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597B1 -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597B1
KR101313597B1 KR1020130052020A KR20130052020A KR101313597B1 KR 101313597 B1 KR101313597 B1 KR 101313597B1 KR 1020130052020 A KR1020130052020 A KR 1020130052020A KR 20130052020 A KR20130052020 A KR 20130052020A KR 101313597 B1 KR101313597 B1 KR 10131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odium
material compound
beverage
potas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한
Original Assignee
김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한 filed Critical 김규한
Priority to KR1020130052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597B1/ko
Priority to PCT/KR2013/004041 priority patent/WO201418189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는, 음료 전체 50kg에 대하여, 칼륨(K) : 7300~7500mg, 나트륨(Na) : 6300~6500mg, 실리콘(Si) : 120~130mg, 칼슘(Ca) : 55~65mg, 마그네슘(Mg) : 13~17mg, 알루미늄(Al) : 3~4mg, 철(Fe) : 2~3mg, 아연(Zn) : 0.2~0.4mg, 티타늄(Ti) : 0.1~0.3mg, 바륨(Ba) : 0.1~0.3mg, 망간(Mn) : 0.1~0.3mg, 스트론튬(Sr) : 0.1~0.3mg, 인(P) : 0.1~0.3mg, 크롬(Cr) : 0.05~0.15mg, 지르코늄(Zr) : 0.05~0.15mg, 리튬(Li) : 0.01~0.1mg 및 니켈(Ni) : 0.005mg~0.015mg로 이루어지는 미네랄 성분들을 포함하고, 나머지 물과 상기 미네랄 성분들 각각과 화합물을 이루는 비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FUCTIONAL BEVERAGE WITH IMMUNOPOTENTIATION, IMPROVING CONSTITUTION AND FATIGUE RECOVERY}
본 발명은 기능성 음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정량의 미네랄 성분 함유를 통하여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 및 웰빙에 대한 높은 관심에 따라 통상의 탄산음료, 이온음료 대신에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미한 기능성 음료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 항산화기능 및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멜라토닌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음료는 멜라토닌에 의한 뛰어난 항산화능력에 의해 노화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발효콜라겐에 의한 노화된 조직을 회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한약재나 민간요법제로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온 생약재들의 유효성분들이 과학적 검증을 거쳐 기능성 음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생약성제들의 유효성분은 자양강장기능, 피로회복 및 피로억제, 성인병 예방, 스트레스 억제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5064호(2003.02.24. 공고)에 개시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는, 음료 전체 50kg에 대하여, 칼륨(K) : 7300~7500mg, 나트륨(Na) : 6300~6500mg, 실리콘(Si) : 120~130mg, 칼슘(Ca) : 55~65mg, 마그네슘(Mg) : 13~17mg, 알루미늄(Al) : 3~4mg, 철(Fe) : 2~3mg, 아연(Zn) : 0.2~0.4mg, 티타늄(Ti) : 0.1~0.3mg, 바륨(Ba) : 0.1~0.3mg, 망간(Mn) : 0.1~0.3mg, 스트론튬(Sr) : 0.1~0.3mg, 인(P) : 0.1~0.3mg, 크롬(Cr) : 0.05~0.15mg, 지르코늄(Zr) : 0.05~0.15mg, 리튬(Li) : 0.01~0.1mg 및 니켈(Ni) : 0.005mg~0.015mg로 이루어지는 미네랄 성분들을 포함하고, 나머지 물과 상기 미네랄 성분들 각각과 화합물을 이루는 비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 음료 50Kg 내에는, 당류(sugar) 30±10g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칼륨의 원료 화합물이 탄산칼륨, 제일인산칼륨, 제이인산칼륨 및 황산칼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나트륨의 원료 화합물이 탄산수소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및 피로인산철나트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의 원료 화합물이 메타규산나트륨 및 이산화규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슘의 원료 화합물이 탄산칼슘, 제3인산칼슘, 구연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슘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철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제일철, 염화제이철, 피로인산철나트륨, 피로인산제이철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연의 원료 화합물이 글루콘산 아연, 산화아연, 황산아연, 염화아연 및 아세트산아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티타늄의 원료 화합물이 염화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륨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바륨을 포함하고, 상기 망간의 원료 화합물이 글루콘산망간, 황산망간, 염화망간, 구연산망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론튬의 원료 화합물이 염화스트론튬을 포함하고, 상기 인의 원료 화합물이 인산이나트륨, 제삼인산칼슘, 피로인산철나트륨, 제일인산칼륨, 제이인산칼륨 및 피로인산제이철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롬의 원료 화합물이 크롬피콜리네이트(Cr-picolinate)을 포함하고, 상기 지르코늄의 원료 화합물이 염화지르코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의 원료 화합물이 탄산리튬을 포함하고, 상기 니켈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니켈 및 염화니켈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 제조 방법은, (a) 음료 원액 1kg에 대하여, 칼륨(K) : 7300~7500mg, 나트륨(Na) : 6300~6500mg, 실리콘(Si) : 120~130mg, 칼슘(Ca) : 55~65mg, 마그네슘(Mg) : 13~17mg, 알루미늄(Al) : 3~4mg, 철(Fe) : 2~3mg, 아연(Zn) : 0.2~0.4mg, 티타늄(Ti) : 0.1~0.3mg, 바륨(Ba) : 0.1~0.3mg, 망간(Mn) : 0.1~0.3mg, 스트론튬(Sr) : 0.1~0.3mg, 인(P) : 0.1~0.3mg, 크롬(Cr) : 0.05~0.15mg, 지르코늄(Zr) : 0.05~0.15mg, 리튬(Li) : 0.01~0.1mg 및 니켈(Ni) : 0.005mg~0.015mg가 되도록 칼륨, 나트륨, 실리콘,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철, 아연, 티타늄, 바륨, 망간, 스트론튬, 인, 크롬, 지르코늄, 리튬 및 니켈을 포함하는 원료화합물들을 칭량하여 물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음료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음료 원액에 물을 추가 투입하여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 제조 방법은 (c) 상기 (a) 단계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음료 1Kg 내에 대하여, 당류(sugar) 30±10g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는 칼륨, 나트륨, 실리콘, 칼슘,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 등의 각종 미네랄 성분이 적정량 함유됨으로써, 장기간 섭취시 면역 강화, 체질 개선, 피로회복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음료의 원액 상태에서의 ICP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음료의 CD4 + T 림프구 검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음료의 MHC class II 발현세포 검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음료의 N 림프구 검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음료를 투여한 실험용 쥐의 수영시간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음료를 투여한 실험용 쥐의 피로회복 효과를 수영 후 혈액화학적 검사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는 음료 전체 50kg에 대하여, 칼륨(K) : 7300~7500mg, 나트륨(Na) : 6300~6500mg, 실리콘(Si) : 120~130mg, , 칼슘(Ca) : 55~65mg, 마그네슘(Mg) : 13~17mg, 알루미늄(Al) : 3~4mg, 철(Fe) : 2~3mg, 아연(Zn) : 0.2~0.4mg, 티타늄(Ti) : 0.1~0.3mg, 바륨(Ba) : 0.1~0.3mg, 망간(Mn) : 0.1~0.3mg, 스트론튬(Sr) : 0.1~0.3mg, 인(P) : 0.1~0.3mg, 크롬(Cr) : 0.05~0.15mg, 지르코늄(Zr) : 0.05~0.15mg, 리튬(Li) : 0.01~0.1mg 및 니켈(Ni) : 0.005mg~0.015mg로 이루어지는 미네랄 성분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미네랄 성분들은 음료 내에서 대부분 양이온 성분들로 존재하며, 일부는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성분들 외 나머지는 물과, 황산 이온(SO4 2-), 탄산 이온(CO3 2-) 등과 같이 상기 양이온 성분들과 원료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는 하루 섭취량이 10K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루 섭취량이 1K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하루 섭취량이 200~500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에 포함되는 각 미네랄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에 포함되는 각 미네랄 성분의 함량은 기능성 음료 50kg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농축 또는 희석에 의하여 물이 줄어들거나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미네랄 성분들의 경우, 칼륨(K) 7400mg을 기준(예를 들어, 100중량부)으로 한 상대적인 중량비로 나타낼 수 있다.
칼륨(K)
칼륨은 신진대사 및 혈액순환 촉진에 기여하며, 나트륨과의 조화를 이루면 고혈압과 당뇨병 예방에 기여한다.
이러한 칼륨 성분은 탄산칼륨, 제일인산칼륨, 제이인산칼륨 및 황산칼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중 탄산칼륨은 산도조절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칼륨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7300~7500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륨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7300mg 미만이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고, 상기 칼륨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7500mg을 초과하면 피로회복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나트륨(Na)
나트륨은 체내 수분조절 작용, 산-알칼리 밸런스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나트륨은 탄산수소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피로인산철나트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중 탄산수소나트륨은 산도조절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나트륨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6300~6500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트륨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6300mg 미만이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다. 반대로, 상기 나트륨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6500mg을 초과하면 심장 등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실리콘(Si)
실리콘은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뼈 건강 유지에 기여한다.
상기 실리콘의 원료 화합물은 메타규산나트륨 및 이산화규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120~130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120mg 미만이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다. 반대로, 상기 실리콘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130mg을 초과하면 신장 기능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칼슘(Ca)
칼슘은 골다공증 예방 등 뼈 건강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칼슘의 원료 화합물은 탄산칼슘, 제3인산칼슘, 구연산칼슘, 글루콘산칼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칼슘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55~65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55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칼슘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65mg을 초과하는 경우, 신장 기능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마그네슘(Mg)
마그네슘은 스트레스 등에 의해 혈압의 갑작스러운 변화로부터 동맥내벽에 인가되는 충격을 막으며, 뼈, 치아 등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마그네슘 성분은 황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등의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13~17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13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마그네슘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17mg을 초과하는 경우, 칼슘 흡수 방해 등으로 오히려 뼈 건강 등을 저해할 수 있다.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은 위산과다 억제, 노화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알루미늄 성분은 황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3~4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3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알루미늄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4mg을 초과하는 경우, 인(P) 부족, 다른 미네랄의 흡수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철(Fe)
철은 빈혈을 방지하고, 면역력 향상 및 피로회복 효과에 기여한다.
이러한 철 성분은 황산제일철, 염화제이철, 피로인산철나트륨, 피로인산제이철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철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2~3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2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철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3mg을 초과하는 경우, 당뇨, 심장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아연(Zn)
아연(Zn)은 면역력 개선 등에 유효한 성분이다.
상기 아연의 원료 화합물은 글루콘산 아연, 산화아연, 황산아연, 염화아연 및 아세트산아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연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2~0.4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2mg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아연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4mg을 초과하는 경우 심장기능 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티타늄(Ti)
티타늄은 면역력 향상 및 피로회복 효과에 기여한다.
티타늄의 경우, 염화티타늄 등이 원료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티타늄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1~0.3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1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티타늄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3mg을 초과하는 경우, 심장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바륨(Ba)
바륨은 철과 함께 면역력 향상 및 피로회복 효과에 기여한다.
이러한 바륨 성분은 황산바륨을 포함하는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바륨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1~0.3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륨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1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바륨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3mg을 초과하는 경우, 당뇨, 심장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망간(Mn)
망간(Mn)은 면역력 개선 등에 유효한 성분들이다.
상기 망간의 원료 화합물은 글루콘산망간, 황산망간, 염화망간, 구연산망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망간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1~0.3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간의 함량에서 부작용없이 면역력 개선에 효과적이다. 음료 50kg에 대하여, 망간의 함량이 0.1mg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망간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3mg을 초과하는 경우, 심장기능 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스트론튬(Sr)
스트론튬은 면역력 향상 및 피로회복 효과에 기여한다.
스트론튬의 경우, 염화스트론튬 등이 원료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론튬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1~0.3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론튬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1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티타늄 또는 스트론튬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3mg을 초과하는 경우, 심장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인(P)
인은 칼슘과 함께 뼈와 치아 건강에 기여하며, 피로 회복 기능에 효과적이다.
인의 경우, 인산이나트륨, 제삼인산칼슘, 피로인산철나트륨, 제일인산칼륨, 제이인산칼륨, 피로인산제이철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인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1~0.3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1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인의 함량이 음료 50kg 에 대하여 0.3mg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칼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크롬(Cr)
크롬은 당대사와 단백질 합성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활성화시켜 피로 회복 등에 기여한다.
이러한 크롬은 크롬피콜리네이트(Cr-picolinate) 등의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크롬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05~0.15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롬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05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크롬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15mg을 초과하는 경우, 혈중 HDL 콜레스테롤 양의 증가를 유발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지르코늄(Zr)
지르코늄은 면역력 개선 및 혈액순환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지르코늄의 원료 화합물은 염화지르코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르코늄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05~0.15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르코늄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05mg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지르코늄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15mg을 초과하는 경우, 심장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리튬(Li)
리튬(Li)은 나트륨과 함께 산-알칼리 밸런스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리튬은 탄산리튬을 포함하는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리튬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01~0.1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튬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01mg 미만이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다. 반대로, 리튬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1mg을 초과하여 과다하면 심장 기능을 크게 저해할 수 있다.
니켈(Ni)
니켈은 인체 내의 비소, 카드뮴, 납 등의 유해성분의 축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니켈은 황산니켈 및 염화니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니켈은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0.005mg~0.015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켈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005mg 미만이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다. 반대로, 리튬의 함량이 음료 50kg에 대하여 0.015mg을 초과하여 과다하면 심장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신체의 신진대사에 도움을 주어 면역력 향상 및 체질 개선에 효과적이며, 몸이 피로할 때 신진대사의 촉진이 될 경우 피로도가 저하될 수 있는 점에서 면역력 향상, 체질 개선, 피로 회복 등에 효과적인 기능성 음료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 내에는, 단맛(청량한 맛)을 제공하며, 또한 각종 미네랄 성분이 정제수에 잘 수용되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당류(sugar)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당류는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30±10g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당류는 설탕, 올리고당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당류가 과소하게 첨가되는 경우, 단맛 제공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다. 반대로, 당류가 과다하게 첨가되는 경우, 지나치게 단맛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물을 대략 80℃ 정도로 가열한 후, 상기의 미네랄 성분들의 함량비에 부합하도록 원료 화합물을 칭량하여 투입하면서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음료 원액 1kg에 대하여, 칼륨(K) : 7300~7500mg, 나트륨(Na) : 6300~6500mg, 실리콘(Si) : 120~130mg, 칼슘(Ca) : 55~65mg, 마그네슘(Mg) : 13~17mg, 알루미늄(Al) : 3~4mg, 철(Fe) : 2~3mg, 아연(Zn) : 0.2~0.4mg, 티타늄(Ti) : 0.1~0.3mg, 바륨(Ba) : 0.1~0.3mg, 망간(Mn) : 0.1~0.3mg, 스트론튬(Sr) : 0.1~0.3mg, 인(P) : 0.1~0.3mg, 크롬(Cr) : 0.05~0.15mg, 지르코늄(Zr) : 0.05~0.15mg, 리튬(Li) : 0.01~0.1mg 및 니켈(Ni) : 0.005mg~0.015mg가 되도록, 칼륨, 나트륨, 실리콘,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철, 아연, 티타늄, 바륨, 망간, 스트론튬, 인, 크롬, 지르코늄, 리튬 및 니켈을 포함하는 원료화합물들을 칭량하여 물에 투입하고, 충분한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6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6~12시간동안 교반하여 음료 원액을 제조한다. 원료 화합물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염화물, 황화물, 탄산화물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음료 원액에 물을 추가 투입하여 전체 50kg이 되도록 희석한다.
또한, 음료에 단맛(청량한 맛)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조된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원액 1Kg 내에 당류(sugar) 30±10g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음료의 제조
실시예 1
음료 원액 1Kg 내에 칼륨(K) : 7379.07mg, 나트륨(Na) : 6401.20mg, 실리콘(Si) : 123.45mg, 칼슘(Ca) : 59.11mg, 마그네슘(Mg) : 14.77mg, 알루미늄(Al) : 3.68mg, 철(Fe) : 2.54mg, 아연(Zn) : 0.33mg, 티타늄(Ti) : 0.23mg, 바륨(Ba) : 0.21mg, 망간(Mn) : 0.21mg, 스트론튬(Sr) : 0.21mg, 인(P) : 0.19mg, 크롬(Cr) : 0.10mg, 지르코늄(Zr) : 0.10mg, 리튬(Li) : 0.05mg 및 니켈(Ni) : 0.01mg가 되도록, 탄산칼륨, 염화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구연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피로인산철나트륨, 글루콘산 아연, 염화티타늄, 황산바륨, 구연산망간, 염화스트론튬, 피로인산철나트륨, 크롬피콜리네이트(Cr-picolinate), 염화지르코닐, 탄산리튬, 염화니켈을 칭량하여 정제수에 투입한 후 약 7~9시간동안 교반하여 1Kg 음료 원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료 원액에 대하여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계(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인 iCAP 6300 SERIES(Thermo사 제조, 검출한계 : 0.01mg/Kg)를 이용하여 성분 분석(mg/Kg)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미네랄 성분의 함량과 동일한 결과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음료 원액 1Kg에 정제수 49Kg를 첨가하여 총 50kg의 기능성 음료(실시예 1)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이나, 물 30g 대신 30g의 당류(sugar)를 첨가하여 음료 원액 1Kg을 제조하고, 이후 정제수 49Kg를 첨가하여 총 50kg의 기능성 음료(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서울시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이용하였다.
2. 평가
(1) 관능 평가
만20세 내지 만49세에 해당하는 성인 남성 100명에게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음료 3종을 각각 200ml씩 섭취하여 어떤 맛이 나는지, 그리고 음용시 느낌(음용에 거부감이 있는지 여부)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단위 : 명)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원액을 희석한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관능 평가 결과 약간 쓴맛이 나며, 대체로 음용에 거부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2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관능 평가 결과 청량한 맛이 나며 음용에 거부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음용을 위해서는 당류가 적정량 첨가되어 있는 실시예 2가 보다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2) 유전독성 평가
유전독성 평가를 위하여, 복귀돌연변이 시험 및 염색체 이상시험을 실시하였다.
1) 복귀돌연변이 시험
복귀돌연변이 시험을 위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및 TA1537 균주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 2.5mg/plate를 시험군으로 이용하였다. 양성 대조군 1로 2-aminofluorene 10.0㎍/plate를 이용하였고, 양성 대조군 2로 sodium azide 1.5㎍/plate를 이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 3으로 ICR191로 알려진 6-chloro-9-[3-(2-chloroethylamino)propylamino]-2-methoxy-acridine 1.0㎍/plate를 이용하였다.
우선,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및 TA1537 각각의 균주를 마스터 플레이트에 계대 접종하였다. 접종된 마스터 플레이트를 20시간 배양한 후 균주를 37℃ 로터리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시험 시작 전 top agar를 38℃ 워터 배스에 넣고 오토클래이브한 10ml 시험관에 2ml씩 분주하여 각각의 시험관에 균액 0.1ml와 각 시료를 넣어 볼텍스 믹서로 혼합한 다음, 최소 영양배지에 접종하였다. 콜로니(colony)는 콜로니 카운터 위에서 백그라운드 론(background lawn)보다 큰 콜로니를 계산하였으며, 시험군 및 양성 대조군 각각 3회 시험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시험군의 경우, 각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콜로니가 현저히 낮았으며,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돌연변이 유발능을 갖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2) 염색체 이상 시험
염색체 이상시험을 위하여, chinese hamster lung(CHL)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5% fetal bovine serum(FBS, Gibco)를 함유한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EMEM, Gibco)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예비실험인 세포독성시험을 통하여 IC50을 구하여 시험군으로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농도 : 0.5mg/ml)로 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mytomycin C(0.1mg/ml)를 사용하였다. 용매로는 0.9% saline을 사용하였다. 또한, 음성 대조군으로는 0.9% saline 1ml를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용 60mm dish에 1 x 105개의 세포를 seeding한 후 2일간 배양하고, 여기에 시험군, 양성 대조군 및 음성 대조군을 처리한 후, 37℃ humified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수거 2시간 전에 콜세미드를 최종농도 0.2㎍/ml가 되게 처리하였으며, 수거후 1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이후, 0.075M KCl 첨가후 37℃ 워터배스에 15분간 처리하여고, 워터배스 처리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고정액(메탄올 : 아세트산 = 3 : 1(부피비))을 가한 후 흔들어서 셀을 부유시켰으며, 이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마지막 원심 분리 후 0.5ml 고정액을 첨가하여 셀 현탁액을 만들어 슬라이드 글래스를 메탄올에 담궈 냉동보관했던 것을 1개씩 꺼내 메탄올을 제거한 다음 피펫을 이용해 70cm 높이에서 고정세포부유액을 2~3개에 1방울씩 떨어뜨려 상온에서 고정하였다.
한 플라스크 당 양호한 슬라이드 2개씩 완전히 건조하여 Giemsa staining하여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실험군, 양성 대조군 및 음성 대조군 당 500개의 분열중기상을 관찰한 후 염색체이상을 가진 세포의 출현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시험군 및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양성 대조군의 경우, 염색체이상을 가진 세포의 출현율이 매우 높았다. 반면 시험군의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염색체 이상을 가진 세포의 출현율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는 바,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는 결과라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귀돌연변이 시험 결과 및 염색체 이상시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유전독성 문제가 없으며, 따라서 음용시 안전성을 갖는 음료라 볼 수 있다.
(3) 면역력 평가
면역력 평가는 돼지 말초혈액의 면역세포 분포검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건강한 15주령의 거세 비육돈 20마리를 시험동물로 선발하였다. 시험군은 2개 그룹(A 그룹, B 그룹)으로 구분하여 10M × 10M인 2개의 우리에 10마리씩 임의 배치하여 1주간 적응시킨 후 시험을 개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A 그룹에 속하는 돼지들에는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어진 기능성 음료 100g을 돼지 사료 900g과 함께 10주간 급여하였고, B 그룹에 속하는 돼지들에는 비교예에 따른 수돗물 100g을 사료 900g과 함께 10주간 급여하였다.
돼지 백혈구 표면 특이 단크론항체와 형광세포유출장치(flow cytometry, FACSCalibur, Becton Dickinson Immunocytometry System,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시기별로 돼지 말초혈액 내 면역세포인 주조직 적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발현세포와 림프구 아집단 분포율에 대한 변화를 검사하였다.
돼지 전대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을 acid citrate dextrose(ACD)-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가 첨가된 시험관에 혼합하여 잘 섞은 후 Hypaque Ficoll(Histopaque; Sigma, St. Louis, MO, USA)에 중층하여 1,5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백혈구를 채취하였다. 이를 인산완충 생리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H 7.2)로 3회 세척한 후 RPMI-1640배지(GibcoBRL, Grand Island, NY, USA)에 부유시킨 다음, tryphan blue exclusion technique에 따라 생존세포수를 측정하여 최종 농도가 1×107 개/ml가 되도록 조절하여 검사에 이용하였다.
돼지의 성장 시기별 면역학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백혈구의 세포 표면항원(cell surface molecules)인 MHC class I, MHC class II, Po(porcine)CD2, PoCD4, PoCD8, surface IgM (sIgM), Non T/Non B (TCR) 및 granulocyte와 monocyte (G + M)에 대한 특이적인 백혈구 표면 단크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등 총 9종을 사용하였다.
백혈구 아군별 분포율 분석은 Davis 등(1990)의 방법에 준해서 flow cytometry CellQue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V-bottome 96 well microplate의 한 well 당 단크론항체 50㎕ (15㎍/㎖)와 혈액에서 분리한 1×107 /ml의 백혈구 100㎕를 첨가한 후 4℃에서 30분간 감작시킨 다음, 4℃의 first washing buffer [PBS 450 ml, ACD 50 ml, 20% NaN 3 5 ml, gamma globulin free horse serum (GibcoBRL) 10 ml, 250 mM, EDTA 20 ml, 0.5% phenol red 1 ml]로 3회 원심(1,700 rpm, 3분), 세척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밑부분에 모인 백혈구의 펠렛을 볼텍스 믹서(Scientific Industries 제조)를 이용하여 부유시켰다.
단일염색시험에서는 2차 항체로 FITC-conjugated goat anti-mouse IgG+IgM antibody (Caltag Lab, USA)를 200배 희석한 후 부유된 백혈구가 들어있는 각 well에 100㎕씩 첨가하였다. 이를 다시 4℃에서 30분간 감작시킨 다음 first washing buffer 성분에서 horse serum만 제거한 4℃의 second washing buffer로 3회 원심세척하고 다음 2% PBS-formalin (38% formalin 20 ml, PBS 980 ml) 용액을 well당 200㎕되게 가하여 고정시켰다.
이중염색시험에서는 PoCD4 (FITC)와 PoCD8 (PE), PoCD4 (FITC)와 MHC classⅡ(PE), PoCD8 (FITC)와 MHC classⅡ(PE)를 각각 짝지워 염색하였다. 즉 백혈구를 2개의 단크론항체와 섞은 후 단일염색에 준하여 1차 감작시킨 후 4℃의 first washing buffer로 3회 세척하였다. 이후 각각의 단크론항체의 isotype에 특이성 있는 염소유래 항체를 FITC conjugate인 경우에 well당 1.0㎍, PE conjugate인 경우에는 well당 0.1㎍농도로 희석하여 넣어 주고 4℃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다음의 washing과 고정 과정은 단일염색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염색이 끝난 세포들은 검사 때까지 4℃ 암실에 보관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재료는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총 2,000개 이상의 세포를 검사하여 양성반응 세포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과 자료분석은 FACSCalibur 및 CellQuest program (Becton Dickinson)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1) CD4 + T 림프구 검사 결과를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4
표 4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가 투여된 A 그룹에 속하는 돼지들의 CD4 + T 림프구의 비율이 투여 후 3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투여 후 7주 경과시부터는 비교예에 따른 수돗물이 투여된 B 그룹에 속하는 돼지들의 CD4 + T 림프구의 비율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2) MHC class II 발현세포 검사 결과를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5
표 5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가 투여된 A 그룹에 속하는 돼지들의 MHC class II 발현세포의 비율이 투여 전기간에 걸쳐 비교예에 따른 수돗물이 투여된 B 그룹에 속하는 돼지들의 MHC class II 발현세포의 비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3) N 림프구 검사 결과를 표 6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6
표 6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가 투여된 A 그룹에 속하는 돼지들의 N 림프구의 비율이 투여 후 5주째부터 비교예 1에 따른 수돗물이 투여된 B 그룹에 속하는 돼지들의 N 림프구의 비율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값을 나타내어, 비특이 면역의 방어기전과 특이 면역 방어기전 모두 항진되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4) 체질개선 평가
체질개선 평가는 아토피 증후군 개선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아토피 증후군이 있는 성인 남성 60명(국부적으로 약한 가려움 증세가 있는 20대 남성 15명, 20대 여성 15명, 전신에 다발적 가려움 증세가 있는 20대 남성 15명, 20대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2에 따른 기능성 음료를 매일 1~3회(총 음용량 200~600g) 음용하는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4개월까지 복용 후, 섭취하는 기간에 따른 가려움 완화 정도에 대하여 1개월 단위로 수검자가 느끼는 만족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단위 : 명)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7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기능성 음료를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경우 아토피 증상에 해당하는 가려움증이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기능성 음료를 4개월동안 지속적으로 음용한 경우, 1명을 제외한 59명의 아토피 환자들에 있어 가려움증이 완화 또는 거의 완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체질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5) 피로회복 평가
체질개선 평가는 실험용 생쥐의 수영 피로 평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실험용 생쥐(IRC-mouse) 20마리를 2개 그룹(A그룹, B그룹)으로 나누었다. A 그룹에 속하는 실험용 생쥐들에게는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를 1일부터 10일까지 경구투여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매일 1g/kg씩 투여하였다. 반면, B 그룹에 속하는 실험용 생쥐들에게는 기능성 음료 대신 수돗물울 투여하였다.
수영 피로 평가를 위하여, 수영능력 측정 및 수영피로후 혈액화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1) 수영능력 측정
수영능력 측정을 위해 유속조절 워터풀을 사용하였다. 아크릴 플라스틱 풀(90 x 45 x 45)에 38cm 깊이로 물을 채우고, 7초 이내에 수면위로 떠오르지 못할 때를 피로상태로 평가하였다. 투여 하루 전(0일) 30분간 워터풀에 적응을 시키고, 투여 10일까지 2일에 1회 시험을 하고 동일 생쥐에 대해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수영능력의 지수로서 피로상태 전까지 총 수영시간을 사용하고(Matsumoto K, et al, J Appl Physiol. 1996 Oct;81(4):1843-9), 그 측정 결과를 표 8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8] (단위 : 분)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8
표 8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기능성 음료가 투여된 A 그룹에 속하는 실험용 생쥐들의 경우, 투여가 지속됨에 따라 수영시간도 더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비교예에 따른 수돗물이 투여된 B 그룹에 속하는 실험용 생쥐들의 경우, 투여에 따른 수영시간의 변화가 그리 크지 않았다.
2) 수영피로후 혈액화학적 검사
상기와 같이 투여후 10일이 경과되어 수영능력 평가가 완료된 실험용 생쥐들의 혈액을 채취하여 CK(Creatine Kinase)를 측정하였다. CK 수치가 높을수록 피로회복이 늦은 것을 의미한다.
혈액은 스트레스 유발 직후 에테르를 사용하여 흡입마취를 한 뒤, heart puncture를 통해 심장에서 채취하였다.
수영피로후 혈액화학적 검사 결과를 표 9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13040777621-pat00009
표 9를 참조하면, 기능성 음료를 투여한 A 그룹에 속하는 실험용 생쥐들의 평균 CK 수치가 수돗물을 투여한 B 그룹에 속하는 실험용 생쥐들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경우, 10일 정도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피로 회복에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음료 전체 50kg 내에, 칼륨(K) : 7300~7500mg, 나트륨(Na) : 6300~6500mg, 실리콘(Si) : 120~130mg, , 칼슘(Ca) : 55~65mg, 마그네슘(Mg) : 13~17mg, 알루미늄(Al) : 3~4mg, 철(Fe) : 2~3mg, 아연(Zn) : 0.2~0.4mg, 티타늄(Ti) : 0.1~0.3mg, 바륨(Ba) : 0.1~0.3mg, 망간(Mn) : 0.1~0.3mg, 스트론튬(Sr) : 0.1~0.3mg, 인(P) : 0.1~0.3mg, 크롬(Cr) : 0.05~0.15mg, 지르코늄(Zr) : 0.05~0.15mg, 리튬(Li) : 0.01~0.1mg 및 니켈(Ni) : 0.005mg~0.015mg로 이루어지는 미네랄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음료 50Kg 내에, 당류(sugar) 30±10g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륨의 원료 화합물이 탄산칼륨, 제일인산칼륨, 제이인산칼륨 및 황산칼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나트륨의 원료 화합물이 탄산수소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및 피로인산철나트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의 원료 화합물이 메타규산나트륨 및 이산화규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의 원료 화합물이 탄산칼슘, 제3인산칼슘, 구연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슘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철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제일철, 염화제이철, 피로인산철나트륨, 피로인산제이철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의 원료 화합물이 글루콘산 아연, 산화아연, 황산아연, 염화아연 및 아세트산아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티타늄의 원료 화합물이 염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륨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바륨을 포함하고,
    상기 망간의 원료 화합물이 글루콘산망간, 황산망간, 염화망간, 구연산망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론튬의 원료 화합물이 염화스트론튬을 포함하고,
    상기 인의 원료 화합물이 인산이나트륨, 제삼인산칼슘, 피로인산철나트륨, 제일인산칼륨, 제이인산칼륨 및 피로인산제이철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의 원료 화합물이 크롬피콜리네이트(Cr-picolinate)을 포함하고,
    상기 지르코늄의 원료 화합물이 염화지르코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의 원료 화합물이 탄산리튬을 포함하고,
    상기 니켈의 원료 화합물이 황산니켈 및 염화니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9. (a) 음료 원액 1kg에 대하여, 칼륨(K) : 7300~7500mg, 나트륨(Na) : 6300~6500mg, 실리콘(Si) : 120~130mg, 칼슘(Ca) : 55~65mg, 마그네슘(Mg) : 13~17mg, 알루미늄(Al) : 3~4mg, 철(Fe) : 2~3mg, 아연(Zn) : 0.2~0.4mg, 티타늄(Ti) : 0.1~0.3mg, 바륨(Ba) : 0.1~0.3mg, 망간(Mn) : 0.1~0.3mg, 스트론튬(Sr) : 0.1~0.3mg, 인(P) : 0.1~0.3mg, 크롬(Cr) : 0.05~0.15mg, 지르코늄(Zr) : 0.05~0.15mg, 리튬(Li) : 0.01~0.1mg 및 니켈(Ni) : 0.005mg~0.015mg가 되도록 칼륨, 나트륨, 실리콘,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철, 아연, 티타늄, 바륨, 망간, 스트론튬, 인, 크롬, 지르코늄, 리튬 및 니켈을 포함하는 원료화합물들을 칭량하여 물에 투입하고, 6~12시간 교반하여 음료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음료 원액에 물을 추가 투입하여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c) 상기 (a) 단계에 의해 제조된 음료 원액 1Kg 내에, 또는 상기 (b) 단계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음료 50Kg내에, 당류(sugar) 30±10g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제조 방법.
KR1020130052020A 2013-05-08 2013-05-08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20A KR101313597B1 (ko) 2013-05-08 2013-05-08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3/004041 WO2014181899A1 (ko) 2013-05-08 2013-05-08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20A KR101313597B1 (ko) 2013-05-08 2013-05-08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597B1 true KR101313597B1 (ko) 2013-10-01

Family

ID=4963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020A KR101313597B1 (ko) 2013-05-08 2013-05-08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3597B1 (ko)
WO (1) WO20141818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971A (ko) * 2015-07-10 2017-01-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조성물
KR101819206B1 (ko) * 2016-12-22 2018-01-16 주식회사 엠랩 당류화합물과 미네랄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 약학적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377223B1 (ko) 2021-10-22 2022-03-24 김성태 작약, 복령, 숙지황,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피로 개선용 한방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7992C1 (ru) * 2019-08-26 2020-03-27 Олег Анатольевич Толмачев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напито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5486A (ko) * 1994-08-26 1996-11-08 미즈노 마사루 pH 조정제 및 이를 사용한 음료
JPH10328680A (ja) * 1997-05-29 1998-12-15 Sharp Corp 調理用水生成器
KR20040101839A (ko) * 2003-05-27 2004-12-03 최을순 수용성 복합칼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08054A (ko) * 2007-01-15 2009-10-14 메이지뉴교오가부시기가이샤 미네랄 성분 및/또는 비타민 성분을 포함하는 희석액 및 고체 식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3557A (ko) * 2002-12-17 2004-06-24 이동완 여러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식품 보조용 조성물 및 이조성물이 첨가된 식품
JP4718417B2 (ja) * 2006-11-09 2011-07-06 弘晃 種本 ミネラル飲料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5486A (ko) * 1994-08-26 1996-11-08 미즈노 마사루 pH 조정제 및 이를 사용한 음료
JPH10328680A (ja) * 1997-05-29 1998-12-15 Sharp Corp 調理用水生成器
KR20040101839A (ko) * 2003-05-27 2004-12-03 최을순 수용성 복합칼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08054A (ko) * 2007-01-15 2009-10-14 메이지뉴교오가부시기가이샤 미네랄 성분 및/또는 비타민 성분을 포함하는 희석액 및 고체 식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971A (ko) * 2015-07-10 2017-01-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조성물
KR101714448B1 (ko) * 2015-07-10 2017-03-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조성물
KR101819206B1 (ko) * 2016-12-22 2018-01-16 주식회사 엠랩 당류화합물과 미네랄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 약학적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377223B1 (ko) 2021-10-22 2022-03-24 김성태 작약, 복령, 숙지황,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피로 개선용 한방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1899A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ce et al. Sexual dimorphism and human tooth size differences
KR101313597B1 (ko) 면역 강화, 체질 개선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Mikhail et al. Effect of nutritional status on growth pattern of stunted preschool children in Egypt
Garcia-Palmieri et al. Milk consumption, calcium intake, and decreased hypertension in Puerto Rico. Puerto Rico Heart Health Program study.
Ishiguro et al. Nervous system-specific enolase in serum as a marker for neuroblastoma
JP2007510758A (ja) 炭水化物及び電解質補充用組成物
CN105012312B (zh) 血红素铁固体饮料的制备方法及由其制得的固体饮料
Bonuck et al. Is late bottle-weaning associated with overweight in young children? Analysis of NHANES III data
Yokoi et al. Association between zinc pool sizes and iron stores in premenopausal women without anaemia
Matsha et al. Traditional home-brewed beer consumption and iron status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from Transkei, South Africa
dos Santos et al.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ickle cell disease
NISHIZAKI et al. Anti-aging health check-up system—For the prevention of potentially progress aging related disadvantageous changes in elderly—
Tazi et al.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among the adult Moroccan population
CN106489835A (zh) 胚蛋的孵化工艺
Jafarirad et al. The improvement effect of apple cider vinegar as a functional food on anthropometric indices,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diabetic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Louhi et al. Thiamine Metabolism of Women on Controlled Diets I. Daily Urinary Thiamine Excretion and its Relation to Creatinine Excretion
Gopalan The contribution of nutrition research to the control of undernutrition: The Indian experience
CN106490507A (zh) 提高免疫球蛋白含量的胚蛋孵化工艺
Notova et al. Elemental status of students of different social groups
Keikhaei et al. Serum zinc level in Thalassemia Major.
Gushcha et al. Physiological mechanisms of influence of table and treatment mineral waters based on the balgeneological measure “Magnesium Oil” on some systems of health organism in experiment
TW201821089A (zh) 用於增加介白素-1受體拮抗物之位準的組成物及方法
Dasharatham Evaluation of Impaired Renal Function in Critical Care Units of Telangana Population.
Derouiche et al. Estimation of the Daily Salt Intake by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in Morocco: A Pilot Study
Střítecká et al. Selenium, zinc and magnesium: serum levels in members of the Czech Republic rescue fire brig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