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100B1 -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100B1
KR101313100B1 KR1020110108610A KR20110108610A KR101313100B1 KR 101313100 B1 KR101313100 B1 KR 101313100B1 KR 1020110108610 A KR1020110108610 A KR 1020110108610A KR 20110108610 A KR20110108610 A KR 20110108610A KR 101313100 B1 KR101313100 B1 KR 10131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video
unit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511A (ko
Inventor
백선종
Original Assignee
(주)엠비씨아카데미씨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비씨아카데미씨엔엠 filed Critical (주)엠비씨아카데미씨엔엠
Priority to KR102011010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1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물 제공서버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물을 가공하여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며 생성한 가공 영상물을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물 가공 장치;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로 영상물을 전송하는 영상물 제공서버;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로부터 가공 영상물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 영상물 제공서버 및 사용자단말기를 서로 접속시키는 정보통신망;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는, 수신한 영상물 중 가공 대상 영상물을 특정하는 대상영상물특정부; 특정한 가공 대상 영상물을 가공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가공기준설정부; 및 설정한 가공 기준에 따라 가공 대상 영상물을 재배치함으로써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는 영상물재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사 또는 영상물 제작사가 제작한 영상물을 분야별, 주제별, 용도별 등의 기준으로 편집 가공하여 맞춤형 가공 영상물을 생성 및 배포함으로써 개별적인 사용자에 적합한 영상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 {Apparatus for Remaking Moving Pictures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oving Pictur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사 또는 영상물 제작사가 제작한 영상물을 분야별, 주제별, 용도별 등의 기준으로 편집 가공하여 맞춤형 가공 영상물을 생성 및 배포함으로써 개별적인 사용자에 적합한 영상물을 제공하되, 영상물 상의 화소 팽창과 국소 이진화 등을 사용하여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를 바탕으로 영상물을 분류하여 가공함으로써 영상물 가공의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인터넷상에서 각종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발달함에 따라 방송 분야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인터넷상으로 영상물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물 제공 서비스는 방송사 또는 제작사가 일방적으로 영상물을 제공하는데 머물렀으므로 사용자는 수동적인 입장일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영상물을 가공하여 제공하는 서비스가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0740005호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영상 가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시청자 영상과 방송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을 수행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0740005호에서 수행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은 시청자로부터 제공받은 시청자 영상을 방송영상과 획일적으로 합성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서 실질적인 의미의 가공이라고 보기 곤란하였다.
아울러 영상물을 분야별, 주제별, 용도별 등의 기준으로 편집 가공하여 맞춤형 가공 영상물을 생성 및 배포함으로써 개별적인 사용자에 적합한 영상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서비스는 시도된 바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송사 또는 영상물 제작사가 제작한 영상물을 분야별, 주제별, 용도별 등의 기준으로 편집 가공하여 맞춤형 가공 영상물을 생성 및 배포함으로써 개별적인 사용자에 적합한 영상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물을 분야별, 주제별, 용도별 등의 기준으로 편집 가공함에 있어서 특정 영상물 상의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문자를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함으로써 대상 영상물을 분류하여 대상 영상물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상 영상물 분류를 위한 문자 인식에 있어서 영상물 상의 화소 팽창과 국소 이진화 등을 사용하고 인식된 문자를 바탕으로 영상물을 분류하여 가공함으로써 영상물 가공의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물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영상물 제공서버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는 영상물수신부; 및 상기 영상물수신부가 수신한 영상물을 가공하여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는 영상물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물가공부는, 상기 영상물수신부가 수신한 영상물 중 가공 대상 영상물을 특정하는 대상영상물특정부; 상기 대상영상물특정부가 특정한 가공 대상 영상물을 가공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가공기준설정부; 및 상기 가공기준설정부가 설정한 가공 기준에 따라 가공 대상 영상물을 재배치함으로써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는 영상물재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물재배치부는 가공 기준별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 대상 영상물로부터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를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검색 대상이 되는 문자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가장 많은 가공 기준별 분류로 상기 가공 대상 영상물을 분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물재배치부는, 상기 가공 대상 영상물에 대해서 에지 영상을 추출하는 에지영상추출기; 상기 에지 영상의 화소를 팽창시키는 화소팽창기; 화소가 팽창된 상기 에지 영상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높이를 가진 소정의 라인 영역을 가상 문자 영역으로 간주하여 추출하는 가상문자영역추출기; 추출한 가상 문자 영역 내에서 국소 이진화를 수행하는 국소이진화기; 국소 이진화한 문자 영역에서 개별 문자를 추출하는 문자추출기; 및 추출한 개별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영상물 가공 장치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물 제공서버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물을 가공하여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며 생성한 가공 영상물을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물 가공 장치;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로 영상물을 전송하는 영상물 제공서버;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로부터 가공 영상물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 영상물 제공서버 및 사용자단말기를 서로 접속시키는 정보통신망;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는, 수신한 영상물 중 가공 대상 영상물을 특정하는 대상영상물특정부; 특정한 가공 대상 영상물을 가공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가공기준설정부; 및 설정한 가공 기준에 따라 가공 대상 영상물을 재배치함으로써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는 영상물재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사 또는 영상물 제작사가 제작한 영상물을 분야별, 주제별, 용도별 등의 기준으로 편집 가공하여 맞춤형 가공 영상물을 생성 및 배포함으로써 개별적인 사용자에 적합한 영상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물을 분야별, 주제별, 용도별 등의 기준으로 편집 가공함에 있어서 특정 영상물 상의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문자를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함으로써 대상 영상물을 분류하여 대상 영상물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영상물 분류를 위한 문자 인식에 있어서 영상물 상의 화소 팽창과 국소 이진화 등을 사용하고 인식된 문자를 바탕으로 영상물을 분류하여 가공함으로써 영상물 가공의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가공부에 관한 상세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문자 인식을 위한 에지 영상, 화소 팽창 영상, 가상 문자 영역 역상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에 관해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가공부에 관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문자 인식을 위한 에지 영상, 화소 팽창 영상, 가상 문자 영역 역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100)는, 영상물수신부(110), 영상물분류부(120), 영상물가공부(130), 영상물제공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영상물수신부(110)는 별도의 영상물 제공서버로부터 각종 영상물을 수신한다.
별도의 영상물 제공서버로는 MBC, KBS, SBS 등의 지상파 방송사 서버, 영상물 제작을 주업무로 하는 외주 제작사 서버, 각종 용도로 영상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사설 학원 서버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영상물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영상물은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 오락 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영상물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물분류부(120)는 영상물수신부(110)가 수신한 영상물을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영상물분류부(120)가 영상물을 분류하는 기준으로는, 장르별, 분야별, 주제별, 대상연령별 등의 기준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의 구분은 장르별 분류이며, 정치, 사회, 문화, 과학 등의 구분은 분야별 또는 주제별 분류이고, 유아용, 초중고용, 성인용 등은 대상연령별 분류로 볼 수 있다.
다만, 분류되는 영상물은 분류별로 중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분류 기준이 항상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의 목적 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류 기준을 채택할 수 있다.
만약 MBC의 "뽀뽀뽀"를 분류하는 경우라면, 교육 프로그램-문화-유아용 등의 세분류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영상물수신부(110)가 MBC의 "뽀뽀뽀"를 수신하면 영상물분류부(120)는 "뽀뽀뽀"라는 영상물 제목에 대한 분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분류 정보에 따라 "뽀뽀뽀"를 분류한다.
"뽀뽀뽀"라는 영상물 제목에 대한 분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물분류부(120)는 "뽀뽀뽀"라는 영상물 제목을 별도의 영상물 제공서버로부터 검색하여 별도의 영상물 제공서버가 제공하는 분류 정보에 따라 "뽀뽀뽀"를 분류하며, 분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추가적으로, 영상물분류부(120)는 별도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영상물 분류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영상물 분류 변경 정보에 따라 분류 정보를 변경하고 데이터베이스(150)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영상물가공부(130)는 영상물분류부(120)에 의해 분류된 영상물을 가공하여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영상물특정부(131), 가공기준설정부(132) 및 영상물재배치부(133)를 포함한다.
그 중, 대상영상물특정부(131)는 영상물분류부(120)에 의해 분류된 영상물 중 1 이상의 가공 대상 영상물을 특정한다.
대상영상물특정부(131)의 가공 대상 영상물 특정은 별도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의 신호 전송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기 설정된 영상물 분류 중 소정 분류에 속하는 영상물을 자동으로 특정하는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별도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소정 개수의 대상 영상물에 대한 특정 신호를 수신한 경우라면 이에 대응하는 영상물이 가공 대상 영상물로서 특정되며, 특정한 분류에 속하는 영상물을 대상 영상물로 특정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분류에 속하는 영상물이 가공 대상 영상물로서 특정된다.
예를 들어, 교육 프로그램-문화-유아용 영상물 세분류에 대해 영상물 가공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MBC의 "뽀뽀뽀" 등이 대상 영상물로서 특정된다.
다음으로, 가공기준설정부(132)는 대상영상물특정부(131)가 특정한 가공 대상 영상물을 가공하는 기준을 설정한다.
가공기준설정부(132)의 가공 기준 설정은 별도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의 신호 전송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기 설정된 가공 기준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별도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임의의 대상 영상물에 대한 가공 기준 설정 신호를 수신한 경우라면 이에 대응하는 가공 기준이 설정되며, 시간별, 주제별, 대상연령별 등의 가공 기준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러한 가공 기준이 채택된다.
예를 들어, 교육 프로그램-문화-유아용 영상물 세분류에 대해 가공 기준으로서 20분 단위의 시간 기준과 언어, 외국어, 수리, 과학 등의 주제 기준이 동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MBC의 "뽀뽀뽀" 등 가공 대상 영상물은 영상물재배치부(133)에 의해 각각 20분 단위의 새로운 영상물로서 가공되되 각각의 새로운 가공 영상물은 언어, 외국어, 수리, 과학 등의 특정 주제에 적합하도록 가공된다.
마지막으로, 영상물재배치부(133)는 영상물 가공 기준에 따라 가공 대상 영상물을 재배치함으로써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에지영상추출기, 화소팽창기, 가상문자영역추출기, 국소이진화기, 문자추출기 및 문자인식기를 포함한다.
임의의 가공 대상 영상물은 소정 개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프레임으로부터 임의의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문자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면 가공 대상 영상물을 주제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영상물분류부(120)에 의한 영상물 분류 정보를 활용하면 분류의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프로그램-문화-유아용 영상물 세분류에 대해 가공 기준으로서 20분 단위의 시간 기준과 언어, 외국어, 수리, 과학 등의 주제 기준이 동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영상물재배치부(133)가 해당 분류에 속하는 MBC의 "뽀뽀뽀" 영상물을 재배치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뽀뽀뽀" 영상물 프레임 중 문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대상으로 하여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한 문자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키워드를 주제별로 저장하고 있으며, 검색 대상이 되는 문자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가장 많은 주제별 분류가 해당하는 "뽀뽀뽀" 영상물 프레임의 분류로서 채택된다.
"뽀뽀뽀" 영상물 프레임이 언어, 외국어, 수리, 과학 등의 주제별로 분류된 이후, 각각의 분류된 영상물 프레임은 20분 단위로 분리 결합됨으로써 시간별, 주제별 영상물 재배치가 완료된다.
한편, 영상물재배치부(133)가 가공 대상 영상물로부터 문자를 인식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에지영상추출기가 가공 대상 영상물에 대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지 영상을 추출한다.
그리고 문자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서, 화소팽창기가 에지 영상의 화소를 팽창시킨다. 구체적으로, 화소팽창기는 불연속적인 에지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이진화된 영상물에서 문자 영역에 해당하는 화소들을 팽창시키는바, 그 결과 영상물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가상문자영역추출기가 일정 수치 이상의 높이를 가진 소정의 라인 영역을 가상 문자 영역으로 간주하여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가상문자영역추출기는 화소 팽창을 수행한 문자 영상물에 대해 화소 영역을 레이블링하고 일정 수치 이상의 높이를 가진 소정의 라인 영역을 가상 문자 영역으로 간주하여 추출하는바, 그 결과 영상물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국소이진화기가, 추출한 가상 문자 영역 내에서 국소 이진화를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문자 영상물을 부 영역으로 분리하여 각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명도 분포를 조사하여 이진화한다.
그리고 문자추출기가, 국소 이진화한 문자 영역에서 결합 및 분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어 및 개별 문자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문자추출기는 문자 분할을 위해 수직 투영 및 여백 정보를 이용하여 단어를 추출하고, 결합 및 분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별 문자를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한글은 다른 문자들과 달리 모음과 자음이 결합하여 문자를 구성하므로 연결 화소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문자추출기는, 문자 이외의 연결 화소, 즉 표 또는 그림 등 국소 이진화 결과로 나타나는 문자 이외의 연결 화소를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거한다. 특히 한글과 영어가 혼용된 영상물의 경우 문자추출기는 한글과 영어의 구조적인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문자를 추출한다.
그리고 문자인식기가, 추출한 개별 문자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는바, 개별 문자 인식을 위해 망 특징, 거리정보 특징 또는 윤곽선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문자에 대한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문자인식기가, 추출한 개별 문자를 인식함으로써 문자 인식을 완료한다.
또한, 영상물제공부(140)는 영상물가공부(130)가 생성한 가공 영상물을 별도의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수신한 영상물 정보, 수신한 영상물에 대한 분류 정보, 가공 대상 영상물에 대한 가공 기준 정보 및 가공 영상물 정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영상물수신부(110), 영상물분류부(120), 영상물가공부(130), 영상물제공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에 따르면, 방송사 또는 영상물 제작사 등에서 제작된 영상물을 다양한 주제에 따라 재구성하여 맞춤형 영상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용, 오락용, 정보제공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아동 대상의 영상물은 난이도별로 구분된 학습용 영상물로 가공할 수 있으며, 다큐멘터리 영상물은 주제별로 제공하거나 대상연령별로 제공할 수도 있고, PD용, 카메라맨용, 구성작가용, 음향전문가용, 편집가용 등의 교재 영상물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은, 영상물 가공 장치(100), 영상물 제공서버(200), 관리자단말기(300), 사용자단말기(400) 및 정보통신망(500)을 포함한다.
그 중, 영상물 가공 장치(100)는, 영상물수신부(110), 영상물분류부(120), 영상물가공부(130), 영상물제공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는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성 및 기능은 상술한바 있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영상물 제공서버(200)는 영상물 가공 장치(100)로 각종 영상물과 함께 그에 대한 분류 정보를 전송한다.
영상물 제공서버(200)로는 MBC, KBS, SBS 등의 지상파 방송사 서버, 영상물 제작을 주업무로 하는 외주 제작사 서버, 각종 용도로 영상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사설 학원 서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을 관리하는 자의 단말기이며, 영상물 가공 장치(100)가 수신한 영상물에 대한 영상물 분류 변경 정보, 가공 대상 영상물 특정 정보, 그리고 가공 대상 영상물에 대한 가공 기준 설정 신호를 영상물 가공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기(4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물 가공 장치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의 단말기이며, 영상물 가공 장치(100)로부터 가공 영상물을 수신한다.
관리자단말기(300) 및 사용자단말기(400)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형태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예를 들어, Netscape, Internet Explorer)를 가지고 있다.
관리자단말기(300) 및 사용자단말기(400)는 이동 중인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관리자단말기(300) 또는 사용자단말기(400)는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또는 이동 중인 차량에 부착된 내비게이션 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정보통신망(500)은 영상물 가공 장치(100), 영상물 제공서버(200), 관리자단말기(300) 및 사용자단말기(400)를 서로 접속시킨다.
정보통신망(500)은 TCP/IP 프로토콜에 의한 유선 인터넷망, WAP 프로토콜, DMB, Wibro, Digital 방송, AM 라디오 또는 FM 라디오 통신망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영상물 가공 장치 110 : 영상물수신부
120 : 영상물분류부 130 : 영상물가공부
131 : 대상영상물특정부 132 : 가공기준설정부
133 : 영상물재배치부 140 : 영상물제공부
150 : 데이터베이스 160 : 제어부
200 : 영상물 제공서버 300 : 관리자단말기
400 : 사용자단말기 500 : 정보통신망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영상물 가공 장치(100)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물 제공서버(200)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물을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며 분류한 영상물을 가공하여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고 생성한 가공 영상물을 사용자단말기(400)로 전송하는 영상물 가공 장치(100);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100)로 영상물을 전송하는 영상물 제공서버(200);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100)로부터 가공 영상물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400); 및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100), 영상물 제공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400)를 서로 접속시키는 정보통신망(500);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100)는,
    상기 영상물 제공서버(200)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는 영상물수신부(110);
    상기 영상물수신부(110)가 수신한 영상물을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영상물분류부(120);
    상기 영상물분류부(120)가 분류한 영상물을 가공하여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는 영상물가공부(130);
    상기 영상물가공부(130)가 생성한 가공 영상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제공하는 영상물제공부(140); 및
    상기 영상물수신부(110)가 수신한 영상물 정보, 영상물에 대한 분류 정보, 가공 대상 영상물에 대한 가공 기준 정보 및 가공 영상물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영상물분류부(120)는,
    상기 영상물수신부(110)가 수신한 영상물에 대한 분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분류 정보에 따라 영상물을 분류하며, 상기 영상물수신부(110)가 수신한 영상물에 대한 분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영상물 제목을 상기 영상물 제공서버(200)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영상물 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분류 정보에 따라 영상물을 분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영상물가공부(130)는,
    상기 영상물분류부(120)가 분류한 영상물 중 가공 대상 영상물을 특정하는 대상영상물특정부(131);
    상기 대상영상물특정부(131)가 특정한 가공 대상 영상물을 가공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가공기준설정부(132); 및
    상기 가공기준설정부(132)가 설정한 가공 기준에 따라 가공 대상 영상물을 재배치함으로써 가공 영상물을 생성하는 영상물재배치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영상물재배치부(133)는 가공 기준별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 대상 영상물로부터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를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검색 대상이 되는 문자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가장 많은 가공 기준별 분류로 상기 가공 대상 영상물을 분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영상물재배치부(133)는,
    상기 가공 대상 영상물에 대해서 에지 영상을 추출하는 에지영상추출기;
    상기 에지 영상의 화소를 팽창시키는 화소팽창기;
    화소가 팽창된 상기 에지 영상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높이를 가진 소정의 라인 영역을 가상 문자 영역으로 간주하여 추출하는 가상문자영역추출기;
    추출한 가상 문자 영역 내에서 국소 이진화를 수행하는 국소이진화기;
    국소 이진화한 문자 영역에서 개별 문자를 추출하는 문자추출기; 및
    추출한 개별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100)가 수신한 영상물에 대한 영상물 분류 변경 정보, 가공 대상 영상물 특정 정보, 그리고 가공 대상 영상물에 대한 가공 기준 설정 신호를 상기 영상물 가공 장치(100)로 전송하는 관리자단말기(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가공 장치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
KR1020110108610A 2011-10-24 2011-10-24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 KR10131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610A KR101313100B1 (ko) 2011-10-24 2011-10-24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610A KR101313100B1 (ko) 2011-10-24 2011-10-24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11A KR20130044511A (ko) 2013-05-03
KR101313100B1 true KR101313100B1 (ko) 2013-09-30

Family

ID=4865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610A KR101313100B1 (ko) 2011-10-24 2011-10-24 영상물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물 배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1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197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형 카메라로 획득한 문자영상의 문자영역선택을 통한문자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12095A (ko) * 2008-04-23 200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컨텐츠의 저장 방법,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197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형 카메라로 획득한 문자영상의 문자영역선택을 통한문자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12095A (ko) * 2008-04-23 200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컨텐츠의 저장 방법,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11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49231B (zh) 多媒体文件素材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606275B2 (ja) 情報をプッシュ配信するコンピュータ実施方法及び装置
US9202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programs
DE112011103903B4 (de) Methode zum Empfang eines bestimmten Services und Videowiedergabegerät dazu
CN1187982C (zh) 充实视频的屏幕文字触发字
CN105653738A (zh) 基于人工智能的搜索结果播报方法和装置
JP2020030814A (ja) 情報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CN111930994A (zh) 视频编辑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052953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20110106809A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N112989076A (zh) 多媒体内容搜索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5760521A (zh) 信息输入方法和装置
CN103069414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3686344A (zh) 增强视频系统及方法
CN103092972A (zh) 基于线索对象的搜索方法及装置
KR102195642B1 (ko) 색상정보에 기반한 검색 정보 제공 단말, 장치 및 제공 방법
CN102855480A (zh) 一种图像文字识别方法和装置
US103417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3984741A (zh) 用户属性信息提取方法及其系统
CN110688496A (zh) 一种多媒体文件处理的方法及装置
CN103207917A (zh) 标注多媒体内容的方法、生成推荐内容的方法及系统
CN102890950A (zh) 媒体自动剪辑装置、方法、媒体播送方法与其播送系统
CN113746874A (zh) 一种语音包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821690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372172A (zh) 生成视频封面图像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4

Year of fee payment: 6