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486B1 - Viewing angle controlling sheet formed on a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Viewing angle controlling sheet formed on a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4486B1 KR101314486B1 KR1020110066761A KR20110066761A KR101314486B1 KR 101314486 B1 KR101314486 B1 KR 101314486B1 KR 1020110066761 A KR1020110066761 A KR 1020110066761A KR 20110066761 A KR20110066761 A KR 20110066761A KR 101314486 B1 KR101314486 B1 KR 1013144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sm
- prism pattern
- viewing angle
- display element
- refractive inde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3—Optical louvre elements, e.g. for directional light block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가 개시된다. 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는 시트 베이스 및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형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부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프리즘 패턴들을 가지며, 상기 프리즘 패턴들의 굴절률 차이를 0.08 내지 0.31로 구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지면으로부터 20도 이하로 기울어져 배열될 때 40도 이상의 시야각을 실현하고, 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다. Disclosed is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formed on a display element.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includes a seat base and a prism portion formed on the seat base. Here, the prism unit has prism patter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realizes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rism patterns as 0.08 to 0.31, thereby realizing a viewing angle of 40 degrees or more when the display element is inclined at 20 degrees or less from the ground,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is attached to the display element and detachable from the display el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formed on a display element.
최근, 스마트폰,태블릿 PC, 넷북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display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netbooks, and the like have been widely used.
일반적으로, 태블릿 PC 등을 사용할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2) 위에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착시킨 후 사용한다. 그러나, 도 1(A)와 같이 사용하면 디스플레이 소자의 휘도 분포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자에 편하게 앉아서 화면을 시청하기가 힘들고 허리를 바로 세워야만 화면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using a tablet PC or the like, it is used after mounting the display element on the
또한, 화면상에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경우에는, 도 1(A)와 같은 경우 자판 작업을 하기가 상당히 불편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quite inconvenient to perform the keyboard operation in the case of FIG.
즉,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시야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측면에서 화면을 선명하게 보기 어렵고 자판을 사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였다.
That is, since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element is limited, it is difficult to see the screen clearly from the side and it is quite inconvenient to use the keyboard.
본 발명은 측면에서도 디스플레이 소자의 화면을 선명하게 볼 수 있고 자판을 사용하기가 편리하도록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learly see the screen of the display element and to use the keyboard from the side.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소자의 시야각의 조절이 가능한 시야각 제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provides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which can adjust the viewing angle of a display elemen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는 시트 베이스; 및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형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부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프리즘 패턴들을 가지며, 상기 프리즘 패턴들의 굴절률 차이를 0.08 내지 0.31로 구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지면으로부터 20도 이하로 기울어져 배열될 때 40도 이상의 시야각을 실현하고, 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formed on the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heet base; And a prism portion formed on the sheet base. Here, the prism unit has prism patter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realizes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rism patterns as 0.08 to 0.31, thereby realizing a viewing angle of 40 degrees or more when the display element is inclined at 20 degrees or less from the ground,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is attached to the display element and detachable from the display ele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는 시트 베이스; 및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형성된 제 1 프리즘 패턴 및 상기 프리즘 패턴 위에 형성된 제 2 프리즘 패턴을 가지는 프리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 패턴들의 굴절률 차이를 0.08 내지 0.31로 구현하며, 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formed on a display element includes a sheet base; And a prism portion having a first prism pattern formed on the sheet base and a second prism pattern formed on the prism pattern. Here,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prism patterns is implemented as 0.08 to 0.31, and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is attached to the display element and detachable from the display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하여 사용하면, 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시야각을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화면을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다. When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nd used on the display elemen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element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using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s a result, the user can clearly see the screen of the display element at a desired position.
특히,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면과 평행하게 배열하거나 20도 이하로 배열할 경우에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판을 사용하기가 편리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particular, even when the display element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or 20 degrees or less, the user can clearly view the display elements, so that the user can not only use the display elements in a comfortable posture but also use the keyboard conveniently.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시야각 제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시야각 제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method of using a general display devic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with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of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viewing angle experiment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test resul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with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넷북, PC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210) 위에 형성되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휘도 분포를 가지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시야각을 확장시키거나 특정 각도의 시야각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 (A) and 2 (B), the viewing
특히,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소자(210)를 지면으로부터 20도 이하로 기울여 배열하였을 때에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소자(210)의 화면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시야각을 확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20도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화면을 보거나 자판 작업이 용이한 각도를 의미한다. In particular, the viewing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책받침 등에 올려서 거의 90도로 기울여야만 사용자의 시인성이 확보되어 사용자의 자세가 불편하고 자판 등을 터치하기 힘들어서 사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소자(200)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책상 위에 시야각 제어 시트(212)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소자(200)를 올려놓거나 낮은 각도(20도 이하의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도 화면을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낮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자판 작업하기가 상당히 용이하여지고 팔에 무리가 가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인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related art, the display element is placed on the backrest of a book and tilted at about 90 degrees to ensure visibility of the user, which makes the user's posture uncomfortable and difficult to touch the keyboard. However, when using the
이하, 본 발명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의 다양한 구조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structures of the viewing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시야각 제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 4에서는 보호부를 도시하지는 않았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of FIG. 3. However, FIG. 4 does not show the protection part.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시트 베이스(300), 프리즘부(302) 및 보호부(30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viewing
시트 베이스(300)는 디스플레이 소자(210) 위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시트 베이스(300)의 하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시트 베이스(300)가 디스플레이 소자(210) 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내스크래치 기능도 가질 수 있다. The
프리즘부(302)는 디스플레이 소자(210)로부터 출력된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 1 프리즘 패턴들(310) 및 제 2 프리즘 패턴들(312)을 포함한다. The
제 1 프리즘 패턴(310)은 시트 베이스(300) 위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 1 프리즘 패턴(310)의 밑변 각도(α)를 프리즘 각도라 하겠다. The
제 1 프리즘 패턴(310)은 시트 베이스(300)와 다른 굴절률을 가지며, 시트 베이스(300)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각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베이스(300)를 통하여 입사된 광의 대부분은 제 1 프리즘 패턴(310)의 빗변을 통하여 출력된다. The
제 2 프리즘 패턴(312)은 제 1 프리즘 패턴(310) 위에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제 1 프리즘 패턴(310)의 빗변 위에 배열되며, 삼각형 구조, 예를 들어 직각 삼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이러한 제 2 프리즘 패턴(312)은 제 1 프리즘 패턴(310)을 보호하며, 공기층이 아닌 소정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프리즘 패턴(312)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광투과 손실이 감소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리즘 패턴(312)의 굴절률(n2)은 제 1 프리즘 패턴(310)의 굴절률(n1)보다 작게 구현되며, 그 결과 스넬의 법칙에 따라 제 1 프리즘 패턴(310)으로 입사된 광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확산된다. 즉, 디스플레이 소자(210)의 측면 시야각이 확장된다. 다만, 도 3에서는 광 경로가 좌측으로 확산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210)의 좌측 시야각이 확장된다. 물론, 제 1 프리즘 패턴(310)의 빗변이 좌측으로 오도록 배열하면 디스플레이 소자(210)의 우측 시야각이 확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리즘 패턴(312)의 굴절률(n2)이 제 1 프리즘 패턴(310)의 굴절률(n1)보다 크게 구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즉, 프리즘 패턴들(310 및 312)이 굴절률 차이를 가지면 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즘 패턴들(310 및 312)의 굴절률 차이를 0.08 내지 0.31로 설정한다. That is, the
프리즘부(302)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리즘부(3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300) 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Looking at the
보호부(304)는 프리즘부(302) 위에 형성되어 프리즘부(302)를 보호하며, 내스크래치, 대전 방지, 지문 방지 및 반사 방지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광 경로를 제어하여 원하는 각도로 시야각을 확보시키며, 그 결과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 소자(200)를 보면서 자판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시야각 제어 시트(312)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하면, 시야각 제어 시트(312)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210)에 부착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viewing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시트 베이스(500), 제 1 프리즘부(502), 제 2 프리즘부(504) 및 보호부(50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viewing
즉, 하나의 프리즘부(302)만으로 구성되었던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프리즘부들(502 및 504)을 포함한다. 도 5에서는 2개의 프리즘부들(502 및 504)만을 도시하였으나, 3개 이상의 프리즘부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at is, unlike in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only one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시트 베이스(600), 프리즘부(602) 및 보호부(60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viewing
프리즘부(60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프리즘부(602)는 제 1 프리즘 패턴부(610) 및 제 2 프리즘 패턴부(612)를 포함한다. The
제 1 프리즘 패턴부(610)는 그의 단면이 평행 사변형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프리즘 패턴부(610)의 상단면은 평면이며, 하단면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The first
제 2 프리즘 패턴부(612)는 제 1 프리즘 패턴부(610)의 빗변 위에 형성되며, 제 1 프리즘 패턴부(610)와 다른 굴절률을 가진다. The second
제 1 프리즘 패턴부(610)를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구현하면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측면 시야각을 증가시키면서도 중앙으로 향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실시예보다 정면에서 더 선명하게 화면을 볼 수 있으면서도 유사한 측면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프리즘 패턴부들(310)의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직선 구조로 배열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제 1 프리즘 패턴의 하면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상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물론, 제 1 실시예와 본 실시예의 제 1 프리즘 패턴의 단면은 도 7(A)로 동일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B,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이러한 구조로 시야각 제어 시트(212)를 구현하면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집중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Implementing the viewing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시트 베이스(800), 프리즘부(802) 및 보호부(80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viewing
프리즘부(80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prism portion 802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below.
프리즘부(802)는 제 1 프리즘 패턴(810) 및 제 2 프리즘 패턴(812)을 포함한다. The prism portion 802 includes a
제 1 프리즘 패턴(810)은 예를 들어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리즘 패턴(810)의 측면에 광을 차단하는 차단막(8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광 투과 경로가 아닌 측면 부분에 차단막(814)을 형성함에 의해 광 손실을 감소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차단막(814)은 불투명 물질을 제 1 프리즘 패턴(810)의 측면에 도포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차단 부재로서 존재하여 제 1 프리즘 패턴(810)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시야각 제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 10에서는 제 2 프리즘 패턴 및 보호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of FIG. 9. In FIG. 10, the second prism pattern and the protection part are not show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시트 베이스(900), 프리즘부(902) 및 보호부(904)를 포함한다. 9 and 10, the viewing
프리즘부(90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프리즘부(902)는 제 1 프리즘 패턴(910) 및 제 2 프리즘 패턴(912)을 포함한다. The
제 1 프리즘 패턴(910)은 제 1 내지 제 5 실시예들과 달리 이등변 삼각형 형상 또는 모든 꼭지각들이 예각인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시트 베이스(900)를 통하여 입사된 광은 좌측 및 우측으로 굴절되어 진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두 방향의 시야각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양 측면에서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 소자(200)를 볼 수 있다. Unlike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의 제 1 프리즘 패턴(1110)은 사면체 형상(피라미드 형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시트 베이스(1100)를 통하여 입사된 광이 제 1 프리즘 패턴(1110)의 측면들을 통하여 출력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위치에 관계없이 사방에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이하, 본 발명의 시야각 제어 시트(212)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시야각 측정 실험 결과를 살펴보겠다. Hereinafter, the results of the viewing angle measurement experiment of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showing a viewing angle experiment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시야각 제어 시트(212)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소자(200)를 지면으로부터 10도 기울인 상태(사용자가 편안하게 화면을 보면서 자판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배열한 후 시야각을 측정하였다.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제 1 실시예의 구조로 하였으며, 프리즘 패턴들(310 및 312)의 굴절률들을 다양하게 변형하면서 실험하였다. Referring to FIG. 12, the viewing angle is measured after arranging the
실험 결과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굴절률 차이를 가질 경우 49도의 시야각이 확보되었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 viewing angle of 49 degrees was obtained whe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w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을 살펴보면, 프리즘 패턴들(310 및 312)의 굴절률 차이가 0.15 내지 0.31인 경우에 49도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 각도(α)가 작을수록 프리즘 패턴들(310 및 312)의 굴절률 차이가 커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a viewing angle of 49 degrees can be secured whe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소자의 시야각이 35도임을 고려할 때 14도의 시야각 보상이 이루어졌으며, 즉 측면 시야각이 확장되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로 10도 기울어진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화면을 선명하게 보면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general, considering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element is 35 degrees, the viewing angle compensation of 14 degrees was achieved, that is, the side viewing angle was extended. As a result, the user may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while clearly viewing the screen of the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test resul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3을 참조하면, 시야각 제어 시트(212)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소자(200)를 지면으로부터 20도 기울인 상태(사용자가 편안하게 화면을 보면서 자판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배열한 후 시야각을 측정하였다. 시야각 제어 시트(212)는 제 1 실시예의 구조로 하였으며, 프리즘 패턴들(310 및 312)의 굴절률들을 다양하게 변형하면서 실험하였다. Referring to FIG. 13, the viewing angle is measured after arranging the
실험 결과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굴절률 차이를 가질 경우 41도의 시야각이 확보되었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he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as shown in Table 2 below, a viewing angle of 41 degrees was secured.
표 2를 살펴보면, 프리즘 패턴들(310 및 312)의 굴절률 차이가 0.08 내지 0.165인 경우에 41도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 각도(α)가 작을수록 프리즘 패턴들(310 및 312)의 굴절률 차이가 커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seen that a viewing angle of 41 degrees can be secured whe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소자의 시야각이 35도임을 고려할 때 6도의 시야각 보상이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로 20도 기울어진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화면을 선명하게 시청을 할 수 있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In general, a 6 degree viewing angle compensation was made considering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element was 35 degrees. As a result, the user can clearly view the screen of the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디스플레이 소자 102 : 받침대
200 : 디스플레이 소자 210 : 디스플레이 소자
212 : 시야각 제어 시트 300 : 시트 베이스
302 : 프리즘부 304 : 보호부
310 : 제 1 프리즘 패턴 312 : 제 2 프리즘 패턴
500 : 시트 베이스 502 : 제 1 프리즘부
504 : 제 2 프리즘부 506 : 보호부
600 : 시트 베이스 602 : 프리즘부
604 : 보호부 610 : 제 1 프리즘 패턴
612 : 제 2 프리즘 패턴 800 : 시트 베이스
802 : 프리즘부 804 : 보호부
810 : 제 1 프리즘 패턴 812 : 제 2 프리즘 패턴
814 : 차단막 900 : 시트 베이스
902 : 프리즘부 904 : 보호부
910 : 제 1 프리즘 패턴 912 : 제 2 프리즘 패턴
1100 : 시트 베이스 1110 : 제 1 프리즘 패턴100: display element 102: pedestal
200: display element 210: display element
212: viewing angle control sheet 300: seat base
302: prism portion 304: protection portion
310: first prism pattern 312: second prism pattern
500: seat base 502: first prism portion
504: second prism portion 506: protective portion
600: seat base 602: prism portion
604: protector 610: the first prism pattern
612: second prism pattern 800: sheet base
802: prism portion 804: protective portion
810: First Prism Pattern 812: Second Prism Pattern
814: blocking film 900: sheet base
902: prism portion 904: protective portion
910: First Prism Pattern 912: Second Prism Pattern
1100: sheet base 1110: first prism pattern
Claims (9)
시트 베이스; 및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형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리즘부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프리즘 패턴들을 가지며, 상기 프리즘 패턴들의 굴절률 차이를 0.08 내지 0.31로 구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지면으로부터 20도 이하로 기울어져 배열될 때 40도 이상의 시야각을 실현하고, 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 In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formed on the display element,
Seat base; And
A prism portion formed on the seat base,
The prism unit has prism patter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realizes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rism patterns from 0.08 to 0.31 to realize a viewing angle of 40 degrees or more when the display element is arranged at an angle of 20 degrees or less from the ground, and the viewing angle And a control sheet attached to the display element and detachable from the display element.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 제 1 프리즘 패턴; 및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 위에 형성되며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제 2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의 굴절률이 상기 제 2 프리즘 패턴의 굴절률보다 크고, 상기 프리즘 패턴들은 각기 공기층보다 큰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ism portion,
A first prism pattern formed on the seat base in a right triangle shape; And
A second prism pattern formed on the first prism pattern and having a right triangle shap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prism pattern is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rism pattern, and the prism patterns each have a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at of the air layer.
상기 프리즘부 위에 형성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데스크톱 또는 넷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portion formed on the prism portion,
And the display element is a smartphone,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desktop or a netbook.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형성되며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제 1 프리즘 패턴; 및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 위에 형성되며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제 2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의 굴절률이 상기 제 2 프리즘 패턴의 굴절률보다 크며,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의 상면은 평면 형상이며 하면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ism portion,
A first prism pattern formed on the sheet base and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And
A second prism pattern formed on the first prism pattern and having a right triangle shape;
And a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prism patter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prism patter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ism pattern has a planar shape and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ism pattern.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형성된 제 1 프리즘 패턴; 및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 위에 형성되며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제 2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의 굴절률이 상기 제 2 프리즘 패턴의 굴절률보다 크며,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의 일측면에는 광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ism portion,
A first prism pattern formed on the sheet base; And
A second prism pattern formed on the first prism pattern and having a right triangle shap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prism pattern is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rism pattern,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formed on the display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a blocking film for blocking ligh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ism pattern.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형성된 제 1 프리즘 패턴; 및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 위에 형성되는 제 2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의 굴절률이 상기 제 2 프리즘 패턴의 굴절률보다 크며, 상기 제 1 프리즘 패턴은 이등변 삼각형 또는 피라미드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ism portion,
A first prism pattern formed on the sheet base; And
Including a second prism pattern formed on the first prism patter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prism pattern is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rism pattern, wherein the first prism pattern has an isosceles triangle or pyramidal cross section formed on the display element.
시트 베이스; 및
상기 시트 베이스 위에 형성된 제 1 프리즘 패턴 및 상기 프리즘 패턴 위에 형성된 제 2 프리즘 패턴을 가지는 프리즘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리즘 패턴들의 굴절률 차이를 0.08 내지 0.31로 구현하고, 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위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시트. In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formed on the display element,
Seat base; And
A prism portion having a first prism pattern formed on the sheet base and a second prism pattern formed on the prism pattern,
And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prism patterns of 0.08 to 0.31, wherein the viewing angle control sheet is attached to the display element and is detachable from the display element.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prism patterns when the display element is arranged at an angle of 10 degrees or less from the ground is 0.31 or less, and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when the display element is arranged at an angle of 20 degrees or less from the ground. Is less than or equal to 0.165, and the bottom angle of the prism pattern is 40 degrees to 60 degre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761A KR101314486B1 (en) | 2011-07-06 | 2011-07-06 | Viewing angle controlling sheet formed on a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761A KR101314486B1 (en) | 2011-07-06 | 2011-07-06 | Viewing angle controlling sheet formed on a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409A KR20130005409A (en) | 2013-01-16 |
KR101314486B1 true KR101314486B1 (en) | 2013-10-07 |
Family
ID=4783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6761A KR101314486B1 (en) | 2011-07-06 | 2011-07-06 | Viewing angle controlling sheet formed on a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448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5948B2 (en) | 2019-09-18 | 2022-12-13 | Samsung Display Co., Ltd. | Optical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0962B1 (en) * | 2017-11-08 | 2019-08-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KR102364573B1 (en) * | 2018-02-28 | 2022-02-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Film for compensating viewing angl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CN113050283B (en) * | 2021-03-18 | 2022-07-22 | 歌尔股份有限公司 | Light deflection structure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
KR20240065579A (en) * | 2022-11-02 | 2024-05-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46093A (en) * | 1995-11-24 | 1997-06-06 | Hitachi Ltd |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t |
JPH1096924A (en) * | 1996-09-24 | 1998-04-14 | Nitto Denko Corp | Optical path control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20080002242A (en) * | 2006-06-30 | 2008-01-0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20100077477A (en) * | 2008-12-29 | 2010-07-08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Condensing sheet combinded by diffusion plate having light-receiving structure and lcd having the same |
-
2011
- 2011-07-06 KR KR1020110066761A patent/KR1013144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46093A (en) * | 1995-11-24 | 1997-06-06 | Hitachi Ltd |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t |
JPH1096924A (en) * | 1996-09-24 | 1998-04-14 | Nitto Denko Corp | Optical path control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20080002242A (en) * | 2006-06-30 | 2008-01-0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20100077477A (en) * | 2008-12-29 | 2010-07-08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Condensing sheet combinded by diffusion plate having light-receiving structure and lcd hav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5948B2 (en) | 2019-09-18 | 2022-12-13 | Samsung Display Co., Ltd. | Optical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409A (en) | 2013-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4486B1 (en) | Viewing angle controlling sheet formed on a display device | |
JP4778261B2 (en) | Display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US20180335632A1 (en)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 |
US5492298A (en) | Ergonomic mouse pad | |
ES2308935B1 (en) | ERGONOMIC SUPPORT / SEAT DEVICE. | |
US20120262853A1 (en) |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assembly | |
WO1996014779A9 (en) | Ergonomic mouse pad | |
WO2015109999A1 (en) | Optical vision converter | |
US11039542B2 (en) | Display device | |
TWI444558B (en) | Multipurpose support device | |
US20060065166A1 (en) | Dual functional desk with tilt-adjustable tops | |
TWI689955B (en) | A keyboard set | |
CN104484013B (en) | The electronic installation of adjustable display view angle | |
KR101038428B1 (en) | Prism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KR101300210B1 (en) | Tilting mouse pad with wrist and forearm support function | |
TWM564939U (en) | Helmet | |
TWM461291U (en) | Display | |
US20060065162A1 (en) | Dual functional desk with tilt-adjustable tops | |
EP2698076B1 (en) | Element for a work surface, and an arrangement | |
CN204302876U (en) | Electronic installation | |
TWD206669S (en) | Mobile phone support frame | |
TWM528124U (en) | Flexible lumbar support device for seat | |
US9128303B1 (en) | Contact pad arrangement for eyeglass frames | |
US20170127823A1 (en) | Mobile device support with moveable weight | |
KR200455720Y1 (en) | Functional Mouse P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