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13B1 -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213B1
KR101315213B1 KR1020060133142A KR20060133142A KR101315213B1 KR 101315213 B1 KR101315213 B1 KR 101315213B1 KR 1020060133142 A KR1020060133142 A KR 1020060133142A KR 20060133142 A KR20060133142 A KR 20060133142A KR 101315213 B1 KR101315213 B1 KR 101315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im
sim car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924A (ko
Inventor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UIM/SIM 카드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UIM/SIM카드 소켓; 및 일단은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UIM/SIM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UIM/SIM카드 장치를 둘 필요가 없게 되어 그만큼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되며, UIM/SIM 카드를 교체하거나 빼내기 위하여 먼저 배터리를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이 용이하다.
단말기, UIM, SIM, 핸드폰, 휴대폰

Description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UIM/SIM CARD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ABLE THERETO}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UIM/SIM 카드 장착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배터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에 착탈되는 UIM/SIM카드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UIM/SIM카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UIM/SIM카드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에 착탈되는 UIM/SIM카드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도 5의 UIM/SIM카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UIM/SIM카드 장치
21: 바디 22: 커넥터
23: 연결단자 24: 회전몸체
25: 나선 스프링 26: 회로기판
30: UIM/SIM 카드 31: UIM/SIM 카드소켓
40: 루프 안테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UIM/SIM 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직접 꽂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둠으로써 단말기의 슬림화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UIM/SIM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UIM/SIM 카드는 사용자의 인증, 과금, 보안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를 저장한 카드 형태의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이나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 방식 등 이동 전화 기술 규격에 관계없이 어느 지역에서나 자신의 전화번호로 자유롭게 이동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과, SIM을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한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을 포함한 개념(이하, 'UIM/SIM 카드'라 함)으로서, UIM/SIM 카드는 가입자 정보, 인증, 보안, 로밍 모듈 및 단말기 제어 명령 등을 저장하고 있다.
지불 방식의 스마트 카드는 사용자 인증은 물론 각종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지불 정보를 탑재함으로써, 지불 사고 방지뿐만 아니라 신용 카드나 전자 화폐, 휴대폰 번호 등의 지불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UIM/SIM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UIM/SIM 카드를 수용하기 위해서 UIM/SIM 카드의 수용공간을 갖춘 UIM/SIM 카드 소켓 장치를 단말기에 두고 있다. 도 1에서는 그러한 종래 기술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UIM/SIM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5)는 배터리(4)를 장착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2)의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 장착면(3)에 위치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면(3)에는 적어도 UIM/SIM 카드(6)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갖는 카드 수용홈(7)이 형성되어 있다. 카드 수용홈(7)의 바닥에는 복수개의 단자(9a)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본체(2)의 내부의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단자판(9)이 장착되어 있다. 카드 수용홈(7)의 양측단에는 수용된 UIM/SIM 카드(6)가 이탈되지 않도록 홀더(8)가 설치되어 있다.
UIM/SIM 카드(6)를 단말기 본체(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배터리(4)를 단말기 본체(2)로부터 분리시키고, UIM/SIM 카드(6)를 카드 수용홈(7)에 수납시켜 플러그-인한 다음, 배터리(4)를 단말기 본체(2)에 고정한다. 반대로 UIM/SIM 카드(6)를 교체하거나 빼내기 위해서는 배터리(4)를 단말기 본체(2)로부터 분리시키고, UIM/SIM 카드(6)를 카드 수용홈(7)로부터 빼내어 플러그-아웃한 다음, 새로운 UIM/SIM 카드를 플러그-인하고 배터리(4)를 단말기 본체(2)에 고정한다. 따라서, 배터리(4)를 먼저 빼내고 나중에 장착하는 과정이 따르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예상된다.
더욱이, UIM/SIM 카드 장치(5) 자체가 갖는 두께가 단말기 본체(2) 내에 마 련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슬림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발하는데 제약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뱅킹 서비스를 내장하는 것은 단말기에서는 원하지 않는 부품적용을 가져오게 되어 불필요한 비용상승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UIM/SIM 카드의 착탈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을 근본적으로 줄여 단말기의 경량화 및 슬림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UIM/SIM 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이 편리한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UIM/SIM카드 소켓; 일단은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UIM/SIM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카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되는 부분이 상기 바디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 치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되기 위한 다수의 핀을 갖는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몸체는 상기 바디에 나선 형태의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단자가 상기 바디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몸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바디는 이어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연결잭(jack)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연결잭 사이의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바디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컨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UIM/SIM카드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는 루프(loop)안테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상기 바디의 전후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UIM/SIM카드 장치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접속부 및, 상기 UIM/SIM카드 장치에 수납된 UIM/SIM 카드의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에 착탈되는 UIM/SIM카드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일측에 UIM/SIM 카드 장치(20)가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18)가 마련된 형태로 되어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UIM/SIM 카드 장치(20)가 접속부(18)에 접속되어 있을 때 UIM/SIM카드 장치(20)에 삽입된 UIM/SIM 카드(30)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면에는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 입력을 위한 키패드 장치(12), 사운드 출력을 위한 스피커 장치(13) 및, 음성 송신을 위한 마이크 장치(1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후면에는 배터리(15)가 구비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의 UIM/SIM 카드 장치(20)를 사용하는 경우 UIM/SIM 카드(30)를 장착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배터리(15)를 먼저 빼낼 필요는 없다.
즉, UIM/SIM 카드 장치(20)는 UIM/SIM 카드(30)를 직접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외부에서 연결단자(23)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단자(23)는 UIM/SIM카드 장치(20)로부터 연결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UIM/SIM 카드(30)를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하여 사용할지 여부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별도로 착탈되는 UIM/SIM 카드 장치(30)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 자체에 직접 UIM/SIM 카드 장치(30)를 둘 필요가 없어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경량화 및 슬림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UIM/SIM카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UIM/SIM카드 장치(20)는 상부하우징(21a)과 하부하우징(21b)을 포함하는 바디(21)를 구비하고 있으며, 바디(21)의 내부에는 UIM/SIM 카드(30)가 착탈되는 UIM/SIM 카드 소켓(31)이 구비된다.
UIM/SIM 카드 소켓(31)은 바디(21)의 내부에 고정되는 회로기판(26)에 고정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UIM/SIM 카드 소켓(31)은 UIM/SIM 카드(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 형태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IM/SIM 카드(30)를 장착하기 위한 동작이 간결하고 편리하다.
UIM/SIM카드 장치(20)의 일측에는 위에서 설명한 연결단자(23)가 포함된 커넥터(22)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22)는 일단은 바디(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UIM/SIM카드(30)와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이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커넥터(22)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착탈되는 부분이 바디(21)에 수납될 수 있도록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커넥터(22)는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24)를 구비한다. 회전몸체(2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하우징(21a)에는 샤프트(28)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단자(23)는 회전몸체(24)의 외주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접속부(18)에 착탈되기 위한 다수의 핀(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갖추고 있다.
회전몸체(24)는 바디(21)에 나선 형태의 스프링(25)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스프링(25)의 일단은 회전몸체(24)에 고정되어 회전몸체(24)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부하우징(21a)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5a)에 걸림됨으로써 회전몸체(24)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회전몸체(24)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5)은 연결단자(23)가 바디(21)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전몸체(24)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회전몸체(24)의 외주에는 회전몸체(24)를 회전시켜 연결단자(23)를 바디(21)의 내부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24a)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26)의 가장자리에는 UIM/SIM카드(30)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는 루프(loop)안테나(40)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루프 안테나(40)는 바디(21)의 가장자리에 위치됨으로써 바디(21)의 전후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루프 안테나(40)는 대략 13.56MHz의 대역에서 버스나 편의점 또는 각종 장소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와 교신하여 UIM/SIM 카드(30)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루프 안테나(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RFID(Radio Frequency IDendifcation)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UIM/SIM카드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UIM/SIM 카드(30)를 장착한 상태에서 커넥터(22)를 회전시키면 수납되어 있던 연결단자(23)가 회전하면서 스프링(24)가 감겨진 상태가 된다.
노출된 연결단자(23)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꽂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하여금 UIM/SIM 카드(30)의 정보를 불러들이도록 하여 외부 단말장치와 교신 준비를 한다.
사용자가 외부 단말장치에 근접시키면 루프 안테나(40)는 무선적으로 사용자의 UIM/SIM 카드(30)의 식별정보를 외부 단말장치에 전송하고, 외부 단말장치는 가입자 정보를 받아서 모바일 뱅킹 업무 등을 하도록 한다.
도 4b에서 보는 것과 같이, UIM/SIM 카드 장치(20)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제거하면 커넥터(22)는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하여 연결단자(23)를 수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UIM/SIM카드 장치(20)의 미사용시 연결단자(23)를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에 착탈되는 UIM/SIM카드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도 5의 UIM/SIM카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UIM/SIM카드 장치(120)는 이어폰(200)의 플러그(201)가 접속되는 연결잭(jack)(17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일측면에 이어폰(200)에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리모컨 장치(160)가 구비되어 있다.
UIM/SIM카드 장치(120)가 이어폰(200)과 연결됨에 따라 커넥터(122)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연결잭(170) 사이의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연결라인(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도 6에 의하면, 리모컨 장치(160)는 상부 하우징(121a)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키버튼(161)과 키버튼(161)을 지지하는 기판(162)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162)의 가장자리에는 루프 안테나(140)가 위치됨으로써, 커넥터(122)와 연결잭(170)에 영향을 받지 않고 UIM/SIM카드 장치(120)의 전후 양방향 교신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타의 구성이나 부품에 대하여는 앞의 실시예와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외부 장치에 UIM/SIM카드 장치(120)와 이어폰(200)을 위한 연결잭(170) 및 리모컨 장치(160)를 복합시킴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부가되는 단품의 수를 줄이고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IM/SIM 카드 장치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것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UIM/SIM카드 장 치를 둘 필요가 없게 되어 그만큼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되며, UIM/SIM 카드를 교체하거나 빼내기 위하여 먼저 배터리를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UIM/SIM카드 장치에 RFID를 위한 루프 안테나를 장착하거나 이어폰을 연결하고 제어하는 리모컨 장치를 둠으로써 단품의 수를 줄여 효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UIM/SIM카드 소켓; 및
    일단은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UIM/SIM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되기 위한 다수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의 사용시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며, 미사용시 보호되도록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의 내부로 수납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회전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에 따라 감기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수납 방향으로 상기 회전몸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나선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카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UIM/SIM카드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는 루프(loop)안테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카드 장치.
  9. 삭제
  10. 제1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UIM/SIM카드 장치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접속부 및, 상기 UIM/SIM카드 장치에 수납된 UIM/SIM 카드의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33142A 2006-12-22 2006-12-22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315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42A KR101315213B1 (ko) 2006-12-22 2006-12-22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42A KR101315213B1 (ko) 2006-12-22 2006-12-22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924A KR20080058924A (ko) 2008-06-26
KR101315213B1 true KR101315213B1 (ko) 2013-10-08

Family

ID=3980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142A KR101315213B1 (ko) 2006-12-22 2006-12-22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96B1 (ko) * 2008-08-27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정보 보호 방법
US9203834B2 (en) 2013-03-14 2015-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identific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355A (ja) * 2003-11-19 2005-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Uimアダプタ
KR100620007B1 (ko) * 2005-06-16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355A (ja) * 2003-11-19 2005-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Uimアダプタ
KR100620007B1 (ko) * 2005-06-16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924A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7290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dapters
TW469744B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ellular telephone system
KR101427260B1 (ko) 밴드형 휴대 단말기
US8150485B2 (en) Casing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460594B1 (en) A device for transparent interaction between an IC card and a remote terminal
US20090243944A1 (en) Portable terminal
US20090017881A1 (en) Storage and activation of mobile phone components
US20080161051A1 (en) Module for Data Transmission and Peripheral Device for Holding the Module
JP2003515304A (ja) 可変機能を有する電子システム
DK1925170T3 (en) Mobile telephony communication system to reduce the effects of radiation from mobile telephone antennas
WO2008082939A1 (en)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headset
WO2005053289A1 (en) Accessory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299440A (zh) 移动终端的电池连接器
JP2001236138A (ja) 通信端末装置
US5745579A (en) Cellular telephone security adapter and method
KR101315213B1 (ko) Uim/sim 카드 장치 및 그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800767B1 (ko) 착탈식 보조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락킹장치
KR100777864B1 (ko) 휴대용 정보 단말 및 휴대용 정보 단말 제어 방법
JP4093052B2 (ja) 組み立てオプション付携帯電話機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1512042B1 (ko) 휴대단말기
US20090294308A1 (en) Prot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000533A (ko) 휴대 단말기
JP3591589B2 (ja) 回動式アンテナによる通信用コネクタ保護方式及びカード型デバイス
JP2016213626A (ja) 機能拡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