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731B1 -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 Google Patents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731B1
KR101314731B1 KR1020120126511A KR20120126511A KR101314731B1 KR 101314731 B1 KR101314731 B1 KR 101314731B1 KR 1020120126511 A KR1020120126511 A KR 1020120126511A KR 20120126511 A KR20120126511 A KR 20120126511A KR 101314731 B1 KR101314731 B1 KR 10131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der
texture
beam projector
blend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원
Original Assignee
(주) 지쓰리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쓰리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 지쓰리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2012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7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4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cameras or projectors providing touch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edge blending process based on multiple beam projectors are provided to naturally implement the edge blending process with an identical software-based effect on exhibition without expensive edge blending hardware equipment. CONSTITUTION: 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edge blending process based on multiple beam projectors includes a content creating module (20), a content viewer module (30), and a blending manager module (40). The content creating module determines the number of screens implemented by a group of the beam projectors. The content creating module registers contents implemented per the number of the screens, thereby storing the contents in a storage medium (50). The content viewer module implements the contents, which are registered on the screens divided with the determined number, with an output medium (60) according to a multi-render-to-texture rendering method. The blending manager module generates edge control points for regions overlapped on the implemented screens, automatically moves the neighboring screens on the basis of the respective edge control points, and then stores a position control value in the storage medium. [Reference numerals] (10-1) Virtual render-to-texture camera 1; (10-n) Virtual render-to-texture camera n; (20) Content manufacturing module; (30) Content viewer module; (40) Blending manager module; (50) Storage medium; (60) Output medium; (70-1)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1; (70-n)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Description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및 에지 블렌딩 방법{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본 발명은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및 에지 블렌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전시회나 전시공간에서 큰 화면에 콘텐츠를 표현할 경우에 발생하는 프로젝터 화면 간의 경계부분에서 투영 영사체가 겹쳐서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터 사용시 투영간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한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및 에지 블렌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ge blending system and an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a multi-beam projector. More specifically, the boundary between projector screens generated when expressing content on a large screen in an exhibition or exhibition space using multiple project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system and an edge blending method for natural connection between projections when using a projector to solve the problem of overlapping projection projections.

전시회에서 보통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비용상의 이유로 LCD가 아닌 2개 이상의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큰 화면을 보여주게 된다. 이러한 빔 프로젝터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것이 바로 빔프로젝트 간의 접하는 부분에서 겹침이 생기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빔프로젝터 에지 블렌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빔프로젝터를 이용하여 가로가 아주 긴 영상을 표현하려면 빔프로젝터를 여러 대를 연결해야 하므로, 빔프로젝터가 중첩되는 부분은 화면의 명도가 밝아져 빔프로젝터가 여러 대로 연결되었다는 것이 표시가 난다. 이 부분을 빔프로젝터 내에 있는 밝기에 해당하는 명도를 낮추고 색깔을 하나로 맞추기 위한 기술을 에지 블렌딩(Edge Blending) 이라고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realize a large screen at an exhibition, a large screen is displayed by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instead of LCD for cost reasons. What happens in the use of such a beam projector is that there is overlap i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beam projects. To solve this problem, referring to FIG. 1, the beam projector edge blending is describ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express an extremely long image using the beam projector, it is necessary to connect several beam projectors. Therefore, the overlapping part of the beam projectors becomes brighter, indicating that the beam projectors are connected in multiple ways. This technique is called edge blending to reduce brightness and match colors to the brightness within the beam projector.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장비가 있으나 이는 너무 고가이고 전시 공간의 상황에 따라 빔프로젝터의 위치가 수평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영상의 겹치는 부분을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There is equipment that handles these functions in hardware, but if it is too expensive and the position of the beam projector is difficult to keep horizontal due to the situation of exhibition space, it is impossible to process overlapping parts of the image.

즉, 이러한 겹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접하는 경계면(edge)을 하드웨어적으로 블렌딩하여 주는 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당히 고가의 장비이므로 보통 사용을 하지 않고 못하고 있다. 또한 보정을 하더라도 빔프로젝터의 개수에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move such overlap, the equipment which blends the edges of the contact with hardware is used. However, since the equipment is quite expensive, it is not normally used. In addition, even if correction is made, the number of beam projectors is limited.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다중화면 영상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the multi screen)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65812호)1.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the multi screen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65812)

2. 다중빔 평면 어레이 IR 분광기(SIMULTANEOUS MULTI-BEAM PLANAR ARRAY IR(PAIR)SPECTROSCOPY) (특허출원번호 제10-2004-7004749호)
2. Multi-beam flat array IR spectroscopy (SIMULTANEOUS MULTI-BEAM PLANAR ARRAY IR (PAIR) SPECTROSCOPY) (Patent Application No. 10-2004-700474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다수의 빔프로젝터에 대하여 에지 블렌딩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고 빔프로젝터의 개수에 관계없이 그리고 전시 공간상의 빔프로젝터의 공간 배치의 위치에 대한 제약 없이 고가의 하드웨어 장비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에지 블렌딩을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및 에지 블렌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oes not process edge blending for a plurality of beam projectors in hardware, and does not restrict the position of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beam projectors in the exhibition spac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eam projecto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system and an edge blending method for implementing edge blending in software without expensive hardware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접하는 부분을 보정하여 줌으로써, 시스템 내에 프로그램을 설치만 하면 되어 구현을 위한 비용을 낮추고 빔프로젝터의 개수에 관계없이 빔프로젝터 화면 간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및 에지 블렌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rrecting the software-facing part, it is only necessary to install a program in the system to reduce the cost for implementation and to perform a natural connection between the beam projector screen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beam projectors An edge blending system and an edge blending method are provide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은, 빔프로젝터 그룹으로 구현하기 위한 화면 개수 설정 및 화면 개수 별로 구현되는 콘텐츠 등록에 의한 저장매체로의 저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제작 모듈;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 방식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화면 개수로 구분된 화면상에 등록된 콘텐츠를 출력매체로 구현하는 콘텐츠 뷰어 모듈; 및 상기 구현된 화면상에서 오버랩되는 영역에 대한 에지 컨트롤 포인트(Edge Control Point: ECP)를 생성한 뒤, 자동으로 각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중심으로 인접한 화면에 대한 위치 이동을 수행한 뒤, 위치 조절 값을 상기 저장매체 상으로 저장하는 블렌딩 매니저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tore the storage medium by setting the number of screens for realizing the beam projector group and registering the contents implemented by the number of screens. A content creation module to perform; A content viewer module that implements, as an output medium, content registered on a screen divided by the set number of screens according to a multi-render to texture rendering method; And after generating an edge control point (ECP) for an overlapping area on the implemented screen, automatically moving the position of an adjacent screen around each edge control point (ECP), and then A blending manager module for storing an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렌딩 매니저 모듈은, 상기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기초로 위치 이동된 두 개의 화면에 대한 명도 조절을 수행한 뒤, 명도 조절 값을 상기 저장매체 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a multi-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ending manager module performs brightness adjustment on two screens which are moved based on the edge control point (ECP). The brightness control value is stored on the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상기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 별로의 위치 조절 값 및 명도 조절 값에 의해 상기 빔프로젝터 그룹에 해당하는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 내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상기 설정되는 화면 개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projector group is controlled by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e position adjustment value for each edge control point (ECP), and the brightness adjustment value. The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1 to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n is the number of screens set as two or more natural numb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은, 상기 콘텐츠 제작 모듈에 의해 설정되는 가상 렌더 투 텍스처용 렌더링용 카메라1 내지 가상 렌더 투 텍스처용 렌더링용 카메라n은 사용하여 빔프로젝트의 추가된 개수 별로 별도의 렌더투 텍스처 화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render to texture rendering is a rendering camera 1 to virtual render to texture for the virtual render to texture set by the content creation module. The rendering camera n is used to set a separate render-to-texture screen for each added number of beam project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방법은, 콘텐츠 제작 모듈이 빔프로젝터 그룹으로 구현하기 위한 화면 개수 설정 및 화면 개수 별로 구현되는 콘텐츠 등록에 의한 저장매체로의 저장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콘텐츠 뷰어 모듈이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 방식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화면 개수로 구분된 화면상에 등록된 콘텐츠를 출력매체로 구현하는 제 2 단계; 블렌딩 매니저 모듈이 상기 구현된 화면상에서 오버랩되는 영역에 대한 에지 컨트롤 포인트(Edge Control Point: ECP)를 생성한 뒤, 자동으로 각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중심으로 인접한 화면에 대한 위치 이동을 수행한 뒤, 위치 조절 값을 상기 저장매체 상으로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블렌딩 매니저 모듈이 상기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기초로 위치 이동된 두 개의 화면에 대한 명도 조절을 수행한 뒤, 명도 조절 값을 상기 저장매체 상으로 저장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medium by setting a number of screens for content creation module to implement as a beam projector group and registering a content for each screen number. A first step of performing storage in the furnace; A second step of the content viewer module implementing content registered on a screen divided by the set number of screens as an output medium according to a multi-render to texture rendering method; After the blending manager module generates an edge control point (ECP) for an overlapping area on the implemented screen, the blending manager module automatically performs a position shift with respect to an adjacent screen around each edge control point (ECP). Thereafter, storing a position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by the blending manager module, the brightness adjustment on two screens which are moved based on the edge control point (ECP), and storing the brightness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빔프로젝터 그룹은, 가상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 내지 가상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으로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상기 설정되는 화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projector group of the first step is a virtual render to texture beam projector 1 to virtual render to texture beam projector n "n" is 2 The above-described natural nu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screen is s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및 에지 블렌딩 방법은, 여러 개의 빔프로젝트를 사용하여 큰 화면을 구현하고자 하는 전시 연출에서 고가의 에지 블렌딩 하드웨어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일한 자연스러운 블렌딩 연출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dge blending system and an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a multi-beam projector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without using expensive edge blending hardware equipment in a display direction for implementing a large screen using multiple beam projects. It provides the same natural blending effec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및 에지 블렌딩 방법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접하는 부분을 보정하여 줌으로써, 시스템 내에 프로그램을 설치만 하면 되어 구현을 위한 비용을 낮추고 빔프로젝터의 개수에 관계없이 빔프로젝터 화면 간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edge blending system and the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the multi-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rrecting the software-facing part, simply install a program in the system to lower the cost for implementation and beam It provides a natural connection between the beam projector screen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rojectors.

도 1은 빔프로젝터 에지 블렌딩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서의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에서 에지 블렌딩을 위한 프로세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beam projector edge blending.
2 illustrates an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a multiple beam project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rough 6 illustrate processing for edge blending in the multi-beam projector based edge blending system of FIG. 1.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a multi-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서의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에서 에지 블렌딩을 위한 프로세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a multi-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diagrams for describing processing for edge blending in the multi-beam projector based edge blending system of FIG. 2.

먼저 도 2을 참조하면,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은 가상 렌더 투 텍스처 카메라1(10-1) 내지 가상 렌더 투 텍스처 카메라n(1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콘텐츠 제작 모듈(20), 콘텐츠 뷰어 모듈(30), 블렌딩 매니저 모듈(40), 저장매체(50), 출력매체(60), 그리고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70-1) 내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70-n)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a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system includes a virtual render-to-texture camera 1 (10-1) to a virtual render-to-texture camera n (1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 content creation module ( 20, the content viewer module 30, the blending manager module 40, the storage medium 50, the output medium 60, and the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1 70-1 to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70 -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perform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a kind of hardware. Can be easily deduced to the average expert in the field of < / RTI >

콘텐츠 제작 모듈(20)은 빔프로젝터 그룹으로 구현하기 위한 화면 개수 설정 및 화면 개수 별로 구현되는 콘텐츠 등록에 의한 저장매체(50)로의 저장을 수행한다. 즉 빔프로젝터 그룹으로 표현하기 위한 화면 개수를 설정하고 각 화면별로 보여지는 콘텐츠로는 영상, 이미지, 플래시, 3D 데이터 등과 사운드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빔프로젝터 그룹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70-1) 내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7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며, "n"은 콘텐츠 제작 모듈(20)에 의해 설정되는 화면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저장매체(50)는 시스템 내의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로 형성가능하며, 이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production module 20 performs the storage to the storage medium 50 by setting the number of screens for implementing the beam projector group and registering the content implemented for each screen number. That is, the number of screens to be represented by the group of beam projectors is set, and the content shown for each screen may be multimedia content such as an image, an image, a flash, 3D data, and sound. On the other hand, the beam projector group here is the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1 70-1 to the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70-n: n is a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n" by the content production module 2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number of screens to be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50 may be formed as a main memory device or an auxiliary memory device in the system. In this case, the stored medium 50 is maintained and not deleted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as a non-volatile memory (NVM). , A flash memory,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a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a ferroelectric RAM (FRAM), or the like.

콘텐츠 뷰어 모듈(30)은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 방식에 따라 콘텐츠 제작 모듈(20)에 의해 설정된 개수로 구분된 화면상에 등록된 콘텐츠를 출력매체(60)로 구현한다. 콘텐츠 뷰어 모듈(30)은 콘텐츠 제작 모듈(20)에 의한 콘텐츠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를 출력매체(60) 상에 뷰어를 통하여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 방식을 사용하여 설정된 빔 프로젝터의 개수만큼 보여지는 영역이 구분되어 화면상에서 등록된 콘텐츠가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content viewer module 30 implements the content registered on the screen divided by the number set by the content creation module 20 as the output medium 60 according to the multiple render-to-texture rendering method. When the content viewer module 30 completes the production of the content by the content production module 20, the content viewer module 30 displays the number of beam projectors set on the output medium 60 by using the multiple render-to-texture rendering method through the viewer. The area is divided so that the register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뷰어 모듈(30)은 콘텐츠 제작 모듈(20)에 의해 설정된 화면에 대한 에지 블렌딩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3D 렌더링 기법을 사용하며, 3D 렌더링 기법 중 렌더 투 텍스처(render to texture) 기법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3D 엔진을 이용하여 화면을 보여주는 렌더링을 할 때 화면의 카메라에서 보여주는 부분을 텍스처에 투영하는 기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작 모듈(20)에서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60-1) 내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6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대한 설정이 수행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viewer modu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3D rendering technique to process edge blending for the screen set by the content creation module 20, and renders to textures among the 3D rendering techniques. texture) technique, which uses the 3D engine to project the portion of the screen's camera onto the texture when rendering to the screen.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for the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1 (60-1) to the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6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s performed in the content creation module 20. Will be.

일반적으로 이러한 렌더 투 텍스처 기법을 표현하고자 하는 물체를 표현하기 원하는 대상에 텍스처로 맵핑을 하여 보여주는 기능에 3과 같이 사용이 된다. 즉, 본 발명은 렌더 투 텍스처 기법을 발전시켜 다중 카메라를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60-1) 내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60-n)로 설정하여 여러 개의 오브젝트를 여러 개여 텍스처에 렌더 투 텍스처를 하고, 이를 3D 오브젝트에 렌더링하여 표현하는 편의적으로 다중 렌더 투 텍스처 기법을 사용한다.In general, the render-to-texture technique is used as shown in FIG. 3 to map a texture to an object to express an object to be express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a render-to-texture technique to set multiple cameras as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s 1 (60-1) to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s n (60-n) to render multiple objects to multiple textures. We use the multiple render-to-texture technique to make two-to-texture and render it to a 3D object.

한편, 다중 렌더 투 텍스처 처리는 3D 렌더링 엔진에서 1개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렌더 투 텍스처용 렌더링용 카메라 여러 개를 사용하는 새로운 기법을 사용하여 빔프로젝트의 추가된 개수 별로 별도의 렌더투 텍스처 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을 형성하는 2개의 렌더 투 텍스처 카메라를 생성하여 2개의 별도의 화면을 만들어 이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Multi-render-to-texture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uses a new technique that uses multiple cameras for render-to-texture rendering, using a single camera in the 3D rendering engine, with separate render-to-textures for each additional number of beamprojec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et.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wo render-to-texture cameras forming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may be generated, and two separate screens may be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al time.

이에 따라 후술하는 블렌딩 매니저 모듈(40)은 여러 개의 프로젝터인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70-1) 내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70-n: 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사용되는 경우의 경계면에 해당하는 에지 영역에서의 자연스러운 연결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lending manager module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 boundary surface when several projectors,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1 70-1 to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7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re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ftware technique that provides a natural connection in the edge region corresponding to.

블렌딩 매니저 모듈(40)은 콘텐츠 뷰어 모듈(30)에 의해 구현된 화면상에서 오버랩되는 영역에 대한 에지 컨트롤 포인트(Edge Control Point: ECP)를 생성한 뒤, 자동으로 각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중심으로 인접한 화면에 대한 위치 이동을 수행한 뒤, 위치 조절 값을 저장매체(50) 상으로 저장한다.The blending manager module 40 generates an edge control point (ECP) for an overlapping area on the screen implemented by the content viewer module 30, and automatically centers each edge control point (ECP). After performing the position shift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screen, and stores the position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50).

즉, 블렌딩 매니저 모듈(40)은 각 화면상의 겹치는 부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에지 간의 연결 부분을 맞추는데, 도 5와 같이 제 1 화면과 제 2 화면 사이의 에지 영역에는 상부의 제 1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1)과 하부의 제 2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2)로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수동으로 에지의 컨트롤 포인트를 위치 이동을 하여 겹치는 부분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blending manager module 40 generates at least one edge control point (ECP) for the overlapping portions on each screen and automatically fits the connection portions between the edges, as shown in FIG. 5, between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In the edge area, two upper edge control points (ECP-1) and lower edge control points (ECP-2) are preferably formed in two. 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the operator can manually move the control point of the edge to adjust the overlap naturally.

또한, 브레딩 매니저 모듈(40)은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기초로 위치 이동된 두 개의 화면에 대한 명도 조절을 수행한 뒤, 명도 조절 값을 저장매체(50) 상으로 저장한다. 즉, 브레딩 매니저 모듈(40)은 화면상의 겹치는 부분을 조정한 후, 다음으로는 영상 처리를 통하여 화면의 겹치는 부분의 밝기에 해당하는 명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의 명도 조절 값은 외부 설정파일로 저장이 되고 실제 서비스시 저장된 값을 로드하여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braiding manager module 40 performs brightness adjustment on two screens which are moved based on the edge control point ECP, and then stores the brightness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50. That is, the braiding manager module 40 adjusts the brightness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overlapping part of the screen through image processing after adjusting the overlapping part on the screen, and the brightness control value at this time is an external setting file. The service is executed by loading the stored value in real service.

블렌딩 매니저 모듈(40)에 의해 구현되는 제어 화면은 도 6과 같이 2개의 다중 화면으로 콘텐츠 제작 모듈(20)에서 제공된 콘텐츠를 블렌딩 매니저 모듈(4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에지 영역이 제어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의 경계 부분의 컨트롤 포인트를 추가하여 위치를 제어하고 겹치는 부분에 영역을 선택하여 영상 처리를 하여 소프트웨어적인 자연스러운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control screen implemented by the blending manager module 40 includes two multi-screens as shown in FIG. 6, in which the edge area is controlled in software by the blending manager module 40. By adding a control point on the boundary of the software, it controls the position, and selects an area on the overlapping portion to perform image processing to provide a natural software conn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작 모듈(20)은 빔프로젝터 그룹으로 구현하기 위한 화면 개수 설정 및 화면 개수 별로 구현되는 콘텐츠 등록에 의한 저장매체(50)로의 저장을 수행한다(S1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a multi-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7, the content creation module 20 performs storage to the storage medium 50 by setting the number of screens to be implemented as the beam projector group and registering the contents to be implemented for each screen number (S11).

여기서 빔프로젝터 그룹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60-1) 내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6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단계(S11)에서 설정되는 화면 개수)으로 구성가능 하다. Here, the beam projector group may be configured as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1 60-1 to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6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the number of screens set in step S11).

단계(S12) 이후, 콘텐츠 뷰어 모듈(30)은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 방식에 따라 단계(S11)에서 설정된 개수로 구분된 화면상에 등록된 콘텐츠를 출력매체(60)로 구현한다(S12).After the step S12, the content viewer module 30 implements the content registered on the screen divided by the number set in the step S11 as the output medium 60 according to the multiple render-to-texture rendering method (S12).

단계(S12) 이후, 블렌딩 매니저 모듈(40)은 단계(S12)에서 구현된 화면상에서 오버랩되는 영역에 대한 에지 컨트롤 포인트(Edge Control Point: ECP)를 생성한 뒤, 자동으로 각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중심으로 인접한 화면에 대한 위치 이동을 수행한 뒤, 위치 조절 값을 저장매체(50) 상으로 저장한다(S13).After step S12, the blending manager module 40 generates an edge control point (ECP) for an overlapping area on the screen implemented in step S12, and then automatically sets each edge control point (ECP). After the position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scree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stores the position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50) (S13).

단계(S13) 이후, 브레딩 매니저 모듈(40)은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기초로 위치 이동된 두 개의 화면에 대한 명도 조절을 수행한 뒤, 명도 조절 값을 저장매체(50) 상으로 저장한다(S14).
After the step S13, the braiding manager module 40 performs brightness adjustment on the two screens which are moved based on the edge control point ECP, and then stores the brightness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50. (S14).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1: 가상 렌더 투 텍스처 카메라1
10-n: 가상 렌더 투 텍스처 카메라n
20: 콘텐츠 제작 모듈
30: 콘텐츠 뷰어 모듈
40: 블렌딩 매니저 모듈
50: 저장매체
60: 출력매체
70-1: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
70-n: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
10-1: Virtual Render to Texture Camera1
10-n: virtual render-to-texture camera n
20: Content Creation Module
30: Content Viewer Module
40: Blending Manager Module
50: storage medium
60: output medium
70-1: Render to Texture Beam Projector 1
70-n: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Claims (6)

빔프로젝터 그룹으로 구현하기 위한 화면 개수 설정 및 화면 개수 별로 구현되는 콘텐츠 등록에 의한 저장매체로의 저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제작 모듈;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 방식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화면 개수로 구분된 화면상에 등록된 콘텐츠를 출력매체로 구현하는 콘텐츠 뷰어 모듈; 및
상기 구현된 화면상에서 오버랩되는 영역에 대한 에지 컨트롤 포인트(Edge Control Point: ECP)를 생성한 뒤, 자동으로 각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중심으로 인접한 화면에 대한 위치 이동을 수행한 뒤, 위치 조절 값을 상기 저장매체 상으로 저장하는 블렌딩 매니저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A content production module configured to set the number of screens for implementing the beam projector group and to store the contents in the storage medium by registering the contents implemented for each screen number;
A content viewer module that implements, as an output medium, content registered on a screen divided by the set number of screens according to a multi-render to texture rendering method; And
After generating an Edge Control Point (ECP) for an overlapping area on the implemented screen, automatically moving the position of the adjacent screen around each Edge Control Point (ECP), and then adjusting the position. A blending manager module for storing a value on the storage medium; Multi-beam projector based edge blending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딩 매니저 모듈은,
상기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기초로 위치 이동된 두 개의 화면에 대한 명도 조절을 수행한 뒤, 명도 조절 값을 상기 저장매체 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lending manager module,
And performing brightness adjustment on the two screens which are moved based on the edge control point (ECP), and storing the brightness adjustment value onto the storage mediu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상기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 별로의 위치 조절 값 및 명도 조절 값에 의해 상기 빔프로젝터 그룹에 해당하는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 내지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상기 설정되는 화면 개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s 1 to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s n (n is 2 or more) corresponding to the beam projector group according to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position adjustment values for each edge control point (ECP), and brightness adjustment values. Edge counting system based on a multi-beam pro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as a natural nu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은,
상기 콘텐츠 제작 모듈에 의해 설정되는 가상 렌더 투 텍스처용 렌더링용 카메라1 내지 가상 렌더 투 텍스처용 렌더링용 카메라n은 사용하여 빔프로젝트의 추가된 개수 별로 별도의 렌더투 텍스처 화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render to texture rendering is
The virtual render-to-texture rendering camera 1 to the virtual render-to-texture rendering camera n set by the content production module are used to set a separate render-to-texture screen for each added number of beam projects. Multi-beam projector based edge blending system.
콘텐츠 제작 모듈이 빔프로젝터 그룹으로 구현하기 위한 화면 개수 설정 및 화면 개수 별로 구현되는 콘텐츠 등록에 의한 저장매체로의 저장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콘텐츠 뷰어 모듈이 다중 렌더 투 텍스처 렌더링 방식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화면 개수로 구분된 화면상에 등록된 콘텐츠를 출력매체로 구현하는 제 2 단계;
블렌딩 매니저 모듈이 상기 구현된 화면상에서 오버랩되는 영역에 대한 에지 컨트롤 포인트(Edge Control Point: ECP)를 생성한 뒤, 자동으로 각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중심으로 인접한 화면에 대한 위치 이동을 수행한 뒤, 위치 조절 값을 상기 저장매체 상으로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블렌딩 매니저 모듈이 상기 에지 컨트롤 포인트(ECP)를 기초로 위치 이동된 두 개의 화면에 대한 명도 조절을 수행한 뒤, 명도 조절 값을 상기 저장매체 상으로 저장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방법.
A first step of setting, by the content production module, a screen projector to be implemented as a beam projector group, and storing the content to a storage medium by registering content implemented for each screen number;
A second step of the content viewer module implementing content registered on a screen divided by the set number of screens as an output medium according to a multi-render to texture rendering method;
After the blending manager module generates an edge control point (ECP) for an overlapping area on the implemented screen, the blending manager module automatically performs a position shift with respect to an adjacent screen around each edge control point (ECP). Thereafter, storing a position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by the blending manager module, brightness control of two screens which are moved based on the edge control point (ECP), and storing the brightness adjustment value on the storage medium;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a multiple beam projector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빔프로젝터 그룹은,
가상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1 내지 가상 렌더 투 텍스처 빔프로젝터n으로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상기 설정되는 화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프로젝터 기반의 에지 블렌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eam projector group of the first stage,
The virtual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1 to virtual render-to-texture beam projector n, wherei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wherein the set number of screens is a multi-beam projector-based edge blending method.
KR1020120126511A 2012-11-09 2012-11-09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KR101314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511A KR101314731B1 (en) 2012-11-09 2012-11-09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511A KR101314731B1 (en) 2012-11-09 2012-11-09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731B1 true KR101314731B1 (en) 2013-10-14

Family

ID=4963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511A KR101314731B1 (en) 2012-11-09 2012-11-09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7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6540A (en) * 2014-08-27 2016-03-02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correction method of projection are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439A (en) * 1997-09-18 1999-04-09 Hitachi Denshi Ltd Large-screen display device
JP2003174602A (en) 2001-12-05 2003-06-20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display system
KR20030077680A (en) * 2002-03-26 2003-10-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Method for combination both of two-dimensional background and three-dimensional foreground and engine for three-dimensional application
JP2004242049A (en) 2003-02-06 2004-08-26 Hitachi Ltd Multi-camera image composite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439A (en) * 1997-09-18 1999-04-09 Hitachi Denshi Ltd Large-screen display device
JP2003174602A (en) 2001-12-05 2003-06-20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display system
KR20030077680A (en) * 2002-03-26 2003-10-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Method for combination both of two-dimensional background and three-dimensional foreground and engine for three-dimensional application
JP2004242049A (en) 2003-02-06 2004-08-26 Hitachi Ltd Multi-camera image composite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6540A (en) * 2014-08-27 2016-03-02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correction method of projection ar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1400B1 (en) System for geometrically calibrating a plurality of projectors, method for geometrically calibrating a plurality of projectors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JP5870586B2 (en) Projector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program.
WO2006070499A1 (en) 3d image display method
JP67949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e display device
US9693049B2 (en) Projection mapping video pipeline
US97611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439504B2 (en) Automatic mode switching between single and multiple projectors
US20120032978A1 (en) Projector array for multiple images
JP2020074014A (en) System and method of calibrating display system free of variation in system input resolution
US1018220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3934244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apping of projector pixels to camera pixels and/or object positions using alternating patterns
KR20230144127A (en) Multi-half-tone imaging and dual modulation projection/dual modulation laser projection
KR101314731B1 (en) Edge blending system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and edge blending method based on multi-beam projector
WO2015190031A1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e display device
JP4914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dge blending using a production switch
EP3226556B1 (en) Reduced blend artifacts in a multiple digital projector system
KR201700968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in virtual reality system
JP6552217B2 (en)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40144896A1 (en) Display method, image gener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7327958B2 (en) Display device
US20230300476A1 (en) Image correction apparatus that performs color matching between multiple image pickup apparatuses that take image of display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60006998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18132709A (en) Multi-projec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thereof, method, and projector
JP2018063326A (en)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