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371B1 - A container - Google Patents

A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371B1
KR101313371B1 KR1020077009088A KR20077009088A KR101313371B1 KR 101313371 B1 KR101313371 B1 KR 101313371B1 KR 1020077009088 A KR1020077009088 A KR 1020077009088A KR 20077009088 A KR20077009088 A KR 20077009088A KR 101313371 B1 KR101313371 B1 KR 10131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andle
container
clasp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3750A (en
Inventor
게리 무어
크리스토퍼 브리슨 가신
Original Assignee
피닉스 프로덕트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423515A external-priority patent/GB0423515D0/en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프로덕트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닉스 프로덕트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7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15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locking, fastening or permanently clos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2Devices for locking the cover in the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몸체(1), 상기 몸체(1)용 뚜껑(5) 및 상기 몸체(1)에 상기 뚜껑(5)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배열체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상기 잠금 배열체는 상기 뚜껑의 주변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주위에 설치된 손잡이(23), 및 상기 뚜껑(5)이 상기 손잡이(23)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두껑(5)에 상기 손잡이(23)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뚜껑(5)에 대하여 아래로 내려왔을 때 잠기고, 그리고 상기 뚜껑(5)으로부터 상기 손잡이(23)가 들어 올려져 떨어지면 상기 잠금 장치(4)가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용기가 제공된다.A container comprising a body (1), a lid (5) for the body (1) and a locking arrangement for securing the lid (5) to the body (1), wherein the locking arrangement is a peripheral portion of the lid. A handle 23 installed around some or all, and at least one locking device connecting the handle 23 to the lid 5 so that the lid 5 is moved by the handle 23, The locking device is locked when the handle 23 is lowered with respect to the lid 5, and the locking device 4 is lifted off when the handle 23 is lifted off the lid 5. A container is provided, which is configured to be released.

좌변기, 용기, 잠금 장치, 손잡이 Toilet seat, container, lock, handle

Description

용기{A CONTAINER}Container {A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밀봉가능한 용기이거나, 또는 밀봉가능하지 않은 용기일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which may be a sealable container or a non-sealable container.

몸체와 상기 몸체용 뚜껑을 포함하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용기들이 존재한다. 때때로 공지의 용기들은 뚜껑을 몸체에 밀봉하기 위한 밀봉 배열체를 구비한다. 상기 공지의 용기들은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다. 종종 상기 뚜껑들은 작동하기 어렵고 이용이 간편하지 않다.There are various known types of containers including a body and a lid for the body. Sometimes known containers have a sealing arrangement for sealing the lid to the body. The known container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Often the lids are difficult to operate and not easy to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몸체와, 상기 몸체용 뚜껑과, 그리고 상기 몸체에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배열체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상기 잠금 배열체는 상기 뚜껑의 주변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주위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뚜껑이 상기 손잡이에 의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에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뚜껑에 대하여 낮아졌을 때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기며,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가 들리워서 떨어짐으로써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Thus, in a non-limi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body, a lid for the body, and a locking arrangement for securing the lid to the body, the locking arrangement of the lid A handle installed around some or all of the periphery, and at least one locking device that connects the handle to the lid such that the lid is movable by the handle, the locking when the handle is lowered relative to the lid. And a locking device to lock the device and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by lifting the handle away from the lid.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손잡이에 의하여 용이하고 간편하게 작동된다. 손잡이에 있어서의 간단한 손동작은 용기에 요구될 수 있는 밀봉과 밀봉의 해제에 효과적이며, 또한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기 뚜껑을 이동시키는데 효과적이다.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easily and simply by the handle. Simple hand movements on the handle are effective for sealing and releasing the seals that may be required for the container and also for moving the lid relative to the body.

잠금 배열체는 밀봉과 함께 또는 밀봉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밀봉되지 않은 장치는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밀봉함이 없이 뚜껑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것이 필요할 때, 혹은 대안적인 스타일링이 요구되는 외형적인 형상이 필요할 때, 혹은 연속적인 몸체 표면 마감이 요구되는 경우에, 고정홀 및 돌출한 잠금 핀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유용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자동차 보닛(bonnets) 및 부츠(boots), 공구 박스 뚜껑, 가정용 설비의 커버, 기계 장치의 도어, 스토리지 및 쓰레기 통, 혹은 쓰레기 통 등으로 동물들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곳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arrangement can be used with or without sealing. Such an unsealed device may be necessary when securing or releasing the lid without seal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or when an external shape requiring alternative styling is required, or when a continuous body surface finish is required. It may be useful because no fixing holes and protruding locking pins are required. Such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where necessary to prevent animals from entering into bonnets and boots, tool box lids, covers of household equipment, doors of machinery, storage and waste bins, or waste bins, and the like. It may include.

용기에는 걸쇠(latching chip)와, 상기 걸쇠를 체결하기 위하여 몸체의 외측에 제공되는 체결 수단, 및 손잡이의 이동 결과로서 걸쇠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즉 손잡이의 이동이 결과적으로 걸쇠의 작동에 영향을 주도록 하여 걸쇠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 수단은 만입부(indent)이다. 대안적으로, 필요한 경우, 상기 체결 수단은 만입부 대신에 좌변기의 외측에 돌출한 융기부로 이루어져, 걸쇠의 멈춤쇠가 거꾸로 된 표면에 움직이지 않고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예는 상기 걸쇠 안에 위치한 만입부, 및 상기 좌변기의 몸체에 고정된 멈춤쇠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의 추가적인 조합들은 후크 및 구멍(eye), 걸이 못(peg)과 홀, 걸쇠 및 핀, 혹은 걸쇠과 사발 중 어느 하나의 위에 놓여진 변형예들일 수 있다. The container has a latching chip, a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for fastening the clasp, 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asp as a result of the movement of the handle (ie the movement of the handle consequently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clasp). Locking device can be formed comprising a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Preferably, said fastening means is an indent. Alternatively, if necessary, the fastening means may consist of ridges projecting outward of the toilet in place of the indentation, such that the detents of the latch can be fastened to the inverted surface without moving. Yet another alternative may have an indent located in the clasp, and a detent fixed to the body of the toilet. Further combinations of fastening means can be variations placed on any one of a hook and an eye, a peg and a hole, a clasp and a pin, or a clasp and a bowl.

제어 메커니즘은 걸쇠 상의 가이드 수단, 및 손잡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수단 내에서 작동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가이드 수단이 슬롯이며, 연결 부재가 핀인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가이드 수단 및 또 다른 형태의 연결 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mechanism may comprise a guide means on the latch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handle and operative within the guide means. The control mechanism may be such that the guide means is a slot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a pin. Another form of guide means and another form of connecting member may be employed.

뚜껑은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하나 이상의 회동 부재에 의하여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몸체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The li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The li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by one or more pivot members. Alternatively the lid can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body.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때, 상기 몸체는 화장실 좌변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는 상기 좌변기로부터 오물을 이송하기 위한 공기압 수단을 사용하는 변기의 일부일 수 있다. When the li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the body may be a toilet toilet. In this case, the container may be part of a toilet using pneumatic means for transferring dirt from the toilet.

밀봉 용기는 밀봉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봉 수단은 제 1 밀봉체 및 제 2 밀봉체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aled container may hav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may comprise a first seal and a second seal.

일반적으로, 용기가 밀봉 수단을 구비하고 있을 때, 몸체는 몸체 내에 밀봉이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고체 혹은 액체 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용기는 상기 몸체가 공기 중에 장시간 노출되어 부패하게 되는 빵, 과자 및 케익과 같은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또한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면 그 효용성을 잃는, 예를 들어, 탄산 음료와 같은 액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연히,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안에 놓여지는 특정 제품에 따라 그 적합한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general, when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sealing means, the body may be for accommodating various kinds of solid or liquid products that require sealing in the body. Thus, for example, the container may be used to accommodate articles such as bread, cookies and cakes, where the body is exposed to air for prolonged exposure to rot. The container can also be used to contain a liquid, for example a carbonated beverage, which loses its effectiveness when exposed to air for a long time. Naturally, the container may be produced such that its suitable form depends on the particular product placed in the contain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단지 예시적으로만 서술될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거의 열린 상태에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in an almost open state;

도 2는 거의 닫힌 상태에서 도 1의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2 shows the container of FIG. 1 in an almost closed state;

되 3은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보다 상세한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ore detailed components of the container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2;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잠금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절차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ssembly procedure diagrams for assembling the locking device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도 6은 실질적으로 밀폐되고 밀봉된 위치에서 도 1의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6 shows the container of FIG. 1 in a substantially closed and sealed posi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위치에서 용기의 보다 상세한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more detailed components of the container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6; FIG.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사시도로서, 완전히 밀폐되고, 밀봉되며 잠긴 상태에서의 도면이며;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in a fully sealed, sealed and locked state; FIG.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위치에서 용기의 보다 상세한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ore detailed components of the container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8;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용기 안에 적용된 밀봉 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ealing means applied in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도면을 참조하면, 좌변기(1)의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좌변기(1)용 뚜껑(5), 및 상기 좌변기(1)에 상기 뚜껑(5)을 잠그도록 하고 밀봉하기 위한 잠금 배열체를 포함하는 용기가 도시된다. 상기 좌변기(1)는 수세식 변기의 일부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t includes a body in the form of a toilet seat (1), a lid (5) for the toilet seat (1), and a locking arrangement for locking and sealing the lid (5) to the toilet seat (1). A container is shown. The left toilet 1 forms part of a flush toilet.

잠금 배열체는 상기 뚜껑(5)의 주변부의 일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맞추어진 손잡이(23)를 포함한다. 밀봉 수단은 상기 좌변기(1)에 대좌(seat)(18)를 밀봉하고 상기 대좌(18)에 상기 뚜껑(5)을 밀봉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밀봉 수단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제 1 및 제 2 밀봉체(20)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es a handle 23 adapt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lid 5. Sealing means are provided to seal the seat 18 to the toilet seat 1 and to seal the lid 5 to the seat 18. The sealing means is in the form of first and second seals 20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용기는 상기 뚜껑(5)이 상기 손잡이(23)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뚜껑(5)에 상기 손잡이(23)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잠금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제 1 및 제 2 밀봉체(20)의 형태인 밀봉 수단이 잠금 위치에서 밀봉을 이루도록 한다. 잠금 장치는 또한 손잡이(23)가 상기 좌변기(1)로부터 떨어지도록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되도록 하고 그 결과 밀봉 수단의 밀봉이 해제되도록 한다. 잠금 장치는 각각 걸쇠(4), 및 상기 걸쇠(4)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좌변기(1)의 외측에 형성된 만입부(2), 및 상기 손잡이(23)의 이동의 결과로서(즉 손잡이의 이동과 연계하여) 상기 걸쇠(4)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걸쇠(4) 상에 슬롯(12)의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 수단, 및 상기 슬롯(12) 안에서 작동하고 상기 손잡이(23)에 연결된 핀(13)의 행태인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devices connecting the handle 23 to the lid 5 so that the lid 5 can be moved by the handle 23. The locking device allows the sealing means in the form of the first and second seals 20 to be sealed in the locked position. The locking device also lifts the handle 23 away from the toilet 1 so that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and consequently the sealing means is released. The locking device, respectively, is a result of the movement of the clasp 4 and the indentation 2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oilet 1 to accommodate the clasp 4 and the handle 23 (ie the movement of the handle).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mechanism for regulat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4. The control mechanism comprises a guide means in the form of a slot 12 on the clasp 4 and a connecting member in the behavior of a pin 13 operating in the slot 12 and connected to the handle 23. .

물을 유지하도록 작용함으로써, 공기압 수단에 의하여 오물을 이송하도록 하 는 향상된 유용성을 갖출 수 있다. 이는 특히 좌변기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물 대신 압축 공기가 쏟아져 나오도록 함으로써 물을 매우 절약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는 유용한 방법은, 밀폐될 수 있고 밀봉될 수 있는 좌변기 내의 공기가 압축되도록 하여 오물이 쏟아져 나오도록 하고 이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뚜껑을 좌변기에 설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By acting to retain water, it is possible to have improved utility for transporting dirt by pneumatic means. This can be especially applied to the toilet seat, which saves water by allowing compressed air to pour out instead of water. A useful way to achieve this can be achieved by installing a lid on the toilet seat sufficient to allow air in the toilet bowl to be sealed and sealed to allow dirt to pour out and provide a means for transporting it.

몸체에 뚜껑을 밀봉하기 위한 공지의 밀봉 배열체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정확하게 체결되고 적합한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매우 정교하게 제조되는 수준을 요구한다. 이는 위생 설비들이 세라믹 물질로 생산되는 것이 최대한 편리하고, 이때의 치수적인 정확성이 높은 수준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뒤틀림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가중된다. 또한 세라믹 물질로 만들어진 위생 설비에 있어, 세라믹 물질의 부서지기 쉬운 성질은 구성요소들을 견고하게 체결하고 효과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공지의 시도로서 부득이하게 세라믹이 아닌 좌변기를 사용하거나, 혹은 작동시 높은 수준의 사용자의 손재주 및 이해가 필요한 비실용적인 해결책이 제시되어 왔다. 이는 대중 시장에서 적용되기에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공지의 밀봉 배열체는 밀봉 표면 사이의 오염에 의해 또한 밀봉체에 의해 쉽게 더러워졌다.Known sealing arrangements for sealing the lid to the body require a level of precision that is manufactured to ensure that the components are fastened correctly and form a suitable seal. This is aggravated by the fact that it is most convenient for sanitary installations to be made of ceramic material and the dimensional accuracy at this time does not allow for distortions that occur during high levels of manufacturing. Also in sanitary installations made of ceramic material, the brittle nature of the ceramic material limits the fastening of components and the effective sealing. As a known attempt to overcome such problems, an impractical solution has been proposed that uses a toilet seat other than ceramic, or requires a high level of dexterity and understanding of the user in operation. This was not easy to apply in the mass market. Known sealing arrangements are also easily soiled by contamination between the sealing surfaces and by the sealing bodies.

도면에 도시된 용기는 작동하기 용이한 밀봉 배열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극복하거나 축소시키며, 이는 좌변기(1)를 생산하기 위한 재료의 범위를 넓히고, 치수 및 내구성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The container shown in the figure overcomes or reduces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sealing arrangement that is easy to operate, which can broaden the range of materials for producing the toilet seat 1 and broaden the range of dimensions and durability.

상기에서 서술되었으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도 1은 뚜껑(5), 손잡이(23) 및 좌변기(1)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되며, 올려진 상태로 도시된 대좌(18)를 도시한다. 밀봉체(20)가 상기 뚜껑(5) 및 대좌(18)의 하측에 도시된다. 손잡이(23)는 상기 뚜껑(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23)는 상기 뚜껑(5)과 공통된 회동 지점을 공유한다. 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IG. 1 is hinged and pivoted on the lid 5, the handle 23 and the toilet seat 1 and shown in a raised state 18. Shows. A seal 20 is shown below the lid 5 and pedestal 18. The handle 23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id 5. The handle 23 shares a common pivot point with the lid 5.

도 2는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내려온 위치에서의 대좌(18)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잡는 지점(24)을 유지한 채 상기 손잡이(23)를 아래로 내리면, 뚜껑(5)이 걸쇠(4)에 매달린다. 2 shows the pedestal 18 in a lowered position as a whole. When the user pulls down the handle 23 while maintaining the grasping point 24, the lid 5 hangs on the latch 4.

도 3은 걸쇠(4)와 제 1 및 제 2 밀봉체(20)의 단면도이고, 이때 상기 뚜껑(5) 및 대좌(18)는 밀봉 립(21)의 자연 경사도(natural inclination)를 도시하기 위하여 상승되어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asp 4 and the first and second seals 20, wherein the lid 5 and pedestal 18 are intended to show the natural inclination of the seal lip 21. It is elevat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는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뚜껑 슬롯(7) 안으로 걸쇠(4)의 계단형 돌기부(tongue)(8)를 위치시키기 위한 조립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계단형 돌기부(8)가 화살표 "B" 방향으로 그것을 낮춤으로써 뚜껑 슬롯(7)과 체결되었을 때, 그 체결 지점 안으로 상기 걸쇠(4)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 절차를 도시한다. 4 and 5 show an assembly procedure for positioning the stepped tongue 8 of the clasp 4 into the lid slot 7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FIG. 5 shows an assembly procedure for securing the latch 4 into the fastening point when the stepped protrusion 8 is engaged with the lid slot 7 by lowering i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도 6은 완전히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해제된 상태의 뚜껑(5)과 대좌(18)를 도시한다. 손잡이(23)는 뚜껑과 동일한 높이가 아니며, 그 결과 걸쇠(4)는 좌변기 만입부(1) 안으로 체결하도록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았다. FIG. 6 shows the lid 5 and pedestal 18 in the unlocked position in a completely low position. The handle 23 is not flush with the lid, so that the latch 4 has not moved inward to engage into the toilet indent 1.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위치에서 걸쇠(4)와 제 1 및 제 2 밀봉체(2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뚜껑(5) 및 대좌(18)의 버퍼(22)들은 각각 대좌 상부(18) 및 좌변기 테두리(17) 상에 기대어 있는 상태로 도시된다. 상기 밀봉 립(21)은 그 맞춤 표면에 대하여 평평하게 놓인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tch 4 and the first and second seals 20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6. The buffers 22 of the lid 5 and pedestal 18 are shown leaning against the pedestal top 18 and the toilet rim 17, respectively. The sealing lip 21 lies flat against its mating surface.

도 8은 잠금 위치에서 뚜껑(5) 및 손잡이(23)를 도시한다. 대좌(18) 및 뚜껑(5)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아래로 내려와 있다. 그러나, 손잡이 멈춤부(25)가 뚜껑 리세스(26) 상에 지지되고, 상기 손잡이(23)는 뚜껑(5)과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걸쇠(4)의 멈춤쇠(9)는 좌변기 만입부(2) 안에 위치된다. 8 shows the lid 5 and the handle 23 in the locked position. The pedestal 18 and the lid 5 are fully lowered as shown in FIG. 6. However, the handle stop 25 is supported on the lid recess 26 and the handle 23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lid 5. As a result, the detent 9 of the latch 4 is located in the toilet bowl indentation 2.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4)와 밀봉체(21)의 단면도이다. 손잡이(23)는 완전히 내려온 위치에 위치하고, 그 위에서 가이드 핀(13)이 걸쇠(4)를 내측으로 밀기 위하여, 그리고 좌변기 만입부(3)의 거꾸로 된 표면에 멈춤쇠(9)를 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 슬롯(12)을 따라 이동된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asp 4 and the seal 21 as shown in FIG. The handle 23 is located in the fully lowered position, on which the guide pin 13 pushes the latch 4 inwards, and to fasten the detent 9 to the inverted surface of the toilet bowl indentation 3. Is moved along the guide slot 12.

도 10은 제 1 및 제 2 밀봉체(20) 중 하나의 단면 사시도이고, 상기 밀봉체(20)에 위치지정 돌기부(location tongue)(26)와 미늘형 융기부(barbed ridge)(27)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FIG.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s 20, with a location tongue 26 and barbed ridges 27 in the seal 20. Show the appearance.

도면에 도시된 용기의 구조 및 작동은 다음과 같다. 좌변기(1)에는 걸쇠(4)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거꾸로 된 평면(3) 상에 위치되는 만입부(2)가 제공된다. 뚜껑(5)이 힌지(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하고, 상기 뚜껑에는 닫힌 위치에서 좌변기 만입부(2)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슬롯(7)이 제공된다.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ntainer shown in the drawings are as follows. The toilet seat 1 is provided with an indentation 2 located on an inverted plane 3 sufficient to receive the clasp 4. The lid 5 freely rotates about the hinge 6, which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lots 7 positioned on the toilet bowl indentation 2 in the closed position.

걸쇠(4)에는 일단부에 계단형 돌기부(8)가 제공된다. 상기 계단형 돌기부(8)는 걸쇠(4)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각도로 제공되는 경우 화살표 "A" 방 향으로 뚜껑 슬롯(7) 안으로 미끄러진다. 그러나, 계단형 돌기부(8)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 돌기부가 화살표 "B" 방향으로 내려갈 때 체결 힌지를 형성한다. The clasp 4 is provided at one end with a stepped protrusion 8. The stepped protrusion 8 slides into the lid slot 7 in the direction of arrow “A” when the latch 4 is provided at a vertical angle as shown in FIG. 4. However, the stepped projection 8 forms a locking hinge when the stepped projection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B " as shown in FIG.

걸쇠(4)에는 좌변기(1) 안에서 만입부(2)와 체결하기 위하여 타단에 멈춤쇠(9)가 제공된다. 각각의 멈춤쇠(9)는 좌변기(1)의 여압에 의하여 가압되거나 굽어진 때, 외측으로 이동함이 없이 만입부를 죄도록 하기 위하여 각진 면(10)과 곡선형 접촉점(11)을 갖도록 형성된다. 잠기어 있거나 휴식 기간동안 멈춤쇠(9)가 좌변기 만입부(2)에 접촉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여압(pressurisation) 동안, 상기 멈춤쇠(9)가 좌변기 만입부(2)와 접촉하는 동안에 뚜껑(5)이 상승하고 상기 걸쇠(4)을 들어올리기 때문이다. 만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걸쇠(4)들이 사용된다면, 뚜껑(5)은 모든 걸쇠(4)가 좌변기(1)를 조이는 동안 여압 하에서 굽어질 것이다. The catch 4 is provided with a detent 9 at the other end for engaging with the indentation 2 in the toilet 1. Each detent 9 is formed with an angled surface 10 and a curved contact point 11 to clamp the indentation without moving outward when pressed or bent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toilet seat 1. . It is not necessary for the detent 9 to contact the toilet seat indentation 2 during a locked or rest period during the pressurisation, while the detent 9 is in contact with the toilet seat indentation 2. This is because the lid 5 is raised and the latch 4 is lifted up. If multiple latches 4 are us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d 5 will bend under pressurization while all the latches 4 are tightening the toilet seat 1.

상기 걸쇠(4)에는 추가로 그 외측 표면 상에 슬롯(12)의 오프셋 런(offset run)이 제공되며, 상기 오프셋 런은 손잡이 돌출부(14) 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핀(13)을 수용하고 이를 따르기에 충분하다. 상기 손잡이(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5) 위 및 그 주위에 위치되고 힌지(6)를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한다. 상기 손잡이(23)에는 상기 슬롯(12)을 통하여 체결 핀(13)을 위치시키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4)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23)가 완전히 내려갔을 때, 과하게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뚜껑(5)이 상기 좌변기(1) 상에 완전히 잠기는 것을 외관상으로 확인하도록 상기 뚜껑(5)과 같은 높이의 윤곽을 형성하기 위하여 뚜껑 리세스(26) 안에서 지지되는 멈춤부(25)가 제공된다. The clasp 4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ffset run of the slot 12 on its outer surface, which receives a guide pin 13 which is fastened and fixed in the handle protrusion 14. Enough to follow this. The handle 23 is located above and around the lid 5 as shown and freely rotates about the hinge 6. The handle 23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14 for positioning the fastening pins 13 through the slots 12. When the handle 23 is fully lowered, it is contour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id 5 to prevent overtightening and to visually confirm that the lid 5 is completely submerged on the toilet bowl 1. A stop 25 is provided that is supported in the lid recess 26 to form.

손잡이(23)가 상승했을 때, 가이드 핀(13)이 슬롯(12)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상기 걸쇠(4)를 상기 뚜껑 슬롯(7) 안의 힌지로 가입하고 좌변기 만입부(2)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가이드 핀(13)이 슬롯(12)의 런의 단부에 닿았을 때, 상기 가이드 핀(13)은 상측으로 걸쇠(4)에 힘을 가하여 뚜껑(5)을 들어올린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5)으로부터 계단형 돌기부(8)를 해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직 각도로 상기 걸쇠(5)가 복귀할 수 없기 때문이다. When the handle 23 is raised, the guide pin 13 moves the slot 12 upwards, as a result of which the latch 4 is joined by a hinge in the lid slot 7 and the toilet bowl indentation 2 Away from it. When the guide pin 13 touches the end of the run of the slot 12, the guide pin 13 lifts the lid 5 by forcing the latch 4 upward. This is because the latch 5 cannot return to the vertical angle necessary to release the stepped projection 8 from the lid 5 as shown in FIG.

역으로, 손잡이(23)가 낮아졌을 때, 상기 뚜껑(5)의 무게는 뚜껑(5)이 상기 손잡이(23)로부터 떨어져 내려오도록 한다. 이는 걸쇠(4)가 가이드 핀(13)에 의하여 외측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그 곳에서 그들은 뚜껑(5)에 매달린다. 뚜껑에는 손잡이를 잡는 지점(24)에 인접하게 컷아웃부(cut-out)(15)가 제공되고, 그 결과, 만일 사용자가 손잡이(23)를 내리고 있는 동안 우연히 뚜껑(5)을 잡는다면, 닫히기 전에 좌변기 테두리(17)가 깨끗하도록 상기 컷아웃부(15)가, 상기 뚜껑(5)이 상기 걸쇠(4)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히 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걸쇠(4)에는 각진 선두 모서리부(leading edge)(16)가 제공되고, 상기 구성요소들은 충분히 탄력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상기 뚜껑(5)이 상기 잠금 위치에서 손잡이(23)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걸쇠(4)가 그 내측 위치에서 잠기더라도, 잠금 위치를 확고히 하도록 상기 걸쇠(4)가 좌변기 테두리(17) 위를 지나 이동하여 만입부(2)에 위치하도록 한다.Conversely, when the handle 23 is lowered, the weight of the lid 5 causes the lid 5 to fall away from the handle 23. This causes the latch 4 to be moved to an outward position by the guide pin 13, where they hang on the lid 5. The lid is provided with a cut-out 15 adjacent to the grab point 24, so that if the user accidentally grabs the lid 5 while lowering the grab 23, The cutout 15 allows the lid 5 to fall far enough to move the latch 4 to the unlocked position so that the toilet seat 17 is clean before closing. However, the clasp 4 is provided with an angular leading edge 16 and the components are designed to be sufficiently resilient so that the lid 5 lowers the handle 23 in the locked position. Even though the latch 4 is locked in its inward position, the latch 4 moves over the toilet rim 17 to be positioned at the indentation 2 to secure the locking position.

추가로, 가이드 핀(13)은 그 체결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손잡이(23)는 독립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자유로우며, 상기 걸쇠(4)는 청소 및 보수를 위하여 슬롯(7)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pin 13 can be removed from its fastening position, as a result of which the handle 23 is free to rise independently, and the latch 4 is provided with a slot 7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Can be removed from.

대좌(18)는 힌지(6)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상기 대좌(18)에는 상기 멈춤쇠(9)의 청결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컷아웃부(19)가 제공된다. 상기 대좌(18)는 상기 뚜껑(5) 또는 손잡이에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올리워 진다. The pedestal 18 is free to move about the hinge 6 and the pedestal 18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cutouts 19 for the cleanliness of the detent 9. The pedestal 18 is lifted independently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lid 5 or handle.

상기 대좌(18) 및 뚜껑(5)에는 각각 탄력적인 밀봉체(20)가 제공된다. 각각의 탄력적인 밀봉체(20)는 내측 및 하측으로 바라보는 립(21)을 구비한다. 대좌(18) 및 뚜껑(5)이 아래로 내려갈 때, 제 1 및 제 2 밀봉체(20)는 팬 테두리(17) 및 그들 아래의 대좌(18)와 접촉하고 상기 립(21)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맞춤 표면 상에 평평하게 놓인다. The pedestal 18 and the lid 5 are each provided with a resilient seal 20. Each resilient seal 20 has a lip 21 facing inward and downward. When the pedestal 18 and the lid 5 are lowered, the first and second seals 20 are in contact with the fan rim 17 and the pedestal 18 below them and the ribs 21 are shown in FIG. 7. It lies flat on its fitting surface as shown in.

뚜껑(5) 및 대좌(18)에는 하나 이상의 버퍼(22)들이 제공되고, 상기 버퍼는 평평한 밀봉 갭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지지 패드 혹은 패드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좌변기 테두리(17) 및 대좌 상부(18)와 접촉을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평평한 밀봉 갭은 상기 밀봉체(20)가 압축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Lid 5 and pedestal 18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buffers 22, which buffer 18 and pedestal top 18 to form support pads or pads sufficient to maintain a flat sealing gap. ) To make contact. This flat sealing gap prevents the seal 20 from being compressed or distort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작동시에, 밀봉 립(21)은 기밀 밀봉(hermetic seal)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좌변기(1) 안에 여압에 의하여 그 맞춤 표면 상으로 밀어낸다. 제 1 및 제 2 밀봉체의 각각의 특성은, 여압 동안 뚜껑(5)이 상승하고 움직이는 동안, 밀봉체가 움직이나 밀봉 립(21)이 그 밀봉 위치에 상관 없이 효과적인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맞춤 표면 상으로 계속하여 밀어내는는 것이다. 더 나아가, 여압은 또한 플러싱(flushing)을 위하여 충분한 기밀 밀봉 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맞춤 표면 상의 오염 주위로 밀봉 립(21)을 밀어낸다. 밀봉 웨어(seal wear)는 또한 상기 밀봉이 조여지거나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최소화된다. In operation of the contain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aling lip 21 is pushed onto its fitting surface by pressurization in the toilet 1 to produce a hermetic seal.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seals are their mating surfaces to ensure that the seal moves while the lid 5 is raised and moved during pressurization, but the seal lip 21 maintains an effective seal regardless of the seal position. To push it back to the table. Further, the pressurization also pushes the sealing lip 21 around the contamination on its fitting surface to maintain a sufficient hermetic seal for flushing. Seal wear is also minimized because the seal is not tightened or compressed.

제 1 및 제 2 밀봉체(20)는 각각 돌기부(26)를 구비하고, 이는 상기 뚜껑 및 대좌 내의 대응 홈에 맞추어진다. 상기 돌기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미늘형 융기부(27)가 제공된다. 상기 미늘형 융기부(27)는 상기 돌기부(26)가 상기 뚜껑(5) 혹은 상기 대좌(18) 안에서 홈 안으로 밀릴 수 있는 것처럼 돌기부(26)에 대항하여 평평하게 밀린다. 미늘형 융기부(27)는 그 홈을 잡고 외측으로 한층 더 강하게 잡아 열도록 함으로써 여압동안 밀봉체가 그 홈을 떠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밀봉체가 보수를 위하여 제거될 필요가 있다면 충분한 힘을 가하여 미늘형 융기부(27)의 저항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seals 20 each have a projection 26, which fits into the corresponding groove in the lid and pedestal. The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barbed ridge 2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barbed ridge 27 is pushed flat against the protrusion 26 as the protrusion 26 can be pushed into the groove in the lid 5 or the pedestal 18. The barbed ridge 27 catches the groove and makes it stronger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seal from leaving the groove during pressurization. However, if the seal needs to be removed for repair, sufficient force may be applied to overcome the resistance of the barbed ridge 27.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용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The container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한 손으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걸쇠(4)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뚜껑(5)을 하나의 동작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손잡이(23)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자동적으로 걸쇠(4)가 해제된다. 손잡이(23)를 내려놓음으로써 자동적으로 뚜껑(5)이 닫히고 그 위치에서 뚜껑(5)이 잠긴다. 1.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 one hand By moving the latch 4 to the outside and lifting the lid 5 in one operation, the latch 4 is automatically released through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handle 23. The lid 5 is automatically closed by lowering the handle 23 and the lid 5 is locked in that position.

2. 뚜껑(5)은 여압동안 좌변기(1)로부터 굽혀 떨어질 수 있으나, 밀봉 립은 기밀 밀봉(hermetic seal)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압에 의하여 그 맞춤 표면 상에서 계속적으로 밀려진다. 뒤틀린 혹은 손상된 좌변기(1)에 의하여 야기된 밀봉체와 좌변기(1) 사이의 어떠한 틈새도 여압동안 밀봉된다. 밀봉 립은 또한 사용시 밀봉의 경로 상에서 떨어질 수 있는 오염물 혹은 부스러기들을 감쌀 것이다. 2. The lid 5 may bend away from the toilet seat 1 during pressurization, but the sealing lip is continuously pushed on its fitting surface by air pressure to form a hermetic seal. Any gaps between the seal and the toilet seat caused by the warped or damaged toilet seat 1 are sealed during pressurization. The sealing lip will also cover contaminants or debris that may fall on the path of sealing in use.

3. 걸쇠(4)는 효과적인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위치에서 클램프(clamp)될 필요가 없거나 좌변기(1)와 접촉할 필요조차 없다. 여압이 발생하면, 뚜껑(5)은 그들이 접촉할 때까지 걸쇠(4)을 들어올리고, 모든 걸쇠(4)가 체결될 때까지 뚜껑은 굽어진다. 따라서, 밀봉 배열체가 자가 조정(self-adjusting)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별히 세라믹 좌변기(1)에서 변형이 발생하거나, 및/또는 공차가 변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따라서, 뚜껑과 좌변기 구성요소를 맞추는 것이 필요하지 않으며, 허용가능한 제조 공차가 증가한다. 3. The latch 4 does not need to be clamped in place or even contact the toilet seat 1 to form an effective seal. When pressurization occurs, the lid 5 lifts the latches 4 until they come in contact, and the lids are bent until all the latches 4 are engaged. Thus, the sealing arrangement becomes self-adjusting. This feature is particularly useful when deformations occur in the ceramic toilet seat 1 and / or when the tolerances change. Thus, it is not necessary to fit the lid and the toilet bowl component, and the acceptable manufacturing tolerances increase.

4. 사용자는 오염된 뚜껑(5)을 가능한 만질 필요가 없다. 손잡이(23)는 잠재적인 오염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이용되는 접촉지점을 형성한다.4. The user does not need to touch the contaminated lid 5 as much as possible. The handle 23 defines the point of contact used at a location away from potential contamination.

5. 손잡이(23)는 만일 걸쇠(4)이 좌변기 만입부(2) 안에 체결되지 않는다면 뚜껑(5)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놓이지 않을 것이다. 이는 뚜껑(5)이 잠기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깨끗한 외관을 보여줄 것이다. 5. The handle 23 will not be plac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id 5 if the catch 4 is not fastened in the toilet indent 2. This will give the user a clean appearance even if the lid 5 is not locked.

6. 밀봉체는 뚜껑(5) 및 대좌 밀봉 홈 안으로 밀어 넣어져 맞추어지도록 그들의 위치고정 돌기부를 따라 미늘형 융기부를 구비한다. 이는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게 하고, 뚜껑(5)과 대좌(18) 내의 아래 부분을 잘라낼 필요를 제거한다. 그 결과 제조 상의 어려움이 극복된다. 6. The seals have barbed ridges along their positioning projections to be pushed into the lid 5 and pedestal seal grooves. This facilitates assembly and replacement and eliminates the need to cut off the lower part in the lid 5 and pedestal 18. As a result, manufacturing difficulties are overcome.

7.용기가 뚜껑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홀 혹은 돌출 걸림 핀들을 갖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맞춤 표면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깨끗하고, 편안하고 외관상으로 이 목을 증가시킨다. 7. Since the container does not need to have fixing holes or protruding locking pins for fastening to the lid, the mating surface is continuously made to increase the neck clean, comfortable and apparent.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주어진 것이며 수정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용기는 위생 설비가 아닌 또 다른 형태의 용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그 뚜껑이 확실하게 잠기고 몸체에 밀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어떠한 용기일 수 있다. 어떠한 용기에 있어서, 둘 이상의 잠금 장치보다는 단지 하나의 잠금 장치만 있는 것이 적합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힌지들은 사용 동안 더러워지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좌변기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힌지들은 대안적으로 팬 테두리 상에 내부적으로 혹은 또 다른 용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걸쇠은 도 3 및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 위치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나, 손잡이가 상측으로 혹은 하측으로 압력을 받을 때 걸쇠이 굽어져 들어가거나 밖으로 튀어나올 수 있도록 충분하게 탄성적이며, 탄력적인 소재로 제조되고 뚜껑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밀봉체는 압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어떠한 용기에서는 밀봉체가 생략될 수 있다.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given merely by way of example and may be modified. Thus, for example, the container may be another type of container that is not a sanitary installation. In general, the container may be any container whose lid needs to be securely closed and sealed to the body. In some containers it may be appropriate to have only one locking device rather than two or more locking devices. The hinges in the figure can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to reduce dirt during use. The hinges can alternatively be located internally or in another easy location on the fan rim. The clasp may not be provided in a hinged pos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but is sufficiently elastic and resilient to allow the clasp to bend in or protrude out when the handle is pressurized upwards or downwards. It can be made into and firmly fixed to the lid. The seal can be made in a compression manner. In some containers, the seal may be omitted.

Claims (9)

화장실용 좌변기인 몸체, 상기 몸체용 뚜껑 및 상기 몸체에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배열체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A container comprising a toilet, a toilet seat, a lid for the body and a locking arrangement for fixing the lid to the body, 상기 잠금 배열체는 상기 뚜껑의 주변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주위에 설치된 손잡이, 및 상기 뚜껑이 상기 손잡이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뚜껑에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로 이루어지고,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es a handle installed around some or all of the periphery of the lid, and at least one locking device connecting the handle to the lid such that the lid is moved by the handle,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손잡이가 상기 뚜껑에 대하여 아래로 내려왔을 때 잠기고, 그리고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가 들어 올려져 떨어지면 상기 잠금 장치가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용기. And the locking device is configured to lock when the handle is lowered with respect to the lid, and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when the handle is lifted off the li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잠금 장치 각각은 걸쇠, 상기 걸쇠와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외측에 제공되는 체결 수단, 및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손잡이의 이동에 연계하여 상기 걸쇠가 작동되도록 상기 걸쇠의 작동을 제어하는, 용기.Each of the locking devices includes a clasp, fastening means provided outside of the body for engaging with the clasp, and a control mechanism, the control mechanism actuating the clasp such that the clasp is actu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handle. To control, courage.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체결 수단이 만입부(indent)인, 용기. Wherein said fastening means is an indent.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걸쇠 상의 가이드 수단, 상기 가이드 수단 내에서 작동하고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The control mechanism comprises a guide means on the latch, a connecting member operating in the guide means and connected to the handle. 제 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가이드 수단은 슬롯이며, 상기 연결 부재는 핀인, 용기. Wherein the guide means is a slot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a p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뚜껑은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And the li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od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기는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용기.The container comprising sealing means. 제 7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밀봉 수단은 제 1 밀봉체 및 제 2 밀봉체를 포함하는, 용기. And the sealing means comprises a first seal and a second seal. 삭제delete
KR1020077009088A 2004-10-22 2005-10-18 A container KR1013133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23515A GB0423515D0 (en) 2004-10-22 2004-10-22 A container
GB0423515.6 2004-10-22
GB0509289.5 2005-05-06
GB0509289A GB2419377A (en) 2004-10-22 2005-05-06 A container with a lockable lid and a release handle
PCT/GB2005/003996 WO2006043042A1 (en) 2004-10-22 2005-10-18 A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750A KR20070083750A (en) 2007-08-24
KR101313371B1 true KR101313371B1 (en) 2013-10-01

Family

ID=3551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088A KR101313371B1 (en) 2004-10-22 2005-10-18 A container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838193B1 (en)
JP (1) JP5086808B2 (en)
KR (1) KR101313371B1 (en)
AU (1) AU2005297041B2 (en)
CA (1) CA2585996C (en)
NO (1) NO330327B1 (en)
PL (1) PL1838193T3 (en)
WO (1) WO2006043042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6687A (en) * 2014-05-27 2014-08-13 宁波博帆卫浴有限公司 Automatic child-resistant device for closestool
CN103976683A (en) * 2014-05-27 2014-08-13 宁波博帆卫浴有限公司 Child-resistant device on closest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5812C2 (en) 2008-08-12 2010-02-15 Attention Reclame Shielding element for temporarily shielding a urinal.
JP4518437B1 (en) * 2009-06-01 2010-08-04 英治 川西 Western-style toilet disinfection and deodorant spray equipment
US8366156B2 (en) 2010-05-10 2013-02-05 Ipl, Inc. Cart with flexible latch
US8870520B2 (en) 2010-05-10 2014-10-28 Ipl, Inc. System and method for emptying a latched container
EP2420458A3 (en) * 2010-08-16 2012-05-30 Ipl Inc. Container with flexible latch
GB2552629B (en) 2012-03-01 2018-03-07 Phoenix Product Development Ltd Toilet pan bodies
DE102014111014A1 (en) * 2014-08-04 2016-02-04 Wenko-Wenselaar Gmbh & Co. Kg Toilet seat and use of sealants to retrofit a toilet seat
RU2620302C2 (en) * 2015-06-08 2017-05-2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Экспресс" (Ооо Нпц "Экспресс") Method for cleaning natural toilet
KR102213795B1 (en) * 2019-04-30 2021-02-08 박겨레 Toilet bowl with clog removal function
BR102020001182A2 (en) * 2020-01-18 2021-08-03 Tiago Henrique Gomes De Lima SANITARY SEAT PROTECTOR / SE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8512A (en) * 1985-04-15 1987-03-10 King-Seeley Thermos Co. Portable cooler with side receptacle
US4982863A (en) * 1989-03-22 1991-01-08 A/S E. Danberg Group Portable box
KR0134577Y1 (en) * 1996-07-16 1998-12-15 이재정 Thermally-insulated vesse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3144A5 (en) * 1984-05-04 1987-11-30 Fritz Nyffeler Lavatory lid
GB2308615A (en) * 1995-12-23 1997-07-02 Graham Christopher Nee Safety lock for toilet lid or other wing
JP2000159251A (en) * 1998-11-26 2000-06-13 Araco Corp Storage container having lid
JP2000318762A (en) * 1999-03-11 2000-11-21 Sumitomo Bakelite Co Ltd Hermetic container
JP2003275100A (en) * 2002-03-25 2003-09-30 Chujo Keigin Seizosho:Kk Pressure coo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8512A (en) * 1985-04-15 1987-03-10 King-Seeley Thermos Co. Portable cooler with side receptacle
US4982863A (en) * 1989-03-22 1991-01-08 A/S E. Danberg Group Portable box
KR0134577Y1 (en) * 1996-07-16 1998-12-15 이재정 Thermally-insulated vess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6687A (en) * 2014-05-27 2014-08-13 宁波博帆卫浴有限公司 Automatic child-resistant device for closestool
CN103976683A (en) * 2014-05-27 2014-08-13 宁波博帆卫浴有限公司 Child-resistant device on closes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8193A1 (en) 2007-10-03
KR20070083750A (en) 2007-08-24
EP1838193B1 (en) 2010-05-26
WO2006043042A1 (en) 2006-04-27
CA2585996C (en) 2013-12-10
NO330327B1 (en) 2011-03-28
AU2005297041A1 (en) 2006-04-27
AU2005297041B2 (en) 2011-06-16
CA2585996A1 (en) 2006-04-27
PL1838193T3 (en) 2011-01-31
JP5086808B2 (en) 2012-11-28
JP2008516861A (en) 2008-05-22
NO20071627L (en)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371B1 (en) A container
US8176576B2 (en) Container
US5908037A (en) Compact with hermetic sealing assembly
CA2569957C (en) Child-resistant closure
JPH0428948Y2 (en)
EP0636094B1 (en) Closure device
US20120152944A1 (en) Sealable storage container
US20110056045A1 (en) Dirt Cup Latch Mechanism
CA2592732A1 (en) Closure lid for open mouth containers
US20100301050A1 (en) Diaper pail
JP2010235138A (en) Bottle lid locking structure
KR20180126638A (en) An Airtight Container
JP2022539943A (en) beverage bottle
JP4850438B2 (en) Cosmetic container
US7448513B2 (en) Reusable hinged-lid shipping/storage box
JP4453863B2 (en) One-touch cap
JPH06156519A (en) Sealing container
JP3901485B2 (en) Ceiling access door
JPS6335686Y2 (en)
KR101927704B1 (en) Closure structure of the lid
KR101927703B1 (en) Closure structure of the lid
JP4657989B2 (en) Button-operated lidded container
JPH05338660A (en) Container and lid locking structure
JP3762245B2 (en) cap
JPH0614651Y2 (en) Compact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