에 제시된 노후도 평가 가중 값은 해당 평가 가중 값을 제시한 평가자(예컨대, 철도 전문가)에 따라, 그 높고 낮음의 편차가 매우 심한 문제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평가자가 제시한 각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가중 값 중에서, 그 최대 값(즉, 각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최소 값(즉, 각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자료포락 분석모델에 기초한 각종 수학식을 통해 선택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가 획득/저장 관리되는 상황에서,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후술하는 수학식 1 내지 4를 제한조건으로 활용하여, 이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산출하게 되며(도 2 참조), 결국,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의 기능수행이 완료되면,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 <RLS-Ⅱ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노반))>, <RLS-Ⅲ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노반))> 등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획득될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기능 수행 하에서,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우선,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의 판독이 완료되면,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임의의 초기 Wpn(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을 상정한 후, 이 초기 Wpn을 후술하는 수학식 1 내지 4에 대입시켜, 해당 초기 Wpn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 <상기 초기 Wpn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그 값을 점차 증가시키면서, 해당 증가된 값을 수학식 1 내지 4에 재차 대입시키고, 이를 통해, 해당 증가된 Wpn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만족하는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절차>, <상기 Wpn의 반복적인 증가 및 각 수학식 대입을 통해, 각 수학식을 만족하는 최대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을 확정/산출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수학식 1]
{Wp1Yp1+Wp2Yp2+Wp3Yp3+‥‥+WpnYpn≤100}
(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p=1,2,3‥‥n)
[수학식 2]
{Wp1Yq1+Wp2Yq2+Wp3Yq3+‥‥+WpnYqn≤100}
(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수학식 3]
{-Wpn+A·Wp(n+z)≤0}
(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 (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수학식 4]
{Wpn-B·Wp(n+z)≤0}
(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이러한 절차 하에서,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예를 들어,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을 산출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105) 측과 통신을 취하여,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도 3 참조),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도 4 참조),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도 4 참조)를 판독함과 아울러,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노반))을 각기 0.001로 상정한 후, 판독/상정된 각 값. 즉, <RLS-Ⅰ에 설치된 선형/궤도/교량/터널/노반의 노후도 정규점수 55.1/26.9/36.4/52.9/64.7>(도 3 참조), <RLS-Ⅰ에 설치된 선형/궤도/교량/터널/노반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0.024/0.138/0.068/0.034/0.051>(도 4 참조), <RLS-Ⅰ에 설치된 선형/궤도/교량/터널/노반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0.426/0.558/0.0581/0.304/0.420>(도 4 참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 0.001/0.001/0.001/0.001/0.001>을 상기 수학식 1 내지 4에 대입시켜, 해당 초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즉, 0.001/0.001/0.001/0.001/0.001) 등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초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즉, 0.001/0.001/0.001/0.001/0.001) 등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초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즉, 0.001/0.001/0.001/0.001/0.001)을 예컨대, 0.002만큼 증가시킨 후, 해당 증가된 값(예컨대, 0.003/0.003/0.003/0.003/0.003))을 수학식 1 내지 4에 재차 대입시키고, 이를 통해, 그 값(즉, 0.003/0.003/0.003/0.003/0.003)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만족하는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초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의 점진적 증가절차 및 증가된 값의 각 수학식 대입절차가 반복적으로 진행되면,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각 수학식을 만족하는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을 손쉽게 산출/확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각 수학식을 만족하는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 등이 예컨대, 0.066, 0.378, 0.186, 0.093,1.151 등으로 산출/확정되면(도 5 참조),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 측에서는 상술한 절차를 반복하여, <RLS-Ⅱ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노반))>, <RLS-Ⅲ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노반))> 등도 산출/확정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각 RLS에 설치된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확정절차는 상황에 따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 <RLS-Ⅱ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노반))>, <RLS-Ⅲ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노반))> 등이 산출/확정 완료되면, RLS 노후도 정보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107) 측에서는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각 RLS의 요소시설별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각 RLS의 요소시설별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의 판독이 완료되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107) 측에서는 각 RLS의 요소시설별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아래의 수학식 5에 대입하여, 각 RLS, 즉, RLS-Ⅰ, RLS-Ⅱ,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D,D,D)를 산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수학식 5]
{Dp=Wp1Yp1+Wp2Yp2+Wp3Yp3+‥‥+WpiYpn}
(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이러한 절차 하에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107) 측에서는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를 산출하기 위하여,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RLS-Ⅰ에 설치된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RLS-Ⅰ에 설치된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RLS-Ⅰ에 설치된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RLS-Ⅰ에 설치된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인 0.066, 0.378, 0.186, 0.093,1.151 등을 수학식 6(참고로, 이 수학식 6은 수학식 5를 RLS-Ⅰ에 적용한 식임)에 대입함으로써,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를 100으로 산출/확정하게 된다(도 2 참조).
[수학식 6]
{D=WⅠ(선형)YⅠ(선형)+WⅠ(궤도)YⅠ(궤도)+WⅠ(교량)YⅠ(교량)+WⅠ(터널)YⅠ(터널)+WⅠ(노반)YⅠ(노반)}
상술한 절차를 통해,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이 100으로 산출/확정되면(도 5 참조),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107) 측에서는 상술한 절차를 반복하여,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도 산출/확정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각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확정절차 역시, 상황에 따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이 예컨대, 100,100, 60.9 등으로 각기 산출/확정 완료되면, RLS 노후도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107)과 통신을 취하여,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의 판독이 완료되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이 반영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보고정보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최적의 신뢰성을 지닌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보고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물론, 상술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보고정보의 제공시점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등과 같은 각종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자료포락 분석모델에 기초한 각종 수학식을 통해 연산하여, 기존 요소시설별 평가 가중 값의 평가자별 편차 한계를 극복한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새로이 산출하고, 이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이 반영된 고 신뢰도의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 연산/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좀더 효과적인 선로 노후도 평가/관리/유지보수 절차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LS 노후도 관리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는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RLS별 평가데이터 처리모듈(109)이 추가 배치된다.
이때, RLS별 평가데이터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하여,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부터 일련의 RLS별 평가데이터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도 2 참조).
이 상황에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부터 일련의 RLS별 평가데이터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달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RLS별 평가데이터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그 즉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107)과 통신을 취하여,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의 판독이 완료되면, RLS별 평가데이터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이 반영된 각종 분석정보(예컨대, 각 RLS별 노후도 순위 분석/평가정보, 각 RLS별 노후도 사후관리 추천정보, 각 RLS의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 등)(이러한 분석정보는 예컨대, 영상, 표, 그래프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를 생성하고, 이 분석정보(예컨대, 각 RLS별 노후도 순위 분석/평가정보, 각 RLS별 노후도 사후관리 추천정보, 각 RLS의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 등)와,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정보가 함께 기재된 RLS별 평가데이터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각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정보는 물론, 자신에게 필요한 RLS별 분석정보(예컨대, 각 RLS별 노후도 순위 분석/평가정보, 각 RLS별 노후도 사후관리 추천정보, 각 RLS의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 등)까지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300)는 인터페이스 모듈(302), 유/무선 온라인망(10)을 매개로 하여,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에 의해 관리되는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Ⅰ, RLS-Ⅱ, RLS-Ⅲ 등의 노후도 정보 관리에 필요한 각종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를 장치(300) 측에 제공하는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과 통신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의 취득 및 저장절차,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산출하는 절차,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절차,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절차 등을 전체적으로 총괄 제어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301)과, 이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30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303),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304),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305),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307),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모듈(308), RLS별 평가데이터 처리모듈(30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이하에서는 앞의 실시 예와 그 기능이 유사/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 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RLS 노후도 관리장치(300)는 상황에 따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의 프로그램 블록 내에 종속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여도 무방하다.
참고로,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앞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수학식 1에 제시되어 있던 제한조건을 배제한 상태에서,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등을 산출/확정함으로써, 앞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노후도 점수가 최고점(예컨대, 100점)을 가지는 RLS가 복수개 나오지 않도록 조절하게 된다.
우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3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302), 유/무선 온라인망(10) 등을 매개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부터 일련의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예컨대, 각 RLS의 시/종점 정보, 각 RLS의 소속선 정보, 각 RLS의 길이정보 등),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이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도 8 참조).
이때,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부터 일련의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예컨대, 각 RLS의 시/종점 정보, 각 RLS의 소속선 정보, 각 RLS의 길이정보 등),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이 전송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305) 측에서는 해당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접수/취득한 후, 접수/취득 완료된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RLS 노후도 정보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에도,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에 기재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RLS-Ⅰ, RLS-Ⅱ, RLS-Ⅲ에 설치된 각 요소시설(예컨대, 선형, 궤도, 교량, 터널, 노반)별로 다양한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에 기재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역시, 다양한 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가 획득/저장 관리되는 상황에서,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 측에서는 후술하는 수학식 7 내지 9를 제한조건으로 활용하여, 이 수학식 7 내지 수학식 9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산출하게 되며(도 8 참조), 결국,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의 기능수행이 완료되면,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 <RLS-Ⅱ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노반))>, <RLS-Ⅲ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노반))> 등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획득될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
이러한 기능 수행 하에서,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 측에서는 우선,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3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예컨대, 각 RLS의 등록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 등)의 판독이 완료되면,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 측에서는 <임의의 초기 Wpn(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을 상정한 후, 이 초기 Wpn을 후술하는 수학식 7 내지 9에 대입시켜, 해당 초기 Wpn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 <상기 초기 Wpn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그 값을 점차 증가시키면서, 해당 증가된 값을 수학식 7 내지 9에 재차 대입시키고, 이를 통해, 해당 증가된 Wpn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만족하는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절차>, <상기 Wpn의 반복적인 증가 및 각 수학식 대입을 통해, 각 수학식을 만족하는 최대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을 확정/산출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수학식 7]
{Wp1Yq1+Wp2Yq2+Wp3Yq3+‥‥+WpnYqn≤100}
(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수학식 8]
{-Wpn+A·Wp(n+z)≤0}
(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수학식 9]
{Wpn-B·Wp (n+z)≤0}
(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이러한 절차 하에서,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 측에서는 예를 들어,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을 산출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305) 측과 통신을 취하여,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정보(도 9 참조),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정보(도 10 참조),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정보(도 10 참조)를 판독함과 아울러,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초기 노후도 평가 가중 값(WⅠ(노반))을 각기 0.001로 상정한 후, 판독/상정된 각 값. 즉, <RLS-Ⅰ에 설치된 선형/궤도/교량/터널/노반의 노후도 정규점수 55.1/26.9/36.4/52.9/64.7>(도 9 참조), <RLS-Ⅰ에 설치된 선형/궤도/교량/터널/노반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0.024/0.138/0.068/0.034/0.051>(도 10 참조), <RLS-Ⅰ에 설치된 선형/궤도/교량/터널/노반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0.426/0.558/0.0581/0.304/0.420>(도 10 참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 0.001/0.001/0.001/0.001/0.001>을 상기 수학식 7 내지 9에 대입시켜, 해당 초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즉, 0.001/0.001/0.001/0.001/0.001) 등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초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즉, 0.001/0.001/0.001/0.001/0.001) 등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 측에서는 초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즉, 0.001/0.001/0.001/0.001/0.001)을 예컨대, 0.002만큼 증가시킨 후, 해당 증가된 값(예컨대, 0.003/0.003/0.003/0.003/0.003))을 수학식 1 내지 4에 재차 대입시키고, 이를 통해, 그 값(즉, 0.003/0.003/0.003/0.003/0.003)이 각 수학식에 제시된 제한조건을 만족하는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초기 WⅠ(선형)/WⅠ(궤도)/WⅠ(교량)/WⅠ(터널)/WⅠ(노반)의 점진적 증가절차 및 증가된 값의 각 수학식 대입절차가 반복적으로 진행되면,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 측에서는 각 수학식을 만족하는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을 손쉽게 산출/확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각 수학식을 만족하는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 등이 예컨대, 1.629, 0.528, 0.259, 0.130, 1.606 등으로 산출/확정되면(도 11 참조),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 측에서는 상술한 절차를 반복하여, <RLS-Ⅱ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노반))>, <RLS-Ⅲ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노반))> 등도 산출/확정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각 RLS에 설치된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확정절차는 상황에 따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 <RLS-Ⅱ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Ⅱ(노반))>, <RLS-Ⅲ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선형)),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궤도)),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교량)),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터널)),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Ⅲ(노반))> 등이 산출/확정 완료되면, RLS 노후도 정보 관리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307) 측에서는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306)과 통신을 취하여, 각 RLS의 요소시설별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각 RLS의 요소시설별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의 판독이 완료되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307) 측에서는 각 RLS의 요소시설별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아래의 수학식 5에 대입하여, 각 RLS, 즉, RLS-Ⅰ, RLS-Ⅱ,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D,D,D)를 산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8 참조).
[수학식 10]
{Dp=Wp1Yp1+Wp2Yp2+Wp3Yp3+‥‥+WpiYpn}
(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이러한 절차 하에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307) 측에서는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를 산출하기 위하여, <RLS-Ⅰ에 설치된 선형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선형))>, <RLS-Ⅰ에 설치된 궤도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궤도))>, <RLS-Ⅰ에 설치된 교량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교량))>, <RLS-Ⅰ에 설치된 터널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터널))>, <RLS-Ⅰ에 설치된 노반에 상응하는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WⅠ(노반))>인 1.629, 0.528, 0.259, 0.130, 1.606 등을 수학식 11(참고로, 이 수학식 11은 수학식 10을 RLS-Ⅰ에 적용한 식임)에 대입함으로써,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를 224.2로 산출/확정하게 된다(도 8 참조).
[수학식 11]
{D=WⅠ(선형)YⅠ(선형)+WⅠ(궤도)YⅠ(궤도)+WⅠ(교량)YⅠ(교량)+WⅠ(터널)YⅠ(터널)+WⅠ(노반)YⅠ(노반)}
상술한 절차를 통해,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이 100으로 산출/확정되면(도 11 참조),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307) 측에서는 상술한 절차를 반복하여,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도 산출/확정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각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확정절차 역시, 상황에 따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이 예컨대, 224.2, 160.1, 60.9 등으로 각기 산출/확정 완료되면, RLS 노후도 관리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모듈(308) 측에서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307)과 통신을 취하여,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의 판독이 완료되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모듈(308)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S-Ⅰ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Ⅱ의 최대 노후도 점수 D, RLS-Ⅲ의 최대 노후도 점수 D등이 반영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보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보고정보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1),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2) 등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최적의 신뢰성을 지닌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보고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물론, 상술한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보고정보의 제공시점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등과 같은 각종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를 자료포락 분석모델에 기초한 각종 수학식을 통해 연산하여, 기존 요소시설별 평가 가중 값의 평가자별 편차 한계를 극복한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새로이 산출하고, 이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이 반영된 고 신뢰도의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 연산/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좀더 효과적인 선로 노후도 평가/관리/유지보수 절차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각 실시에 따른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100,300)는 <소속 전산모듈들이 그 기능에 따라, 클라이언트 및 서버 측에 나뉘어 설치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기존 요소시설별 평가 가중 값의 평가자별 편차 한계를 극복한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새로이 산출하고, 이 요소시설별 평가 최대 가중 값이 반영된 고 신뢰도의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 연산/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좀더 효과적인 선로 노후도 평가/관리/유지보수 절차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교통시설의 노후도 관리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
2: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
10: 유/무선 온라인망 100,300: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101,301: RLS 노후도 정보 관리 제어모듈
102,302: 인터페이스 모듈 103,303: 운영정보 저장모듈
104,304: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
105,305: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처리모듈
106,306: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
107,307: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
108,308: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모듈
109,309: RLS별 평가데이터 처리모듈 200: 가이드 프레임

Claims (6)

  1.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수학식 {Wp1Yp1+Wp2Yp2+Wp3Yp3+‥‥+WpnYp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p=1,2,3‥‥n), {Wp1Yq1+Wp2Yq2+Wp3Yq3+‥‥+WpnYq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Wpn+A·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Wpn-B·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에 대입하여, 각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산출하는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과;
    상기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Wpi(여기서, i=1,2,3‥‥n)를 판독한 후, 판독된 Wpi(여기서, i=1,2,3‥‥n)를 수학식{Dp=Wp1Yp1+Wp2Yp2+Wp3Yp3+‥‥+WpiYpn}(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에 대입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산출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2.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수학식 {Wp1Yq1+Wp2Yq2+Wp3Yq3+‥‥+WpnYq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Wpn+A·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Wpn-B·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에 대입하여, 각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산출하는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과;
    상기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산출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Wpi(여기서, i=1,2,3‥‥n)를 판독한 후, 판독된 Wpi(여기서, i=1,2,3‥‥n)를 수학식{Dp=Wp1Yp1+Wp2Yp2+Wp3Yp3+‥‥+WpiYpn}(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에 대입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산출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 또는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과 통신하며, 상기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과 통신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판독한 후, 판독된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상기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 또는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로 전송하는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 또는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과 통신하며, 상기 RLS별 최대 노후도 점수 산출모듈과 통신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판독한 후, 판독된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에 상응하는 분석정보가 추가 기재된 RLS별 평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LS별 평가데이터를 상기 RLS 노후도 관리담당자 정보처리장치 또는 RLS 노후도 관리 기반정보 제공터미널로 전송하는 RLS별 평가데이터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5.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수학식 {Wp1Yp1+Wp2Yp2+Wp3Yp3+‥‥+WpnYp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p=1,2,3‥‥n), {Wp1Yq1+Wp2Yq2+Wp3Yq3+‥‥+WpnYq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Wpn+A·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Wpn-B·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에 대입하여, 각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Wpi(여기서, i=1,2,3‥‥n)를 수학식{Dp=Wp1Yp1+Wp2Yp2+Wp3Yp3+‥‥+WpiYpn}(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에 대입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방법.
  6. 철도선로구간(RLS; Railway Line Segment)의 노후도 정보를 관리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정규점수,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및 각 RLS의 요소시설별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을 수학식 {Wp1Yq1+Wp2Yq2+Wp3Yq3+‥‥+WpnYqn≤10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Yqn은 p번째 RLS의 동료평가대상인 q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 q=1,2,3‥‥n), {-Wpn+A·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A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 {Wpn-B·Wp(n+z)≤0}(여기서, W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B는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소 가중 값>, Wp(n+z)은 p번째 RLS에 속한 n+z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가중 값, z=1,2,3‥‥n)에 대입하여, 각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Wpi(여기서, Wpi는 p번째 RLS에 속한 i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i=1,2,3‥‥n)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Wpi(여기서, i=1,2,3‥‥n)를 수학식{Dp=Wp1Yp1+Wp2Yp2+Wp3Yp3+‥‥+WpiYpn}(여기서, Dp는 p번째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 Wpi은 p번째 RLS에 속한 1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평가 최대 가중 값, Ypn은 p번째 RLS에 속한 n번째 요소시설의 노후도 정규점수)에 대입하여, 각 RLS의 최대 노후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S 노후도 정보 관리방법.
KR1020120142011A 2012-12-07 2012-12-07 철도선로구간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10131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11A KR101316728B1 (ko) 2012-12-07 2012-12-07 철도선로구간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11A KR101316728B1 (ko) 2012-12-07 2012-12-07 철도선로구간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728B1 true KR101316728B1 (ko) 2013-10-10

Family

ID=4963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011A KR101316728B1 (ko) 2012-12-07 2012-12-07 철도선로구간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9840A (zh) * 2019-09-29 2020-01-07 北京市市政工程研究院 一种既有轨道交通结构安全状况的动态评估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722A (ko) * 2011-12-15 2013-07-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로 노후도 평가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722A (ko) * 2011-12-15 2013-07-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로 노후도 평가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9840A (zh) * 2019-09-29 2020-01-07 北京市市政工程研究院 一种既有轨道交通结构安全状况的动态评估系统
CN110659840B (zh) * 2019-09-29 2022-10-21 北京市市政工程研究院 一种既有轨道交通结构安全状况的动态评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 Brömmelstroet Equip the warrior instead of manning the equipment: Land use and transport planning support in the Netherlands
Abdul-Rahman et al. Implementation of risk management in malaysian construction industry: case studies
Castillo et al. Implementing lean production in copper mining development projects: Case study
RU2476930C1 (ru)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сети связи
Membah et al. Estimating cost for transportation tunnel projec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20230169217A (ko) 전략적 선로 및 유지 관리 계획 검사 시스템 및 방법
Galvis Arce et al. Skid resistance deterioration model at the network level using Markov chains
US20220114529A1 (en) Training and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mdanat et al. A framework for integrating Takt planning, last planner system and labor tracking
Bestelmeyer et al. Collaborative approaches to strengthen the role of science in rangeland conservation
Mirzaei et al. Investigation of the use of three existing methodologies to determine optimal life-cycle activity profiles for bridges
KR101316728B1 (ko) 철도선로구간 노후도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CN112613109A (zh) 基于web实时造型的铁路BIM系统的施工进度与成本管理方法及装置
Boğ et al. Iterative algorithms for the curfew planning problem
Farinha et al. Knowledge-based systems in civil engineering: Three case studies
Ramadan et al. Impact of Crew Diversity on Worker Information Access and Performance
Tien et al. Time series data recovery in SHM of large-scale bridges: Leveraging GAN and Bi-LSTM networks
US20220004673A1 (en) Building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Zeynalian et al. Choice of optimum combination of construction machinery using modified advanced programmatic risk analysis and management model
Levy et al. Early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hip fractures: spreading change across the system
Resende et al. Post-Project Evaluation and Lessons Learned
Tanasić et al. Decision support framework for terrestri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Resilience approach
Trindade et al. The impact of digitalisation in asset-intensive organisations
Alliance MHA
Neves et al. Cost of reliability improvement and deterioration delay of maintained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